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344B1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8344B1 KR100638344B1 KR1020040019196A KR20040019196A KR100638344B1 KR 100638344 B1 KR100638344 B1 KR 100638344B1 KR 1020040019196 A KR1020040019196 A KR 1020040019196A KR 20040019196 A KR20040019196 A KR 20040019196A KR 100638344 B1 KR100638344 B1 KR 100638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weight
- composition
- present
- sympto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성분명 | 배합비율(중량 %) |
결명자 추출물 | 7.77 |
황기 추출물 | 22.23 |
토사자 추출물 | 11.12 |
복분자 추출물 | 5.55 |
지각 추출물 | 11.12 |
황정 추출물 | 7.77 |
구기자 추출물 | 26.67 |
감초 추출물 | 7.77 |
계 | 100.0 |
성분명 | 배합비율(중량%) |
실시예 2-1의 조성물 | 55.556 |
빌베리추출물 분말 | 0.444 |
포도씨 추출물 분말 | 0.444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0.778 |
좁쌀풀 분말 | 0.222 |
베타카로틴(10%) 분말 | 0.667 |
초유 | 2.222 |
해조칼슘 | 2.222 |
비타민 C | 1.111 |
비타민 B1 염산염 | 0.133 |
비타민 B2 염산염 | 0.178 |
비타민 E 분말 | 2.222 |
만니톨 | 11.222 |
솔비톨 | 8.889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0.911 |
스테비오싸이드 | 0.222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 1.222 |
백당 | 10.222 |
포도향 | 1.111 |
총 | 100.00 |
Claims (4)
- 결명자 추출물 5-10중량%, 황기 추출물 18-27중량%, 토사자 추출물 5-15중량%, 복분자 추출물 3-8중량%, 지각 추출물 7-15중량%, 황정 추출물 5-10중량%, 구기자 추출물 20-30중량% 및 감초 추출물 5-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 삭제
-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 1항의 결명자 추출물 5-10중량%, 황기 추출물 18-27중량%, 토사자 추출물 5-15중량%, 복분자 추출물 3-8중량%, 지각 추출물 7-15중량%, 황정 추출물 5-10중량%, 구기자 추출물 20-30중량% 및 감초 추출물 5-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복합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의 예방용 건강 기능 식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196A KR100638344B1 (ko) | 2004-03-22 | 2004-03-22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196A KR100638344B1 (ko) | 2004-03-22 | 2004-03-22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4079A KR20050094079A (ko) | 2005-09-27 |
KR100638344B1 true KR100638344B1 (ko) | 2006-10-25 |
Family
ID=3727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9196A KR100638344B1 (ko) | 2004-03-22 | 2004-03-22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834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87928A (zh) * | 2015-06-29 | 2015-09-09 | 关则钦 | 一种缓解视力疲劳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KR101563325B1 (ko) | 2015-02-27 | 2015-10-27 |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563324B1 (ko) | 2015-02-27 | 2015-10-27 |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눈 피로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5509B1 (ko) | 2019-04-10 | 2020-12-02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처리된 흑임자를 이용한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 |
-
2004
- 2004-03-22 KR KR1020040019196A patent/KR100638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325B1 (ko) | 2015-02-27 | 2015-10-27 |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563324B1 (ko) | 2015-02-27 | 2015-10-27 |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눈 피로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
CN104887928A (zh) * | 2015-06-29 | 2015-09-09 | 关则钦 | 一种缓解视力疲劳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4079A (ko) | 2005-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7917B2 (en) |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 |
CN103168883A (zh) |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 |
KR100771524B1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 |
EP3009139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composite extract of rehmannia glutinosa and pueraria lobata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mptoms | |
KR100824970B1 (ko) |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 |
KR100522579B1 (ko) |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
KR100638344B1 (ko)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20050004950A (ko) | 복합생약을 함유한 생리통 및 월경불순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
KR100806035B1 (ko) | 신경안정 및 항불안 효능을 갖는 산국화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 |
KR101520417B1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543405B1 (ko) |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20089045A (ko) |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
KR100646595B1 (ko) |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 |
KR101088299B1 (ko) |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20100089910A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538983B1 (ko)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 |
KR20060030575A (ko)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0555653B1 (ko) |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060025914A (ko) |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
KR102496864B1 (ko) |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102158852B1 (ko) | 베타인 함량이 증대된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JP6063499B2 (ja) | 生地黄、枸杞子、沈香、茯苓、高麗人蔘と蜂蜜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男性不妊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 |
KR100629625B1 (ko) | 신경세포손상 보호 활성이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275824B1 (ko) |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881368B1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