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331A -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 Google Patents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331A
KR20190118331A KR1020180041531A KR20180041531A KR20190118331A KR 20190118331 A KR20190118331 A KR 20190118331A KR 1020180041531 A KR1020180041531 A KR 1020180041531A KR 20180041531 A KR20180041531 A KR 20180041531A KR 20190118331 A KR20190118331 A KR 2019011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ody
contents
lip glos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315B1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8004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31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튜브용기 본체와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탈착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 하측으로 결합되는 솔대 및 제1도포구와, 제1캡 상측에 결합되는 제2도포구 및 상기 제1캡 상측으로 탈착되는 제2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솔대의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되며, 제2도포구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 본체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내용물을 넓은 부위에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의 하측에 구비된 제1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국소부위에 도포할 수 있어 정확하고 섬세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튜브용기 본체; 상기 튜브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제1캡; 상기 제1캡의 하측에 결합되어 튜브용기 본체에 삽입되며,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된 솔대; 상기 솔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도포구; 상기 제1캡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된 제2도포구 및 상기 제2도포구를 개폐하는 제2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는 솔대와 제2도포구 사이에 형성된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용물 유입구는 튜브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Tube typed lip gloss container wiht two applicator}
본 발명은 두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튜브용기 본체와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탈착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 하측으로 결합되는 솔대 및 제1도포구와, 제1캡 상측에 결합되는 제2도포구 및 상기 제1캡 상측으로 탈착되는 제2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솔대의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되며, 제2도포구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 본체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내용물을 넓은 부위에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의 하측에 구비된 제1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국소부위에 도포할 수 있어 정확하고 섬세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표현할 목적으로 립스틱 또는 립글로스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립글로스는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입술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의 립글로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스를 뚜껑의 솔대에 설치된 도포팁에 묻혀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과, 또는 튜브용기 개구부에 결합된 노즐팁을 입술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튜브용기에 압력을 가해 립글로스가 노즐팁에 구비된 배출구로 나오도록 하여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의 립글로스 중 노즐팁이 결합된 형태의 화장품 용기는 입술에 밀착시키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나 면적이 넓어 입술 라인을 따라 정확하고 섬세하게 입술화장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솔대에 설치된 도포팁에 립글로스를 묻혀 바르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국소부위에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섬세한 입술화장을 할 수 있으나, 넓은 부위에 내용물을 펴 바를 때에는 여러 번 화장료를 묻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642호로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제1어플리케이터가 결합 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하부에 결합 되며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되, 그 하단에 제2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되는 내용물이동관 및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제1어플리케이터를 감싸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제1어플리케이터에 형성된 내용물 유입홀이 이동관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용기 본체를 거꾸로 세워 제1어플리케이터를 입술에 대고 내용물을 도포할 때 내용물이 용기 한쪽으로 몰려 내용물유입홀에 내용물이 닿지 않아 내용물이동관 으로 내용물이 유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 본체로부터 지지체를 분리하여 제2어플리케이터 사용시 내용물 이동관에 남아있던 잔여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주위를 오염시키고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료가 저장되는 튜브용기 본체와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탈착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 하측으로 결합되는 솔대 및 제1도포구와, 제1캡 상측에 결합되는 제2도포구 및 상기 제1캡 상측으로 탈착되는 제2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솔대의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되며, 제2도포구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 본체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내용물을 넓은 부위에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의 하측에 구비된 제1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국소부위에 도포할 수 있어 정확하고 섬세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튜브용기 본체;
상기 튜브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제1캡;
상기 제1캡의 하측에 결합되어 튜브용기 본체에 삽입되며,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된 솔대;
상기 솔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도포구;
상기 제1캡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된 제2도포구 및
상기 제2도포구를 개폐하는 제2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는 솔대와 제2도포구 사이에 형성된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용물 유입구는 튜브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캡의 내측에는 내캡이 더 결합되되, 상기 제1캡과 내캡 사이에 솔대의 상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캡의 내측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솔대의 상부에 회전방지홀이 형성되고, 내캡의 상부에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회전방지홀을 관통하면서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포구는 팁 또는 브러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포구는 투명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본체를 가압하면 화장료가 솔대의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에 머물렀다가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 하부에 구비된 제1도포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튜브용기 본체와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탈착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 하측으로 결합되는 솔대 및 제1도포구와, 제1캡 상측에 결합되는 제2도포구 및 상기 제1캡 상측으로 탈착되는 제2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솔대의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되며, 제2도포구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 본체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내용물을 넓은 부위에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의 하측에 구비된 제1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국소부위에 도포할 수 있어 정확하고 섬세한 화장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1캡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1도포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캡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에 함침스펀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 하측에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와 탄성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를 눌러 내용물이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가 상승하면서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주머니로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 하측에 개폐봉과 탄성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개폐봉이 내용물 유입구를 차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개폐봉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내용물 유입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튜브용기 본체(10)와; 상기 튜브용기 본체(10)를 개폐하는 제1캡(20)과; 상기 제1캡(20)의 하측에 결합되어 튜브용기 본체(10)에 삽입되며,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32)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34)가 형성된 솔대(30)와; 상기 솔대(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도포구(40)와; 상기 제1캡(2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구(52)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54)가 형성된 제2도포구(50) 및 상기 제2도포구(50)를 개폐하는 제2캡(60)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료가 저장되고, 상부에는 화장료가 통과하는 입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내측에는 와이퍼(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퍼(14)는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제1캡(20)을 분리할 때, 솔대(30)와 제1도포구(40)의 외주연에 묻어 있는 화장료를 훑어내게 된다. 상기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용기 본체(10)는 사용자가 눌렀을 때, 형태가 변형되면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캡(20)은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10)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1캡(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2도포구(50)와 단부에 제1도포구(40)가 구비된 솔대(30)가 결합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캡(20)의 상부 내주연에는 제1결합돌기(25)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캡(20)의 내측에는 회전방지돌기(28)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돌기(28)는 제1캡(20)을 개폐하기 위해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회전시킬 때, 솔대(30)와 내캡(70)이 상기 제1캡(20)과 함께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캡(20)의 내측에는 내캡(70)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내캡(70)의 상부에는 회전방지홈(78)이 형성되어 제1캡(20)의 회전방지돌기(28)가 삽입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캡(20)과 내캡(70) 사이에는 솔대(30)의 상부가 끼워져 상기 솔대(30)가 고정되며, 상기 내캡(70)의 하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솔대(30)는 제1캡(20)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튜브용기 본체(10)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솔대(30)의 일측에는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유입되는 내용물 유입구(3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유입구(32)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유통로(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유입구(32)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용기 본체(10)와 제1캡(2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어느 정도 소진된 경우 상기 튜브용기 본체(10)를 뒤집거나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튜브용기 본체(10)를 가압하더라도 화장료가 내용물 유입구(32)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솔대(30)의 상부에는 상부연장돌륜(35)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장돌륜(35)의 외주연에는 끼움부(36)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36)는 내캡(70)의 상단에 안착되는 동시에, 제1캡(20)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솔대(30)의 끼움부(36)와 인접하여 회전방지홀(38)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홀(38)에는 제1캡(20)의 회전방지돌기(28)가 관통된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캡(20)의 회전방지돌기(28)가 솔대(30)의 회전방지홀(38)을 관통하여 내캡(70)의 회전방지홈(78)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캡(20)이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해 회전될 때, 상기 제1캡(20)으로부터 솔대(30)와 내캡(70)이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되어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솔대(30)의 하부에는 도포구 결합홈(37)이 형성되어 상기 도포구 결합홈(37)에 제1도포구(40)가 결합된다.
상기 제1도포구(40)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구로써, 솔대(3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솔대(30)와 함께 튜브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도포구(40)는 화장료를 피부의 국소 부위에 도포할 수 있어 주로 정확하고 섬세한 화장을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도포구(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팁 또는 브러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의 종류 및 화장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도포구(50)는 제1캡(20)의 상측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피부의 넓은 부위에 펴 바르는 데 사용된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도포구(50)에는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도포구(50)의 내측에는 솔대(30)의 제1유통로(34)를 통해 이동된 화장료를 토출구(52)로 이동시키는 제2유통로(54)가 형성된다.
상기 솔대(30)의 제1유통로(34)와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는 솔대(30)와 제2도포구(50) 사이에 형성된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튜브용기 본체(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로 유입되어 제1유통로(34)를 통해 이동된 후,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잠시 머물었다가 다시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를 통해 이동되어 토출구(52)로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제1, 2유통로(34, 54)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토출구(52)로 갑자기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튜브용기 본체(10)의 가압에 따라 제1유통로(34)를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가 바로 제2유통로(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1유통로(34)보다 넓은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유입되면서 차오른 다음, 제2유통로(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장료가 갑자기 분출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과도하게 배출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도포구(50)의 하부 외주연에는 제2결합돌기(55)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캡(20)의 제1결합돌기(25)와 언더컷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결합돌기(55)의 하단은 솔대(30)의 상부연장돌륜(35)의 상단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도포구(50)의 하부는 솔대(30)의 상부연장돌륜(3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솔대(30)와 제2도포구(50) 사이에 화장료가 임시 저장되는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제2도포구(50)의 상부에는 화장료를 입술에 용이하게 바를 수 있도록 사선 형태로 된 도포면(56)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면(56)에는 토출구(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도포구(50)는 토출되는 화장료가 외부로 비춰지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입술에 바를 때 제2도포구(50)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화장료가 부드럽게 발릴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캡(60)은 제1캡(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캡(20)의 상부에 결합된 제2도포구(50)를 보호한다.
상기 제2캡(60)의 하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캡(2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캡(60)의 내측에는 밀폐돌기(6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캡(20)과 제2캡(60)의 결합 시 제2도포구(50)의 토출구(52)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도포구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제1캡(20)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30) 하부에 구비된 제1도포구(40)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도포구(40)로 화장료를 국소 부위에 섬세하고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되고,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제2캡(60)을 분리하고 튜브용기본체(10)를 가압하면 화장료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를 통해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머물렀다가 제2도포구(50)의 토출구(52)로 토출되어 화장료를 넓은 부위에 골고루 펴 바를 수 있게 됨은 물론, 화장료가 제1, 2유통로(34, 54)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토출구(52)로 갑자기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에 함침스펀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대(30)와 제2도포구(50) 사이에 형성된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는 함침스펀지(W)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캡(60)을 분리하고 튜브용기 본체(10)를 가압하여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킬 때, 솔대(30)의 제1유통로(34)를 통과한 화장료가 그대로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를 통과하여 토출구(52)로 토출되면 화장료가 갑자기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쏟아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솔대(30)의 제1유통로(34)와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 사이의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함침스펀지(W)를 내장시킴으로써, 제1유통로(34)를 통과한 화장료가 상기 함침스펀지(W)에 스며들었다가 다시 제2유통로(54)로 이동되어 정량의 화장료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 하측에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와 탄성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를 눌러 내용물이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가 상승하면서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주머니로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가 제1캡(20)의 상부에서 일정 구간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도포구(50) 하측에 체크밸브(82)가 형성된 연질의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외측에 제2도포구(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는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위치되어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를 임시 저장하게 되고,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에 형성된 체크밸브(82)는 튜브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00)는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와 함께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설치되어 제2도포구(50)를 탄력적으로 상, 하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가 눌려지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에 임시 저장된 화장료가 제2도포구(50)의 토출구(52)로 토출되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가 탄성부재(100)의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체크밸브(82)가 열리게 되어 상기 체크밸브(82)를 통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 내부로 화장료가 유입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 하측에 개폐봉과 탄성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개폐봉이 내용물 유입구를 차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개폐봉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내용물 유입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가 제1캡(20)의 상부에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도포구(50)의 하측에 개폐봉(90)이 형성되어 제1유통로(34)에 삽입되며, 상기 개폐봉(90)의 외측에 제2도포구(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봉(90)은 제2도포구(50)과 함께 상, 하 이동되며, 상기 개폐봉(90)의 일측에는 개폐봉 유입구(9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개폐봉 유입구(92)와 연결된 개폐봉 유통로(9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00)의 일측은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타측은 개폐봉(90)의 테두리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폐봉(90)을 탄력적으로 상, 하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캡(60)을 분리하면 제2도포구(50)와 개폐봉(90)이 탄성부재(100)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상부로 들려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봉(90)의 개폐봉 유입구(92)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가 서로 엇갈려 있어 상기 내용물 유입구(32)가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를 누르면 상기 제2도포구(50)와 함께 개폐봉(9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봉(90)의 개폐봉 유입구(92)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 유입구(32)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와 함께 튜브용기 본체(10)를 가압하면 화장료가 내용물 유입구(32)로 유입되어 개폐봉 유통로(94)와 제2유통로(54)를 통과하여 토출구(52)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캡(20)의 상측으로 제2도포구(50)를 강제로 끼워 결합하되, 상기 제2도포구(50)의 제2결합돌기(55)가 제1캡(20)의 제1결합돌기(25)와 언더컷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캡(20)의 하측으로 솔대(30)를 끼우고, 내캡(70)을 결합하여 고정한 후, 상기 솔대(30)의 하단에 제1도포구(4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캡(20)의 회전방지돌기(28)가 솔대(30)의 회전방지홀(38)을 관통하여 내캡(70)의 회전방지홈(78)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함침스펀지(W)가 형성된 경우, 상기 솔대(30)의 상부연장돌륜(35) 내측에 함침스펀지(W)를 삽입한 다음, 상기 솔대(30)를 제1캡(20)의 하측으로 끼운다.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의 하측에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솔대(30)의 상부연장돌륜(35) 내측에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를 결합하고,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외측에 탄성부재(1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솔대(30)를 제1캡(20)의 하측으로 끼운다.
또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의 하측에 개폐봉(90)이 형성된 경우, 상기 솔대(30)의 상부연장돌륜(35) 내측에 탄성부재(100)를 삽입하고, 상기 탄성부재(100)의 중앙에 개폐봉(90)을 끼운 다음, 상기 솔대(30)를 제1캡(20)의 하측으로 끼운다.
다음으로,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를 통해 화장료를 충전하고, 제1캡(2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솔대(30)와 제1도포구(40)를 튜브용기 본체(10)의 내측에 삽입하면서 상기 제1캡(20)을 회전시켜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나사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캡(20)의 상부에 제2캡(60)을 회전시키면서 나사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의 사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1캡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1도포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캡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즈 용기의 제2도포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사용하여 국소 부위에 섬세하고 정확한 화장을 하고자 할 때에는 한 손으로 튜브용기 본체(1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제1캡(20)을 회전시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제1캡(20)을 분리한다.
이후, 상기 제1캡(2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솔대(30)와 제1도포구(40)를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빼낸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도포구(40)를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고 화장료를 바른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 솔대(30)와 제1도포구(40)를 튜브용기 본체(10)에 삽입하면서 제1캡(20)을 회전시켜 튜브용기 본체(10)의 입구부(12)에 나사 결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사용하여 넓은 부위에 화장을 하고자 하는 할 때에는 한 손으로 튜브용기 본체(1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제2캡(60)을 회전시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용기 본체(10)로부터 제2캡(60)을 분리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를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고 튜브용기 본체(10)의 측면을 가압하면 화장료의 토출 압력에 의해 튜브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 화장료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로 유입되어 제1유통로(34)를 통해 이동된 다음, 임시저장공간(S)에 머물렀다가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를 통해 이동되어 토출구(52)로 토출된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 임시저장공간(S)에 함침스펀지(W)가 형성된 경우,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로 유입되어 제1유통로(34)를 통과한 화장료가 상기 함침스펀지(W)에 스며들었다가 다시 제2도포구(50)의 제2유통로(54)로 이동되어 토출구(52)로 토출된다.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의 하측에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가 형성된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를 누르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상기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에 임시 저장된 화장료가 제2도포구(50)의 토출구(52)로 토출되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의 가압이 해제되어 제2도포구(50)가 탄성부재(100)의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진공압에 의해 체크밸브(82)가 열리게 되어 상기 체크밸브(82)를 통해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80) 내부로 화장료가 유입된다.
또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의 하측에 개폐봉(90)이 형성된 경우,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캡(60)을 분리하면 제2도포구(50)와 개폐봉(90)이 탄성부재(100)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상부로 들려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봉(90)의 개폐봉 유입구(92)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가 서로 엇갈려 있어 상기 내용물 유입구(32)가 차단된 상태이다. 이후,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도포구(50)를 누르면 상기 제2도포구(50)와 함께 개폐봉(9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봉(90)의 개폐봉 유입구(92)와 솔대(30)의 내용물 유입구(32)가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 유입구(32)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와 함께 튜브용기 본체(10)를 가압하면 화장료가 내용물 유입구(32)로 유입되어 개폐봉 유통로(94)와 제2유통로(54)를 통과하여 토출구(52)로 토출된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 제2캡(60)을 회전시키면서 제1캡(20)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의 사용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튜브용기 본체 12: 입구부
20: 제1캡 28: 회전방지돌기
30: 솔대 32: 내용물 유입구
34: 제1유통로 38: 회전방지홀
40: 제1도포구 50: 제2도포구
52: 토출구 54: 제2유통로
60: 제2캡 62: 밀폐돌기
70: 내캡 78: 회전방지홈
80: 내용물 임시저장주머니 82: 체크밸브
90: 개폐봉 92: 개폐봉 유입구
94: 개폐봉 유통로 100: 탄성부재
S: 내용물 임시저장공간 W: 함침스펀지

Claims (6)

  1.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튜브용기 본체;
    상기 튜브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제1캡;
    상기 제1캡의 하측에 결합되어 튜브용기 본체에 삽입되며, 일측에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유통로가 형성된 솔대;
    상기 솔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도포구;
    상기 제1캡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유통로가 형성된 제2도포구 및
    상기 제2도포구를 개폐하는 제2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유통로와 제2유통로는 솔대와 제2도포구 사이에 형성된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용물 유입구는 튜브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내측에는 내캡이 더 결합되되, 상기 제1캡과 내캡 사이에 솔대의 상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내측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솔대의 상부에 회전방지홀이 형성되고, 내캡의 상부에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회전방지홀을 관통하면서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포구는 팁 또는 브러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포구는 투명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2캡을 분리하고 튜브용기본체를 가압하면 화장료가 솔대의 내용물 유입구를 통해 내용물 임시저장공간에 머물렀다가 제2도포구의 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제1캡을 분리하면 상기 솔대 하부에 구비된 제1도포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KR1020180041531A 2018-04-10 2018-04-10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KR10205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31A KR102054315B1 (ko) 2018-04-10 2018-04-10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31A KR102054315B1 (ko) 2018-04-10 2018-04-10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31A true KR20190118331A (ko) 2019-10-18
KR102054315B1 KR102054315B1 (ko) 2019-12-10

Family

ID=6846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31A KR102054315B1 (ko) 2018-04-10 2018-04-10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90A (ko) * 2021-03-12 2022-09-20 김보배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58Y1 (ko) * 2019-12-30 2021-01-25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7684A1 (en) * 2002-02-06 2003-08-07 Chih-Min Hung Solvent container with dual purpose dispenser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560642B1 (ko) * 2013-12-30 2015-10-15 (주)연우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7684A1 (en) * 2002-02-06 2003-08-07 Chih-Min Hung Solvent container with dual purpose dispenser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560642B1 (ko) * 2013-12-30 2015-10-15 (주)연우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90A (ko) * 2021-03-12 2022-09-20 김보배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315B1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4890B1 (en)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ching cream-type cosmetic
KR100840555B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US7845871B2 (en)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two products
CA2410915C (fr)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KR100670800B1 (ko) 화장용 액상용기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446762B1 (ko) 화장품 용기
JPH08173237A (ja) メーキャップ製品の保存および塗布用装置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054315B1 (ko) 두 개의 도포구가 구비된 튜브형 립글로스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1794511B1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744391B1 (ko) 스틱형 화운데이션 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JPS6023602B2 (ja) 液体化粧品塗布具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855921B1 (ko) 화장료의 농도 유지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32018Y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구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KR20200010978A (ko)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