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325B1 -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325B1
KR101563325B1 KR1020150028182A KR20150028182A KR101563325B1 KR 101563325 B1 KR101563325 B1 KR 101563325B1 KR 1020150028182 A KR1020150028182 A KR 1020150028182A KR 20150028182 A KR20150028182 A KR 20150028182A KR 101563325 B1 KR101563325 B1 KR 10156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extract
functional
weight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이헌진
신민철
문정민
김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김정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Priority to KR102015002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온도 감응형 가능성 하이드로 겔을 패치에 적용시켜 그 패치를 신체의 해당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피부가 시원함을 느끼도록 하고, 또 상기 패치를 장시간 부착하여도 피부에 부작용이 없으며, 상기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기능성 물질의 지속적인 용출로 열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한 것으로,
그 구성은, 우레탄필름, 부직포, 기능성 하이드로 겔, 이형필름으로 구성되는 해열 패치를 제조하되,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이다.

Description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lleviate fever patch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온도 감응형 가능성 하이드로 겔을 패치에 적용시켜 그 패치를 신체의 해당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피부가 시원함을 느끼도록 하고, 또 상기 패치를 장시간 부착하여도 피부에 부작용이 없으며, 상기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기능성 물질의 지속적인 용출로 열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한 것이다.
팩 또는 패치는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화장품의 하나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 유지시키는 보습작용, 피부오염을 흡착제거하는 청정작용, 혈액순환 촉진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꿀 수 있게 한다.
다양한 피부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자 하는 방법들로 종래에는 피부 수분의 건조를 막고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 능을 향상시키는 피부 보습용 기술들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수분을 흡수하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결국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행하여져 왔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또한, 각질층의 분화가 피부 수분의 건조를 막는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각질층의 정상적인 턴오버(turn over)를 촉진시키는 각질케어 기술도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다양화에 따른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막거나,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는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기능성 화장품 개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 및 효과를 갖는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피부의 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고, 관련 제품 개발도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피부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피부 내 단백질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되고 활성산소 증가로 인한 노화, 탄력섬유의 분해로 인한 피부 처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J. Invest. Dermatol. 124, 70-78, 2005).
이는 열에 의하여 탄력 섬유의 구성성분인 피브릴린(Fibrillin)의 합성이 저하되고, 증가 된 활성 산소에 의해 트로포엘라스틴(Tropoelastin)의 합성은 과도하게 증가되어 정상적인 탄력 섬유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운 날씨, 태양 광선, 난방시설 등에 의한 과도한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열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고 피부를 진정시켜 건강하게 가꾸어 줄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한국특허등록 10-1351858호의 쿨링 팩용 아로마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팩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 글리세린(Glycerin), 페트롤라툼(petrolatum), 호호바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스쿠알란(Squalane), 쉐어버터(Shea Butt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습윤제(A) 0.1 ~ 9.0 중량%;
우레아(Urea),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멘톨(menthol) 및 캠퍼(camphor)를 포함하는 쿨링화제(B) 0.1 내지 4.5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스테아릭에시드(stearic acid),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C) 0.2 ~ 3.5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은행잎추출물, 센티드제라늄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란토인(Allantoin),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디메치콘(D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스킨컨디셔닝제(D) 0.1 ~ 3.0 중량%;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부제(E) 0.2 ~ 1.0 중량%;
카보머(Carbomer)인 점도조절제(F) 0.1 ~ 0.2 중량%;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인 킬레이트제(G) 0.01 ∼ 0.05 중량%;
향료 0.1 ∼ 0.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쿨링화제(B)의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멘톨(menthol), 캠퍼(camphor)의 중량비는 0.75: 4: 1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팩용 아로마조성물.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특허등록 10-1351858(2014.01.09)
한국공개특허 10-2011-0138479(2011.12.28)
한국공개특허 10-2013-0008228(2013.01.22)
본 발명은 피부 온도에 감응하는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졸 상태 즉, 액체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이 피부에 원활히 전달시키도록 하고, 특히 장시간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기능성 물질의 계속적인 용출로 열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어 해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 구성은, 우레탄필름(10)의 일면에 접착제(15)를 도포한 후 부직포(20)를 접착시키는 단계; 하이드로 겔에 열을 내리는 해열 효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 또는 이형필름(30)의 일 측 표면에 도포한 후 그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상기 부직포와 이형필름의 사이에 위치하게 밀착시켜 패치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패치 시트를 열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반고체상태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로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이 반고체상태로 된 패치 시트를 인체의 적용부위와 준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로 해열 패치를 제조하되,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 패치 컬러화를 위하여 상기 우레탄필름(10)과 부직포(20)를 접착시키기 전의 상기 우레탄필름 또는 부직포에 선택된 색상의 염색 또는 실크 인쇄하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
또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5 ~ 15중량%, Glycerin 10 ~ 40중량%, Sodium hydroxide 1 ~ 10중량%, Agar 0.1 ~ 3중량%, Polysorbate60 0.1 ~ 3중량%,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멘톡시프로판디올 30- 70중량%, 멘틸락테이트 30 -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거나,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거나,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25 - 33중량%, 알로에추출물 31 - 33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의 반고체상태 형성은,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킨 후 그 숙성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1 ~ 3일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는, 인체의 해당부위에 적용시켰을 때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졸 상태 즉, 액체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이 피부에 원활히 전달되면서 열을 내려주고, 특히 장시간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부작용이 없으며, 상기 기능성 물질의 계속적인 용출로 인하여 열을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게 하는 해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각 패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 패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 패치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필름(10)의 일면에 접착제(15)를 도포한 후 부직포(20)를 접착시키는 단계; 하이드로 겔에 열을 내리는 해열 효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 또는 이형필름(30)의 일 측 표면에 도포한 후 그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상기 부직포와 이형필름의 사이에 위치하게 밀착시켜 패치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패치 시트를 열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반고체상태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로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이 반고체상태로 된 패치 시트를 인체의 적용부위와 준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로 해열 패치를 제조하되,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 패치 컬러화를 위하여 상기 우레탄필름(10)과 부직포(20)를 접착시키기 전의 상기 우레탄필름 또는 부직포에 선택된 색상의 염색 또는 실크 인쇄하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
또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5 ~ 15중량%, Glycerin 10 ~ 40중량%, Sodium hydroxide 1 ~ 10중량%, Agar 0.1 ~ 3중량%, Polysorbate60 0.1 ~ 3중량%,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멘톡시프로판디올 30- 70중량%, 멘틸락테이트 30 -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거나,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거나,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25 - 33중량%, 알로에추출물 31 - 33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의 반고체상태 형성은,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킨 후 그 숙성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1 ~ 3일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에 대한 효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1) 멘톡시프로판디올은, 피부나 점막에 대해서 생리적으로 차가운 감을 주는, 소위 냉감(청량) 작용을 가진 물질로써, 일부 식료품, 의약품, 음료, 치약, 담배 등에 배합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멘톡시프로판디올은,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의 일종으로 꿀풀과(科)의 다년생 숙근초인 박하(Peppermint/Mentha arvensis var,Piperascens)의 원유에서 추출해 낸 박하뇌와 박하유의 주성으로 독특한 상쾌 감이 있는 향이 나는 무색의 침상(針狀)결정으로서, 물에서는 거의 녹지않고 에탄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는 잘 녹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멘톡시프로판디올을을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이며,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거나, 멘톤ㆍ프레곤ㆍ피페리톤ㆍ티몰ㆍ이소프레골 등의 케톤기 또는 이중 결합에 물을 첨가하면 용이하게 합성된다. 최근에는 정제법이 발달하여 천연품 못지 않은 합성 L-멘톨을 얻고 있다.
2) 멘틸락테이트는, 멘톨을 원료로 제조한 해열제로써, 해열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고, 매우 부드러운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으며, 원료는 glycol oil, perfume oil에 섞은 후 샴푸, 샤워젤, form bach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3) 오이는, 그 성질이 찬 것으로 몸의 열을 내리는데 효과가 있고, 수분이 95%로 가장 많으며, 당질 2.4g,단백질 0.9g, 회분0.6g, 지질0.1g, 비타민 11.29㎎∼16.25㎎이상이고 무기질189㎎ 등이 함유된 강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화된 몸을 중화시키고 이뇨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주며, 해독효과가 뛰어나 화상의 명약으로 손꼽히며, 가려움증이나 땀띠 등을 가라앉히고, 비타민C가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옛날부터 오이는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어 마사지, 보습 등의 용도로 화장품, 비누 등에 적용되고 있다.
4) 알로에는,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등의 항생물질과 상처 치유에 좋은 호르몬, 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상처 부위 세포의 재생 및 조직형성과 영양분공급, 화상, 동상, 찰과상 등 피부염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 특히 열을 내려주는 작용이 매우 뛰어나 열로 인한 각종 질환 및 화상에 좋다.
또 상기 알로에는, 세포재생과 세포증식 유도효과로 인한 신체의 노화방지와, 알프로젠 성분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 억제와, 보습작용이 좋고, 멜라닌색소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송이버섯은, 다양한 아미노산과 비타민, 글리세롤, 만니톨 펙틴, 키틴, 포도당, 셀룰로오즈 등이 함유하고 있고, 특이 몸에 열이 많거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비만인 사람에게 좋으며, 무기질과 비타민이 피부를 윤기 있고 탄력 있게 만들어 주고, 기운의 순환을 촉진해주는 효능이 있다.
6) 황백은, 운향(rutaceae)과에 속하는 황벽나무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황경피라고도 하며, 학명은 Phellodendron amurense Rupr라 한다. 결막염, 당남염, 만성대장염, 세균성적리에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염증, 폐염, 골결핵, 감기, 살균약, 소염약으로 쓰이며, 기타 전염성 질병에 해열약으로도 쓰이는 등 유용한 생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종구 등, 황백(黃柏)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 억제 물질의 분리, 한국생약학회 38(4), 387-393, 2007).
7) 당근은, 베타카로틴, 비타민 C, E, 클로로필 등이 들어 있어 항암작용이 있고 그 외에 마그네슘, 요오드, 불소, 칼륨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분들이 골고루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 비타민 A는 항산화제(유리라디칼 제거제)의 기능으로 인해 피부의 색소침착과 주름 형성을 막아 주어 피부 미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비타민 A의 세포의 정상적인 증식과 분화조절기능은 표피의 정상적인 각질화 및 피부 점막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비타민 A가 부족하면 피부 점막에서 점액 분비가 감소하고 과도한 건조화 및 노화, 각질화가 증가된다.
특히 녹황색 채소에 많은 카로티노이드는 체내에서 비타민A로 전환될 수 있는 비타민 A 전구체로서 당근에 풍부하게 들어있다.
카로티노이드는 피부에 대한 보호 효과가 활발히 연구 되어진 카로티노이드 중의 하나이다. 카로티노이드가 자외선 관련 손상, 햇빛 화상, 암, 기타 피부질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음이 보고있다.
실제로 식이로 섭취한 카로티노이드는 피부에 축적되며 카로티노이드는 피부조직의 항산화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8) 구기자는, 피부미용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 등이 풍부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해주고 주름을 방지해주며, 기미나 주근깨 등의 색소의 침착을 막아 피부미용에 도움이 된다.
또한 구기자는 피부미용과 함께 노화방지에도 도움이 되는데,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는 체내의 활성산소의 작용으로 피부 세포의 재생 및 생산이 떨어지면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구기자에 풍부한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해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 각 원료에서 본 발명의 해열 효능을 얻기 위한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하며, 그 열수추출법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수득 된 각 원료를 세척하고 그 세척된 원료를 물과 함께 가열용기에 공급한 후 강한 불로 가열하여 끓이다가 약한 불로 낮추어 끓이는 방법을 복수 회 실시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득 된 원료 중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원료를 세절하고 그 세절 된 원료를 가열용기에 중량%로 물 85 - 95 : 세절원료 5 - 15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가열용기를 강한 불로 가열하며 끓이다가 약한 불로 물의 양이 40 - 60% 남을 때까지 끓인 후 침전물과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침전물과 부유물이 제거된 가열용기에 다시 상기 초기 가열용기의 물 70 - 80% 유지되게 투입하고 강한 불로 가열하며 끓이다가 약한 불로 물의 양이 10 - 20% 남을 때까지 끓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a) 우레탄필름의 일면에 부직포를 접착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a) 단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필름(10)의 일면에 접착제(15)를 도포한 후 부직포(20)를 접착시키는 단계로써, 우레탄필름(10)을 사용하는 이유는,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의 굴곡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20)를 사용하는 이유는, 피부와 긴밀한 접촉 력을 유지함은 물론, 피부에 안전하고,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충분히 함수 함과 동시에 장기간 보관되어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해열 패치 컬러화를 위하여 상기 우레탄필름(10)과 부직포(20)를 접착시키기 전의 상기 우레탄필름 또는 부직포에 선택된 색상의 염색 또는 실크 인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b)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b) 단계는 본 발명의 열 내림 효능을 갖는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로써, 이는 본 발명의 주 특징적인 내용임으로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함.
c)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 또는 이형필름(30)의 일 측 표면에 도포한 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상기 부직포와 이형필름의 사이에 위치하게 밀착시켜 패치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써, 상기 일 측에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도포 된 부직포와 이형필름을 밀착시키는 방법은, 롤링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필름(30)과 부직포(20)에 합포시킨다.
d) 패치 시트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 반고체상태 형성 단계
본 발명의 d) 단계는 상기 패치 시트를 열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을 반고체상태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로 형성시키는 단계로써,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의 반고체상태로 형성시키는 일실시 예는,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킨 후 그 숙성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1 ~ 3일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다.
상기 부직포(20)와 이형필름(30)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능성 하이드로 겔은 졸 상태에 가까움으로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킨 다음 1 ~ 3일간 건조시켜 반고체상태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로 형성시켜야 유통 또는 보관 중에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키는 이유는,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는 하이드로 겔과,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의 효소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숙성되어 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e) 패치 시트 재단 단계
본 발명의 e)) 단계는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이 반고체상태로 된 패치 시트를 인체의 적용부위와 준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로써, 이는 사람의 얼굴 전체 또는 사람의 얼굴 일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인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본 발명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 제조방법은,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이드로 겔을 조성하는 상기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은, 미용 팩 또는 패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그 일실시 예의 조성은, Polyacrylic acid 5 ~ 15중량%, Glycerin 10 ~ 40중량%, Sodium hydroxide 1 ~ 10중량%, Agar 0.1 ~ 3중량%, Polysorbate60 0.1 ~ 3중량%,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30- 70중량%, 멘틸락테이트 30 -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이유는, 상기 3) 내지 8)에서 설명한 효능을 본 발명의 패치에서 발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기능성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인데, 그 이유는, 상기 3) 내지 8)의 한방식물에 따라 열 내림 및 피부보호와 미백 효능이 다르기 때문에 그 각기 다른 효능을 본 발명의 패치에 적용함에 있어 정형화(평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능성 물질이 1중량% 미만 사용하게 되면 열 내림(냉각) 효능이 미미하고, 3중량% 초과 사용하게 되면 열 내림(냉각) 및 피부보호와 미백 효능은 좋을 수 있으나, 기능성 하이드로 겔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여성가슴 탄력향상을 위한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조성하는 시험 예를 아래 표 1에 나타냈으며, 그 표 1의 실험 예에 따른 열 내림 효과는 도 1에 나타내었고, 시험결과는 아래 표 2 내지 표 4와 같다.
- 아 래 -

원료명
실험예 1
(중량%)
실험예 2
(중량%)
실험예 3
(중량%)
실험예 4
(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0.1 0.1 -
멘틸락테이트 - 0.1 0.1 -
오이추출물 0.5 0.5 0.5 -
알로에추출물 0.5 0.5 0.5 -
송이버섯추출물 0.1 0.1 0.1 -
황백추출물 0.1 0.1 0.1 -
당근추출물 0.1 0.1 0.1 -
구기자추출물 0.1 0.1 0.1 -
D.W 98.50 98.50 98.40 -
합 계 100 100 100 100
- 시험방법 : 2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실시예로 제조한 패치를 30분간 사용 후 느끼는 냉각효과의 정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이때 패치의 사용 부위는 얼굴 부위로 하였으며, 냉각효과의 등급을 (0:전혀 냉각효과를 느끼지 못함. 10:매우 시원함) 정하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 시험결과 : 실시예 1
시간(min)
설문자
5 10 15 20 25 30
남 1 5 4 0 0 0 0
남 2 5 4 0 0 0 0
남 3 4 4 0 0 0 0
남 4 5 4 0 0 0 0
남 5 5 3 0 0 0 0
남 6 6 3 0 0 0 0
남 7 5 4 0 0 0 0
여 1 6 4 0 0 0 0
여 2 6 3 0 0 0 0
여 3 6 3 0 0 0 0
여 4 6 4 0 0 0 0
여 5 6 4 0 0 0 0
여 6 5 4 0 0 0 0
여 7 5 3 0 0 0 0
여 8 5 3 0 0 0 0
여 9 5 4 0 0 0 0
여 10 5 3 0 0 0 0
여 11 6 4 0 0 0 0
여 12 5 4 0 0 0 0
여 13 5 4 0 0 0 0
- 시험결과 : 실시예 2
시간(min)
설문자
5 10 15 20 25 30
남 1 6 6 5 0 0 0
남 2 5 6 5 0 0 0
남 3 5 6 5 0 0 0
남 4 5 6 4 0 0 0
남 5 6 6 5 0 0 0
남 6 6 6 5 0 0 0
남 7 6 6 4 1 0 0
여 1 5 6 5 0 0 0
여 2 5 6 4 0 0 0
여 3 5 6 5 0 0 0
여 4 6 6 4 1 0 0
여 5 6 6 5 0 0 0
여 6 6 6 5 0 0 0
여 7 6 6 4 0 0 0
여 8 6 6 5 1 0 0
여 9 6 6 5 0 0 0
여 10 6 6 5 1 0 0
여 11 6 6 5 0 0 0
여 12 6 7 4 1 0 0
여 13 6 6 4 0 0 0
- 시험결과 : 실시예 3
시간(min)
설문자
5 10 15 20 25 30
남 1 6 7 6 5 3 0
남 2 5 7 6 5 3 0
남 3 5 8 6 5 3 0
남 4 5 8 6 5 3 2
남 5 6 7 6 5 3 0
남 6 6 8 6 5 3 0
남 7 6 8 6 5 3 3
여 1 5 8 6 5 3 0
여 2 5 8 6 5 3 0
여 3 5 8 6 5 3 0
여 4 6 7 6 5 3 0
여 5 6 8 7 6 3 3
여 6 6 8 7 5 3 0
여 7 6 8 7 6 3 0
여 8 6 8 6 5 3 1
여 9 6 7 6 5 3 0
여 10 5 8 6 6 3 0
여 11 7 7 6 5 4 1
여 12 6 8 6 5 3 0
여 13 6 7 6 6 3 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치의 열 내림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 우레탄필름 15 : 접착제
20 : 부직포 25 : 하이드로 겔
30 : 이형필름

Claims (9)

  1. 우레탄필름(10)의 일면에 접착제(15)를 도포한 후 부직포(20)를 접착시키는 단계;
    하이드로 겔에 열을 내리는 해열 효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 또는 이형필름(30)의 일 측 표면에 도포한 후 그 기능성 하이드로 겔이 상기 부직포와 이형필름의 사이에 위치하게 밀착시켜 패치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패치 시트를 열처리 후 건조시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반고체상태의 기능성 하이드로 겔로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25)이 반고체상태로 된 패치 시트를 인체의 적용부위와 준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로 해열 패치를 제조하되,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Glycerin, 물, Sodium hydroxide, Agar, Polysorbate60 으로 조성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멘톡시프로판디올, 멘틸락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혼합된 기능성 혼합물에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송이버섯추출물, 황백추출물, 당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중 2가지 이상의 한방식물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 겔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혼합비는, 하이드로 겔 97 - 99중량%, 기능성 물질 1 -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열 패치의 컬러화를 위하여 상기 우레탄필름(10)과 부직포(20)를 접착시키기 전의 상기 우레탄필름 또는 부직포에 선택된 색상의 염색 또는 실크 인쇄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 겔은, Polyacrylic acid 5 ~ 15중량%, Glycerin 10 ~ 40중량%, Sodium hydroxide 1 ~ 10중량%, Agar 0.1 ~ 3중량%, Polysorbate60 0.1 ~ 3중량%, 나머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멘톡시프로판디올 30- 70중량%, 멘틸락테이트 30 -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31.5 - 38.5중량%, 알로에추출물 31.5 - 33.5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오이추출물 25 - 33중량%, 알로에추출물 31 - 33중량%, 송이버섯추출물 6 - 7중량%, 황백추출물 6 - 7중량%, 당근추출물 6 - 7중량%, 구기자추출물 6 - 7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6 - 7중량%, 멘틸락테이트 6 - 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의 반고체상태 형성은, 50 ~ 80℃로 2 ~ 4일간 숙성시킨 후 그 숙성된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1 ~ 3일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KR1020150028182A 2015-02-27 2015-02-27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82A KR101563325B1 (ko) 2015-02-27 2015-02-27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82A KR101563325B1 (ko) 2015-02-27 2015-02-27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325B1 true KR101563325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182A KR101563325B1 (ko) 2015-02-27 2015-02-27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3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515A (ko) 2015-11-06 2017-05-16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건조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 하이드로겔 시트
KR101768709B1 (ko) 2015-12-30 2017-08-16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종아리 부종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6616A (ko) * 2016-10-28 2018-05-09 김관석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졸음방지 패치의 제조방법
CN108410105A (zh) * 2018-02-08 2018-08-17 武汉南雪药业有限公司 一种热敏感温水凝胶及双面透明膜变色退热贴
KR102068537B1 (ko) 2018-09-14 2020-02-11 (주)코바스 해열패치
KR20210052717A (ko) *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44B1 (ko) 2004-03-22 2006-10-25 안국건강 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864541B1 (ko) 2007-06-15 2008-10-21 주식회사 제닉 상변화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44B1 (ko) 2004-03-22 2006-10-25 안국건강 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864541B1 (ko) 2007-06-15 2008-10-21 주식회사 제닉 상변화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515A (ko) 2015-11-06 2017-05-16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건조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 하이드로겔 시트
US10765194B2 (en) 2015-11-06 2020-09-08 Lotte Fine Chemical Co., Ltd. Method of preparing dry hydrogel sheet and dry hydrogel sheet prepared by the same
KR101768709B1 (ko) 2015-12-30 2017-08-16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종아리 부종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6616A (ko) * 2016-10-28 2018-05-09 김관석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졸음방지 패치의 제조방법
KR101897741B1 (ko) 2016-10-28 2018-09-12 김관석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졸음방지 패치의 제조방법
CN108410105A (zh) * 2018-02-08 2018-08-17 武汉南雪药业有限公司 一种热敏感温水凝胶及双面透明膜变色退热贴
KR102068537B1 (ko) 2018-09-14 2020-02-11 (주)코바스 해열패치
KR20210052717A (ko) *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KR102482748B1 (ko) * 2019-10-30 2022-12-30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325B1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9044941B (zh) 一种皮肤紧致滋养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50002581A (ko)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00132B1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US20140227204A1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78559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50106070A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0950A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