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712B1 -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712B1
KR102203712B1 KR1020190062774A KR20190062774A KR102203712B1 KR 102203712 B1 KR102203712 B1 KR 102203712B1 KR 1020190062774 A KR1020190062774 A KR 1020190062774A KR 20190062774 A KR20190062774 A KR 20190062774A KR 102203712 B1 KR102203712 B1 KR 10220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orage unit
sealing material
mask pac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66A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102019006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7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유지, 주름개선, 화이트닝 또는 잡티제거 등의 효과를 가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밀봉하여 마스크팩을 보관하는 패키징에 특정형태로 별도 보관하며, 이를 마스크팩 시트에 직접 가하여 보관 중 오염 또는 세균번식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A mask pack comprising packaging to store liquid separately}
본 발명은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유지, 주름개선, 화이트닝 또는 잡티제거 등의 효과를 가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밀봉하여 마스크팩을 보관하는 패키징에 특정형태로 별도 보관하며, 이를 마스크팩 시트에 직접 가하여 보관 중 오염 또는 세균번식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사용자가 안면부에 시트를 부착하여 사용자 안면피부의 수분유지, 주름개선, 화이트닝 또는 잡티제거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시트에 배양액 등의 액체를 부가한 상태로 제조하여 보관 및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종래 마스크팩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직접 부착하며 사용하는 반면, 안면부에 직접 접촉하는 시트가 제조시부터 항시 배약액 등 액체에 적셔서 있어, 이로 인해 제조시부터 사용자의 사용시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경우, 배양액 또는 영양액 등으로 인해 젖어있는 시트가 오염되거나 세균이 번식하여 오히려 사용자의 안면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시트에 가해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사용자가 사용직전에 바로 시트에 가하고 이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하거나, 시트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밀봉된 액체를 시트에 가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관련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2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 및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시트에 가해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사용자가 사용직전에 바로 시트에 가하고 이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하거나, 시트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밀봉된 액체를 시트에 가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을 가지는 마스크팩 패키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패키징은 사용자의 안면부를 커버하는 시트를 보관하는 공간인 시트보관부 및 액체가 밀봉된 밀봉재를 보관하는 공간인 밀봉재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재 내부에 밀봉된 액체를 상기 시트보관부에 보관된 시트에 가하여 사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시트를 덮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보관부는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를 각각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보관부는 밀봉재에 밀봉된 액체를 주입가능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구는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를 각각보관하는 분리된 시트보관부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밀봉재의 일측이 삽입가능하도록 패키징 소재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재 보관부는 상기 시트보관부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밀봉재 보관부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밀봉재가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재 보관부는 상기 밀봉재 보관부의 두께가 상기 시트보관부의 두께와 같거나 얇은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밀봉재 보관부 또는 밀봉재는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시트가 보관된 각각의 시트보관부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일측에 유출구 및 유출구커버가 형성되거나, 상기 밀봉재는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밀폐를 수행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커버 일측에는 유출구 및 유출구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본체커버 일측에 형성된 브러쉬를 포함하거나,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본체커버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시트에 가해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사용자가 사용직전에 바로 시트에 가하고 이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하거나, 시트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밀봉된 액체를 시트에 가하여 멸균상태의 액체를 사용직전에 바로 시트에 가함으로써 무균 및 청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밀봉재의 유출구를 바로 주입구를 통해 시트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밀봉재를 패키징에서 노출하여 본체커버를 분리 후 브러쉬 등으로 착용중인 시트에 직접 하는 도포하고 본체커버에 부가되는 돌기부 등을 이용하여 곧바로 시트가 부착된 피부를 마사지하며 배양액 등의 액체의 흡수력을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a)상측사시도 및 (b)하측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밀봉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밀봉재 주입구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a)상측사시도 및 (b)하측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마스크팩 시트 및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방식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은 마스크팩 패키징에 있어서, 시트와 액체를 상하로 배치하고, 마스크팩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의 상부로 상기 액체를 인입시켜 흡수시키는 구성을 취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팩의 시트와 상기 시트에 가해지는 배양액 등 액체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이를 사용직전에 결합하는 개념이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제품의 제조과정, 유통과정 및 보관과정에 의도하지 않은 외압에 의하여 분리되어 저장된 액체가 시트로 인입되어 흡수되어 시트가 오염될 수 있으며, 세균번식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 및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시트에 가해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사용자가 사용직전에 바로 시트에 가하고 이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하거나, 시트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밀봉된 액체를 시트에 가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가지는 마스크팩 패키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패키징은 사용자의 안면부를 커버하는 시트(400)를 보관하는 공간인 시트보관부(100) 및 액체가 밀봉된 밀봉재(300)를 보관하는 공간인 밀봉재 보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재(300) 내부에 밀봉된 액체를 상기 시트보관부(100)에 보관된 시트(400)에 가하여 사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시트를 덮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상면 및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시트보관부(100)는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400)를 각각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트보관부(100)는 밀봉재(300)에 밀봉된 액체를 주입가능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입구(110)는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400)를 각각 보관하는 분리된 시트보관부(100)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밀봉재(300)의 일측이 삽입가능하도록 패키징 소재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밀봉재(300)의 일측의 유출구는 첨단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첨단의 유출구단부가 주입구(110)를 파열시키며,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내측에 존재하는 시트에 배양액 등의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는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밀봉재(300)가 보관되되,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의 두께(d)가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두께(D)와 같거나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의 경우, 마스크팩의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상당한 두께의 액체보관용기 및 액체가 보관되고 있어, 이를 유통, 보관, 구입 후 휴대할 경우 지나치게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적재가 쉽지않은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밀봉재를 포함한 밀봉재 보관부(200)의 두께가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두께와 같거나 얇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부피가 상당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패키징 전체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 또는 밀봉재(300)는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시트(400)가 보관된 각각의 시트보관부(100)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부의 상부에 해당하는 시트 및 시트보관부(100)의 색상을 과일 또는 채소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 등을 이용하여 붉은 계열로 나타내고, 이와 대응되는 배양액 등 액체를 보관하는 밀봉재 및 밀봉재 보관부(200)의 색상을 동일하게 붉은 계열로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안면부의 상부에 해당하는 시트 및 시트보관부(100)의 색상을 과일 또는 채소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 등을 이용하여 푸른 계열로 나타내고, 이와 대응되는 배양액 등 액체를 보관하는 밀봉재 및 밀봉재 보관부(200)의 색상을 동일하게 푸른 계열로 나타내는 방식을 통해 상기 밀봉재를 밀봉재 보관부 또는 패키징 외부로 이탈시킨 경우라도, 해당 대응되는 시트 및 안면부의 각 부위 특성에 따른 특정영역에 대한 최적의 효과를 가지는 배양액 등의 액체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배양액 등 액체는 알로에 추출물 및 폴리디옥시리보뉴클리오티드를 성분으로 하는 액상의 세포성장 촉진제 등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밀봉재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밀봉재 주입구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밀봉재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밀봉재(300)는 일측에 유출구(321) 및 유출구커버(3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밀폐를 수행하는 본체커버(3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 유출구(321) 및 유출구커버(3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밀봉재 보관부(200)에서 밀봉재(300)를 분리하고, 상기 밀봉재(300)의 본체커버(320)에 형성된 유출구(321)의 첨단을 상기 주입구(110)에 인입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의 단부를 커버하는 유출구커버(322)를 손으로 파지한 후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유출구커버(322)를 상기 유출구(321)의 단부에서 제거 후 상기 유출구의 첨단을 상기 주입구에 인입시키며, 상기 밀봉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밀봉재 내부에 존재하는 배양액 등 액체를 상기 시트에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마스크팩 사용자가 시트를 안면부에 부착한 이후에 본체커버(320)에 형성된 브러쉬(323)를 이용하여 배양액 등 액체를 시트에 도포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체커버(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324) 구성을 통해 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면부를 마사지가능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커버(320)는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 형성된 브러쉬(32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커버(320)는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3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310)의 내부에는 소정량의 배양액 등의 액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커버(320)와의 결합으로 밀봉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입구(110)에 상기 유출구(321)를 인입시키지 않으며, 시트를 사용자의 얼굴 각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시키고, 상기 밀봉재(300)에 형성된 브러쉬(323)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면부에 부착된 시트에 배양액 등 액체를 골고루 도포하며, 상기 브러쉬의 길이(b)와 같거나 짧은 길이(a)를 가지는 돌기부(324)의 구성을 통해 배약액 등 액체가 도포된 시트와 사용자의 안면피부를 가볍게 마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기부는 합성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소재 등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시트보관부
110 : 주입구
200 : 밀봉제보관부
300 : 밀봉재
310 : 본체
320 : 본체커버
321 : 유출구
322 : 유출구커버
323 : 브러쉬
324 : 돌기부
400 : 시트

Claims (11)

  1. 내부공간을 가지는 마스크팩 패키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패키징은,
    사용자의 안면부를 커버하는 시트(400)를 보관하는 공간인 시트보관부(100); 및
    액체가 밀봉된 밀봉재(300)를 보관하는 공간인 밀봉재 보관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재(300) 내부에 밀봉된 액체를 상기 시트보관부(100)에 보관된 시트(400)에 가하여 사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시트를 덮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밀봉재(300)는,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310); 및
    상기 본체(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밀폐를 수행하는 본체커버(32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는 유출구(321) 및 유출구커버(3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보관부(100)는,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400)를 각각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보관부(100)는,
    밀봉재(300)에 밀봉된 액체를 주입가능한 주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110)는,
    안면부의 부위를 2영역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의 시트(400)를 각각 보관하는 분리된 시트보관부(100)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밀봉재(300)의 일측이 삽입가능하도록 패키징 소재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는,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밀봉재(300)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는,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의 두께가 상기 시트보관부(100)의 두께와 같거나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보관부(200) 또는 밀봉재(300)는,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시트(400)가 보관된 각각의 시트보관부(100)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300)는,
    일측에 유출구(321) 및 유출구커버(3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320)는,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 형성된 브러쉬(3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320)는,
    상기 본체커버(320)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3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0190062774A 2019-05-28 2019-05-28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20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4A KR102203712B1 (ko) 2019-05-28 2019-05-28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4A KR102203712B1 (ko) 2019-05-28 2019-05-28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6A KR20200136766A (ko) 2020-12-08
KR102203712B1 true KR102203712B1 (ko) 2021-01-14

Family

ID=7377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74A KR102203712B1 (ko) 2019-05-28 2019-05-28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3926A (zh) * 2021-02-04 2021-05-14 汕头市大川机械有限公司 混合物料包装容器及使用方法
KR102513973B1 (ko) * 2022-05-23 2023-03-27 주식회사 아벨글로벌 피부 미용 마스크팩 제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215A (ja) * 2009-01-16 2010-07-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応急パック
JP2013179983A (ja) * 2012-02-29 2013-09-12 Hee Jin Choi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45B1 (ko) 2009-06-30 2011-06-30 주식회사 블리스팩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215A (ja) * 2009-01-16 2010-07-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応急パック
JP2013179983A (ja) * 2012-02-29 2013-09-12 Hee Jin Choi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6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712B1 (ko)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0455171Y1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677143B1 (ko)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CN105008243A (zh) 面膜片包装体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TWI724996B (zh) 面膜片包裝體
CN102119109A (zh) 湿片枕式包装体
KR101962785B1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CN111741907A (zh) 包装体
KR102442702B1 (ko) 기능성 피부 미용 마스크팩 세트
KR101932323B1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CN213200497U (zh) 一种真空软包泵压双舱式化妆品容器
KR102259241B1 (ko) 미용 시트팩
KR20170087062A (ko) 마스크 팩 포장용기
CN109071090A (zh) 湿巾包装体
KR102043844B1 (ko) 일체형 패치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CN209758003U (zh) 一种改性膜布的包装装置
CN111169817A (zh) 一种面膜组件
CN215708670U (zh) 一种干湿分离式面膜的包装容器
KR101490284B1 (ko) 미용마스크팩용 2단 포장용기
KR20190063043A (ko) 믹싱 제품
TWM526991U (zh) 美容保養品展示包裝盒
KR20190105317A (ko) 마스크팩 포장방법
CN218705225U (zh) 一种多舱面膜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