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027B1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027B1
KR101676027B1 KR1020150044477A KR20150044477A KR101676027B1 KR 101676027 B1 KR101676027 B1 KR 101676027B1 KR 1020150044477 A KR1020150044477 A KR 1020150044477A KR 20150044477 A KR20150044477 A KR 20150044477A KR 101676027 B1 KR101676027 B1 KR 10167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umping
auxiliary container
container
pu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579A (ko
Inventor
김유섭
정효선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5004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027B1/ko
Priority to PCT/KR2015/014483 priority patent/WO2016159492A1/ko
Publication of KR2016011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주용기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보조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주용기의 상부에 보조용기를 결합시킨 후, 보조용기 상단을 가압시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승하며 보조용기로 유입되어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주용기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보조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주용기의 상부에 보조용기를 결합시킨 후, 보조용기 상단을 가압시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승하며 보조용기로 유입되어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의 내용물 중에는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내용물이 있지만 처음부터 혼합하여 동일한 용기에 함께 수용하는 경우,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응고,침전으로 인하여 배출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의 변색 또는 변질의 우려가 있어 별도의 용기에 분리하여 수용하였다가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성분들이 있는 바, 예를 들어 소정의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좋은 비타민이나, 통상적인 졸(sol) 상태의 치약과 침투력이나 향이 우수한 졸이나 겔(gel)상의 치약, 또는 샴푸와 린스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내용물들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수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다수의 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을 일일이 토출하여 손에 덜어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기내에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구조가 등록특허 제10-1192603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보관실(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관실(110)의 내부에는 피스톤(120)이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보관실(110)의 내측을 향하여 걸림턱(210)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편(220)이 형성되는 가이드브라켓(200);과, 상기 가이드편(220)과 끼워져 작동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토출구(310)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펌핑부재(320)가 구비되는 버튼부(300);와, 상기 가이드브라켓(200)과 버튼부(300)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리되도록 설치되는 밀폐링(400);과, 내부에는 상기 보관실(110)에 보관된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이 보관된 상태로 상기 버튼부(300)에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걸림턱(210)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재(510):와, 이 수용부재(5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고, 상기 펌핑부재(510)의 하부와 결합되되, 상기 펌핑부재(510)의 펌핑시 상기 펌핑부재(510)와 보관실(110)이 연통되도록 연통홀(521)이 구비된 밀폐부재(520):가 포함되는 보관통(5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밀폐링(400)을 제거한 후, 버튼부(300)를 하방향으로 가압시에 펌핑부재(320)에 의해 밀폐부재(52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용부재(510)의 하단을 개방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재(5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보관실(110)로 유입되어 이종의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등록특허는 수용부재(510)에 내용물을 충진하고 가이드브라켓(200)의 내측에 보관통(500)을 조립해야 하며, 수용부재(51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내용물이 자유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부재(510)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는 밀폐부재(520)가 결합되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조립시간의 증가는 물론, 용기 자체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제조시에 하나의 용기 내부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저장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초 사용시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시킨 후, 한 번에 다 사용하지 않는 이상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혼합된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다가 사용하게 되므로, 혼합 보관에 따른 그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주용기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보조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주용기의 상부에 보조용기를 결합시킨 후, 보조용기 상단을 가압시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승하며 보조용기로 유입되어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보조용기를 주용기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매번 사용시마다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활성화 시킨 후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항상 신선한 혼합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주용기; 상기 주용기의 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배출부를 폐쇄하되, 중공이 형성되는 마감캡;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펌핑작동을 통해 제1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펌핑부재; 및 상기 주용기와 분리 형성되며 제2내용물이 저장되되, 사용시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보조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용기의 가압여부에 따른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에 의해 상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에 흡수되거나, 제2내용물과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에는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된 내용물 유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용기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로 그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펌핑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유도부는 그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연장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용물 이동홀을 형성하며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연장핀이 만나는 중앙부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조용기가 상기 펌핑유도부에 안착시 상기 체크밸브를 가압하여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방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내용물은 코인마스크팩, 액상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주용기와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보조용기가 상호 별도로 포장되어 분리형성되되, 주용기의 상부에 보조용기를 결합시킨 후, 보조용기 상단을 가압시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승하며 보조용기로 유입되어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충전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선택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보조용기를 주용기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매번 사용시마다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활성화 시킨 후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항상 신선한 혼합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주용기(100), 마감캡(200), 펌핑부재(300), 보조용기(400)가 포함된다.
상기 주용기(100)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출부(110)가 구비되는데, 배출부(110)의 외주면에는 마감캡(200)과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200)은 상기 주용기(100)의 배출부(110)를 감싸며 결합되어 배출부(110)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캡몸체(210), 덮개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몸체(210)는 배출부(110)에 나사결하되는 것으로서, 주용기(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펌핑부재(300)가 관통되는 중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캡몸체(2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하 회동하는 것으로서, 폐쇄 상태에서는 후술할 펌핑유도부(500)를 감싸며 위치하여 펌핑유도부(500)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개방 상태에서는 펌핑유도부(500)에 보조용기(4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펌핑유도부(500)를 노출시킨다.
상기 펌핑부재(300)는 상기 중공(211)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보조용기(400)를 가압함에 따라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며 제1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내측하단에 내용물 흡입홀(311)이 형성되는 실린더(310)와, 보조용기(400)의 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스템(320)과, 상기 스템(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30)와, 상기 피스톤로드(330)의 하부에서 피스톤로드(33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실린더(31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실린더(31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실캡(340)과, 보조용기(400)를 가압하여 반복적인 펌핑이 가능하도록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0)과, 펌핑작용에 따라 상기 내용물 흡입홀(311)을 개폐하는 밸브부재(360)로 구성되는데, 상기 펌핑부재(3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310)의 하부에는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시 상기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37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펌핑부재(300)의 상부에는 후술할 보조용기(400)를 지지하며, 보조용기(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펌핑부재(300)로 그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펌핑유도부(500)가 결합되는데, 상기 펌핑유도부(500)의 상부에는 보조용기(4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보조용기(400)의 결합홈(42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10)가 구비된다.
상기 펌핑유도부(50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연장핀(5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용물 이동홀(530)을 형성하며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이동홀(530)을 거쳐 보조용기(400)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도부(50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연장핀(520)이 만나는 중앙부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54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압돌기(540)는 보조용기(400)가 펌핑유도부(500)의 상부에 안착시 상기 체크밸브(412)를 가압하여 체크밸브(412)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용물 유입홀(411)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시 개방된 내용물 유입홀(411)을 통해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1,2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용기(400)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400)는 상기 주용기(100)와 분리 형성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사용시 상기 펌핑부재(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펌핑유도부(500)와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보조용기(400)는 사용자 가압에 따른 압력을 펌핑부재(300)로 전달하여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여 보조용기(400)에 저장된 제2내용물과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용기(400)의 하단 중앙부에는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유입홀(411)이 형성된 내용물 유입부(410)가 구비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부(410)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유입홀(411)을 개폐하는 체크밸브(412)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용기(400)에 저장되는 제2내용물은 일회용으로 사용할 만큼의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데, 코인마스크팩, 액상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2내용물이 코인마스크팩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보조용기(400)로 유입되는 제1내용물이 코인마스크팩에 흡수되어 코인마스크팩을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제1,2혼합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하며, 제2내용물이 액상 또는 분말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보조용기(400)로 유입되는 제1내용물이 액상 또는 분말과 혼합됨으로써, 제1,2혼합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용기(400)의 하단에는 펌핑유도부(500)와의 결합시 펌핑유도부(500)의 결합돌기(510)에 안착되는 결합홈(420)이 형성되며, 보조용기(400)의 상단에는 제2내용물의 증발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용기(400)을 상단을 폐쇄하는 씰링지(430)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보조용기(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용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용물(M1)이 저장된 주용기(100)와 제2내용물(M2)이 저장된 보조용기(4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덮개부(220)를 상부로 회동하여 개방한 후, 펌핑유도부(500)의 결합돌기(510)와 보조용기(400)의 결합홈(420)을 결합하여 펌핑유도부(500)의 상부에 보조용기(40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펌핑유도부(500)의 상부에 보조용기(400)를 고정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540)가 체크밸브(412)를 가압하여 체크밸브(412)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용물 유입홀(41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용기(40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면,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M1)이 상부로 이동하여 내용물 이동홀(530)을 거쳐 내용물 유입홀(411)을 통해 보조용기(4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보조용기(400)에 저장된 코인마스크팩으로 구성되는 제2내용물(M2)에 제1내용물(M1)의 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인마스크팩으로 구성되는 제2내용물(M2)에 제1내용물(M1)이 흡수되면, 펌핑유도부(500)로부터 보조용기(400)를 탈리시킨 후, 보조용기(400)의 상단을 폐쇄하고 있는 씰링지(430)를 제거한 후, 제1내용물(M1)이 흡수된 코인마스크팩으로 구성되는 제2내용물(M2)을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마스크팩으로 구성되는 제2내용물을 대체하여 보조용기(400)에 액상 또는 분말의 제2내용물(M2)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내용물(M1)을 보조용기(400)로 이동시켜 액상 또는 분말의 제2내용물(M2)과 혼합한 후, 혼합내용물(M3)을 얼굴 등의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보조용기(400)를 주용기(100)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주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M1)을 일정량 인출하여 보조용기(400)에 저장된 제2내용물(M2)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매번 사용시마다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활성화 시킨 후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항상 신선한 혼합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내용물의 충전 및 보조용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사용자가 피부 상태 등에 따라 다수의 제2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보조용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용기 110: 배출부
200: 마감캡 210: 캡몸체
211: 중공 220: 덮개부
300: 펌핑부재 310: 실린더
311: 내용물 흡입홀 320: 스템
330: 피스톤로드 340: 실캡
350: 스프링 360: 밸브부재
370: 내용물 흡입관 400: 보조용기
410: 내용물 유입부 411: 내용물 유입홀
412: 체크밸브 420: 결합홈
430: 씰링지 500: 펌핑유도부
510: 결합돌기 520: 연장핀
530: 내용물 이동홀 540: 가압돌기

Claims (5)

  1.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주용기;
    상기 주용기의 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배출부를 폐쇄하되, 중공이 형성되는 마감캡;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펌핑작동을 통해 제1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주용기와 분리 형성되며 제2내용물이 저장되되,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된 내용물 유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용물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사용시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보조용기; 및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용기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로 그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펌핑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용기의 가압여부에 따른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에 의해 상기 주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용기에 저장된 제2내용물에 흡수되거나, 제2내용물과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도부는 그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연장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용물 이동홀을 형성하며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연장핀이 만나는 중앙부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조용기가 상기 펌핑유도부에 안착시 상기 체크밸브를 가압하여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방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내용물은 코인마스크팩, 액상 또는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150044477A 2015-03-30 2015-03-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7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7A KR101676027B1 (ko) 2015-03-30 2015-03-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PCT/KR2015/014483 WO2016159492A1 (ko) 2015-03-30 2015-12-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7A KR101676027B1 (ko) 2015-03-30 2015-03-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79A KR20160116579A (ko) 2016-10-10
KR101676027B1 true KR101676027B1 (ko) 2016-11-15

Family

ID=570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77A KR101676027B1 (ko) 2015-03-30 2015-03-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6027B1 (ko)
WO (1) WO2016159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16014A1 (en) * 2022-10-07 2024-04-11 King's Flair Marketing Limi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for controllable mixing of liqui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945A (ja) 2003-06-27 2005-01-20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
KR101454748B1 (ko) *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9151B1 (fr) * 1992-12-14 1995-03-10 Oreal Dispositif mélangeur.
KR200266847Y1 (ko) * 2001-12-05 2002-03-04 (주)연우 디스펜서
KR200426428Y1 (ko) * 2006-02-28 2006-09-19 필립산업(주)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280530B1 (ko) * 2011-11-21 2013-07-01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945A (ja) 2003-06-27 2005-01-20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
KR101454748B1 (ko) *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79A (ko) 2016-10-10
WO2016159492A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280530B1 (ko)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N104603019B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61995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8861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117804B1 (ko)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KR101383316B1 (ko) 액상 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KR10195336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37364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190023668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261027B1 (ko) 화장품 용기
KR102322665B1 (ko) 충진 장치, 화장품 용기, 화장품 충진 세트 그리고 화장품 충진 방법
KR101543641B1 (ko) 펌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