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074B1 - 두피 케어 용기 - Google Patents

두피 케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074B1
KR101893074B1 KR1020180048968A KR20180048968A KR101893074B1 KR 101893074 B1 KR101893074 B1 KR 101893074B1 KR 1020180048968 A KR1020180048968 A KR 1020180048968A KR 20180048968 A KR20180048968 A KR 20180048968A KR 101893074 B1 KR101893074 B1 KR 10189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insertion port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훈
Original Assignee
(주)루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데아 filed Critical (주)루데아
Priority to KR102018004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두피케어용기는, 액체를 수용가능하며, 용기 개구가 상면에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를 가지고 상하가 개방된 용기 입구; 상기 용기 입구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용기 입구에 삽입결합되는, 상하로 개방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 상부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배출구;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판; 그리고 상기 용기 입구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미들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홀을 가지는 토출판; 그리고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대향되는 상기 토출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토출판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홀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가능한 속마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피 케어 용기{SCALP CARE BOTTLE}
본 발명은 두피 케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들커버의 회전방향에 따라 액체를 토출가능한 두피 케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의 완화 또는 양모를 위하여 손가락 끝이나 빗 등을 이용하여 두피를 마사지하여, 두피에 혈액과 영양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사지 이외에도 최근에는 탈모 완화와 양모를 위한 다양한 기능성 약액이 개발되어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염색을 위한 많은 용액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액체들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리거나, 손에 뿌린 후 두피에 바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염색의 경우에는 빗에 용액을 도포하여 머리카락을 빗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레이 방식의 경우에는 모발에 의해 기능성 액체가 두피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어렵고, 손에 뿌린 후 두피에 도포하는 방식은 기능성 액체가 손에 직접 접촉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주기 쉽고, 손의 피부에 흡수가 되기 때문에 사용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6-0047940호(2006.05.18.)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액체를 두피에 쉽고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두피 케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끝난 후 기능성 액체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두피 케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두피케어용기는, 액체를 수용가능하며, 용기 개구가 상면에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를 가지고 상하가 개방된 용기 입구; 상기 용기 입구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용기 입구에 삽입결합되는, 상하로 개방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 상부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배출구;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판; 그리고 상기 용기 입구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미들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홀을 가지는 토출판; 그리고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대향되는 상기 토출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토출판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홀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가능한 속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속마개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토출홀은 상기 토출판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배출구의 하단은 상기 삽입구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은 이격되어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피케어용기는, 상기 삽입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입구와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고 상하로 개방된 안내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용기 입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와 나사결합되며, 상하로 개방된 내통; 상기 내통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통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개방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상기 토출판이 고정되는 지지통; 그리고 상기 내통과 지지통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되, 상기 미들커버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통은 상기 내통과 상기 지지통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내통의 외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개방된 외통; 그리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을 연결하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토출판은 상기 지지통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토출판과 상기 지지통의 상단 사이에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피케어용기는, 상기 외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제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돔 형상의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유출홀 및 유입홀이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방출돌기; 그리고 상기 헤드 본체에 의해 관통되는 커버 개구를 가지며, 상기 외통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외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출돌기는 상부면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유출홀이 상기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들커버를 회전하여 기능성 액체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두피 케어 용기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고 기능성 액체를 두피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커버를 회전하여 배출홀을 차단한 상태에서, 스펀지에서 기능성 액체가 배출될 경우, 배출된 기능성 액체는 토출홀을 통해 하부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 액체가 방출돌기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에서 탑커버를 리필용커버로 교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피케어용기는 용기(10), 캡 보틀(20), 미들커버(30), 헤드(40), 커버헤드(70), 탑커버(50), 커버링(60)을 포함하며, 리필용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피케어용기는 리필용커버(80)를 제외한 형태로 용기(10)에 기능성 액체가 담겨진 상태(완제품)에서 판매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필용 제품의 경우 리필용 커버(80)가 캡 보틀(20)이 체결된 용기(10)에 결합된 상태 또는 캡 보틀(20)이 제외된 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판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전에 구매한 완제품을 사용한 이후에, 리필용 제품을 구매하여 리필용 커버(80)를 제거한 상태에서, 미들커버(30) 및 헤드(40), 커버헤드(70) 등을 용기(10)에 결합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는 용기 본체(12)와 용기 입구(14)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2)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이며, 내부에 기능성 액체가 채워진다. 용기 본체(12)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며, 용기 본체(12)의 개구는 용기 입구(14)의 내부와 연통된다.
용기 입구(14)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내주면에 상하로 형성된 홈을 가진다. 후술하는 삽입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용기 입구(14)의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캡 보틀(20)은 용기 입구(14)에 체결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보틀(20)은 삽입구(22) 및 배출구(24), 연결판(22a)을 구비한다. 삽입구(22)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용기 입구(14)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용기 입구(14)에 삽입체결된다. 배출구(24)는 삽입구(22)의 내측에 위치하며, 삽입구(2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원통 형상이다. 배출구(24)는 삽입구(2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배출구(24)의 상면(23)은 삽입구(22)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배출홀(23a)은 배출구(24)의 상면(23)에 형성되며, 배출구(24)의 하부는 개방되어 삽입구(22)의 내부와 연통된다. 배출홀(23a)은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연결판(22a)은 수평배치되며, 삽입구(22)의 내주면과 배출구(24)의 하단을 연결한다. 즉, 배출구(24)의 하단은 삽입구(22)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2)의 외주면과 배출구(24)의 내주면 사이에 제1 수용공간(a)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수용공간(b)으로부터 토출홀(39b)을 통과한 기능성 액체는 제1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캡 보틀(20)은 안내통(26)을 더 구비하며, 안내통(26)은 용기 입구(14)의 내경 및 외경과 대체로 일치하는(같거나 약간 큰) 내경 및 외경을 가지고 삽입구(22)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내통(26)은 미들 커버(30)의 상하이동시 이격공간(36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미들 커버(30)의 이동을 안내한다.
미들 커버(30)는 용기 입구(14)와 나사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미들 커버(30)는 상하로 개방된 내통(36)을 구비하며, 내통(36)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용기 입구(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된다.
지지통(38)은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지지대(37)를 통해 내통(36)과 연결된 상태에서 내통(36)으로부터 이격되어 내통(36)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통(38)은 내통(36)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안내통(26)은 지지통(38)과 내통(36)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36a)에 삽입되며, 미들 커버(30)의 상하이동시 이격공간(36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토출판(39)은 지지통(38)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지지통(38)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배출구(24)의 상부면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통(38)의 상단과 토출판(39) 사이에 제2 수용공간(b)이 형성된다. 토출판(39)은 배출구(24)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토출홀(39b)을 가지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홀(39b)은 토출판(39)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일 수 있다. 토출홀(39b)은 앞서 설명한 수용공간(a)의 상부에 위치한다.
속마개(39a)는 배출구(24)의 상부면과 대향되는 토출판(39)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배출홀(23a)과 마찬가지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쐐기 효과를 통해 배출홀(23a)을 확실하게 밀봉하기 위함이다. 즉, 속마개(39a)는 미들 커버(3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배출구(24)로부터 이격되거나 배출홀(2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구(24)와 접촉하며, 배출홀(23)을 개방하여 기능성 액체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배출홀(23)을 폐쇄하여 기능성 액체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외통(32)은 내통(36)의 외측에 배치되어 이격되며,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지지판(35)은 지지대(37)와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일 높이에 위치하며, 내통(36)의 외주면과 외통(32)의 내주면을 서로 연결하는 링 형상이다.
헤드(40)는 헤드 본체(42)와 복수의 방출돌기들(44)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42)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돔 형상이며, 외통(32)의 상단에 걸쳐져 외통(32)의 개방된 상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따라서, 헤드 본체(42)와 지지판(35) 사이에 수용공간(c,d)이 형성되며, 수용공간(c)은 지지판(35)의 상부 및 외통(32)의 내측에 위치하고, 수용공간(d)은 수용공간(c)의 상부에 위치한다. 후술하는 흡수재(예를 들어, 고밀도 스펀지)가 수용공간(c,d)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수용공간(c,d) 내에 수용된다.
복수의 방출돌기(44)들은 헤드 본체(4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수용공간(c,d)과 연통되는 유입홀(45) 및 유출홀(47), 그리고 유입홀(45)과 유출홀(47)을 연결하는 유로(43)를 가진다. 방출돌기(44)는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이므로, 유출홀(47)은 방출돌기(44)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방출돌기(44)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한다. 한편, 방출돌기들(44) 중 일부는 스펀지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홀(45) 및 유출홀(47), 그리고 유입홀(45)과 유출홀(47)을 연결하는 유로(43)는 생략될 수 있다.
커버헤드(70)는 헤드 본체(42)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링 형상이며, 외통(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헤드 본체(42)가 외통(3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탑커버(50)는 상부면이 일측을 향해 경사진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의 몸체(52)와, 몸체(52)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상판(54)을 구비한다. 탑커버(50)는 용기 몸체(12)에 체결되어 헤드(40)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커버링(60)은 상판(54)의 둘레에 설치되어 미감을 부여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두피케어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완제품)를 구매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커버(50)를 용기 본체(12)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을 준비한다. 기능성 액체는 용기 본체(12)의 내부에 채워지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펀지가 수용공간(c,d)에 채워진다.
사용자가 외통(32)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출판(39) 및 속마개(39a)는 상부로 이동하며, 속마개(39a)가 배출구(24)로부터 이격되면서 배출홀(23a)은 개방되어 기능성 액체가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용기(10)를 거꾸로 하여 헤드(40)가 하부로 향한 상태에서, 두피에 방출돌기(44)의 상단을 두드린다. 이때, 용기 본체(12)에 채워진 기능성 액체는 배출홀(23a)을 통해 토출홀(39a)로 유입되고, 수용공간(b)을 통해 수용공간(c,d)으로 이동하여 스펀지에 충분히 흡수된다. 헤드(40)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방출돌기(44)는 외력에 의한 헤드 본체(42)의 변형 및 탄성(또는 스펀지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방출돌기(44)는 이동에 의해 스펀지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펀지에 흡수된 기능성 액체는 유입홀(45) 및 유로(43), 그리고 유출홀(47)을 통해 두피에 공급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용기(10)를 바로 세워 헤드(40)가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외통(32)을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토출판(39) 및 속마개(39a)는 하부로 이동하여 속마개(39a)가 배출홀(2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구(24)에 접촉하여 배출홀(23a)은 차단되고 기능성 액체는 더 이상 배출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스펀지에 흡수된 상태에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 기능성 액체가 스펀지로부터 이탈하여 유출홀(47)을 통해 유출될 경우, 헤드(40)를 오염시키거나 탑커버(500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용기(10)가 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스펀지로부터 이탈한 기능성 액체는 제2 수용공간(b)을 통해 토출홀(39a)로 이동하며, 토출홀(39a)의 하부에 위치한 제1 수용공간(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a)은 상부에 배치된 토출판(39)이 존재하므로, 토출홀(39a)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제2 수용공간(b)이나 스펀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만일 스펀지 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스펀지를 통해 방출돌기(44)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오염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수용공간(a,b)은 스펀지 이외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 수용공간(a)은 연결판(22a)을 삽입구(22)의 상단과 대체로 일치하고 배출구(24)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두피케어용기에서 탑커버를 리필용커버로 교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제품인 두피케어용기를 구매하여 기능성 액체를 모두 사용한 사용자는 리필용 제품인 두피케어용기를 구매하여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리필용 제품인 두피케어용기는 원통 형태의 내통(84)과 외통(82)으로 이루어진 리필용커버(80)를 구비하며, 내통(84)은 앞서 설명한 내통(36)과 대체로 일치하는 기능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통(38) 및 토출판(39), 속마개(39a) 등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대체로 일치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리필용커버(80)는 별도의 토출홀은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액체를 수용가능하며, 용기 개구가 상면에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개구와 연통되는 내부를 가지고 상하가 개방된 용기 입구;
    상기 용기 입구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용기 입구에 삽입결합되는, 상하로 개방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 상부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배출구;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판;
    상기 용기 입구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미들커버; 및
    상기 삽입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입구와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고 상하로 개방된 안내통을 포함하되,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홀을 가지는 토출판;
    상기 배출구의 상기 상부면과 대향되는 상기 토출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토출판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홀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가능한 속마개;
    상기 용기 입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와 나사결합되며, 상하로 개방된 내통;
    상기 내통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통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개방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상기 토출판이 고정되는 지지통;
    상기 내통과 지지통을 연결하는 지지대;
    상기 내통의 외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개방된 외통; 및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을 연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되,
    상기 미들커버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통은 상기 내통과 상기 지지통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토출판은 상기 지지통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토출판과 상기 지지통의 상단 사이에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두피케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인, 두피케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은 상기 토출판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인, 두피케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하단은 상기 삽입구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은 이격되어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두피케어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케어용기는,
    상기 외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제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돔 형상의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유출홀 및 유입홀이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과 상기 유입홀을 연결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방출돌기;
    상기 헤드 본체에 의해 관통되는 커버 개구를 가지며, 상기 외통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외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헤드를 포함하는, 두피케어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돌기는 상부면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유출홀이 상기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두피케어용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48968A 2018-04-27 2018-04-27 두피 케어 용기 KR101893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8A KR101893074B1 (ko) 2018-04-27 2018-04-27 두피 케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8A KR101893074B1 (ko) 2018-04-27 2018-04-27 두피 케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074B1 true KR101893074B1 (ko) 2018-08-29

Family

ID=6343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968A KR101893074B1 (ko) 2018-04-27 2018-04-27 두피 케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0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4542A (zh) * 2018-12-09 2019-03-01 济南骨脉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膏药加热装置
CN109436550A (zh) * 2018-12-09 2019-03-08 济南骨脉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出料量可控的容器
KR20210014348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비엘코스메틱 두피 케어용 어플리케이터
KR102336981B1 (ko) * 2020-09-10 2021-12-07 전정호 맛사지 기능이 강화된 스킨케어용기용 마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663U (ko) * 1981-03-23 1982-09-28
JP2004168391A (ja) * 2002-11-21 2004-06-17 Yoshino Kogyosho Co Ltd 塗布栓
US20060047940A1 (en) 2004-08-24 2006-03-02 Chaucer Chiu Computer multi-buttons booting system and method
JP4653364B2 (ja) * 1999-06-24 2011-03-16 エムアールピー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アンド プロモーション エスタブリッシュメント 液体、特に医薬品の投与ノズル付多投与量ボトル
KR20180036677A (ko) * 2018-03-30 2018-04-09 전정호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663U (ko) * 1981-03-23 1982-09-28
JP4653364B2 (ja) * 1999-06-24 2011-03-16 エムアールピー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アンド プロモーション エスタブリッシュメント 液体、特に医薬品の投与ノズル付多投与量ボトル
JP2004168391A (ja) * 2002-11-21 2004-06-17 Yoshino Kogyosho Co Ltd 塗布栓
US20060047940A1 (en) 2004-08-24 2006-03-02 Chaucer Chiu Computer multi-buttons boot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36677A (ko) * 2018-03-30 2018-04-09 전정호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4542A (zh) * 2018-12-09 2019-03-01 济南骨脉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膏药加热装置
CN109436550A (zh) * 2018-12-09 2019-03-08 济南骨脉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出料量可控的容器
KR20210014348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비엘코스메틱 두피 케어용 어플리케이터
KR102594333B1 (ko) * 2019-07-30 2023-10-27 (주)비엘코스메틱 두피 케어용 어플리케이터
KR102336981B1 (ko) * 2020-09-10 2021-12-07 전정호 맛사지 기능이 강화된 스킨케어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EP1834890B1 (en)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ching cream-type cosmetic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1928807B1 (ko)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20070000566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US4485807A (en) Applicator for massaging the cutaneous covering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2310297B1 (ko) 화장품 용기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20110054124A (ko) 공기이동 조절부재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용기
US20040237986A1 (en) Manicure
KR101645421B1 (ko) 두피 마사지용 스프레이 용기
JP3771370B2 (ja) 塗布具付容器
JPH0139783B2 (ko)
JP2005118562A (ja) 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20190118331A (ko)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KR102117359B1 (ko) 헤어 및 두피 케어용 제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0812230B1 (ko) 화장용품
KR20180039912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JPH09132282A (ja) エアゾール装置
KR102371878B1 (ko) 비타민이 내장된 샤워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