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096A -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096A
KR20160054096A KR1020140152734A KR20140152734A KR20160054096A KR 20160054096 A KR20160054096 A KR 20160054096A KR 1020140152734 A KR1020140152734 A KR 1020140152734A KR 20140152734 A KR20140152734 A KR 20140152734A KR 20160054096 A KR20160054096 A KR 20160054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line
pouch
film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원
변영훈
차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엔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엔젤
Priority to KR102014015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096A/ko
Publication of KR2016005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서 불안정한 비타민C를 안정되게 유지키 위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와 같은 조성물을 격리된 다수개의 포장 공간을 가지며 필요시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는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차적으로는 소량의 수용액상의 비타민 C에 활성산소의 접근을 차단키 위한 산화안정제로 옥시레스베라트롤(Oxyresveratrol)을 사용하여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 후 이차적으로 상기 일차적으로 안정화된 용액을 레시틴(Lecithin)-오르가노겔(Organo Gel)구조로 감싸게 하여 비타민C를 더욱 안정화하여 효과적인 미백 화장료를 제공한 후 상기와 같이 조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공기와 접하지 아니한 진공상태의 격리된 포장 공간에 수납하고 별도의 포장 공간에 팩을 수납하여 사용시 상기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켜 사용함으로서 비타민C의 본래의 신선함 및 활성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수납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소량의 수분이 함유된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인 폴리올(Polyol)상의 비타민 C에 활성산소의 접근을 차단키 위한 산화안정제로 옥시레스베라트롤(Oxyresveratrol)을 사용하여 활성산소의 비타민C에 접근을 차단시켜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 후, 상기 용액에 레시틴(Lecithin)-오르가노겔(Organo Gel)구조인 레시틴겔로 감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 및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이 서로 대응하는 부분을 봉합하는 봉합선;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
상기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 제2 봉합선; 및
상기 제2 봉합선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3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봉합선 및 제2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 열압착으로 봉합되고, 제3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사이에 이지필(easy peel)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되기 전에 먼저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수납하는 파우치{Cosmetic Compositions to stabilize Ascorbic acid and Pouch}
본 발명은 수중에서 불안정한 비타민C를 안정되게 유지키 위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와 같은 조성물을 격리된 다수개의 포장 공간을 가지며 필요시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는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차적으로는 소량의 수용액상의 비타민 C에 활성산소의 접근을 차단키 위한 산화안정제로 옥시레스베라트롤(Oxyresveratrol)을 사용하여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 후 이차적으로 상기 일차적으로 안정화된 용액을 레시틴(Lecithin)-오르가노겔(Organo Gel)구조로 감싸게 하여 비타민C를 더욱 안정화하여 효과적인 미백 화장료를 제공한 후 상기와 같이 조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공기와 접하지 아니한 진공상태의 격리된 포장 공간에 수납하고 별도의 포장 공간에 팩을 수납하여 사용시 상기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켜 사용함으로서 비타민C의 본래의 신선함 및 활성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수납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보호기능과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기능은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한 다양한 변화가 오면서 노화되어 가는데,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장벽의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피부의 수분함량이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피부 병변을 유발한다. 특별히, 자외선량의 증가와 대기오염 및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의 생성은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등)을 산화시키거나 변성시켜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한다. 피부노화에 따른 주름형성, 피부 탄력감소, 색소침착 등은 화장료 영역에서도 피부 보호 및 미용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미, 피부과 영역에서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타민 A인 레티놀(retinol)은 화장료로도 널리 이용되어 레티놀 함유 화장료가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임상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고, 미국 특허 4,603,146 및 4,877,805에서 콜라겐 합성과 분해억제에 효과적인 레티놀을 이용한 주름개선효과를 제시하였다. 콜라겐 합성에 의한 주름개선은 L-Ascorbicacid(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효과적이며 이는 피부주름개선 이외 생체 내에서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차단,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등에 효과적이다 라는 보고가 있다.(미국특허 제4,938,969호/ 미국특허 제4,772,591호/유럽특허 제0533667호)
피부는 자연노화 되기도 하나 자연환경에 의하여 특히 광노화에 의해 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저하되고, 거칠어지고 건조해지며 기미,주근깨 등이 발생하여 미용상 보기가 좋지 않게 변한다.
비타민C 는 생체내에서 다양한 생리작용을 통하여 이러한 노화 현상을 억제 하거나 개선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어 오래전부터 식품, 의료용 혹은 화장품에 응용되고 있다.
비타민C의 기능을 간단히 살펴 보면 비타민C는 프롤릴히드록시화제의 활성을 촉진하여 히드록시 프롤린 생합성을 촉진하여 삼중나선 구조인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 함으로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준다. 비타민C는 UVA에 대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강하고 UVB로 인해 발생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또한 비타민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용하는데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하여 생체 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 함으로서 피부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다. 아울러 비타민 C는 색소침착억제 효과를 갖는데 이는 멜라닌색소형성 억제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듯 다양한 효과를 갖는 비타민C 는 열, 빛,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 및 안정성에 큰 문제점을 갖고있어 그동안 다양한 비타민 C 유도체들이 연구되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 또한 효율면에서 순수 비타민C 보다 열등한 문제점을 갖고있다.
최근에는 비타민C가 여러가지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여러가지 생리적 기능에 장점을 가지고 있어 불안정한 비타민C를 안정화하는 제형연구가 다각도로 진행 되고 있다.
예를들면 글루코닉산 혹은 우로카닉산과의 화학적 회합체를 만들거나, 사이클로덱스트린, 지오라이트, 리포좀등에 함입시키는 물리적 기술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비타민C를 코팅하는 방법등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은 효율면에서 충분한 안정도를 보이지 않았을 뿐더러, 어떤 경우에는 화장료의 제형으로 적합하지 못했다.
한편 비타민E를 비롯한 여러가지 항산화제를 도입하여 안정화하고자 하는 연구도 시도되었지만 변취, 변색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미국특허 제 4938969호)
한편, 상기와 같은 비타민C를 안정화시킨다고 하더라도 이를 포장하여 사용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공기에 노출되거나 물에 노출되면 비타민C는 신선도가 저하되고 보전성이 떨어지므로 비활성화되어 비타민C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인 도 1은 종래의 파우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50)이 포장된 파우치로서 단일 포장 공간(40)을 갖도록 가장자리 부분에 봉합선(3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파우치(100)는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으로 구성되고,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의 가장자리 부분은 열압착 방법으로 압착하여 봉합선(30)을 형성한다. 그리고 파우치(1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봉합선(30)의 일측에 노치(32; notch)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봉합선(30) 안쪽의 포장 공간(40)에 팩(50)이 내장된다.
그리고 팩(50)은 사용자가 파우치(100)를 개봉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파우치(100)는 단일 포장 공간(40)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파우치(100)에 포장되는 팩(50)은 부직포(51)에 소정의 점도를 갖는 화장품(53)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최근에는 팩(50)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비타민C와 레티놀과 같은 다양한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들(55)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들(55) 중에는 화장품(53)에 포함된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성질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물질들도 있다. 예컨대 비타민C의 경우 수분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능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파우치는 단일 포장 공간만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의 팩이 그대로 포장되어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떨어지기 때문에, 팩의 유통기한 또한 짧을 수밖에 없다.
물론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제거된 팩이 포장된 파우치와,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만을 별도로포장한 파우치를 구비하여 팩 사용시, 팩이 포장된 파우치를 먼저 개봉한 다음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포장된 파우치를 개봉하여 팩에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두 종류의 파우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팩과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들어 있는 파우치를 각기 개봉한 이후에, 사용자가 직접 팩에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일일이 도포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가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200)는 상부 필름(120)과 하부 필름(110)의 가장자리 부분(131)은 완전 열압착하여 봉합하고, 포장공간을 나누는 봉합선(132, 133)의 경우 소정의 압력과 열을 가하여 봉합면이 붕괴 될 수 있도록 반 열압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안이었다.
이러한 파우치(200)는 상부 필름(120)과 하부 필름(110)을 열압착하기 위해서는 접착면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필름으로 구성하였다. 열압착을 통해 파우치를 생산하는 과정 중, 다중 포장공간을 갖는 파우치의 일부분을 반열압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붕괴선의 반열압착 부분은 적절한 열봉함강도 (즉, 기능성물질이 수분에 격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유통과정상에는 붕괴되지 않고, 파우치의 내용물을 사용할 시에는 소비자가 붕괴선에 압력을 가해 터트릴 수 있는 정도의 열봉함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하는데, 이러한 제작은 적절한 히트씰온도(heatseal temperatute)와 반열압착면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좌우된다.
통상적으로 파우치 제대기는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이 품질기준에 정해진 열봉함강도(일반적으로 2.0kg/15mm 이상)를 가질 수 있도록 히트씰링온도가 설정되어있다. 그러나 초기에 일정온도로 고정시켰다 할지라도 작업 중 실제온도는 기계의속도 및 가동시간 등의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파우치 제작은 완전압착방식으로만 생산하기 때문에, 초기설정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열봉함강도가 약해지는 불량이 발생하고,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파우치의 열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200)의 경우, 소비자가 손으로 누르는 힘으로내부 붕괴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반열압착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반열압착은 초기설정온도 보다 떨어지거나 상승하게 되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열압착은 충분한 실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통 중 내용물이 섞이거나, 작은 힘에 의해서도 붕괴선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반열압착의 접착강도가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 중간 중간마다 열봉함강도를 체크 후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파우치를 제조하였다. 즉,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검토하며 파우치를 생산하여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는 생산성 저하는 물론 균일한 품질유지가 어렵게 하였다.
위와 같은 제조장치상의 문제로 인해 붕괴선이 확실히 반열압착되지 않으면생산초기에는 수분에 의해 기능성이 떨어지는 물질(예를들어 비타민C와 같은 다양한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수분과 격리 수용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틈사이로 수분이 통과하는 품질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지필(Easy peel) 기능은 1990년 이후 급격한 기능성 포장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의 편의성이 부합되어 요구되어 지고 있는 기능으로서, 파우치의 접착면을 구성하는 재질로 이지필 필름간 열압착후 일정한 압력 및 힘을 가할시 소비자가 쉽게 붕괴 또는 개봉할 수 있는 일정한강도( 0.5 ~ 1.2(kgf/15mm)를 유지시켜주는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기의 밀봉성을 강화하여 생산중이나 유통중에 용기 포장이 개봉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이 쉽게 개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용기에 이지필 기능을 구현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과 같은 비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 내면을 코팅하거나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미국특허 제4,938,969호 미국특허 제4,772,591호 유럽특허 제053366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C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제형내에서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해 강력한 항산화제를 사용하고, 레시틴 오르가노겔 제형내에 비타민C를 포집하여 결합수의 양을 증대하여 비타민C의 이온 활동도를 감소함으로써 비타민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 할 수 있는 비타민C 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상기 조성물을 일회용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내용물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변형 즉, 진공상태에서 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신선도 있고 활성화 상태를 유지토록 한 파우치 즉, 부직포에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골고루 섞이고,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공간이 분리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또한, 파우치 내의 저장 공간을 분리하는 붕괴선이 다른 봉합선들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붕괴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완전 압착된 봉합성의 일부분에 이지필(easy peel) 기능을 가진 필름을 붕괴선에 적용하여 0.5~1.2(kgf/15mm) 적정한 열봉함강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유통중에 붕괴선이 붕괴되지 않으며, 파우치의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가 붕괴선을 쉽게 터트릴 수 있는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소량의 수분이 함유된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인 폴리올(Polyol)상의 비타민 C에 활성산소의 접근을 차단키 위한 산화안정제로 옥시레스베라트롤(Oxyresveratrol)을 사용하여 활성산소의 비타민C에 접근을 차단시켜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 후, 상기 용액에 레시틴(Lecithin)-오르가노겔(Organo Gel)구조인 레시틴겔로 감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비타민C 는 무게대비 0.1 ~ 20%이며, 옥시레스베라트롤은 0.05 ~ 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레시틴겔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Lipoid S100-3) 6g, 에탄올 10g,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4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g, 옥시레스베라트롤 2.0g 이 용해된 용액에 비타민C 5g을 첨가하여 45℃까지 가열,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엣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 및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이 서로 대응하는 부분을 봉합하는 봉합선;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 상기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 제2 봉합선; 및 상기 제2 봉합선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3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봉합선 및 제2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 열압착으로 봉합되고, 제3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사이에 이지필(easy peel)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되기 전에 먼저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와,
상기 제3 봉합선은 상기 제2 봉합선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봉합선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봉합선의 폭보다 좁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와,
상기 제3 봉합선은 상기 제2 봉합선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제2 봉합선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와,
상기 제3 봉합선은 박리강도가 0.5kg/15mm 이상, 1.2kg/1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와,
상기 제2 봉합선 및 제3 봉합선으로 분할된 일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조성물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타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와,
상기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상기 포장 공간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있는 투명한 소재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타민C를 옥시레스베라톨과 레시틴겔로서 안정화 함으로써 제품내에서 비타민C 의 산화 안정성을 상당히 향상 시킬수 있으며 변색,변취도 발생하지 않아 화장료 및 의약품 용도로 사용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공된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의 포장 공간을 다수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격리되게 분할하여 각각의 단위 포장 공간에 기능성 물질인 화장품과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포장하고, 단위 포장 공간의 경계를 봉합함으로써, 팩 사용시 소정의 가압력으로 압착된 계면을 붕괴시켜 단위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기능성 물질인 화장품과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 부분에 완전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된 제1 봉합선이 형성하는 포장 공간이 포장 공간을 경유하여 제1 봉합선에 연결되는 제2 봉합선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되고, 제2 봉합선의 적어도 일부가 우선적으로 붕괴될 수 있는 제3 봉합선이 형성되기 때문에, 팩 사용시 파우치의 포장 공간 내에서 기능성 물질인 화장품과 비타민C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혼합시킨 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3 봉합선이 붕괴되어 에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
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제1 변형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2의 A 부분의 제2 변형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제3 변형 실시예이다.
도 9은 도 2의 A 부분의 제4 변형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의 최적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인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수납하는 파우치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3 봉합선이 붕괴되어 에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제1 변형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2의 A 부분의 제2 변형 실시예이며,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제3 변형 실시예이고, 도 9은 도 2의 A 부분의 제4 변형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의 최적 실시예이다.
우선, 본발명의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실시예] 비타민C 를 안정화한 레시틴 겔 만들기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Lipoid S100-3) 6g, 에탄올 10g,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10g,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4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g, 옥시레스베라트롤 2.0g 이 용해된 용액에 비타민C 5g을 첨가하여 45℃로 가열하고 교반하여 레시틴 겔을 만들었다.
처방예 1. 레시틴겔(실시예 1)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성 분 함 량( 중 량 %)
레시틴겔 20.0
니아신아마이드 2.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아데노신 0.04
갈조추출물 1.0
잔탄검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폴리솔베이트 0.5
솔비탄 0.5
알란토인 0.1
1,3-B.G(부틸렌글라이콜) 3.0
글리세린 5.0
에칠헥실글리세린 0.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산뽕 추출물 2.0
방부제,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비교예 1.
레시틴겔 대신 안정화 하지 않은 비타민C를 처방예 1)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로서, 다음 표 2와 같다.
성 분 함 량( 중 량 %)
비타민C 20.0
니아신아마이드 2.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아데노신 0.04
갈조추출물 1.0
잔탄검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폴리솔베이트 0.5
솔비탄 0.5
알란토인 0.1
1,3-B.G(부틸렌글라이콜) 3.0
글리세린 5.0
에칠헥실글리세린 0.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산뽕 추출물 2.0
방부제,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1. 비타민C의 역가 측정
상기 표 1인 처방예 1) 와 표 2인 비교예 1) 에서 조성물내의 비타민C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후의 비타민C 역가를 25℃ 와 45℃ 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 내었다.
처방예 1)의 레시틴겔은 분리된 공간 파우치를 실험직전에 터트려 혼합 후 측정하였다.
표 3. 비타민 C 의 역가 비교결과
실 시 예 1 비 교 예
25 도 99 98
45 도 85 40
상기표에서 보듯이, 비타민C 를 레시틴겔로 안정화한 제형(실시예 1)이 그렇지 않은 제형(비교예 1) 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훨씬 안정함을 알수있다.
실험예 2. 임상 실험에 의한 미백효과 측정
1) 실험방법: 본발명의 화장료의 임상미백 효능 실험을 하기 위해서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증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무작위로 A, B 두개그룹으로 나누었다. A 그룹에는 비타민C 를 안정화시킨 레시틴 겔을 함유하는 처방예 1)을 B 그룹에는 비교예 1)을 적용하여 각각 1일 2회씩 12주간 도포한후 피부색의 변화를 크로마메터(Minolta CR300)기기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 ΔL)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아 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적 관찰을 실시하여 하기 등급의 분류에 따라 효과를 측정 하였다. 그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 효능 정도를 다음의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 하였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매우악화, -2:악화, -1:약간 악화, 0:변화없음, 1:약간개선, 2:개선, 3:매우개선
2) 실험결과
표 4. 미백효과에대한 임상결과

피검자
피부색 밝기변화(ΔL) 숙련자의 객관적평가 피검자의 주관적평가
A B A B A B
1 7.2 4.9 3 1 3 2
2 6.9 5.1 3 2 2 3
3 7.7 4.8 3 3 3 3
4 7.3 4.1 2 2 2 1
5 8.0 4.9 3 2 3 1
6 7.5 5.4 3 2 2 1
7 8.8 5.2 3 1 3 0
8 6.7 4.8 3 3 3 2
9 7.4 5.9 3 2 3 3
10 8.7 5.6 2 1 3 3
평균값 7.62 5.07 2.9 1.9 2.7 2.0
상기표 4)에서 보듯이, 본발명의 비타민C 를 안정화 시킨 제형의 제품을 도포한 A 그룹이 그렇지않은 제품을 도포한 B그룹에 비해 3가지평가에서 모두 우수한 미백 임상효과가 있음을 알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제는 옥시레스베라트롤을 사용하였다. 옥시레스베라트롤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보다 훨씬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뽕나무에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옥시레스베라트롤은 멜라닌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티로시나제를 강력히 저해하는데, 비타민C 와함꼐 사용하면 피부미백에 대한 상승효과를 기대 할수있다.
오르가노겔은 대표적으로 젤라틴겔과 레시틴겔이 알려져 있다. 이들겔은 물/오일 마이크로에멀젼(water in oil) 계로 이루어져 있어 수용성인 비타민C를 겔내에서 안정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이다. 본연구에서는 레시틴 겔을 사용하였으며, 적절하게 만들어진 비타민C 함유 레시틴 겔은 제조물내에 자유수의 존재를 감소시키고 결합수의 양을 증대하는 피부유사 구조를 갖고있어, 비타민C의 이온 활동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가 비타민C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 함으로써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이 증대 된다.
한편 비타민C 함유 레시틴 겔을 이용하여 미백 화장료에 적용하였을 때 수중의 활성 산소의 접근을 차단하여 비타민C 의 산화 안정성이 향상 되었고, 미백효과도 우수함을 보였다. 이하 실시예, 처방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또 다른 본 발명인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최적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300)에 따른 파우치는 마스크 팩용으로 사용되며, 하부 필름(110), 상부 필름(120), 제1 봉합선(131), 제2 봉합선(132) 및 제3 봉합선(133)을 포함한다.
하부 필름(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다. 상부 필름(120)은 하부 필름(110)과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가지며, 하부 필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 필름(1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제1 봉합선(131)은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을 맞대고 가장자리 부분을 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되며 중심 부분에 하나의 포장 공간(140)을 형성한다. 제2 봉합선(132)은 제1 봉합선(131)과 연결되어 하나의 포장 공간(140)을 2개의 포장 공간 즉 제1 포장 공간(141)과 제2 포장 공간(142)으로 분할한다. 즉 제2 봉합선(132)은 이웃하는 양쪽의 제1 봉합선(131)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봉합선(132)으로 분할된 제2 포장 공간(142)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제3 봉합선(133)이 붕괴되며, 분할된 제1 및 제2 포장 공간(141, 142)이 연통될 수 있도록 제3 봉합선(133)이 제2 봉합선(132)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제3 봉합선(133)은 제2 봉합선(132)으로 분할된 상기 포장 공간(14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132)이 붕괴되기 전에 먼저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3 봉합선(133)이 제2 봉합선(132) 및 제1 봉합선(131)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붕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본 발명은 제3 봉합선(133)이 우선적으로 붕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착면의 형상을 변경하는 방법과 접착면의 재질을 변경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제1 변형 실시예이다.
먼저, 제3 봉합선(133)의 접착면의 형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제3 봉합선(133)은 제2 봉합선(132)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압착으로 형성된다.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이 모두 파우치의 일반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활한 붕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이 모두 이지필 필름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봉합선 내지 제3 봉합선(131,132, 133)은 모두 이지필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물론,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을 일반적인 파우치의 재질인 폴리에틸렌(PE)나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작한 후에, 제1 봉합선 내지 제3 봉합선(131 ~ 133)을 완전 열압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봉합선(133)은 제2 봉합선(132)의 중간 부분에, 제2 봉합선(1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제2 봉합선(132)과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봉합선(133)은 제2 봉합성과 동일한 일정한 폭을 갖는 것이 특징이나, 제3 봉합성의 일부는 접착면적이 좁아지는 오목부(133a)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오목부(133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비압착면이 삼각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의 포장 공간(140) 중 오목부(133a)가 형성된 측의 포장 공간을 누르면, 압력이 오목부(133a)에 집중하게 되어 제3 봉합선(133)이 붕괴 될 수 있다. 압력이 오목부(133a)에 집중하게 되어 제3 봉합선(133)이 제2 봉합선(132)에 비해 우선적으로 붕괴된다. 제3 봉합선(133)이 제1 및 제2 봉합선(131. 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완전 압착되면, 압력에 의해 제1 봉합선(131)이 먼저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파우치의 유통과정 및 실제 사용시에 여러 문제점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A 부분의 제2 변형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제3변형 실시예이다. 제3 봉합선(133)의 제2 변형 실시예로, 제3 봉합선(133)이 제2 봉합선(132)을 연결하는 좁은 폭의 연결부(223)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2 봉합선(132)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폭이 얇은 띠 형상으로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부(233)는 제2 봉합선(132)보다 폭이 작은 띠 형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포장공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 봉합선(13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봉합선(131)은 제2 봉합선(132) 및 제3 봉합선(133)보다는 강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봉합선들이 동시에 완전 압착으로 형성되므로 제1 봉합선(131)의 폭을 제2 및 제3 봉합선(132, 133)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봉합선(131)이 우선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봉합선(131, 132)의 폭을 동일하게 하고, 제3 봉합선(133)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 봉합선(133)에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하거나,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3 봉합선(133)이 제1 봉합선(131)에 비해 우선적으로 붕괴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파우치는 제3 봉합선 부분을 반열압착하여 우선적으로 붕괴가 일어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반열압착은 오히려 쉽게 붕괴되는 점, 접착면이 고르지 못하여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제3 변형 실시예이다.
제1 봉합선 및 제2 봉합선을 완전 열압착으로 형성되고, 제3 봉합선은 상부필름(120)과 하부 필름(110)사이에 이지필(easy peel, 333)필름으로 형성된다. 이는 접착면의 재질을 변경하여, 제3 봉합선(133)이 우선적으로 붕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지필 필름(333)은 포장공간에 압력을 가하면 제3 봉합선(133)이 제1 봉합선(131)에 의해 우선적으로 붕괴될 수 있도록 한다. 유통과정에서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3 봉합선(133)은 이지필 필름(333)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제작의 편의성 및 심미성을 위해서, 이지필 필름(333)으로 형성된 제3 봉합선(133)은 제2 봉합선(13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이지필 필름(333)은 인플레이션방식과 공압출방식에 의해 2layer또는 3layer로 생산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이지필 필름(333)은 인플레이션방식의 3layer층을 적용하였다.
[열간 봉함강도 측정시험]
박리강도는 3kgf/의 압력으로 필름을 상호 열 융착시킨 후, 열융착된 필름을 15mm50mm(씰링폭) 크기로 잘라 인장강도시험기에서 세로방향으로 박리시키면서 측정되는 강도의 최고값을 열간봉함강도(박리강도)로 선정하였다. 이 때 인장(박리)속도는 300mm/min이었다. 통상적으로 성인이 손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박리강도는 2.0kg/15mm 이하로 이지필 필름의 경우0.5~1.2kg/15mm 수준이 적합하다. 박리강도 측정온도는 각각 145 ~ 200(5간격)에서 측정하였다.
(단위; kgf/15mm)

구 분
재질 구성예 1
(PE)
재질구성예2 (PP) 재질구성예3
(easypeelfilm)
145℃ 0.20 - 0.45
150℃ 0.30 - 0.65
155℃ 0.50 0.20 0.85
160℃ 1.00 0.40 0.90
165℃ 1.50 0.60 0.95
170℃ 2.00 1.50 1.10
175℃ 2.50 2.50 1.10
180℃ 3.00 5.50 1.15
185℃ 3.50 6.00 1.20
190℃ 3.50 7.00 1.25
195℃ 4.00 7.20 1.25
200℃ 4.00 7.20 1.25
* 파우치필름의 재질구성
1)재질구성예1(PE) ; PET 16 / NY 15 / LLDPE 70
2)재질구성예2(PP) ; PET 16 / NY 15 / CPR 70
3)재질구성예3(easypeel film) ; PET16 / NY15 / easypeel film 70
상기 열간 봉함강도 측정시험의 결과로 제3 봉합선(133)을 구성하는 이지필 필름은 약 185의 온도에서 압착되는 것이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압착온도 및 압착방법에 의해, 제1 봉합선(131) 내지 제3 봉합선(133)이 동시에 압착되어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제1 및 제2 봉합선(132)은 완전 압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3 봉합선(133)은 이지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부 필름(120)과 하부 필름(110)을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필름으로 제조하고, 제3 봉합선(133)을 이지필 필름(333)으로 대체하여, 약 185의 온도에서 압착하여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PE)나 폴리프로필렌(PP) 단일재질을 씰란트층으로 구성시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씰링바의 온도편차가 5의 경우에도 열접착강도의 편차가 심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단일 재질인 PE나 PP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히트씰링 온도에 봉합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지필 필름을 씰란트층에 사용한 경우는 씰링바의 온도편차가 30내에서도 열봉함강도가 0.5~1.2(kgf/15mm)를 유지 할 수 있다. 즉, 이지필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열간봉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히트씰링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소비자는 동일한 압력으로 붕기선의 붕괴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생산성 및 붕괴선의 붕괴시 품질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파우치(3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제1 포장 공간(141)의 제1 봉합선(131)의 일측에 노치(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파우치 내의 부직포(151)와 별도로 분리된 물질을 혼합한 후에 외부로 쉽게 꺼내어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포장 공간(141)에는 부직포(151)가 포장되어 있다. 여기서 부직포(151)는 얼굴에 사용하는 마스크 시트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장갑의 형상으로 제조되거나 발에 사용할수 있도록 양말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직포(151)에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와 혼합될 경우 기능성이 떨어지는 기능성 물질(152)이 부직포(151)에 도포된 상태로 제공된다. 기능성 물질(152)은 비타민C, 레티놀과 같은 유효 성분으로 구성되며,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제2 포장 공간(142)은 액상의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가 포장되어 있다. 액상의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은 부직포(151)와 섞여, 피부에 수분 공급과 탄력을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포장 공간(141)이 제2 포장 공간(142)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포장 공간(142)에 포장된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3 봉합선(133)을 붕괴할 수 있도록, 제2 포장 공간(142)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의 파우치(300)는 제2 포장 공간(142)은 하나의공간으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포장 공간(142)을 2개 이상으로 나눌 수 있고, 여러 개로 나누어진 공간에는 각각 제1 포장 공간(141)으로 연통될 수 있는 제3 봉합선(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치(135)와 마주보는 제1 포장 공간(141)의 제1 봉합선(131)의 일측에 제1 포장 공간(141) 내부로 관통되는 개구부(136)를 형성하고, 개구부(136)를 통해 진공 포장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포장 공간(141)내부에 형성된 공기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제거한 후 개구부(136) 안쪽 주위를 열압착하여 형성된 제4 봉합선(134)으로 밀봉시켜, 제1 포장 공간(14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장 공간(141)은 수축하여 하부 필름(110)과 상부필름(120)이 부직포(151)와 밀착되어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포장 공간(141) 내부가 진공 상태이므로 공기가 들어 있는 제2 포장 공간(142)보다 낮은 압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제1 포장 공간(141)과 제2 포장 공간(142)에 압력 차이를 형성시킴으로써 압력이 높은 제2 포장 공간(142)의 물질이 압력이 낮은 제1 포장 공간(141)으로 압력차에 의해 스스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포장 공간(141) 내의 부직포(151)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152)이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그 유효 성분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개구부(136)와 제4 봉합선(134)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포장 공간(141)에 부직포(151)가 삽입되는 제1 봉합선(131) 라인을 이용하여 진공을 한 후 그 개구된 제1 봉합선(131)을 열압착함으로서, 개구부(136)와 제4 봉합선(134)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제3 봉합선이 붕괴되어 에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포장 공간(142)에 압력이 가해져 제3 봉합선(133)이 붕괴되면, 높은 압력을 가진 제2 포장 공간(142)에 포장된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은 제3 봉합선(131)이 붕괴되어 형성된 액상 통로(7)를 통하여 이웃하는 진공 상태의 제1 포장 공간(141)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된다. 이 때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은 부직포(151)에 고루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포장 공간(141)이 진공이 됨으로써 부직포(151)에 도포되는기능성 물질(152)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제3 봉합선(133)이 붕괴될 시, 제1 포장공간(141)이 진공이 아닌 경우보다 부직포(151)에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이 고루 섞일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포장 공간(141, 142)에 포함된 내용물과 제1 포장 공간(141)에서 부직포(151)에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이 균일하게 스며드는 지를 파우치(100)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 중 하나 이상은 일부분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부 필름(110) 또는 상부 필름(120) 및 하부 및 상부 필름(110, 120)의 일부분에 투명한 필름이 사용되어 투시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포장 공간(141)과 제2 포장 공간(142)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한 필름은 투시창과 같이 일부분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필름(110) 또는 상부 필름(120) 및 하부 및 상부 필름(110, 120) 전체가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부직포(151)가 제1 포장 공간(141)에 삽입되어 있는 파우치를 설명하였으나, 부직포(151)를 제2 포장공간에 넣고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을 제1 포장 공간(141)에 넣는 파우치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는 완전 진공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파우치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투시창에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투시창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이는 투시창을 통해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300)의 제1 포장 공간(141)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진공이 형성된 제1 포장 공간(141)에 질소가스를 충진 후 다시 진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포장 공간(141) 내부가 진공이 형성되었더라도 산소가 일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제1 포장 공간(141) 내부로 불어 넣음으로써 잔여 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기에 다시 진공을 행함으로써 진공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공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질소 가스를 충진 후 다시 진공이 이루어지는 상기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할 수도 있다.
다음은 파우치(200, 3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 공간(141)에 기능성 물질(152)이 도포된 부직포(151)가 포장되고, 제2 포장 공간(142)에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이 포장된 상태로 파우치(100)가 제공된다. 이때 제1 포장 공간(141)은 진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직포(151)는 압착된 상태에 있으며, 부직포(151)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152)은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기능성 물질(152)의 유효 성분의 효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우치(200. 300)에 포장된 부직포(151)를 사용하기 위해서,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가 포장된 제2 포장 공간(142)에 제3 봉합선(133)을 붕괴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 사이의 제3 봉합선(133)은 붕괴되고 제1 포장 공간(141)과 제2 포장 공간(142)은 액상 통로(7)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포장 공간(142)의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가 제1 포장 공간(141)으로 주입되어 부직포(151)에 스며들게 된다. 이때 제2 포장 공간(142)의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는 제2 포장 공간(142)보다 압력이 낮은 제1 포장 공간(141)으로 빠르게 스스로 이동하여, 부직포(151)에 고루 스며들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액상이 이동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1 포장 공간(141)의 제1 봉합선(131)에 형성된 노치(135)부분을 따라서 파우치(100)를 절개하여 제1 포장 공간(141)에 있는 부직포(151)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151)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152)의 유효 성분의 효능이 바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물질(152)가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153)과 대체 또는 동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10 : 하부필름 120 : 상부필름
130 : 봉합선 131 : 제1 봉합선
132 : 제2 봉합선 133 : 제3 봉합선
134 : 제4 봉합선 135 : 노치
136 : 개구부 140 : 포장공간
141 : 제1 포장공간 142 : 제2 포장공간
150 : 저장물 151 : 부직포
152 : 기능성 물질
153 :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laims (10)

  1. 소량의 수분이 함유된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인 폴리올(Polyol)상의 비타민 C에 활성산소의 접근을 차단키 위한 산화안정제로 옥시레스베라트롤(Oxyresveratrol)을 사용하여 활성산소의 비타민C에 접근을 차단시켜 비타민C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 후, 상기 용액에 레시틴(Lecithin)-오르가노겔(Organo Gel)구조인 레시틴겔로 감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C 는 무게대비 0.1 ~ 20%이며, 옥시레스베라트롤은 0.05 ~ 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겔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Lipoid S100-3) 6g, 에탄올 10g,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4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g, 옥시레스베라트롤 2.0g 이 용해된 용액에 비타민C 5g을 첨가하여 45℃까지 가열,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엣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 및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이 서로 대응하는 부분을 봉합하는 봉합선;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
    상기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 제2 봉합선; 및
    상기 제2 봉합선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3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봉합선 및 제2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 열압착으로 봉합되고, 제3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사이에 이지필(easy peel)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되기 전에 먼저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봉합선은 상기 제2 봉합선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봉합선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봉합선의 폭보다 좁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봉합선은 상기 제2 봉합선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제2 봉합선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봉합선은 박리강도가 0.5kg/15mm 이상, 1.2kg/1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합선 및 제3 봉합선으로 분할된 일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타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상기 포장 공간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있는 투명한 소재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KR1020140152734A 2014-11-05 2014-11-05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KR20160054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34A KR20160054096A (ko) 2014-11-05 2014-11-05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34A KR20160054096A (ko) 2014-11-05 2014-11-05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96A true KR20160054096A (ko) 2016-05-16

Family

ID=5610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34A KR20160054096A (ko) 2014-11-05 2014-11-05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0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2368A (en) * 2015-09-16 2017-03-22 Pangaea Laboratories Ltd Stabilised oxyresveratrol compositions
KR20200000238A (ko) * 2018-06-22 2020-01-02 (주)코바스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WO2022050295A1 (ja) * 2020-09-01 2022-03-10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2368A (en) * 2015-09-16 2017-03-22 Pangaea Laboratories Ltd Stabilised oxyresveratrol compositions
GB2542368B (en) * 2015-09-16 2017-09-20 Pangaea Laboratories Ltd Stabilised oxyresveratrol compositions
AU2016228245B2 (en) * 2015-09-16 2019-09-19 Medik8 Limited Stabilised Oxyresveratrol Compositions
KR20200000238A (ko) * 2018-06-22 2020-01-02 (주)코바스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WO2022050295A1 (ja) * 2020-09-01 2022-03-10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751B2 (en)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patch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14208735A1 (ja)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酸化物含有組成物、毛髪化粧料並びに毛髪化粧用品
KR20090100643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JP2018502606A (ja) 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キット
WO2014003183A1 (ja) パック基材、パック化粧料ならびにパック化粧料キット
KR20160054096A (ko)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FR3030243A1 (fr)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e base d'oxydation heterocyclique
CA2540786A1 (en) Protective oral gel
EP2785356B1 (en) Use of pullulan for alleviating the appearance of scars or scar tissue
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FR3030244A1 (fr)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e base d'oxydation para-phenylenediamine et un coupleur particulier
KR101421669B1 (ko)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KR200475477Y1 (ko)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JP2013079226A (ja) 乾性パックセット及び有機酸乾性パック
JP2009137874A (ja) ビタミンC(Ascorbicacid)を含有するレシチン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9328A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6193846B2 (ja) パック
KR101558967B1 (ko) 화장용 마스크 팩
KR20060104807A (ko) 발아현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70042252A (ko) 세드롤 및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5726351A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20170013598A (ko) 피부 외용제
WO2016208044A1 (ja) パック
KR20200075400A (ko) 기능성 마스크팩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