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177B1 - 일회용 물티슈 - Google Patents

일회용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177B1
KR101651177B1 KR1020160064105A KR20160064105A KR101651177B1 KR 101651177 B1 KR101651177 B1 KR 101651177B1 KR 1020160064105 A KR1020160064105 A KR 1020160064105A KR 20160064105 A KR20160064105 A KR 20160064105A KR 101651177 B1 KR101651177 B1 KR 10165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issue
dry tissue
wet tissu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김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진 filed Critical 김광진
Priority to KR102016006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77B1/ko
Priority to PCT/KR2017/005164 priority patent/WO20172044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2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 내에 말린 롤 형상 또는 장방형의 한 장의 건티슈만을 삽입하고, 물이 수용된 물공급 팩과 분리 포장함으로써,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는 함수량을 가진 물티슈를 즉석에서 만들 수 있고, 물공급 팩 내에 증류수 등의 물과 함께 산소를 충전함으로써, 피부 보습 내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일회용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물티슈{Disposable wet tissue}
본 발명은 일회용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 내에 말린 롤 형상 또는 장방형의 한 장의 건티슈만을 삽입하고, 물이 수용된 물공급 팩과 분리 포장함으로써,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는 함수량을 가진 물티슈를 즉석에서 만들 수 있고, 물공급 팩 내에 증류수 등의 물과 함께 산소를 충전함으로써, 피부 보습 내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일회용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티슈는 건티슈에 물 또는 첨가물이 혼합되어 흡수되어 있는 것으로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안전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공산품이었던 물티슈가 화장품으로 분류되고 기존 물티슈에 사용되었던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트(Cetylpyridinium Chloride)사용이 금지되었고 까다롭게 관리되고 있다.
물티슈는 건티슈에 물 또는 방부제, 살균제, 보습제 등의 첨가물이 혼합되어 포장되어 유통과정을 거치며 소비자가 개봉 후 물이 흡수되어 있는 물티슈를 사용하거나 건티슈에 물을 부어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물티슈에 이용되는 물에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고 정제수, 증류수나 멸균수에 보습제 및 천연물이 첨가되기도 한다.
한편, 물티슈의 제조는 천연섬유(순면), 레이온, 코폼 또는 PET(폴리에스터)와 같은 섬유를 혼방하여 만들어진 원단을 일정 크기로 컷팅하여 접지하고 적층시킨 후 40매 전후의 건티슈를 묶음으로 한 상태에서 물, 증류수, 정제수, 멸균수 등과 살균제, 방부제, 보습제 등과 같은 첨가제로 혼합하여 건티슈에 흡수시킨 상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건티슈와 증류수를 별도 포장해서 제공하고 구매자가 사용시 건티슈가 적층되어 있는 통 또는 봉지에 물을 부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이 되어 있다.
모든 물티슈는 개봉 후 물티슈와 공기에 노출이 이루어지면 공기 중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물티슈에 번식하고 부패가 진행되어 유통기한이 개봉 후 약 5일 정도로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물티슈 내지 건티슈를 하나의 통 또는 봉지에 넣어 한 장씩 꺼내 사용하는 경우, 1회 사용 후 밀봉 스티커 또는 플라스틱 마개가 닫혀 있지 않으면 물티슈가 건조되어 사용이 어렵거나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고, 장시간 사용시 세균 내지 바이러스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물티슈는 각 물티슈 전면에 물이 흡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바닥을 닦을 때 물티슈로 오물을 닦은 다음, 마른 화장지 등으로 다시 닦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113호(2014.11.05.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830호(2015.06.26.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677호(2013.06.20.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898호(2015.11.05.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지 내에 말린 롤 형상 또는 장방형의 한 장의 건티슈만을 삽입하고, 물이 수용된 물공급 팩과 분리 포장함으로써,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공급 팩의 물 배출구를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배출되지 않는 직경으로 제한하고, 포장지 표면에 투명창을 통해 물 공급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맞는 함수량을 가진 물티슈를 즉석에서 만들 수 있는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공급 팩 내에 증류수 등의 물과 함께 산소를 충전함으로써, 피부 보습 내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는 건티슈와;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물 수용부와,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건티슈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수용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씰링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물공급 팩과;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 팩이 수용되며, 상기 물공급 팩의 하부에는 상기 건티슈가 수용되고, 상단에는 상기 씰링 접합부와 함께 접합되는 상단 씰링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단 씰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씰링부의 상측에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포장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 팩이 압착되면 상기 물 배출구가 파열되면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건티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에 있어서, 건티슈는 사각 원단의 중심 기준으로 상부를 접어 2겹으로 포갠 다음, 횡방향으로 말은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로 접힌 영역의 접지부가 위로 가도록 배치되어 상기 물 배출구와 접하며, 상기 포장지는 장방형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에 있어서, 물 배출구는 레이저 커팅을 이용해 표면 일부에 흠집이 형성되며, 가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에 있어서, 포장지에는 상기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에 있어서, 물 수용부에는 증류수, 정제수, 멸균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과 산소가 함께 충전되거나, 또는 산소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는, 내부 공간을 하부 수용부와, 상부 수용부로 구획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이 열융착하여 밀폐된 구조의 포장지와; 사각 원단의 중심 기준으로 상부를 접어 2겹으로 포갠 다음, 횡방향으로 접거나 말은 장방형 또는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접힌 영역의 접지부가 위로 가도록 상기 하부 수용부에 배치되는 건티슈와; 상기 상부 수용부에 충전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에 있어서, 차단막에는 상부 수용부의 가압에 의해 파열될 수 있도록 레이저에 의한 미세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건티슈를 마련하는 단계와;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물 수용부와,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건티슈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수용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씰링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물공급 팩을 마련하는 단계와; 포장지의 하부를 열융착하고 상기 건티슈를 삽입한 다음, 상기 물 공급팩의 물 배출구가 상기 건티슈 상에 안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팩 상부에 마련된 씰링 접합부를 상기 포장지 상부와 함께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은 포장지 내에 말린 롤 형상 또는 장방형의 한 장의 건티슈만을 삽입하고, 물이 수용된 물공급 팩과 분리 포장함으로써,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은 물공급 팩의 물 배출구를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배출되지 않는 직경으로 제한하고, 포장지 표면에 투명창을 통해 물 공급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맞는 함수량을 가진 물티슈를 즉석에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은 물공급 팩 내에 증류수 등의 물과 함께 산소를 충전함으로써, 피부 보습 내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물티슈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티슈를 롤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접지부가 위로 향한 경우(왼쪽)와, 아래로 향한 경우(오른쪽) 건티슈에 물이 적셔진 분포를 실험한 내용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티슈가 도 4와 달리 장방형으로 접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포장지 내에 차단막이 형성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지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물티슈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건티슈를 롤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100)는 크게 건티슈(110)와, 물공급 팩(120)과, 포장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을 수용하는 물공급 팩을 건티슈와 별도로 포장함으로써, 세균 또는 바이러스 증식을 철저히 막아 물티슈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건티슈(110)는 일반 물티슈와 달리 1회만 사용할 수 있도록 1장만을 상기 포장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천연섬유(순면), 레이온, 코폼 또는 PET(폴리에스터)와 같은 섬유를 혼방하여 만들어진 원단(110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공급 팩(120)은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물 수용부(121)와, 상기 물 수용부(12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건티슈(110)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 배출구(123)와, 상기 물 수용부(121)의 상단을 밀폐하는 씰링 접합부(127)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물 수용부(121)에는 증류수, 정제수, 멸균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122)과 산소가 함께 충전되거나, 또는 산소수가 충전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습제 또는 천연성분의 첨가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증류수는 물을 끓여 수증기를 냉각시켜 만드는 것으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미생물, 미네랄 등 기타 혼합되어 있는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몇번의 증류과정과 처리과정을 거치고 이온도 제거하기 때문에 초 순수라고도 한다.
그리고 증류수는 100℃의 온도에서는 산소의 용해도가 0mg/ℓ로 산소가 함유되어 있거나, 극미량만 용존되어 있다.
한편, 산소가 물에 녹아 있는 산소수는 약하고 면역력이 떨어진 민감한 피부에 O2 layer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진피층까지 영양을 전달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증류수에 용존산소를 높이는 방법으로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높이는 방법 산소의 함량이 높은 공기와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증류수를 산소가 다량 용존된 산소수로 전환시켜 물 수용부에 넣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서, 물 수용부(121)에는 증류수와 넣을 때 산소를 함께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배출구(123)는 상기 건티슈(110)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물 수용부(121)의 가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건티슈(110)의 상단 중앙에 정확히 공급되도록 그 하단은 상기 건티슈 상단과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 배출구(123)는 그 하단에는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접합된 접합면(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면(125)의 직상방에는 흠집(126)이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손쉽게 개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흠집(126)은 레이저 커팅을 이용해 상기 물 배출구(123)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물 수용부(121)를 가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 배출구(123)가 개구되어 있더라도 상기 물 수용부(121) 내의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수용부(121)의 직경은 물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물의 점도 및 물 배출구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 1~5mm의 직경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포장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130)는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 팩(120)이 수용되며, 상기 물공급 팩(120)의 하부에는 상기 건티슈(110)가 수용되고, 상단에는 상기 씰링 접합부(127)와 함께 접합되는 상단 씰링부(13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단 씰링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씰링부(132)의 상측에는 절취선(133)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공급 팩(120)이 위치한 포장지(130) 상부를 눌러 물공급 팩(120) 내에 수용된 물이 건티슈(110)에 공급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절취선(133)을 절개하여 물티슈를 꺼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130)에는 상기 물 수용부(121)에 수용된 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투명창(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물공급 팩(120)도 투명하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물 배출구(123)의 직경을 제한하여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포장지에도 투명창을 형성한 것은 모두 사용자가 건티슈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상기 물 수용부(121)를 압착하여 물 배출구(123)를 통해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때 투명창(135)을 통해 물 수용부(121)에 남은 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물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티슈(1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되면 건티슈에 물이 흡수된 물티슈 영역(113)과 물이 흡수되지 않은 건티슈 영역(115)이 공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티슈의 기본적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건티슈의 형상을 롤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티슈(110)는 사각 원단(110a)으로 이루어지는데, 사각 원단을 중심 기준으로 상부를 접어 2겹으로 포갠 다음, 횡방향으로 말은 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하로 접었을 때, 원단(110a)이 접힌 영역을 접지부(111)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접지부(111)가 상기 포장지(130) 내에서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물 배출구(123)와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접지부가 위로 향한 경우(왼쪽)와, 아래로 향한 경우(오른쪽) 건티슈에 물이 적셔진 분포를 실험한 내용을 촬영한 사진이다.
실험을 통해 접지부가 위와, 아래로 각각 향하도록 배치한 다음, 물 배출구에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물이 적셔지는 분포를 확인한 결과, 도 5의 왼쪽과 같이 접지부가 위로 향한 경우에는 물이 적셔진 물티슈 영역은 중앙에 배치되고, 물이 흡수되지 않은 건티슈 영역은 좌우측에 배치되며, 접지부가 아래로 향한 경우에는 건티슈 영역이 중앙에 배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접지부가 아래로 향한 경우에는 건티슈 영역이 중앙에 배치되고, 물티슈 영역이 좌우에 배치되었다.
이 결과를 보면, 포장지 내에 건티슈를 삽입할 때 접지부의 위치가 물티슈 영역과 건티슈 영역의 배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인 사용자의 물티슈 사용 습관에 비추어보면, 중앙에 물티슈 영역이 배치되어야 물티슈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좌우의 건티슈 영역은 물기 등을 닦아내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 전부를 건티슈에 공급할 때 건티슈 전체가 적셔질 수 있다고 가정할 때, 건티슈에 공급되는 물 양을 2/3 정도로 조절하고, 접지부가 위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경우, 중앙에는 물티슈 영역이, 좌우에는 건티슈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여 물티슈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티슈가 도 4와 달리 장방형으로 접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티슈는 앞서 설명한 롤 형상이 아닌 상하로 1회 접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수회 접은 장방형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때에도 물 배출구(123)는 건티슈(110) 상단 중심과 접하도록 하되, 건티슈(110)의 접지부(111)도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3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포장지 내에 차단막이 형성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지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물공급 팩(120)을 생략한 대신, 포장지(130)를 상하로 구획하는 차단막(1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지는 상기 차단막(137)을 기준으로 하부 수용부(138)와, 상부 수용부(139)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수용부(138)에는 건티슈(110)가 수용되고, 상부 수용부(139)에는 물 또는 물과 산소 등이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37)의 중앙에는 물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레이저를 통한 미세한 홈집(137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장지(130)에는 가열 압착에 의한 상단 씰링부 및 하단 씰링부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건티슈(110)를 마련하는 S1단계와, 물공급 팩(120)을 마련하는 S2단계와, 포장지(130)의 하단을 열융착한 다음, 상기 건티슈(110)를 삽입하고, 물공급 팩(120)의 물 배출구(123)가 상기 건티슈(110) 상에 안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 팩(120) 상부에 마련된 씰링 접합부(127)를 포장지(130) 상단과 함께 열융착하는 S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1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티슈(110) 원단을 상하로 접은 다음, 접힌 영역의 접지부(111)를 따라 일측으로 말아 롤 형태를 만드는 과정이다.
상기 S2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물 수용부(121)와, 상기 물 수용부(12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건티슈(110)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 배출구(123)와, 상기 물 수용부(121)의 상단을 밀폐하는 씰링 접합부(127)로 이루어지는 물공급 팩(120)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S3단계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 팩(120)의 씰링 접합부(127)와, 포장지(130)의 상부를 함께 열융착하여 상단 씰링부(131)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물공급 팩(120)을 포장지(130)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가압 과정 등을 거치더라도 물공급 팩(120)과 건티슈(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물 배출구(123)가 건티슈(110)의 상단 중앙에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일회용 물티슈 110 : 건티슈
111 : 접지부 113 : 물티슈 영역
115 : 건티슈 영역 120 : 물공급 팩
121 : 물 수용부 122 : 물
123 : 물 배출구 125 : 접합면
126 : 흠집 127 : 씰링 접합부
130 : 포장지 131 : 상단 씰링부
132 : 하단 씰링부 133 : 절취선
135 : 투명창 137 : 차단막
138 : 하부 수용부 139 : 상부 수용부

Claims (8)

  1. 건티슈와;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물 수용부와,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건티슈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 배출구와, 상기 물 수용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씰링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물공급 팩과;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 팩이 수용되며, 상기 물공급 팩의 하부에는 상기 건티슈가 수용되고, 상단에는 상기 씰링 접합부와 함께 접합되는 상단 씰링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단 씰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씰링부의 상측에는 절취선이 형성되고 장방형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 팩이 압착되면 상기 물 배출구가 파열되면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건티슈로 공급되고,
    상기 건티슈는 사각 원단의 중심 기준으로 상부를 접어 2겹으로 포갠 다음, 횡방향으로 말은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로 접힌 영역의 접지부가 위로 가도록 배치하고 상기 물 배출구의 하단은 상기 롤 형상으로 말린 건티슈 상단 중심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물 배출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건티슈를 전개한 평면 상태를 기준으로 중앙 영역이 좌우 가장자리 영역보다 먼저 적셔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는,
    레이저 커팅을 이용해 표면 일부에 흠집이 형성되며, 가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물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에는 상기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물티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부에는 증류수, 정제수, 멸균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과 산소가 함께 충전되거나, 또는 산소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물티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64105A 2016-05-25 2016-05-25 일회용 물티슈 KR10165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05A KR101651177B1 (ko) 2016-05-25 2016-05-25 일회용 물티슈
PCT/KR2017/005164 WO2017204487A1 (ko) 2016-05-25 2017-05-18 일회용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05A KR101651177B1 (ko) 2016-05-25 2016-05-25 일회용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177B1 true KR101651177B1 (ko) 2016-08-30

Family

ID=5688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105A KR101651177B1 (ko) 2016-05-25 2016-05-25 일회용 물티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1177B1 (ko)
WO (1) WO201720448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05U (ko) 2016-10-24 2016-11-15 유영승 낱개 포장 물티슈
KR20160003967U (ko) 2016-10-28 2016-11-18 유영승 사면 포장 건티슈
KR101797445B1 (ko) 2017-08-07 2017-11-14 김광호 물티슈
WO2017204487A1 (ko) * 2016-05-25 2017-11-30 김광진 일회용 물티슈
KR101908040B1 (ko) * 2017-08-16 2018-10-15 김광진 액상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물티슈
KR200488266Y1 (ko) * 2018-07-05 2019-01-04 이예진 화재용 마스크 용기
EP3585226A4 (en) * 2017-02-22 2020-11-18 Dermal Biomics, Inc. NON-WOVEN WIPES, CLEANING COMPOSITIONS AND RELATED PACK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4488A (zh) * 2017-07-17 2017-10-13 东莞市科妍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双袋面膜袋及面膜使用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223A (ko) * 2006-06-29 2006-07-26 서동원 일회용 압축티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1644A (ko) * 2007-09-24 2009-03-27 구자형 압축티슈용 액체공급장치
KR20090034472A (ko) * 2007-10-04 2009-04-08 임장오 무방부제 막대형물통과 함께포장된 일회용티슈.
KR20110112920A (ko) * 2010-04-08 2011-10-14 김용선 물티슈 제조장치
KR20130003677U (ko) 2011-12-12 2013-06-20 박유순 포장 물티슈
KR101458113B1 (ko) 2012-12-27 2014-11-05 이덕호 액상물질 팩을 포함하는 물티슈케이스
KR101531830B1 (ko) 2014-09-23 2015-06-26 이재환 함수량 조절기능을 갖는 물티슈
KR101565898B1 (ko) 2015-03-17 2015-11-05 (주)에스지생활건강 물티슈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03U (ko) * 2009-07-15 2011-01-21 김영춘 압축티슈 포장용 용기
KR101651177B1 (ko) * 2016-05-25 2016-08-30 김광진 일회용 물티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223A (ko) * 2006-06-29 2006-07-26 서동원 일회용 압축티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1644A (ko) * 2007-09-24 2009-03-27 구자형 압축티슈용 액체공급장치
KR20090034472A (ko) * 2007-10-04 2009-04-08 임장오 무방부제 막대형물통과 함께포장된 일회용티슈.
KR20110112920A (ko) * 2010-04-08 2011-10-14 김용선 물티슈 제조장치
KR20130003677U (ko) 2011-12-12 2013-06-20 박유순 포장 물티슈
KR101458113B1 (ko) 2012-12-27 2014-11-05 이덕호 액상물질 팩을 포함하는 물티슈케이스
KR101531830B1 (ko) 2014-09-23 2015-06-26 이재환 함수량 조절기능을 갖는 물티슈
KR101565898B1 (ko) 2015-03-17 2015-11-05 (주)에스지생활건강 물티슈 패키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87A1 (ko) * 2016-05-25 2017-11-30 김광진 일회용 물티슈
KR20160003905U (ko) 2016-10-24 2016-11-15 유영승 낱개 포장 물티슈
KR20160003967U (ko) 2016-10-28 2016-11-18 유영승 사면 포장 건티슈
EP3585226A4 (en) * 2017-02-22 2020-11-18 Dermal Biomics, Inc. NON-WOVEN WIPES, CLEANING COMPOSITIONS AND RELATED PACKAGING
KR101797445B1 (ko) 2017-08-07 2017-11-14 김광호 물티슈
KR101908040B1 (ko) * 2017-08-16 2018-10-15 김광진 액상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물티슈
KR200488266Y1 (ko) * 2018-07-05 2019-01-04 이예진 화재용 마스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87A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KR101458113B1 (ko) 액상물질 팩을 포함하는 물티슈케이스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101531830B1 (ko) 함수량 조절기능을 갖는 물티슈
KR101756788B1 (ko) 부드럽게 에지-처리된 패드
KR101704950B1 (ko)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KR101176723B1 (ko) 화장용 팩
KR200477385Y1 (ko) 분말형 마스크팩 재료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컵팩
JP2010042846A (ja) ウエットシートピロー包装体
DE69835904T2 (de) Einweg-mehrkammerapplikator
KR20170042586A (ko) 팩 시트 포장체
CN111741907B (zh) 包装体
JP6152931B1 (ja) 包装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203712B1 (ko) 액체를 별도로 보관하는 패키징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US20070023048A1 (en) Cosmetic facial mask
US7571812B2 (en) Freshen up travel pack
JP3172582U (ja) 化粧料内容物の吐出量の調節が可能な多室包装袋
KR20160054096A (ko)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JP2015196533A (ja) スキンケアキット、及びスキンケアキットの保存方法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KR200474688Y1 (ko) 분말형 마스크팩 재료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컵팩
CN213922358U (zh) 一种冻干粉蜂王浆面膜
KR101505978B1 (ko) 물주머니의 제조 방법
JP3759427B2 (ja) 美容品セット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