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317A - 마스크팩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317A
KR20190105317A KR1020180025717A KR20180025717A KR20190105317A KR 20190105317 A KR20190105317 A KR 20190105317A KR 1020180025717 A KR1020180025717 A KR 1020180025717A KR 20180025717 A KR20180025717 A KR 20180025717A KR 20190105317 A KR20190105317 A KR 2019010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sk pack
mask
outle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락
지창범
권용기
Original Assignee
지창락
지창범
권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창락, 지창범, 권용기 filed Critical 지창락
Priority to KR102018002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317A/ko
Publication of KR2019010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마스크 시트를 묶음 포장체로 포장하고, 낱장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과도한 포장으로 발생하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사용 편의성을 도모한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은 마스크 팩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를 준비하여, 개방된 부분이 상부에 오도록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비닐막을 부착하는 비닐막 부착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 시트 및 마스크팩 에센스 겔(Gel)을 인입하기 위한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밀봉막을 부착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케이스 밀봉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Packing method of mask-pack and mask-pack packag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마스크팩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마스크팩을 보관하며 낱장으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화장품 또는 에센스가 흡수된 시트를 얼굴에 붙여서, 화장품 또는 에센스가 피부속으로 직접 침투하도록 하는 피부 관리용품을 말한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마스크팩 시트에 화장품 또는 에센스가 일정두께로 도포된 후에 진공 포장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PE 또는 PP 소재로 제작된 포장대에 마스크 시트를 낱개로 수납되어, 가장자리가 실링(Sealing) 작업으로 밀봉되어 포장되며, 사용 시에는 간단히 포장대를 절취한 후 마스크 시트를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2381호(2017.09.21. 등록)는 유통이 편하고 내부의 화장액이 유출될 우려가 없도록 구현한 마스크팩 포장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마스크팩 포장재는, 내부에 시트가 내장된 파우치; 파우치의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에 형성된 관통홀;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중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에 결합되며, 토출홀을 통해 파우치 외부와 파우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거 또는 변형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면피복 또는 후면피복 또는 가이드부로부터 제거 또는 변형되고, 제거 또는 변형시 파우치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9674호(2016.03.31 등록)는 적정량의 피부개선제가 마스크팩 시트에 균일 분포되게 한 마스크팩 키트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팩 키트는, 내부에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타측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입기; 상기 파우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수용공간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이 연통되는 주입부몸체, 상기 주입부몸체 일측 끝단에형성되어 상기 파우치 일면에 부착 고정되는 주입부플랜지, 상기 주입부몸체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구비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기에 의하여 상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시트수용공간으로 피부개선제가 주입되어 상기 시트에 피부개선제가 분포 및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팩 포장체 또는 마스크팩 키트는, 1회분의 마스크 시트를 개별 포장지에 담아 실링함으로써, 포장 작업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 문제와, 과도한 포장지 사용으로 인한 자원 낭비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23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0967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 작업을 간소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과도한 포장지 사용로 인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은 마스크 팩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를 준비하여, 개방된 부분이 상부에 오도록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비닐막을 부착하는 비닐막 부착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 시트 및 마스크팩 에센스 겔(Gel)을 인입하기 위한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밀봉막을 부착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케이스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 포장방법은, 상기 케이스 밀봉단계 이후에,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가 형성된 면에,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스티커를 부착하는 스티커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벽에 마스크팩 에센스 겔을 도포하기 위한 마스크팩 에센스 겔 도포스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팩 시트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스텝;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인입된 마스크팩 위로 마스크팩 에센스 겔을 재도포하기 위한 마스크팩 에센스 겔 재도포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막 부착단계에서, 상기 스티커 부착단계는, 상기 스티커가 인출구를 통하여 비닐막과 접착되도록 상기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밀봉단계는, 상기 밀봉막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기 밀봉막을 고온으로 가압하여 상기 케이스와 열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은 마스크 시트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어, 인출구를 덮기 위한 비닐막;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마스크 시트 및 에센스 겔;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막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는, 상기 케이스 외벽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커는, 상기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비닐막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에 의하면, 복수 개의 마스크 시트를 묶음 포장체로 포장하고, 낱장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과도한 포장으로 발생하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는, 비닐막과 밀봉막을 제거하고 케이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일회용 포장체에 의한 자원 낭비를 절감하고, 사용자가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탈착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의 세부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이하, "마스크팩 포장체"라고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는, 특히 복수 개의 마스크팩을 보관하며 낱장으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마스크팩 포장체는, 케이스(100), 비닐막(200),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 및 밀봉막(4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은 인출구(10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후술(後述)할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을 내장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인출구(101)를 통하여 내장된 마스크 팩을 낱장으로 인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하단이 후술(後述)할 밀봉막(400)이 열접착되기 위하여 넓적하게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인출구(101)가 형성된 면에 후술(後述)할 착탈 덮개(600)가 결합하기 위한 끼움홈(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막(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101)가 형성된 벽면의 내측에 부착된다,
상기 비닐막(200)은, 상기 인출구(101)를 덮어, 상기 케이스(100)에 내장된 상기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이 인출구(101)를 통하여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내장되어, 상기 인출구(101)를 통하여 낱장씩 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 에센스 겔(300)은,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제거 또는 피부 항상화성 화장료 중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막(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막(400)은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100)의 단부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막(400)은, 합성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는, 상기 비닐막(200)을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에 부착되는 스티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커(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101)가 형성된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비닐막(200)과 접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커(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모서리가 들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티커(500)는, 상기 인출구(10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비닐막(200)과 접착되어 있다가, 마스크팩 인출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티커(500)를 잡아 당기면 접착된 부위가 함께 뜯겨져 나옴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비닐막(200)을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탈착 덮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는, 비닐막(200)을 개봉하여 사용시에, 인출구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탈착 덮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덮개(600)는, 싱기 케이스(10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 덮개(600)는, 모서리에 상기 끼움홈(10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02)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6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팩 포장방법은, 케이스 이송단계(S100), 비닐막 부착단계(S200),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S300), 케이스 밀봉단계(S400) 및 스티커 부착단계(S500)를 포함한다.
먼저, 사출기를 이용하여 일측은 마스크 팩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10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100)를 성형하고,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에 오도록 이송한다(S10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인출구(101)를 형성하고,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을 후술(後述)할 밀봉막(400)이 열융착되도록 넓적하게 벌어지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기는, 상기 케이스(100)를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케이스(100)를 뒤집어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101)가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포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에 상기 인출구(101)를 덮기 위한 비닐막(200)을 부착한다(S200).
상기 도포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 위치한 부분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 위로 상기 비닐막(200)을 배치하여 가압한다.
이후에, 적하기 및 주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를 인입시킨다(S300).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S300 단계의 세부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S300 단계는, 마스크팩 에센스 겔 도포 스텝(S310), 마스크팩 시트 인입 스텝(S320) 및 마스크팩 에센스 겔 재도포 스텝(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310 스텝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에 마스크팩 에센스 겔을 도포한다(S310).
상술한 S320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적하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팩 시트를 인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에 인입된 마스크팩 시트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에 도포된 마스크팩 에센스 겔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320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적하기는, 접혀진 상태의 마스크 팩을 10매 내지 20매를 묶음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330 스텝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을 ??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인입된 마스크팩 위로 마스크팩 에센스 겔을 도포한다.
상술한 S300 단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인입된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300)은, 마스크팩 시트를 인입하기 전과 후에, 마스크팩 에센스 겔을 주입함으로써, 마스크팩 시트에 골고루 마스크팩 에센스 겔이 함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 에센스 겔(300)은,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제거 또는 피부 항상화성 화장료 중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적하기 및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에 밀봉막(400)을 부착하여,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밀봉시킨다(S400).
상기 적하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에 상기 밀봉막(400)을 배치시키고, 상기 열융착기는, 상기 밀봉막(400)을 고온으로 가압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단부와 열융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막(400)은, 합성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반전기 및 부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인출구(101)가 형성된 면에, 상기 인출구(101)를 덮기 위한 스티커(500)를 부착한다(S500).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전기는, 상기 S400 단계를 거친 상기 케이스(100)를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100)를 상하로 뒤집어 상기 적하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6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에 의하여 상하가 뒤집힌 케이스(100)는, 상기 인출구(101)가 상부에 오고 상기 밀봉막(400)이 열융착된 부위가 하측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S5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는,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101)를 덮도록 상기 스티커(500)를 부착하되, 상기 스티커(500)가 상기 인출구(101)를 통하여 상기 비닐막(200)과 접착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S500 단계에 의하면, 상기 스티커(500)를 잡아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비닐막(200)을 개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인출구(101)를 개방하여 케이스(100)에 내장된 마스크팩 시트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스크팩 포장방법은, 복수 개의 마스크 시트를 묶음 포장체로 포장하고, 낱장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과도한 포장으로 발생하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는, 비닐막과 밀봉막을 제거하고 케이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일회용 포장체에 의한 자원 낭비를 절감하고, 사용자가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케이스
101: 인출구
102: 끼움홈
200: 비닐막
300: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400: 밀봉막
500: 스티커
600: 착탈 덮개

Claims (5)

  1. 일측은 마스크 팩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를 준비하여, 개방된 부분이 상부에 오도록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단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 시트 및 마스크팩 에센스 겔(Gel)을 인입하기 위한 마스크팩 시트 및 에센스 겔 인입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밀봉막을 부착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케이스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밀봉단계 이후에,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가 형성된 면에,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스티커를 부착하는 스티커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 부착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인출구를 통하여 비닐막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밀봉단계는,
    상기 밀봉막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배치한 후에,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밀봉막의 가장자리를 상기 케이스에 열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
  5. 일측은 마스크 팩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덮기 위한 비닐막;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마스크 팩 시트 및 에센스 겔;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막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포장체.
KR1020180025717A 2018-03-05 2018-03-05 마스크팩 포장방법 KR20190105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7A KR20190105317A (ko) 2018-03-05 2018-03-05 마스크팩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7A KR20190105317A (ko) 2018-03-05 2018-03-05 마스크팩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17A true KR20190105317A (ko) 2019-09-17

Family

ID=6807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17A KR20190105317A (ko) 2018-03-05 2018-03-05 마스크팩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3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6012A (zh) * 2021-11-09 2021-12-21 河南省超亚医药器械有限公司 一种透析性良好的医用口罩包装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674B1 (ko)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KR101782381B1 (ko) 2016-09-01 2017-09-27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포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674B1 (ko)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KR101782381B1 (ko) 2016-09-01 2017-09-27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6012A (zh) * 2021-11-09 2021-12-21 河南省超亚医药器械有限公司 一种透析性良好的医用口罩包装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918B1 (ko) 포장체,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4739879A (en)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US4610659A (en) Tampon pack
CA2731527C (en) Reclosable pack
US9440779B1 (en) Compartment pouch for wipes and liquid
WO2014098055A1 (ja) 皮膚用薬液保持体の包装体とその製法
US6823649B1 (en) Method for encapsulating a topical composition
JP6712101B2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KR20190105317A (ko) 마스크팩 포장방법
KR20190029255A (ko) 3차원 입체 마스크팩 비닐포장용 포대
JPH10167355A (ja) 包装体とこの包装体の製造方法
CN201260473Y (zh) 化妆品容器
KR102203712B1 (ko)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US7475438B2 (en) Portable bidet
JP4030609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包装容器
KR101907358B1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KR20160036412A (ko) 화장수의 분리 보관이 가능한 마스크팩용 봉지
KR20190002011U (ko) 비닐지로 제작되는 낱장의 화장용 마스크 팩
JP4930975B2 (ja) 化粧料包装体
JP3957235B2 (ja) 包装袋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KR101064206B1 (ko)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CN210338849U (zh) 一种用于水剂产品独立密封的包装结构
CN106672290B (zh) 一种卷烟烟盒及其包装设备和方法
US11832708B2 (en) Packaging for cosmetic product sample having an applicator, and cosmetic product sample having an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