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669B1 -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69B1
KR101421669B1 KR1020120075020A KR20120075020A KR101421669B1 KR 101421669 B1 KR101421669 B1 KR 101421669B1 KR 1020120075020 A KR1020120075020 A KR 1020120075020A KR 20120075020 A KR20120075020 A KR 20120075020A KR 101421669 B1 KR101421669 B1 KR 10142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oil
paper sheet
powder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654A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엔코스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스, 김동우 filed Critical (주)엔코스
Priority to KR102012007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등의 곡류분말을 주요성분으로 제조된 라이스페이퍼 시트의 피부 부착용 지지체로써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제시한 바와 같이 쌀 분말을 포함하는 곡류분말 0.1 내지 99.92중량%에 타피오카 분말 1 내지 30중량%을 주성분으로 하는 라이스페이퍼 시트를 활용하여 피부 부착용 지지체를 개발하였으며, 본 라이스 페이퍼 시트 지지체는 미용수 침지를 통하여 마스크팩, 바디 패치 제조가능하며, 또한 화상치료제를 침지하여 부착형 화상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Skin adhesive device using by cereals paper sheet}
본 발명은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한국특허등록 제 10-0506543호
[문헌 2] 한국특허등록 제 10-0405776호
피부는 인간의 건강과 생명유지에 필수적으로서, 내분비기능, 면역기능, 흡수 및 분비기능, 보호기능뿐만 아니라 땀과 피지, 노폐물을 분비하여 체온조절과 부표면의 산도를 유지함으로써 방수 역할 및 항균작용, 수분조절, 호흡기능, 비타민 D 합성기능, 영양소 저장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식생활 및 주위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피부질환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화장료조성물, 미용팩용 조성물, 피부노화 예방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기미, 여드름, 습진, 각종 가려움증을 치료하거나 피부의 보습효과 및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기능성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한편, 다양한 피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미용팩 중 피부에 도포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물성 단백질인 계란, 꿀과 같은 천연물질, 피부영양제를 첨가한 젤, 야채, 곡물, 과일, 한약재 등을 이용한 미용팩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용팩들의 경우, 자체의 제형이나 성분 효능도 중요하지만 피부는 외부의 이물질 침투에 대한 방어작용 외에 경우에 따라서 물질을 흡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 성분의 사용으로 인해 뒤따르는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 개발 및 유통중인 마스크팩은 부직포, 겔화물을 이용한 마스크팩, 초산균을 이용한 마스크팩 등 20-30년 전부터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을 바탕으로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직포는 마스크팩 소재중에 지금까지 꾸준히 많이 이용되는 널리 알려진 소재이다. 그러나 마스크팩 소재중에 가격이 싸면서, 성형이 간단하며, 두께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보수성이 약하며 얼굴에 밀착력이 떨어져 미용수가 흘러내리며 또한 합성소재라는 인식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도가 차츰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겔화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은 일명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형태로 주로 식품원료로 이용되는 젤리제조용 원료로 제조되므로 겔 마스크팩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겔 마스크팩은 한천, 젤라틴, 구아검, 펙틴, 로가스트빈검 치 기타 고분자 점성제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겔상 미용 마스크는 식물추출물, 지방류 등을 혼합 교반하면서 가온온도 80-100℃ 의 범위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성형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거의 겔 팩들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미용제 조성물이 가온온도에 의해 유효성분들의 파괴가 많다는 것이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콜라겐 등은 온도가 높으면 젤라틴으로 변성하여 그 효과가 없어진다는 사실인데 이러한 상품들이 히트상품으로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한국특허등록 제 10-0506543호).
초산균을 이용한 마스크팩으로 알려진 미생물 셀룰로오스는 아세토박터속 균주의 정치배양을 통해 얻은 겔 상태에서 미용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마스크팩을 제조방법이다. 이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05776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조방법은 그 겔 자체의 고유의 냄새 제거에 한계가 있으며, 미생물배양을 통하여 제조되었으므로, 제조과정 및 보존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에 취약하며, 원자재 보존비용이 타 재질보다 높다(한국특허등록 제10-0405776호).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본 발명의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마스크팩)에 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이상과 같이 알려진 마스크팩의 소재들은 대부분 단점들을 보유하여 최상의 마스크팩을 상품화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미용제의 경우 조성물에서 무파라벤, 무향료, 무색소, 무알콜 등 천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극대화하는 현 세대에서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마스크팩을 개발하여 마스크팩의 안전성 및 단가를 낮추고, 소비자시장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 결과, 쌀 등의 곡류 및 타피오카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라이스페이퍼 시트에 미용수를 침지시켜 사용하는 마스크팩을 제조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각 인체에 적당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미용액을 침지시켜 사용하는 바디 패치 및, 화상치료제 약물을 침지시켜 사용 할 수 있는 부착용 화상치료제 혹은 그 지지체로 개발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곡류 분말, (2) 소금, (3) 타피오카 분말, (4) 로코스트빈검 분말, 및 (5) 카르기난 분말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용 또는 화상치료를 위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1) 곡류 분말, (2) 소금, (3) 타피오카 분말, (4) 로코스트빈검 분말, 및 (5) 카르기난 분말을 일정한 배합 중량비, 예를 들어, 전체중량대비 (1) 곡류 분말 1.0-99.92 중량%, 바람직하게는 20-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2) 소금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 (3) 타피오카 분말 0.01-9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4) 로코스트빈검 분말 0.0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 및 (5) 카르기난 분말 0.0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곡류는 쌀, 밀, 보리, 조 등의 곡류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쌀 및 밀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상대적 배합 중량비, 예를 들어, 쌀 및 밀의 배합 중량비가 1 내지 80: 20 내지 99 중량% (w/w), 바람직하게는 쌀 및 밀의 배합 중량비가 10 내지 30: 70 내지 90 중량%(w/w)로 배합된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로커스트빈검”은 수많은 레구미노사에 (Leguminosae) 의 종자의 내배유에서 생긴 식물성 비축 폴리사카라이드중의 일종인 갈락토만난 (galactomannan)으로서, 상기 갈락토만난은 (1 →4) 연결 β-D-만노피라노실 단위의 선형 주쇄를 포함하는 바와 같이 만노오스 함유 폴리사카라이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상표명 " Seagul L" (FMC, Philadelphia, PA, USA) 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카르보 빈 검으로서 (CTFA)명 하에서 산업에서 공지된 로커스트 빈 검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타피오카 (tapioca) 분말”은 열대작물인 카사바(Casava)의 뿌리에서 채취한 식용 녹말로서, 카사바의 뿌리는 생것의 경우 20~30 %의 녹말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을 짓이겨 녹말을 물로 씻어내 침전시킨 후 건조시켜서 타피오카를 만든다. 원주민은 카사바 뿌리를 그대로 쪄서 식용으로 하지만 보통은 건조된 타피오카를 분말로 만들어 매매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카라기난 (carageenan) 분말”의 카라기난은 청정해역에서 자라는 홍조류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로서 Galactose및 Anhydro Galactose를 주성분으로 한 복합 다당류이며, 분류는 홍조류의 채취 원료에 따라서 (1) 카파(Kappa) Type (2) 람다(Lambda) Type (3) 아이오타(Iota) Type으로 분류되며, 무미, 무취, 백색 또는 미황색 분말 제품으로 냉수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으나 80~85℃에서 완전히 용해되며, pH7 이상에서는 안정하나 산성 영역에서는 점도가 저하되고 열가역적인 특성이 있어 겔 상태에서 가열하면 용액상태로 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부착용 지지체는 미용수 침지를 통한 얼굴형 마스크팩, 목, 코, 눈 등을 포함하는 부분패치, 바디패치; 또는 화상치료제 침지를 통한 부착용 화상지료용 패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부착용 지지체로써 곡류 분말 0.1 내지 99.92중량%에 타피오카 분말 0.01 내지 30중량%를 배합하고, 여기에 부재료인 로커스트검류 0.03 내지 30중량%, 카르기난 추출물 0.03 내지 30중량% 및 소금 0.01 내지 3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곡류 분말, 타피오카 분말, 소금, 로코스트빈검 분말, 및 카르기난 분말를 일정한 배합비로 배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2) 여기에 일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된 반죽물을 스팀증기를 이용하여 스티밍 (steaming)과 동시에 압출 로울러 혹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10kg/cm2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일정한 시트 두께 및 시트 크기로 압착하여 스팀된 반죽물을 얻은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의 스팀된 반죽물을 건조하여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제공하는 제 4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 하면에 미용용 마스크팩, 바디 패치, 부착용 화상치료용 팩 또는 그 지지체로서 적용부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모양의 목형에 대고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커팅을 하고(이때, 라이스 페이퍼 시트의 성상 유지를 위해 상부 및 하부에 부직포를 각각 부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함) 개개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한 성형을 통하여 성형물을 제공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5단계의 커팅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파우치에 넣은 후에 곡류 전분의 고유의 냄새가 있기 때문에 마스킹할 수 있는 첨가제, 예를 들어 동물성 오일, 천연 식물오일, 과일 추출물, 천연점착제, 지방류, 및 미용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용용 보조첨가제, 또는 화상치료를 위한 화상치료용 첨가제를 넣은 후 실링하여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1단계에서, (1) 곡류 분말, 타피오카 분말, 소금, 로코스트빈검 분말, 및 카르기난 분말를 일정한 배합비, 예를 들어, 전체중량대비 (a) 1.0-99.92 중량%, 바람직하게는 20-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의 곡류 분말, (b) 0.01-9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의 타피오카 분말, (c) 0.0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의 로코스트빈 검 분말, 및 (d) 0.0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의 카르기난 분말의 비율로 배합하여 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2단계에서, 제 1단계 배합물 부피의 약 0.01 내지 0.8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0.5배 부피(v/v)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3단계에서, 상기 반죽물은 압출 로울러 혹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10kg/cm2 이상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10kg/cm2 내지 15kg/cm2 범위의 압력으로 가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3단계에서, 상기 시트 두께 및 시트 크기는 미용용 마스크팩, 바디 패치, 부착용 화상치료제 또는 그 지지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시트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0.01-5.0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0.2-1.0mm의 두께, 및 일정한 시트 크기, 바람직하게는, 840*560mm (가로 * 세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20*280mm (가로 * 세로) 시트 크기로 압착하여 스팀된 반죽물을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5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 하면에 그 시트 모양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미용용 마스크팩, 바디 패치, 부착용 화상치료용 팩 또는 그 지지체로서 적용부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모양, 예를 들어, 얼굴 모양의 눈, 코, 입 부분이 뚫려 있는 일반적인 마스크팩 형태; 인체의 다리, 팔, 가슴, 목, 얼굴, 코 등의 다양한 인체 모양의 목형에 대고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커팅을 하고 (이때 라이스 페이퍼 시트의 성상 유지를 위해 상부 및 하부에 부직포를 각각 부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함) 개개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한 성형을 통하여 성형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6단계에서, 곡류 전분의 고유의 냄새가 있기 때문에 마스킹할 수 있는 미용용 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동물성 오일, 천연 식물오일, 과일 추출물, 천연점착제, 지방류, 및 미용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용을 위한 미용용 보조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동물성 오일”로는 세틸 리시놀레이트(ricinoleate), 콜레스테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롤 이소스테아레이트, CREMEROL (Amerchol 사, Edison, NJ), ELDEW C1301 (Ajinomoto 사, Teaneck, NJ), 라놀린, MODULAN (Amerchol 사, Edison, NJ), OHLAN (Amerchol 사, Edison, NJ), 페트롤라툼(petrolatum), 피타트리올(phytantriol), 및 SUPER STEROL ESTER (Croda 사, Parsippany, NJ), 또는 그 혼합물 등의 동물성 오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천연 식물오일”로는 초산 토코페롤, 로즈힙오일, 호호바오일, 아마씨 오일, 아몬드오일, 아프리컷 키넬오일, 보리지 오일, 사플라오일,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식물오일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과일 추출물”로는 오렌지즙, 녹차즙, 시금치즙, 오미자즙, 복분자즙, 석류즙, 포도즙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천연점착제”로는 한천, 송진, 녹말가루, 젤라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점착제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지방류”로는 광물성 오일, 와셀린, C7 -C40 분지쇄 탄화수소, C1 -C30 카르복실산의 C1 -C30 알코올 에스테르, C2 -C30 디카르복실산의 C1 -C30 알코올 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모노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디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트리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에틸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 모노에스테르 및 당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디알킬실록산, 폴리디아릴 실록산, 폴리알카릴실록산, 3 내지 9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메티콘, 식물성 오일, 수소화 식물성 오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C4 -C20 알킬 에테르, 디 C8 -C30 알킬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류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 미용수”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원료, 바람직하게는,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에 근거한 원료,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콜라겐, 글리세린, 알부틴, 알파하이드록시산, 젤라틴, 알부틴, 베타인, 레시틴, 로즈마린, 화산재, 초산토코페롤, 스쿠왈렌, 1,3-부틸렌글리콜, 오렌지즙, 오이즙, 알로에즙, 히아루론산,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 미용수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제 6단계에서, 화상치료를 위한 화상치료용 첨가제, 예를 들어, 피부 회복 활성제, 항진균제, 항생제, 방부제, 피부 진정제, 비(非)스테로이드 항염 활성제, 국소 마취제, 및 스테로이드 항염 제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상치료용 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 회복 활성제”는 표피 및/또는 피부 층을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피부회복활성제의 제한되지 않는 예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액테인 (actein) 알로에 유도 렉틴,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아시아트(asiatic)산,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아잘레(azaleic)산, 벤조산 유도체, 베툴린(betulinic)산, 비오틴(biotin), 찰콘(chalcone), 시트르산 에스테르, 클로버 추출물, 조효소 Q10 (우비퀴논), 다이드제인(daidzein), 당귀(dang gui) 추출물,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산, 디오스제닌(diosgenin), 디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도데칸디오산,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에스트로젠 및 그 유도체, 파네솔(farnesol), 파네실(farnesyl) 아세테이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특히 비치환 플라본(flavanone) 같은 플라본 및 비치환 찰콘(chalcone) 및 모노히드록시 및 디히드록시 찰콘 같은 찰콘), 제니스테인(genisteine), 징코 빌보아(gingko bilboa) 추출물, 인삼 추출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O, R 6-1 , R6-2 , R6-3 , RC , RD , RE , RF , RF-2 , RG-1 , RG-2 , 살리실산, 헤스페리틴(hesperitin), 헥사히드로 쿠쿠민(curcumin), 감초(licorice) 추출물, 루테올린(luteolin), 피트(phytic)산 및 그 염, 우르솔(ursolic)산, 비타민 D3 및 그 유사체, 세린,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시토스테롤(sitosterol), 대두 유도 스테롤, 스핑고신(sphingosine),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항진균제”는 곰팡이의 증식 및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항진균제의 제한되지 않는 예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글리세오플빈, 트리코마이신, 볼레오스라이신, 피마리신, 나라마이신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항생제”는 박테리아 의 증식 및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항생제의 제한되지 않는 예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penicillin과 cephalosporin 등의 β-lactam계, aminoglycoside계, macrolide계, glycopeptide계, quinolone계, streptogramin계 및 oxazolidinone계 항균제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방부제”는 방부효과를 나타내는 이소부틸 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소듐 메타 비술파이트, 소듐 술파이트, 트리클로산(triclosan), 및 유카(yucca),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 진정제”는 피부의 염증을 억제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진정제는 본 발명의 이점인 피부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예를 들어, 상기 작용제는 더 균일하고, 용인할 수 있는 피부 톤 또는 색에 공헌한다. 피부 진정제의 제한되지 않는 예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아비신티움(absinthium), 아카시아, 에스신(aescin), 알더 벅톤(alder buckthorn) 추출물, 알란토인, 알로에, APT (Centerchem 사, Stanford, CT), 아르니카, 아스트라갈루스(astragalus), 아스트라갈루스 뿌리 추출물, 아줄렌(azulene), 카모밀레(chamomile), 차모밀 추출물, 챠파랄(chaparral), 마황(ephedra), 삼지구엽초(epimedium), 달맞이꽃(evening primrose), 좁쌀풀(eyebright), 젠티안(gentian), 게르마늄 추출물, 징코 빌보아(gingko bilboa), 깅코(ginkgo), 인삼 추출물, 인동 덩굴 꽃, 율무(job's tears), 대추(jujube), 감초 뿌리(licorice root), 리구스티쿰(ligusticum), 목련(magnolia) 꽃, 오트밀 추출물, 오렌지, 판테놀, 파파인(papain), 작약 껍질(peony bark), 작약 뿌리, 적색 사게(sage), 대황(rhubarb), 로즈메리,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로얄젤리, 차 추출물, 백리향(thyme) 추출물, 토코페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우르솔(ursolic)산, 이스트 추출물, 및 그 혼합물 등의 피부 진정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非)스테로이드 항염 활성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ly Actives (NSAIDS))”로는 플루페남(flufenamic)산; 판테놀 및 그 에테르 및 에스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판테놀 에틸 에테르, 판테닐 트리아세테이트; 판토텐(pantothenic)산 및 염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특히 칼슘 판토테네이트; 알로에 베라(aloe vera),비사보롤(bisabolol), 알란토인 및 글리시리헤트(glycyrrhetic)산, 글리시르히즈(glycyrrhizic)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혼합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국소 마취제”로는 벤조카인(benzocaine) 및 부피바카인(bupivacaine)또는 그 혼합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스테로이드 항염 제제”로는 코르티솔,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르드로코르티솔, 코르티손, 트리암시노론, 베타메타손, 덱사메타손 또는 그 혼합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부착용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옛날부터 내려온 쌀뜨물로 세안을 하는 이유는 바로 쌀을 이용한 미용효과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현재 전 세계에서 월남쌈이라 불리우는 쌀 분말을 이용한 라이스 페이퍼을 변형하여 마스크팩 소재 즉 화장품 소재로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이스페이퍼 시트는 쌀종이, 쌀쌈 등을 칭한다. 본 발명은, 펼쳐진 면 위에 각종 음식물을 올려놓고 소스를 바른 다음 둥글게 감아서 시식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제조된 0.2mm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라이스페이퍼 시트를 활용하여 피부 부착용 지지체를 제조 및 활용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는 본 라이스페이퍼 시트를 활용하여 얼굴 모양으로 절단 한 뒤 미용용 화장수를 침지시켜서 마스크팩으로 활용하거나, 인체 각 부위에 부착이 유리한 모양으로 절단 및 화장수 혹은 화상치료제를 침지시켜 미용용 인체 바디패치 혹은 부착형 화상치료제 제조에 관한 것이다.
쌀 분말을 이용해 만들어진 라이스 페이퍼 시트는 얇은 종이상태의 쌀 요리에 있어서 쌀가루 100%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응집이 곤란하여 얇은 성형이 어려우며, 타피오카 100%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조직이 질기기 때문에 성형성과 마스크팩 목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체중량대비 쌀을 포함하는 곡류 분말 1내지 99 중량%에 타피오카 분말 1내지 30중량%를 배합하고, 이와 같은 곡분만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질감이 떨어져 마스크팩 성형을 제작 및 미용수를 첨가했을 때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곡분에 로코스크빈검류 및 카르기난 분말을 0.1 내지 30 중량% 혼합한 라이스 페이퍼 시트의 제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위 쌀 분말과 타피오카 분말의 배합비는 위 라이스페이퍼 시트의 용도 및 라이스페이퍼 시트의 침지액의 특성에 따라서 변경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마스크 팩은 종래의 마스크팩이 가지는 미용 효과에 더하여, 무파라벤, 무향료, 무색소, 무알콜 등 천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극대화하고 보습력 및 천연제품에 대한 선호도 면에서 우수한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작된 얼굴형 마스크팩 도면을 나타낸 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작된 얼굴형 마스크팩 목형에 미용수를 침지한 상태 도면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도 2의 미용수 침지한 마스크팩 확인 도면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용용 마스크팩의 제조예 (1)
(1) 쌀 분말 20 중량%, 밀가루 분말 75 중량%, 소금 1 중량%, 타피오카 분말(Thai wah food product co. ltd)은 1%, 로코스트빈검 분말(A&Z Food Additives Co., Ltd.) 1%, 카르기난 분말 (Essential Supplies (UK) LTD) 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하였다.
(2) 상기 혼합된 반죽물을 스팀증기를 이용하여 스티밍과 동시에 압착 성형기(HJ950, 효진정밀기계)를 이용하여 10kg/cm2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4mm 두께로 압착하였다.
(3) 상기 스팀된 반죽물은 가열건조 방법을 통해 건조하였다.
(4)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얼굴모양의 눈 코 잎부분이 뚫린 일반적인 마스크팩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성형하였다(도 1 참조).
(5) 상기 제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기 표 1조성의 마스크팩용 미용수에 침지시켰다. 이때 사용되는 미용수는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에 근거한다.
미용수 조성 및 함량
성분 함량
정제수 Up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20%
젤라틴 5%
베타인 2%
알부틴 2%
초산토코페롤 2%
오렌지즙 2%
히알루론산 1%
페녹시에탄올 0.5%
(6) 미용수에 침지된 라이스페이퍼 시트는 약 1분 내지 5분동안 방치하여 미용수의 완전한 흡수를 확인한다. 이는 건조상태의 라이스페이퍼 시트가 유연성을 가지는 정도로 판정한다.
실시예 2. 미용용 마스크팩의 제조예 (2)
(1) 쌀 분말 20 중량%, 밀가루 분말 75중량%로 구성된 곡류분말 95 중량%, 소금 1 중량%, 타피오카 분말(Thai wah food product co. ltd)은 1%, 로코스트빈검 분말(A&Z Food Additives Co., Ltd.) 1%, 카르기난 분말(Essential Supplies (UK) LTD) 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하였다.
(2) 상기 혼합된 반죽물을 스팀증기를 이용하여 스티밍과 동시에 압착 성형기(HJ950, 효진정밀기계)를 이용하여 10kg/cm2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4mm 두께로 압착하였다.
(3) 상기 스팀된 반죽물은 가열건조 방법을 통해 건조하였다.
(4)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얼굴모양의 눈 코 입부분이 뚫린 일반적인 마스크팩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성형하였다.
(5) 상기 제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기 표 2조성의 마스크팩용 미용수에 침지시켰다. 이때 사용되는 미용수는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에 근거한다.
미용수 조성 및 함량
성분 함량
정제수 Up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20%
젤라틴 5%
베타인 2%
알부틴 2%
초산토코페롤 2%
오렌지즙 2%
히알루론산 1%
페녹시에탄올 0.5%
(6) 미용수에 침지된 라이스페이퍼 시트는 약 1분 내지 5분동안 방치하여 미용수의 완전한 흡수를 확인한다. 이는 건조상태의 라이스페이퍼 시트가 유연성을 가지는 정도로 판정한다(도 2 및 3참조).
실시예 3. 화상치료용 마스크 팩 제조예
(1) 쌀 분말 20 중량%, 밀가루 분말 75중량%로 구성된 곡류분말 95 중량%, 소금 1 중량%, 타피오카 분말(Thai wah food product co. ltd)은 1%, 로코스트빈검 분말(A&Z Food Additives Co., Ltd.) 1%, 카르기난 분말(Essential Supplies (UK) LTD) 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하였다.
(2) 상기 혼합된 반죽물을 스팀증기를 이용하여 스티밍과 동시에 압착 성형기(HJ950, 효진정밀기계)를 이용하여 10kg/cm2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4mm 두께로 압착하였다.
(3) 상기 스팀된 반죽물은 가열건조 방법을 통해 건조하였다.
(4)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얼굴모양의 눈 코 잎부분이 뚫린 일반적인 마스크팩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성형하였다.
(5) 상기 제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기 표 3 조성의 화상치료제 함유 용액에 침지시켰다.
화상치료제 함유 용액 조성 및 함량
성분 함량
정제수 Up to 100%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2%
케토코나졸 2%
Quinolone계 향균제(ciprofloxacin) 0.9%
소듐술파이트 1%
알란토인 0.4%
플루페남산 5%
벤조카인 3.5%
(6) 화상치료제 함유 용액에 침지된 라이스페이퍼 시트는 약 1분 내지 5분동안 방치하여 화상치료제 함유 용액의 완전한 흡수를 확인한다. 이는 건조상태의 라이스페이퍼 시트가 유연성을 가지는 정도로 판정한다.
실혐예 1. 피부질환 등의 개선 효과 및 사용감 시험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사용한 후의 피부 상태 및 사용감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호전 보통 변화 없음
전반적인 피부상태 12명 5명 3명
피부등고선(V라인) 15명 2명 3명
각질 11명 4명 5명
미백 17명 2명 1명
평가 항목 만족 보통 나쁨
제품의 전반적인 만족도 18명 2명 0명
팩의 사용감 18명 2명 0명
팩을 떠어내고 난 후의 느낌 16명 3명 1명
상기 표 4 및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을 사용한 후, 전반적인 피부상태가 호전되며, 특히 마스크팩 사용감이 당김 현상으로 인한 피부에 V라인 효능을 보이며 또한 각질의 형성이 감소하며, 곡류 특히 쌀분말의 효능 때문인지 미백기능이 호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만족도에 관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우수하며, 특히 사용감과 팩을 제거한 후의 느낌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로 제조된 마스크팩은 라이스페이퍼 시트 자체의 부착력을 통하여 피부에 장시간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부착력이 우수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에도 유리하다. 또한 지지체가 쌀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쌀의 미용적 효능도 기대할 수 있으며, 식용 원료만 사용하여 개발 및, 화장품원료기준에 적합한 원료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피부에 안전하다.
상기 제조된 마스크팩은 임상테스트에서 마스크팩에 보습된 화장수에 따라 밀착력이 아주 우수하였으며, 대부분의 임상자들은 먹는 라이스 페이퍼라는 인식 때문인지 피부에 흡수력을 높게 평가하였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1) 쌀 및 밀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곡류 분말 50-90 중량부 (2) 소금 0.1-3 중량부 (3) 타피오카 분말 0.1-10 중량부 (4) 로코스트 빈검 분말 0.5-10 중량부 및 (5) 카르기난 분말 0.1-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2) 여기에 제 1단계 배합물 부피의 0.01 내지 0.8배 부피(v/v)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된 반죽물을 스팀증기를 이용하여 스티밍 (steaming)과 동시에 압출 로울러 혹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10kg/cm2 내지 15kg/cm2 범위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01-5.0mm의 두께 및 840*560mm(가로 * 세로) 시트 크기로 압착하여 스팀된 반죽물을 얻은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의 스팀된 반죽물을 건조하여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제공하는 제 4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건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 하면에 미용용 마스크팩으로서 적용부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모양의 목형에 대고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커팅을 하고(이때 라이스 페이퍼 시트의 성상 유지를 위해 상부 및 하부에 부직포를 각각 부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함) 개개 형태로 프레스작업을 통한 성형을 통하여 성형물을 제공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5단계의 커팅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파우치에 넣은 후에 곡류 전분의 고유의 냄새가 있기 때문에 마스킹할 수 있는 세틸 리시놀레이트(ricinoleate), 콜레스테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롤 이소스테아레이트, 라놀린, 페트롤라툼(petrolatum), 및 피타트리올(phytantriol),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동물성 오일; 초산 토코페롤, 로즈힙오일, 호호바오일, 아마씨 오일, 아몬드오일, 아프리컷 키넬오일, 보리지 오일, 사플라오일,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그 혼합물인 천연 식물오일; 오렌지즙, 녹차즙, 시금치즙, 오미자즙, 복분자즙, 석류즙, 포도즙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인 과일 추출물; 한천, 송진, 녹말가루, 젤라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인 천연점착제; 광물성 오일, 와셀린, C7 -C40 분지쇄 탄화수소, C1 -C30 카르복실산의 C1 -C30 알코올 에스테르, C2 -C30 디카르복실산의 C1 -C30 알코올 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모노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디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트리글리세리드, C1 -C30 카르복실산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에틸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C1 -C30 카르복실산 모노에스테르 및 당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디알킬실록산, 폴리디아릴 실록산, 폴리알카릴실록산, 3 내지 9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메티콘, 식물성 오일, 수소화 식물성 오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C4 -C20 알킬 에테르, 디 C8 -C30 알킬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류 또는 그 혼합물인 지방류; 및 정제수, 콜라겐, 글리세린, 알부틴, 알파하이드록시산, 젤라틴, 베타인, 레시틴, 로즈마린, 화산재, 초산토코페롤, 스쿠왈렌, 1,3-부틸렌글리콜, 오렌지즙, 오이즙, 알로에즙, 히아루론산, 파라벤, 페녹시에탄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그 혼합물인 미용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용을 위한 미용용 보조첨가제를 넣은 후 실링하여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미용수 침지를 통한 얼굴형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 6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이스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미용수 침지를 통한 얼굴형 마스크팩.
KR1020120075020A 2012-07-10 2012-07-10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KR10142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20A KR101421669B1 (ko) 2012-07-10 2012-07-10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20A KR101421669B1 (ko) 2012-07-10 2012-07-10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54A KR20140007654A (ko) 2014-01-20
KR101421669B1 true KR101421669B1 (ko) 2014-07-22

Family

ID=5014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20A KR101421669B1 (ko) 2012-07-10 2012-07-10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03B1 (ko) 2016-02-25 2017-02-0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수분을 함유하는 식물성 전분 페이퍼 마스크 시트
KR20190059187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에?코스메틱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6862A (ko) 2018-10-26 2020-05-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987B (zh) * 2014-04-11 2018-01-19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修复过敏后受损肌肤的脂质体的制备方法
CN105535926A (zh) * 2016-03-02 2016-05-04 佛山市万盈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或治疗皮肤瘙痒症的复合物
CN105727263A (zh) * 2016-03-02 2016-07-06 佛山市万盈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或治疗皮肤瘙痒症的复合物
CN106821859B (zh) * 2017-03-16 2022-06-17 上海芝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敏止痒作用的复合植物提取液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85B1 (ko) * 2007-12-28 2009-04-10 임홍택 라이스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3750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제닉 피부 가용성 터치 필름
KR20110007508A (ko) * 2009-07-16 2011-01-24 (주)티이엔 전분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85B1 (ko) * 2007-12-28 2009-04-10 임홍택 라이스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3750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제닉 피부 가용성 터치 필름
KR20110007508A (ko) * 2009-07-16 2011-01-24 (주)티이엔 전분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03B1 (ko) 2016-02-25 2017-02-0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수분을 함유하는 식물성 전분 페이퍼 마스크 시트
KR20190059187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에?코스메틱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6862A (ko) 2018-10-26 2020-05-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54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669B1 (ko)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CN104523490A (zh) 一种具有美白保湿功效的去角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25671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CN109464361A (zh) 一种鱼子精华霜及其制备方法
KR101563325B1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38832B1 (ko) 중약재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CN113057902A (zh) 一种含水解植物蛋白的油茶籽油面霜及其制备方法
CN107669731B (zh) 一种护肤组合物及其应用、保健品
CN110787088A (zh) 一种淡化唇纹的基础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67129B (zh) 用于护理角蛋白材料的套装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CN112294740A (zh) 一种淡化疤痕的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97191B1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807636B2 (ja) 外用組成物
JP7305161B2 (ja) 皮膚化粧料
KR102300580B1 (ko) 뱅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496A (zh) 一种海藻保湿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CN108619060A (zh) 一种石斛保湿嫩肤组合物及其用途
KR20190062021A (ko) 포도 종초 및 허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