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336A -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336A
KR20190137336A KR1020180063400A KR20180063400A KR20190137336A KR 20190137336 A KR20190137336 A KR 20190137336A KR 1020180063400 A KR1020180063400 A KR 1020180063400A KR 20180063400 A KR20180063400 A KR 20180063400A KR 20190137336 A KR20190137336 A KR 2019013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ortion
bottle
lower case
passage
mix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
Original Assignee
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 filed Critical 김휘
Priority to KR102018006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7336A/ko
Publication of KR2019013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6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brush or comb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2019/0058
    • A45D2019/0066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격판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 하부케이스와; 상기 바닥격판의 관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밀폐시켜, 필요에 따라 하부케이스를 볼(bowl)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단수단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에 주둥이부를 구비하고, 하부케이스와 결합한 상태로 병(bottle)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차단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미용액을, 차단수단을 개방한 상태로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도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는, 화장수나 미스트의 분무, 크림형 미용액의 펌핑, 거품형 염색약의 공급이 모두 가능한 병(bottle)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염색약을 혼합하는 볼(bowl)로써 사용할 수도 있어,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다.

Description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Hair treatment solution mixing container which can be used bottle and bowl}
본 발명은 염색약은 물론 각종 미용액을 담아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자체가 분리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병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볼(bowl)로 사용할 수도 있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 염색용 약액은 염모제와 산화제를 고르게 혼합한 후, 혼합액을 빗이나 분무 브러쉬 등을 이용해 모발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보통 상기 염모제와 산화제는 별도의 용기에 담겨져 취급되며, 사용시에 별도의 혼합용기에서 필요한 비율로 혼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염색용 약액은, 염색을 위해 각각의 용기에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혼합용기에 덜어 혼합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경우에 따라 약액이 주변으로 튀어 자국을 남기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초보자의 경우, 염모제와 산화제의 배합비율을 맞추기 어려워 모발의 염색 색상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염모제와 산화제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납하고, 동시에 펌핑 형태로 혼합 분사되게 함으로써, 일일이 거품을 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염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염모제 혼합 분무장치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장치는, 동시에 혼합하여 분무하는 효과는 있지만 염모제와 산화제의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염모제와 산화제가 적정 비율로 혼합된 용기에 가스를 충전하고 염색용 약액을 거품 형태로 분사하는 거품형 염색기의 경우, 분사된 거품을 손으로 받아낸 다음 이를 빗 또는 손으로 머리에 도포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은 여전하였다.
상기한 염색용 약액 이외에도, 사용 시 별도의 약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방식의 미용액도 많이 있다. 이러한 미용액에는, 예를 들어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의 효과를 갖는 비타민이나, 샴푸와 린스 등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약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미용액(염색약 포함)의 경우, 미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덜어서 혼합해 사용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용기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나마 사용이 곤란한 경우도 많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2622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54327호 (염색약 용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6-0000573호(머리 염색약 용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화장수나 크림형 미용액이나 염색약을 수용하는 일반적인 병(bottle)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볼(bowl)로써 사용할 수 있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격판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 하부케이스와; 상기 바닥격판의 관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밀폐시켜, 필요에 따라 하부케이스를 볼(bowl)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단수단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에 주둥이부를 구비하고, 하부케이스와 결합한 상태로 병(bottle)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차단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미용액을, 차단수단을 개방한 상태로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도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바닥격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테두리부 저면에 링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부재로서, 상기 관통로의 상부에서 관통로를 커버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바닥격판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관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상하 개방 원통형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관통로를 통해 차단수단에 결합하고,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통로와 상기 수직통로와 연통하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와 함께 홀더 내부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를 하향 탄력 지지하여, 상기 차단수단이 관통로를 차단하게 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의 주둥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혼합용기를 밀폐함과 아울러, 염색 작업시 사용되는 염색도구의 손잡이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주둥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염색도구를 끼워 고정하는 외부끼움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른 염색도구를 끼워 고정하는 내부끼움부를 갖는 손잡이형마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가, 뚜껑본체를 중심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의 직경이 조절 가능하도록 작용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에 나사 결합하여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를 중심축 방향으로 오므리는 죔너트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상하부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중간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는, 화장수나 미스트의 분무, 크림형 미용액의 펌핑, 거품형 염색약의 공급이 모두 가능한 병(bottle)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염색약을 혼합하는 볼(bowl)로써 사용할 수도 있어,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부케이스를 볼(bowl)로 사용할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5b,5c는 도 1에 도시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다른 조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손잡이형마개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미용액 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액 혼합용기(10)는,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손잡이형마개(40)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형마개(40)에는, 필요한 미용기구, 가령 염색빗(51)이나 미용빗(5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케이스본체(21)와, 케이스본체(21)의 바닥격판(21c)에 설치되는 차단수단과, 바닥격판(21c) 하부에 구비되는 도입부(23)를 구비한다.
케이스본체(21)는 그 내부에 약액혼합공간(21a)을 제공하며 바닥격판(21c)을 갖는다. 바닥격판(21c)은 약액혼합공간(21a)의 바닥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관통로(21f)를 갖는다. 관통로(21f)는 일정내경의 관통구멍으로서 유출차단판(26)에 의해 커버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24)의 상승시 승강실린더(24)의 배출구(24c)를 상향 통과시켜 약액이 약액혼합공간(21a)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닥격판(21c)의 상면에는 링홈(21e)이 형성되어 있다. 링홈(21e)은 관통로(21f)를 둘러싸는 일정직경의 홈으로서 후술할 유출차단판(26)의 링형돌출부(26a)를 수용한다.
아울러, 케이스본체(21)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1b)는 상부케이스(30)의 수나사부(31a)에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차단수단은, 바닥격판(21c)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관통로(21f)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출차단판(26)이 차단수단이다. 유출차단판(26)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그 테두리부 저면에 링형돌출부(26a)를 갖는다.
상기 링형돌출부(26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홈(21e)에 삽입된 상태로 관통로(21f)를 차단하고, 도 3처럼 상승하여 관통로(21f)를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유출차단판(26)이 하강하여 관통로(21f)를 차단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볼(bowl)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1) 내부에 미용액(A)을 넣고 염색빗(51)을 이용해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종전에는 미용액을 혼합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상기 도입부(23)는, 가스와 약액이 충전되어 있는 약액통(60)의 분출노즐(61)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밀어 올려진 상태로, 분출된 약액을 통과시켜 약액이 약액혼합공간(21a)으로 유입하게 한다.
이러한 도입부(23)는, 상하 개방 원통형 홀더(23a), 승강실린더(24), 스프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23a)는 바닥격판(21c)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는 원통형 부재이다. 특히 홀더(23a)의 내경은 관통로(21f)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홀더(23a)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튀어나온 걸림턱(21d)이 형성된다. 걸림턱(21d)은 상기 스프링(25)을 하향 지지하여 스프링(25)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홀더(23a)의 하단부에는 이탈방지턱(23b)이 마련되어 있다. 이탈방지턱(23b)은 승강실린더(24)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4)는, 홀더(23a)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그 상단부가 관통로(21f)를 통해 유출차단판(26)의 저면에 고정된다. 승강실린더(24)와 유출차단판(26)은 한 몸체로서 동시에 승강운동 하는 것이다.
승강실린더(2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받침턱(24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침턱(24b)은 스프링(25)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한다. 결국 스프링(25)은 그 상하단부가 걸림턱(21d)과 스프링받침턱(24b)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실린더(24)를 하향 탄력 지지하는 것이다.
승강실린더(24)의 내부 중심축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통로(24a)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통로(24a)는 분출노즐(61)을 통해 분출된 약액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다수의 배출구(24c)와 연통한다. 배출구(24c)는 승강실린더(24)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수직통로(24a)를 통해 올라온 약액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분출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도입부(23)에서의 승강실린더(24)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25)의 작용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하여 이탈방지턱(23b)에 걸려 대기한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실린더(24)가 하강한 상태에서 유출차단판(26)의 링형돌출부(26a)는 링홈(21e)에 끼워져 혼합용기(1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혼합용기(10)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약액통(60)의 분출노즐(61)을 수직통로(24a) 하단부에 위치시키고 화살표 F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승강실린더(24)와 유출차단판(26)이 동시에 상승하며 배출구(24c)가 약액혼합공간(21a)의 내부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분출노즐(61)을 통해 분출된 약액이 수직통로(24a)를 상향 통과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분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케이스본체(31)로서, 그 상단부에 주둥이부(31b)를, 하단부에 수나사부(31a)를 갖는다. 상부케이스(30)는 하부케이스(20)에 결합한 상태로 하나의 병(bottle)을 구성한다. 상부케이스(30)로부터 하부케이스(20)를 분리하면, 하부케이스(20)를 볼(bowl)로 사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수나사부(31a)는 하부케이스(20)의 암나사부(21b)에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주둥이부(31b)에는 손잡이형마개(40)가 장착된다. 상부케이스(30)는 내부끼움부(43)의 끼움구멍(43a)에 끼워진 상태의 미용빗(53)을 수용하는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형마개(40)는 케이스본체(31)의 주둥이부(31b)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혼합용기(10)를 밀폐함과 아울러, 염색 작업시 사용되는 염색도구의 손잡이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뚜껑본체(41)와 외부끼움부(42)와 내부끼움부(43)를 구비한다. 뚜껑본체(41), 외부끼움부(42), 내부끼움부(43)는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상기 뚜껑본체(41)는 일반적인 마개의 역할을 한다. 즉, 주둥이부(31b)에 결합하여 혼합용기(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여, 외부 이물질이 혼합용기(10) 내부로 유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외부끼움부(42)는 뚜껑본체(41)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튜브형 부재이다. 도면부호 42a는 끼움구멍이다. 끼움구멍(42a)은 일정 깊이 및 내경을 갖는 상부 개방홈으로서 염색빗(51)의 끼움부(51a)를 수용 지지한다. 염색빗(51)을 외부끼움부(42)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내부끼움부(43)는 뚜껑본체(41)의 저면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 중공튜브형 부재로서 끼움구멍(43a)을 통해 또 다른 미용기구인 미용빗(53)의 끼움부(53a)를 지지한다. 내부끼움부(43)는 외부끼움부(42)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염색빗(51)과 미용빗(53)은 손잡이형마개(40)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미용도구 중 일부이다. 끼움구멍(42a,43a)에 지지시킬 수 있는 한, 다른 종류의 미용도구를 손잡이형마개(40)에 결합시켜 얼마든지 사용가능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외부끼움부(42)와 내부끼움부(43)의 사이즈를 달리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부케이스(20)를 볼(bowl)로 사용할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혼합공간(21a)의 내부에 미용액(A)이 수용되어 있다. 바닥격판(21c)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로(21f)는 유출차단판(26)에 의해 차단되어 미용액(A)이 하부로 유출될 염려는 없다.
사용자는 손잡이형마개(40)의 외부끼움홈(42) 또는 내부끼움홈(43)에 염색빗(51)을 끼운 상태로, 손잡이형마개(40)를 손잡이 삼아 미용액(A)을 혼합한다.
도 5a,5b,5c는 도 1에 도시한 미용액 혼합용기(10)의 다른 조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둥이부(31b)에, 분무기(55), 펌프(57), 버블기(59)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손잡이형마개(40)는 하부케이스(20)를 이용해 약액(A)을 혼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분무기(55), 펌프(57), 버블기(59)는 상하부케이스(30,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주둥이부에 결합 사용하는 것이다.
분무기(55)는 미스트나 화장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펌프(57)는 가령 크림 상태의 미용액을 유출하는 것이다. 아울러 버블기(59)는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2253호 (회전형 염색약 도포기구)에서의 버튼에 스위블중공바디를 연결한 것이다. 상기 분무기(55)와 펌프(57)와 버블기(59)는 혼합용기(10) 내부의 미용액에 따라 선택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1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격판(21c)의 관통로(21f)에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된 약액주입캡(63)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약액주입캡(63)은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링형 고정튜브(63a)와 고정튜브(63a)에 일체를 이루며 고정튜브(63a)를 개폐하는 튜브마개(63b)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약액주입캡(63)은 물놀이에 사용되는 공기튜브에서의 공기주입구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혼합용기(10) 내부에 미용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튜브마개(63b)를 개방 및 밀폐 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중간케이스(70)가 추가될 수 도 있다. 중간케이스(70)는 상하단부에 암나사부(70b) 및 수나사부(70c)가 형성되며 내부공간(70a)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혼합용기(10)의 내부 용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손잡이형마개(40)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끼움부(42) 및 내부끼움부(43)에 다수의 슬릿(42c,43c)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2c,43c)은 외부끼움부(42) 및 내부끼움부(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끼움부(42)와 내부끼움부(43)가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외부끼움부(42) 및 내부끼움부(4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2d,43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나사부(42d,43d)에는 죔너트(45)가 나사 결합한다.
죔너트(45)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45a)와, 너트부(45a)의 외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부(45b)를 갖는다. 너트부(45a)는 수나사부(42d,43d)에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손잡이부(45b)는 너트부(45a)를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가령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이 외부끼움부(42) 및 내부끼움부(43)에 슬릿을 형성하고, 죔너트(45)를 적용함으로서, 손잡이형마개(40)에 대한 미용용구의 결합을 보다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혼합용기 20:하부케이스 21:케이스본체
21a:약액혼합공간 21b:암나사부 21c:바닥격판
21d:걸림턱 21e:링홈 21f:관통로
23:도입부 23a:홀더 23b:이탈방지턱
24:승강실린더 24a:수직통로 24b:스프링받침턱
24c:배출구 25:스프링 26:유출차단판
26a:링형돌출부 30:상부케이스 31:케이스본체
31a:수나사부 31b:주둥이부 40:손잡이형마개
41:뚜껑본체 42:끼움부 42a:끼움구멍
42c:슬릿 42d:수나사부 43:내부끼움부
43a:끼움구멍 43c:슬릿 43d:수나사부
45:죔너트 45a:너트부 45b:손잡이부
51:염색빗 51a:끼움부 53:미용빗
53a:끼움부 55:분무기 57:펌프
59:버블기 60:약액통 61:분출노즐
63:약액주입캡 63a:고정튜브 63b: 튜브마개
70:중간케이스 70a:내부공간 70b:암나사부
70c:수나사부

Claims (7)

  1.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격판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 하부케이스와;
    상기 바닥격판의 관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밀폐시켜, 필요에 따라 하부케이스를 볼(bowl)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단수단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에 주둥이부를 구비하고, 하부케이스와 결합한 상태로 병(bottle)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차단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미용액을, 차단수단을 개방한 상태로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도입부를 포함하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바닥격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테두리부 저면에 링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부재로서, 상기 관통로의 상부에서 관통로를 커버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바닥격판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관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상하 개방 원통형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관통로를 통해 차단수단에 결합하고,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통로와 상기 수직통로와 연통하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와 함께 홀더 내부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를 하향 탄력 지지하여, 상기 차단수단이 관통로를 차단하게 하는 스프링을 갖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주둥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혼합용기를 밀폐함과 아울러, 염색 작업시 사용되는 염색도구의 손잡이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주둥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염색도구를 끼워 고정하는 외부끼움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저면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른 염색도구를 끼워 고정하는 내부끼움부를 갖는 손잡이형 마개가 포함된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가, 뚜껑본체를 중심으로 동축상에 위치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하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의 직경이 조절 가능하도록 작용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에 나사 결합하여 내부끼움부 및 외부끼움부를 중심축 방향으로 오므리는 죔너트가 더 포함되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상하부케이스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중간케이스가 더 포함되는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KR1020180063400A 2018-06-01 2018-06-01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KR20190137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00A KR20190137336A (ko) 2018-06-01 2018-06-01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00A KR20190137336A (ko) 2018-06-01 2018-06-01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36A true KR20190137336A (ko) 2019-12-11

Family

ID=6900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400A KR20190137336A (ko) 2018-06-01 2018-06-01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73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76Y1 (ko) 2020-08-04 2021-12-01 (주) 티나인 버튼식 헤어 염색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73A (ko) 1994-06-08 1996-01-25 카타다 테쭈야 무한궤도 구동장치의 액압모우터로의 배관구조
KR20180012622A (ko) 2016-07-27 2018-02-0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854327B1 (ko) 2017-01-25 2018-05-03 민병선 염색약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73A (ko) 1994-06-08 1996-01-25 카타다 테쭈야 무한궤도 구동장치의 액압모우터로의 배관구조
KR20180012622A (ko) 2016-07-27 2018-02-0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854327B1 (ko) 2017-01-25 2018-05-03 민병선 염색약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76Y1 (ko) 2020-08-04 2021-12-01 (주) 티나인 버튼식 헤어 염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9642A (en) Hair treatment applicator
US7534062B2 (en) Kit comprising two receptacles and an applicator
US6006374A (en) Showerhead attach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aromas
US9706826B2 (en) Hair color bottle
KR101377020B1 (ko) 멀티컨테이너를 갖는 화장수 분사장치
US65436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sampling and mixing products
US6460546B1 (en) Cartridge for hair dye dispens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514811B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KR101701773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KR200338799Y1 (ko)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KR20190137336A (ko)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KR100650291B1 (ko) 염모제 혼합용 브러쉬
KR101305906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200424587Y1 (ko) 염모제 혼합용 브러쉬
US20060283726A1 (en) Hair colorant applicator
KR100690025B1 (ko) 염모제 혼합분출이 가능한 헤어브러시
KR102519277B1 (ko) 바늘 없는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CN109963794B (zh) 用于闭合设备中的加压罐的阀装置
JP6587550B2 (ja) 吐出容器
JPH0334289Y2 (ko)
KR102231360B1 (ko) 세정액과 핸드 크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이중 튜브 용기
KR102186826B1 (ko) 디퓨저 결합 미용용 액상 용기
KR102197390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