KR101383919B1 -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919B1
KR101383919B1 KR1020120106168A KR20120106168A KR101383919B1 KR 101383919 B1 KR101383919 B1 KR 101383919B1 KR 1020120106168 A KR1020120106168 A KR 1020120106168A KR 20120106168 A KR20120106168 A KR 20120106168A KR 101383919 B1 KR101383919 B1 KR 10138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amber
contents
pip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678A (ko
Inventor
정만택
Original Assignee
정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택 filed Critical 정만택
Priority to KR102012010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85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with one product being located in a chamber within, or forming part of, the dispensing head, e.g. for admixture during disp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 상·하로 액상과 고압기체로 된 각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1,2챔버가 구비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압조작을 받아 하강하고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체가 구비되는 버튼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승강 지지하는 요소로, 그 내부에는 버튼의 상승시 제1챔버로부터 액상 내용물을 흡입 보관한 상태에서 버튼의 하강시 보관 내용물을 토출체로 공급하는 고정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토출체와 연결되는 버튼의 내부 중심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제2챔버의 상측에 위치되는 승강관 및 이 승강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동 하강하는 것에 의해 제2챔버의 고압기체를 승강관으로 공급하는 2액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는,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펌핑 동작시 액상의 1액 내용물이 토출을 시작하고, 1액 토출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산소나 발향가스 등의 기체로 이루어진 2액 내용물이 1액 토출 경로를 따라 토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일의 관로를 통해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진 이종의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힌,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진 다양한 이종 내용물로 이루어진 상품의 개발 및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도와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OF DIFFERENT KIND OF FLUID}
본 발명은 이종의 서로 다른 물성을 지닌 유체를 보관하고 필요시 토출시키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차적으로 액체 상태의 1액을 토출시키고 이어서 고압기체 상태의 2액을 동일한 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 토출 과정에서 1액과 2액이 혼합되도록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세제, 샴푸, 린스, 액상의 의약품, 액상의 식품류 등과 같은 유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액상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충진 된 내용물의 점성이 0.01~6 poise로 낮은 겔 또는 액상인 경우에는 사용상의 편의성과 정량 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누름 조작을 받아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용기 본체의 입구측에 펌핑기구가 구비된 펌핑 화장품 용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핑 방식의 화장품 용기는 크게 내용물을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측에 조립되어 사용자로부터 가압 조작력을 받아 상·하 연동동작을 통해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는 상부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갖는 수용요소로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유리재로 성형되며, 이외에도 라미네이트 시트를 원통형으로 튜빙 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펌핑기구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상부 중심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일측에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용물을 공급받아 토출구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과 일체로 승강되게 구비되는 피스톤관과, 상기 버튼관이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하부로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가압된 버튼을 위치 복귀시키는 것으로 하단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면서 상기 버튼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버튼에 대해 상승 지지력을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펌핑 방식의 화장품 용기는 손가락으로 버튼을 가압하면, 그 압력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 진공압력에 의해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흡입되어 용기 본체의 측방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화장품은 그 종류가 다양한 만큼 두 가지 이상의 화장품을 혼합 사용할 필요가 있는 제품이 있으며, 이러한 화장품은 미리 혼합하는 경우 화장품 성분간의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효과가 감소되거나 물성변화로 인해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조사에서는 각각의 용기에 분리 보관하여 제공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화장품을 일정량 덜어서 혼합한 뒤 이를 피부 등에 도포하여야 하므로 보관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큰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91579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단일 용기의 내부에 2종의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각 화장품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스크류축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고점도 내용물을 일정량씩 압출하는 동시에 펌핑수단으로 이를 일정량씩 배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기능을 제공하는 노즐캡을 가압하면 이 노즐캡에 연결된 두 개의 피스톤이 연동하여 한 쌍으로 구획된 각각의 화장품 수용공간으로부터 화장품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화장품 용기는 단순히 화장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구획하여 화장품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화장품 수용공간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피스톤을 하나의 노즐캡으로 연동 구성함으로써 단일의 용기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있으나, 상기 복잡한 구조를 갖는 두 개의 피스톤을 하나의 노즐캡에 조립 구성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난해하여 경제적인 제조가 곤란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지는 단점으로 인해 용기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4716호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보관실이 구비되며, 상기 보관실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보관실의 내측을 향하여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가이드브라켓; 상기 가이드편과 끼워져 작동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토출구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펌핑부재가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버튼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리되도록 설치되는 밀폐링; 내부에는 상기 보관실에 보관된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이 보관된 상태로 상기 버튼부에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재:, 이 수용부재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고, 상기 펌핑부재의 하부와 결합되되,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시 상기 펌핑부재와 보관실이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구비된 밀폐부재:가 포함되는 보관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최초 사용시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수용부재의 하부가 개방되어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최초 사용시 이종 물질의 혼합이 완료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이종 물질간의 화학반응의 발생 우려가 높은 문제로 인해 일회용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79호, 7쪽, 청구항 1, 도면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4716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펌핑 동작에 연동하여 액상의 1액이 토출을 시작하고, 펌핑력이 어느 정도 작용하는 시점에서 산소나 발향 성분을 포함하는 발향가스 등의 기체로 이루어진 2액이 상기 1액과 동일한 관로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진 다양한 이종 물질의 화장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다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호응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는, 내부 상·하로 액상과 고압기체로 된 각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1,2챔버가 구비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압조작을 받아 하강하고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체가 구비되는 버튼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승강 지지하는 요소로, 그 내부에는 버튼의 상승시 제1챔버로부터 액상 내용물을 흡입 보관한 상태에서 버튼의 하강시 보관 내용물을 토출체로 공급하는 고정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토출체와 연결되는 버튼의 내부 중심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제2챔버의 상측에 위치되는 승강관 및 이 승강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동 하강하는 것에 의해 제2챔버의 고압기체를 승강관으로 공급하는 2액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하면이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하는 하부캡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1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조립되어 흡입압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제1챔버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하부캡의 상부에 제2챔버를 형성하는 서포트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토출체는, 상기 버튼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노즐구에 끼움 조립되는 노즐관 및 상기 노즐관의 내부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감소된 지름을 가지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노즐관의 입구를 차폐하고 후퇴 이동시에는 노즐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가동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버튼은 측방향으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체가 조립되는 설치 구멍인 노즐구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인 수용관부의 내면에 승강되게 슬라이드 접촉을 이루는 제1관부 및 이 제1관부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관부 및 이 제2관부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측으로 노즐구와 연결되는 제3관부 및 제2관부와 제3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1액유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관부가 내부에 승강되게 슬라이드 삽입되는 수용관부 및 이 수용관부의 내측에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그 내부로는 고정체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 작용을 하는 내축관부 및 이 내축관부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안내관부 및 삽입관부와 내축관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1챔버내의 액상 내용물을 흡입 유동하기 위한 흡입홀 및 이 흡입홀의 내측으로 상기 내축관부에 대해 짧은 높이로 돌출되는 단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삽입관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확장관부 및 그 내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버튼을 구성하는 제2관부가 상측에서 삽입되어 대기챔버를 형성하는 챔버관부 및 압력 변화에 의해 내·외측으로 변위를 갖는 상·하 변위막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제3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관의 상측으로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에 의해 승강관의 상면을 차단하고 상기 제2챔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기체에 의해 부상되어 승강관의 상면을 개방하는 체크볼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2액밸브는, 상기 제2챔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관 형상의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밸브몸체(34)의 개방된 상측에 구비되는 패킹과; 상기 승강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승강되는 요소로,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승시 패킹에 의해 차폐되고 하강시 패킹과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홀이 형성된 스템밸브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용기는,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펌핑 동작시 액상의 1액 내용물이 토출을 시작하고, 1액 토출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산소나 발향가스 등의 기체로 이루어진 2액 내용물이 1액 토출 경로를 따라 토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일의 관로를 통해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진 이종의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진 다양한 이종 내용물로 이루어진 상품의 개발 및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도와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구획된 2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본체(10)와, 이 용기 본체(10)의 상부측 개방된 입구에 구비되는 하우징(20)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내용물이 취출되게 관로를 개방시키는 2액밸브(30)와, 상기 용기 본체(10) 내부에 충진된 2종의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요소인 토출체(40)와, 상기 하우징(20)에 조립되어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용기 본체(10) 내부에 충진된 2종의 내용물이 외부로 취출되도록 펌핑력을 생성하는 버튼(50)으로 구성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상·하면이 개방된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하측으로 끼움 조립으로 구비되는 하부캡(12)과,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측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실린더(13)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체결 또는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는 숄더(16)와, 상기 실린더(13)의 내부 하측에 조립되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공간인 제1챔버(a)를 형성하는 피스톤(14)과, 상기 바디(11)의 하부캡(12)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2챔버(b)를 형성하는 서포트(15)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용기 본체(10)의 숄더(16)에 조립되는 것으로 수용관부(21) 및 이 수용관부(21)의 내측에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삽입관부(22) 및 이 삽입관부(22)의 내측에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내축관부(23) 및 이 내축관부(23)의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속이 빈 안내관부(23a)로 구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삽입관부(2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확장관부(25a)와 그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챔버관부(25b)로 구성되는 고정체(25)와; 수직하게 관통된 관형상의 밸브몸체(34) 및 이 밸브몸체(34)의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스프링(33) 및 이 밸브몸체(34)의 개방된 상측에 구비되는 패킹(32) 및 승강관(24)에 하단에 조립되어 승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킹(32)에 의해 통로가 단속되는 스템밸브(31)로 구성되는 2액밸브(30)와; 버튼(50)의 노즐구(50a) 내부에 끼움 조립되는 노즐관(41) 및 이 노즐관(41)의 내부에 간극을 두고 구비되어 그 외면으로 내용물이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전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노즐관(41)의 입구가 차폐되게 하는 가동노즐(43)로 구성되는 토출체(40)와; 상기 하우징(20)의 수용관부(21) 내측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제1관부(51) 및 이 제1관부(51)의 내측으로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관부(25b)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2관부(52) 및 제3관부(53) 및 상기 토출체(40)가 끼움 조립되는 노즐구(50a)로 구성되는 버튼(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동작 구성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는 내용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아무런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내용물 토출을 위해 버튼(50)을 가압하여 제1챔버(a)의 내용물을 임시 저장하고 있는 대기챔버(c1)의 내용물이 토출체(40)를 통하여 토출되는 동작이 일어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버튼(50)이 더욱 가압되는 것에 의해 대기챔버(c1)의 내용물이 토출체(40)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토출 동작이 진행됨과 아울러 제2챔버(b)의 내용물의 토출이 일어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버튼(50)이 더욱 눌러지는 것에 의해 대기챔버(c1)에 채워진 내용물의 유출이 완료되고, 제2챔버(b)의 내용물의 토출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버튼(5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해제되는 시점에서 제1챔버(a)내의 충진된 내용물이 대기챔버(c1) 측으로 흡입 유동됨과 아울러 제2챔버(b)의 내용물의 토출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끝으로, 도 9는 제1챔버(a)의 내용물이 대기챔버(c1)측으로 유입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챔버(b)의 내용물에 대한 토출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사용자의 누름조작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버튼(50)이 복귀스프링(27) 완전히 위치 복귀되어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1)는, 크게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구획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어 각종 구성품이 장착되는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내부에 조립되는 고정체(25)와,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는 버튼(50)과, 상기 버튼(50)의 누름 조작력에 연동하여 2종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체(4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금속재나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이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일정량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크게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시키는 하부캡(12)과,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압에 의해 상승 되어 제1챔버(a)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실린더(13)와, 상기 실린더(13)의 내부에 조립 구비되어 제1챔버(a)를 형성하는 피스톤(14)과, 상기 하부캡(12)의 상부에 제2챔버(b)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서포트(15)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는 상·하면이 개방된 관 형상의 부재로서, 개방된 상측으로는 숄더(16)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성형되어 나사체결이나 또는 억지끼움 조립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며, 이때의 상기 숄더(16)는 주둥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외면에는 후술할 하우징(20)과 걸림구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캡(12)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하측을 차폐하도록 조립되는 차폐 요소로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캡(12)은 그 상부로 제2챔버(b)를 형성하도록 서포트(15)가 끼움 조립된다.
상기 실린더(13)는 그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1액 충진공간인 제1챔버(a)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1)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컵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그 하면 중심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것에 의해 후술할 안내관부(23a)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14)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13)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승 이동되는 접촉관부(14a)와, 이 접촉관부(14a)의 내측으로 중심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면서 그 내측으로 안내관부(23a)가 삽입 통과하는 실링관부(14b)가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14)은 그 내부에 흡입압이 작용하게 되면 제1챔버(a)에 충진된 내용물이 대기챔버(c1)측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관부(14a)가 상기 실린더(13)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제1챔버(a)의 용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서포트(15)는 상기 하부캡(12)의 상부에 조립 구비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제2챔버(b)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상기 제2챔버(b)에는 산소나 발향성분을 포함하는 발향가스 등의 고압 기체로 이루어진 2액이 충진된다. 이러한 서포트(15)는 그 상부 중심으로 후술할 2액밸브(30)가 조립되어 선택적으로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이종의 유체를 상·하로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그 형태나 크기 및 조립구성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하우징(20)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하부가 끼움 조립되고, 그 내부로는 고정체(25) 및 버튼(50)을 구성하는 일부 요소가 조립되는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크게 수용관부(21)와, 이 삽입관부(22)의 내측에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그 내부로는 고정체(25)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 작용을 하는 내축관부(23) 그리고 이 내축관부(23)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안내관부(23a)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부(21)는 상부 내측으로 버튼(50)이 조립되고, 하부 내측으로는 본체(3)의 숄더(16)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관부(22)는 상기 수용관부(21)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는 크기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측으로 후술할 고정체(25)가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축관부(23)는 상기 삽입관부(22)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구비되며, 그 외면으로는 고정체(25)의 챔버관부(25b)가 끼움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관부(23a)는 상기 내축관부(23)의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속이 빈 관 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은 제1챔버(a)를 형성하는 상기 피스톤(14)의 실링관부(14b)를 통과하고, 그 하단은 상기 제2챔버(b)의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은 삽입관부(22)와 내축관부(23)를 연결하는 부분에 제1챔버(a)내에 충진된 내용물을 후술할 대기챔버(c1)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인 흡입홀(22h)이 형성되며, 이 흡입홀(22h)의 내측으로는 상기 내축관부(23)에 대해 짧은 높이로 돌출되는 단축관부(23b)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우징(2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입구측에 상호 나사체결로 결합되거나 또는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안내관부(23a)의 내부에는 수직하게 관통되어 그 내부로 제2챔버(b)에 충진된 내용물이 유동되는 튜브요소인 승강관(24)이 끼움 조립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승강관(24)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안내관부(23a)의 상단을 통과하여 버튼(50)을 구성하는 제3관부(53)의 내부에 끼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버튼(50)의 승강시 연동하여 승강되게 구비되며, 그 하단은 제2챔버(b)의 상측에 위치하여 2액밸브(3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관(24)은 상단 입구측에 제1챔버(a)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볼(cb)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체크볼(cb)은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승강관(24)의 상면을 폐쇄하게 되지만 상기 승강관(24)의 내부로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가 유입되면 기체의 분출압력에 의해 체크볼(cb)은 상승하여 승강관(24)의 상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고정체(25)는 상기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삽입관부(2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관형상을 갖는 확장관부(25a)와, 이 확장관부(25a)의 내측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감소된 지름을 갖는 챔버관부(25b)와, 상기 하우징(20)의 단축관부(23b)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흡입홀(22h)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대기챔버(c1)에서 작용하는 흡입압에 의해 수축 변위를 일으켜 상기 흡입홀(22h)을 통해 내용물이 대기챔버(c1)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하변위막(25c)과, 버튼(50)의 가압시 상기 대기챔버(c1)측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관부(25b)의 상단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구멍(25h)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25)는 그 상측 끝단부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할 버튼(50)의 하강시 대기챔버(c1)의 용적이 감소되면서 그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로구멍(25h)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려는 압력에 의해 수축변위를 일으켜 통로를 형성하는 상변위막(25d)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변위막(25d)은 버튼(50)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버튼(50)의 제2관부(52)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2액밸브(30)는 수직하게 관통된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밸브몸체(34)와, 이 밸브몸체(34)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상향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밸브스프링(33)과, 상기 밸브몸체(34)의 개방된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심은 관통되는 것에 의해 고리형상을 갖는 패킹(32)과, 상기 승강관(24)의 하단과 그 상단이 조립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관(24)의 하강시 일체로 연동하여 하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일측에 형성된 통로홀(31h)이 패킹(32)으로부터 이격되어 개통된 상태를 이루고, 상승시에는 통로홀(31h)이 패킹(32)에 의해 차폐되는 스템밸브(3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템밸브(31)는 도 3을 참조하면 측방향으로 형성된 통로홀(31h)을 통해 유입된 고압기체는 승강관(2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상면이 개방되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2액밸브(30)는 버튼(50)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스템밸브(31)의 통로홀(31h)을 폐쇄 또는 개방함으로써 제2챔버(b)내의 내용물(고압기체) 공급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는 요소로서, 상기 스템밸브(31)에 형성된 통로홀(31h)은 상기 제2챔버(b)에 채워진 고압의 기체가 유입되는 구멍이며, 상기 승강관(24)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토출체(40)는 후술할 버튼(50)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설치구멍인 노즐구(50a)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내용물의 토출을 단속하는 밸브요소로서, 버튼(50)의 노즐구(50a) 내부에 끼움 조립되는 노즐관(41)과, 이 노즐관(41)의 내부에 간극을 두고 구비되는 것에 의해 그 외면으로 내용물이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진 이동시 상기 노즐관(41)의 입구를 차폐하고 후퇴 이동시에는 노즐관(41)의 입구를 개방되게 구비되는 가동노즐(43) 그리고 이 가동노즐(43)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관(41)은 후술할 버튼(50)의 노즐구(50a)의 내부에 끼움 구비되는 관 형상의 요소로, 그 후단부가 후술할 버튼(50)의 제3관부(53)의 내부와 연결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챔버(a) 및 제2챔버(b)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동노즐(43)은 그 선단부가 상기 노즐관(41)의 내부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삽입 구비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챔버(a) 및 제2챔버(b)에서 유입되는 내용물의 유입압력에 의해 후퇴 이동을 이루고, 상기 내용물의 유입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스프링(45)의 지지력에 의해 전진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가동노즐(43)은 상기 노즐관(41)에 조립된 상태에서 후술할 버튼(50)의 1액유입홀(50h) 및 제3관부(53)로 유입되는 내용물에 의해 후퇴 이동될 수 있게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 즉, 후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확장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유입압력이 후퇴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스프링(45)은 상기 노즐관(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노즐(43)이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토출체(40)는 탄성스프링(4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가동노즐(43)이 전진 이동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노즐관(41)의 입구를 차폐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50)이 가압되는 것에 의해 대기챔버(c1)에 충진되어 있던 내용물이 후술할 버튼(50)의 1액유입홀(50h)을 통해 유입되면, 이 내용물의 유입압에 의해 가동노즐(43)이 후퇴 이동을 하여 노즐관(41)을 개방시킴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이 실시된다. 이때, 상기 노즐관(41)의 입구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이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가동노즐(43) 역시 선단부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가동노즐(43)이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는 그 선단부가 노즐관(41)의 선단부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폐쇄 상태를 이루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가동노즐(43)이 후퇴 이동을 이루면 상기 노즐관(41)의 입구에 간극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기챔버(c1)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후술할 버튼(50)이 더욱 가압되면, 이 버튼(50)의 안내관부(23a)에 끼움 구비된 승강관(24)이 하강 이동을 하게 되고, 이 승강관(24)의 하강 동작에 의해 그 하측 끝단에 구비된 2액밸브(30)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제2챔버(b) 내에 충진된 고압기체가 승강관(24)에 작용하여 체크볼(cb)을 부상시킨 뒤 제3관부(53)를 통해 노즐관(41)과 가동노즐(43) 사이의 제2간극(g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사용자가 버튼(50)을 가압하기 시작하면 제1챔버(a)와 연결된 대기챔버(c1) 내의 내용물이 도 5의 제1간극(g1)을 경유하여 버튼(50)의 1액유입홀(50h)을 통해 상기 노즐관(41)과 가동노즐(43)의 연결부위에 작용하여 상기 가동노즐(43)을 후퇴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동노즐(43)의 후퇴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관(41)의 입구는 제2간극(g2)을 형성하여 개방됨에 따라 내용물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50)을 더욱 가압하면, 대기챔버(c1) 내의 내용물의 유출은 유지된 상태에서 버튼(50)과 연동되는 승강관(24)의 하강동작에 의해 2액밸브(30)가 개방됨에 따라 제2챔버(b)내의 고압기체가 승강관(24)과 버튼(50)의 제3관부(53)를 경유하여 제2간극(g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제1챔버(a)에 연결된 대기챔버(c1)에 충진된 액상의 내용물이 먼저 토출되고, 이 액상의 내용물이 어느정도 토출된 시점에서 상기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가 토출됨에 따라 상기 노즐관(41)의 입구측에 묻어 있던 액상의 내용물은 고압기체의 토출시 강하게 불어내어진다.
버튼(50)은 상기 하우징(20)의 수용관부(21)의 내부에 하부 일단이 승강될 수 있게 슬라이드 삽입으로 구비되고, 상부면으로는 사용자로부터 누름조작을 받도록 구성된 가압요소이다.
이러한 버튼(50)은 상측에 측방향으로 제1챔버(a) 및 제2챔버(b)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노즐구(50a)가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상기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수용관부(21)의 내벽에 슬라이드 끼움되는 제1관부(51)와, 이 제1관부(51)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관 형상을 갖는 제2관부(52) 그리고 이 제2관부(52)에 대해 감소된 지름을 갖는 관 형상의 제3관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부(52)와 제3관부(53) 사이에는 1액유입홀(50h)이 노즐구(50a)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관부(53)는 그 상부가 노즐구(50a)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버튼(50)은 상기 용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나, 성형의 자유도를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5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실리콘재나 우레탄재 등의 재질로 된 쿠션패드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튼(50)에 아무런 가압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유출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튼(50)을 (A1)의 위치가 될 때까지 하측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조작력을 가하면, 상기 대기챔버(c1)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이 용적이 감소되는 것에 의해 그 상측으로 작용하여 상변위막(25d)을 내측으로 변위시킴에 따라 제1간극(g1)을 통해 상부 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대기챔버(c1)에서 유출된 내용물은 버튼(50)의 1액유입홀(50h)을 통과하여 가동노즐(43)에 작용하고, 상기 가동노즐(43)은 내용물의 작용압에 의해 후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2간극(g2)을 형성하여 노즐관(41)을 개방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실시된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50)을 더욱 가압하는 것에 의해 버튼(50)이 (A2)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대기챔버(c1)내의 내용물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외부로의 토출이 유지되며, 아울러 버튼(50)의 제3관부(53)에 연결된 승강관(24)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그 하측 끝단에 연결된 스템밸브(31)의 통로홀(31h)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b)에 충진된 내용물인 고압기체는 통로홀(31h)을 통해 승강관(24)으로 유동된다. 상기 승강관(24)으로 유입된 제2챔버(b)에서 유출된 고압기체는 승강관(24)의 상부를 차폐하고 있던 체크볼(cb)을 부상시켜 제3간극(g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동노즐(43)과 노즐관(41) 사이에 형성된 제2간극(g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도 6에서는 제1챔버(a)에 연결된 대기챔버(c1)에 충진된 액상의 내용물과,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로 된 내용물이 동시에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버튼(50)이 (A3)의 위치에 도달하면, 대기챔버(c1)내에 충진된 액상의 내용물 토출이 완료되고,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의 토출은 유지된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튼(50)에 가해지던 가압 조작력이 해제되면, 복귀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50)이 (B1)의 위치로 상승 이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대기챔버(c1) 내에는 흡입압이 작용함에 따라 흡입홀(22h)과 제4간극(g4)을 통해 제1챔버(a)의 내용물이 대기챔버(c1)측으로 흡입 유동되고, 상기 2액밸브(30)는 통로홀(31h)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는 도 7과 마찬가지로 토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튼(50)의 복귀 위치가 (B2)에 도달하게 되면, 제1챔버(a)의 내용물에 대한 대기챔버(c1)의 흡입은 도 8과 마찬가지로 유지되고, 승강관(24)의 상승 이동에 의해 2액밸브(30)의 스템밸브(31)에 형성된 통로홀(31h)이 밸브스프링(33)에 의해 차폐되는 것에 의해 제2챔버(b)내의 고압 기체의 토출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제1챔버(a)와 연결된 대기챔버(c1)의 액상 내용물에 대한 토출이 완료되면, 제2챔버(b)에 충진된 고압기체 내용물이 토출됨에 따라 노즐관(41)의 입구 주변에 액상의 내용물이 남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튼(50)이 최초 위치인 (B3)의 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가동노즐(43)은 탄성스프링(4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전진 이동을 이루어 제1간극(g1)을 차폐시키고, 체크볼(cb)은 하강하여 승강관(24)의 상부를 차폐시키며, 상기 2액밸브(30) 역시 패킹에 의해 통로홀(31h)이 차폐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10 : 용기 본체
20 : 하우징 21 : 수용관부
22 : 삽입관부 23 : 내축관부
25 : 고정체 30 : 2액밸브
40 : 토출체 41 : 노즐관
43 : 가동노즐 50 : 버튼
51 : 제1관부 52 : 제2관부
53 : 제3관부

Claims (6)

  1. 내부 상·하로 액상과 고압기체로 된 각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제1,2챔버(a,b)가 구비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압조작을 받아 하강하고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체(40)가 구비되는 버튼(50)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50)을 승강 지지하는 요소로, 그 내부에는 버튼(50)의 상승시 제1챔버(a)로부터 액상 내용물을 흡입 보관한 상태에서 버튼(50)의 하강시 보관 내용물을 토출체(40)로 공급하는 고정체(25)를 구비한 하우징(20)과;
    상기 토출체(40)와 연결되는 버튼(50)의 내부 중심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제2챔버(b)의 상측에 위치되는 승강관(24) 및 이 승강관(24)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동 하강하는 것에 의해 제2챔버(b)의 고압기체를 승강관(24)으로 공급하는 2액밸브(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하면이 개방된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하는 하부캡(12)과;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1챔버(a)를 형성하는 실린더(13)와;
    상기 실린더(13)의 내부에 조립되어 흡입압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제1챔버(a)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피스톤(14)과;
    상기 하부캡(12)의 상부에 제2챔버(b)를 형성하는 서포트(1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체(40)는,
    상기 버튼(50)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노즐구(50a)에 끼움조립되는 노즐관(41) 및
    상기 노즐관(41)의 내부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감소된 지름을 가지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노즐관(41)의 입구를 차폐하고 후퇴 이동시에는 노즐관(41)의 입구를 개방하는 가동노즐(4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50)은 측방향으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체(40)가 조립되는 구멍인 노즐구(50a) 및 상기 하우징(20)의 외측벽인 수용관부(21)의 내면에 승강되게 슬라이드 접촉을 이루는 제1관부(51) 및 이 제1관부(51)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관부(52) 및 이 제2관부(52)의 내측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측으로 노즐구(50a)와 연결되는 제3관부(53) 및 제2관부(52)와 제3관부(53) 사이에 형성되는 1액유입홀(50h)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제1관부(51)가 내부에 승강되게 슬라이드 삽입되는 수용관부(21) 및 이 수용관부(21)의 내측에 감소된 지름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그 내부로는 고정체(25)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 작용을 하는 내축관부(23) 및 이 내축관부(23)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안내관부(23a) 및 삽입관부(22)와 내축관부(23)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1챔버(a)내의 액상 내용물을 흡입 유동하기 위한 흡입홀(22h) 및 이 흡입홀(22h)의 내측으로 상기 내축관부(23)에 대해 짧은 높이로 돌출되는 단축관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25)는 삽입관부(2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확장관부(25a) 및 그 내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버튼(50)을 구성하는 제2관부(52)가 상측에서 삽입되어 대기챔버(c1)를 형성하는 챔버관부(25b) 및 압력 변화에 의해 내·외측으로 변위를 갖은 상·하 변위막(25d,25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50)은,
    상기 제3관부(53)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관(24)의 상측으로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에 의해 승강관(24)의 상면을 차단하고 상기 제2챔버(b)로부터 공급되는 고압기체에 의해 부상되어 승강관(24)의 상면을 개방하는 체크볼(c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액밸브(30)는,
    상기 제2챔버(b)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관 형상의 밸브몸체(34)와;
    상기 밸브몸체(34)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밸브스프링(33)과;
    상기 밸브몸체(34)의 개방된 상측에 구비되는 패킹(32)과;
    상기 승강관(24)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승강되는 요소로, 상기 밸브몸체(34)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승시 패킹(32)에 의해 차폐되고 하강시 패킹(32)과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홀(31h)이 형성된 스템밸브(3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0120106168A 2012-09-25 2012-09-25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138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168A KR101383919B1 (ko) 2012-09-25 2012-09-25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168A KR101383919B1 (ko) 2012-09-25 2012-09-25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78A KR20140039678A (ko) 2014-04-02
KR101383919B1 true KR101383919B1 (ko) 2014-04-11

Family

ID=5065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168A KR101383919B1 (ko) 2012-09-25 2012-09-25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109A (ko) 2018-11-06 2020-05-14 박소혜 땀띠 번짐 방지를 위한 이종물질 화장품 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84B1 (ko) * 2014-11-10 2016-09-28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1726043B1 (ko) * 2015-05-14 2017-04-13 주식회사 태성산업 클렌징 크림 용기
KR102226973B1 (ko) * 2019-05-07 2021-03-15 주식회사 삼화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012B2 (ko) * 1982-12-29 1991-12-12 Oosaka Gasu Kk
US20060054634A1 (en) 2002-06-26 2006-03-16 Satoshi Mekata 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e of plurality of contents, packaging product including the packaging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ackaging product
KR101125511B1 (ko) 2011-11-16 2012-03-21 엠엔지주식회사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KR101180522B1 (ko) 2012-03-07 2012-09-06 김용범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012B2 (ko) * 1982-12-29 1991-12-12 Oosaka Gasu Kk
US20060054634A1 (en) 2002-06-26 2006-03-16 Satoshi Mekata 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e of plurality of contents, packaging product including the packaging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ackaging product
KR101125511B1 (ko) 2011-11-16 2012-03-21 엠엔지주식회사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KR101180522B1 (ko) 2012-03-07 2012-09-06 김용범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109A (ko) 2018-11-06 2020-05-14 박소혜 땀띠 번짐 방지를 위한 이종물질 화장품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78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767B2 (en) Pull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for pull pumps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US8591207B2 (en) Pump with side inlet valve for improved functioning in an inverted container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AU2014289073B2 (en) Dispenser with a reservoir comprising a divider or a porous material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JP2016529169A5 (ko)
CN110694152B (zh) 具有防止细菌渗入功能的药剂分配器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318862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US10934077B2 (en) Powder dispensing container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CN108348938B (zh) 包括待装有液体的瓶件和填充模块的填充系统
KR102413886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JP2007069931A (ja) 内容物の収納容器
JP3735608B2 (ja) 流体を定量射出する指操作式噴霧ポンプ
KR102229912B1 (ko) 화장액 용기
CN216070980U (zh) 一种粘性液体盛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