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87B1 -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87B1
KR102086687B1 KR1020180092901A KR20180092901A KR102086687B1 KR 102086687 B1 KR102086687 B1 KR 102086687B1 KR 1020180092901 A KR1020180092901 A KR 1020180092901A KR 20180092901 A KR20180092901 A KR 20180092901A KR 102086687 B1 KR102086687 B1 KR 10208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yellow
skin
cosmetic composition
pum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699A (ko
Inventor
김형길
김윤희
Original Assignee
김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길 filed Critical 김형길
Priority to KR102018009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란색 색상을 갖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을 결합한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름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노란색 색상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피부트러블이 감소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A yellow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of a plant complex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세포의 변이, 활성산소 등의 외부자극에 의해 노화나 잡티, 주름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만 다양한 주요 원인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노화는 피부의 주름형성, 탄력저하 및 반점형성 등으로 나타나는데, 보통 어릴 때는 피부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흉터가 남지 않지만 나이가 들어 피부 손상이 일어나게 되면 흉터가 쉽게 남는데, 이는 피부 재생에 필요한 피부각질 줄기세포와 전이-증폭 세포의 증식속도가 노화에 따라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세포들의 증식속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피부재생 능력이나 주름형성, 상처 치유속도의 지연, 피부탄력 감소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현재 수준의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피부관리 또는 마사지용 화장품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104703호는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재생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재생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경피흡수가 용이하고 세포독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부재생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 방지 및 피부관리에 유용하고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고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119062호에서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혈청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무혈청배지에서 계대배양한 후 여과하여 얻은 줄기세포 배양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인간의 시각은 뇌 활동의 70%를 담당하며, 시각적 요소 중 컬러가 차지하는 비율은 30%로, 컬러는 인간의 정신 및 육체에 영향을 주며, 자극을 줌으로써 인체의 에너지 패턴을 조절하여 신체의 질서와 균형 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색의 에너지와 성질을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활력을 키우는 새로운 대체의학인 컬러테라피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 및 효능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컬러테라피는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의 미용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컬러테라피를 적용한 화장품은 그 효과가 배로 증폭되는 등 본래의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피부 관리에 활용되는 컬러테라피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한편, 컬러테라피에서 노란색은 지식과 행복, 도전을 상징하는 색으로서, 밝고 낙천적인 마음과 다양한 것들을 받아들이는 열린 마음 등을 의미하며, 노란색 환경에 노출함으로써 피부트러블 및 좌뇌 자극에 도움을 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노란색 컬러를 갖는 생강 (Zingiber officinale), 망고 Mangifera indica), 개나리 (Forsythia suspensa), 옥수수 (Zea mays), 울금 (Curcuma longa Linne), 귤피(Citrus Unshiu), 고구마 (Ipomoea batatas) 및 호박 (Cucucrbita pepo)이 혼합된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노란색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KR 1020180052151 A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향상시키고 심리적으로 피부트러블이 감소하는 정화 효과를 주는 천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노란색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이 혼합된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은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생강, 망고, 개나리, 옥수수, 울금, 귤피, 고구마 및 호박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개나리, 옥수수, 울금 및 호박을 열수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생강, 망고, 귤피 및 고구마를 에탄올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에 보습제 및 방부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물은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지는 다가알콜계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및 살리실산 (Salicylic aci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의 열수추출은 80 내지 110℃에서 2 내지 12시간 동안 하며, 상기 (c) 단계의 에탄올 추출은 85 내지 11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노란색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에 따라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피부 주름개선 효능을 향상시키며, 노란색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피부트러블이 감소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눈가 주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눈가 주름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상자 8번에 대한 PRIMOS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은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이 혼합된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생강 (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생강 뿌리줄기에는 정유성분으로 α-zingiberene, β-bisabolene, 1,8-cineole, camphene, α-phellandrene, sesquiphellandrene, α-curcumene, 자극성 성분으로 6-,4-,8-,10-,12-gingerols, 6-gingerdione, 6-shogaol, 8-shogaol, 6-gingediol (6-gingerdiol), 6-gingediol-5-acetate, 6-gingediol-3-acetate, 6-gingediacetate, 디아릴헵타노이드 성분으로 gingerenones A, B, C, isogingerenone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생강의 유효성분인 진저롤 (gingerol)과 쇼가올 (shogaol)은 혈액순환을 활성화하고 혈압과 체온을 정상화해 수족냉증을 개선하며, 혈관 내 콜레스테롤을 배출하는 등 동맥경화나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생강은 몸 안의 독소를 정화시키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원활한 혈액순환 효과로 피부 세포에 더 많은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여 안색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자외선 화상 등 피부진정에 효과적이며, 체내 염증을 막고 붓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살균, 항염, 식욕증진, 소화 흡수를 돕는 등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다.
상기 망고 (Mangifera indica)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옻나무과 과일로, 비타민 A, B, C, E 등의 필수비타민류와 칼륨, 인, 구리, 철 등의 무기염류, 17가지의 아미노산류가 풍부하여 생체균형을 이루게 하며, 항산화 색소인 카로틴류, 폴리페놀류, 오메가-3 및 6-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망고 껍질에서 분리한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 프로비타민 (provitamin)A 화합물, 베타카로틴 (beta-carotene), 루테인 (lutein), 알파카로틴 (alpha-carotene), 쿼시틴 (quercetin), 캠퍼롤 (kaempferol), 갈산 (gallic acid), 카페산 (caffeic acid), 카테킨 (catechin), 타닌 (tannin), 망고크산톤 (mango xanthone), 망기페린 (mangiferin) 등의 항산화 효과는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망고의 성분 중 트리테르펜 (triterpene)인 루페올 (lupeol)은 동물실험에서 피부암과 전립선암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망고의 나무껍질에서 분리한 비망 (vimang) 또한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카로틴이 푸른잎 채소와 거의 같은 양으로 들어있어 피부보호, 주름개선, 항산화작용, 피부건강유지의 효능이 있다.
상기 개나리 (Forsythia suspensa)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열매껍질의 추출물이나 분해물은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열(寒熱),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小便不利), 종기, 신장염, 습진 등에 처방한다. 개나리는 최근 의약품이나 화장품 개발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당뇨나 비만 같은 대사성 질환 치료나 미백, 보습 등의 화장료 조성물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옥수수 (Zea mays)는 벼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밀, 벼와 함께 세계 3대 식량 작물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옥수수는 수분 (약 64%) 외에 탄수화물 (29.4%), 단백질 (8.9%), 지질 등과 무기질,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옥수수의 씨눈에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또한 비타민 B1, B2, E와 칼륨, 철분 등의 무기질도 풍부하며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다이어트와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씨방에서 연결된 비단실 모양의 암술대가 옥수수수염으로 이뇨작용을 하고 부기를 빼주어 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옥수수수염 추출물에 들어있는 메이신 계통 물질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해 혈관질환을 개선하고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 또한, 옥수수수염 농축액은 항산화 작용, 피부보습,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옥수수겨 추출물은 피부 항노화 성분이 풍부하고 피부 항산화 활성은 물론 미백 기능성,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울금 (Curcuma longa Linn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약리 실험에서 이담(利膽), 간기능 회복, 중추신경 흥분, 위액 분비 촉진, 진통,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으며,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 통증을 완화시킨다. 또한,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능이 있으며, 정신을 맑게 하고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므로 담즙 분비 촉진과 담낭 결석 치료에도 쓰인다. 또한, 울금 추출물은 항균성, 항노화, 항산화, 피부 보습, 피부 각질 제거 기능을 가져 피부 노화가 방지되고 주름이 개선된다고 발표된 바 있다.
상기 귤피는 귤 껍질을 말린 것으로, 귤피는 알맹이보다 무려 4배 가량의 비타민이 들어있어 면역력을 증가시켜 감기예방 효과가 있으며, 정유성분이나 헤스페리딘이 풍부하여 소화를 촉진시켜 몸에 있는 체지방을 분해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피부미용에 좋으며, 체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약리작용으로는 위액 분비 촉진 작용, 소화 작용 등이 밝혀졌으며,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고구마 (Ipomoea batatas)는 한국 전역에 널리 재배되는 메꽃과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로,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흰색 유액 성분인 알라핀은 변을 부드럽게 하여 장운동을 촉진하므로 다이어트와 변비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로 해소, 스트레스 완화, 신경 안정에 도움을 주며, 베타카로틴은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관을 건강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피부 노화와 암 예방에 효능이 있다. 이 외에도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의 배출을 도와 체내 혈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고구마의 줄기에는 칼슘, 철, 아연 등의 무기질과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상기 호박 (Cucucrbita pepo)은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채소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며, 피부미용과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발표됐다. 호박은 동양계 호박, 서양계 호박, 페포계 호박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동양계 호박에 속하는 애호박은 당질과 비타민 A, C가 풍부하여 소화 흡수가 잘 되며, 아연, 망간이 소량 함유되어 있어 생식기능 및 면역계에 도움이 되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준다. 서양계 호박에 속하는 늙은 호박에는 우리 몸속에서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해 이뇨작용을 촉진하며,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체내에 불순물을 제거하여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늙은 호박의 진한 노란빛은 카로티노이드 색소 때문인데, 체내에 흡수되면 비타민 A로 전환되어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화되는 것을 막으면서 암세포의 증식을 늦추는 등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비타민 B2, C가 풍부하여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된다. 페포계 호박에 속하는 주키니는 수분이 많고 베타카로틴, 비타민C, 칼륨, 철분 등이 풍부하며, 비타민C는 콜라겐 생성을 도와서 피부 건강을 지켜주는 작용을 한다. 한편, 호박씨에는 각종 비타민뿐만 아니라 칼슘, 칼륨, 인이 풍부하고, 머리를 좋게 하는 레시틴과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으며, 레시틴은 혈액 순환을 돕고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고혈압이나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은 꽃, 잎, 줄기, 뿌리 등과 같이 노란색 식물에서 추출할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은 유효적인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이 0.1 중량% 미만이면 기대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첨가량만큼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나타나지 않아 비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개나리, 옥수수, 울금 및 호박은 각각 80 내지 110℃에서 2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생강, 망고, 귤피 및 고구마는 각각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85 내지 11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에탄올 추출한 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여과 시 필터는 0.1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1회 이상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의 기공 크기가 0.1 ㎛ 미만인 경우 필터가 초정밀하여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5 ㎛를 초과하는 경우 기공 크기가 너무 커서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유효적인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과 보습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습제:방부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 20~3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지는 다가알콜계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만니톨이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및 살리실산 (Salicylic aci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일 예로 화장수, 에센스, 겔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 제조
생강, 망고, 개나리, 옥수수, 울금, 귤피, 고구마 및 호박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생강 60 g에 에탄올 1200 ㎖를 가하여 95℃에서 2시간 동안 에탄올추출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생강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강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망고추출물, 귤피추출물 및 고구마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건조된 개나리 60 g에 증류수 1200 ㎖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0.45 ㎛ 필터로 여과하여 개나리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개나리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1:1:2:1:2:2: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을 67:3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된 추출물을 40:1의 비율로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 동안 감압농축한 뒤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의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 1 중량부, 밀납 0.5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모노스테아르산) 1.5 중량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0.5 중량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5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2 중량부, 알지닌 0.2 중량부, 및 방부제 미량의 제조비로 이루어진 노란색 색상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주름개선 효능 평가
만 35세 내지 55세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안면 (눈가) 부위의 주름을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안 후 안면을 코를 기준으로 나누어 한 쪽은 상기 실시예 1을, 다른 한 쪽은 대조군을, 크림 단계에서 1일 2회 (아침, 저녁) 적당량 도포하였다. 측정 전, 대상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안면을 깨끗하고 마른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최소 30분간 항온항습 (22±2℃, R.H. 40~60%)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 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주름 측정은 도포 개시 전과 도포 개시 후 2주 및 4주 경과한 시점에 각각 5회씩 실시하였으며, 측정한 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제외한 3개의 값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주름은 PRIMOS (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Ski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부위에 대한 정확한 재현성을 위해 기존 측정부위와 새로운 측정부위가 동일할 수 있도록 overlay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RIMOS는 미세주름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에서 생성된 미세한 줄무늬 (fringe fraction)가 피부에 투영되고, 투영된 영상은 3차원 profile 정보로 나타나며, 필터과정을 통해 PRIMOS 프로그램 (GFM, Germany)으로 분석된다. PRIMOS 분석 변수로는 Ra (Arithmetic roughness average)와 R3z (Base roughness depth)를 선정하였으며, 단위는 ㎛이다. Ra는 PRIMOS로 측정된 주름의 거칠기 단면 peak에 대한 산술 평균값으로, Ra 값이 작아질수록 피부 주름의 깊이가 낮아져 주름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R3z는 R3z1부터 R3z5까지 5가지의 단일 거칠기 깊이에 대한 산술 평균으로 나타내며, 단일 거칠기 깊이는 거칠기 단면의 단일 평가 거리 (Ir)에서 세 번째로 높은 단면 peak과 세 번째로 깊은 곡선 사이의 수직거리이다. R3z 값이 작아질수록 피부 주름의 깊이가 얇아져 주름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통계분석은 상기 실시예 1과 대조군간의 눈가 주름 변화에 대한 비교를 위해 독립검정법 (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 결과는 생물학적 통계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의차 5%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간주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80 software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눈가 주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대상자 실시예 1 대조군
Ra R3z Ra R3z
0w 2w 4w 0w 2w 4w 0w 2w 4w 0w 2w 4w
1 13.8 14.1 13.9 34.2 34.4 33.4 13.3 13.3 13.0 32.9 32.3 33.6
2 15.3 15.0 14.5 32.3 31.9 31.2 13.7 14.3 14.0 33.6 33.2 33.1
3 13.3 13.8 12.6 35.8 34.7 32.6 13.2 13.9 13.1 32.0 34.9 32.5
4 14.8 14.3 14.7 39.6 40.6 36.4 14.5 14.1 14.8 34.0 35.0 34.4
5 12.7 12.7 12.7 32.6 33.2 31.3 11.3 12.2 12.3 27.4 27.9 28.0
6 19.5 19.0 20.0 45.9 51.1 45.9 13.3 14.8 14.3 35.8 39.3 35.2
7 15.3 14.6 14.3 37.3 36.5 34.5 13.5 13.0 13.9 30.2 30.0 27.8
8 15.6 14.8 13.8 38.7 33.7 32.9 13.1 12.9 12.9 34.9 34.0 32.1
9 17.6 17.1 16.7 36.7 37.5 37.4 15.5 15.4 15.7 36.5 36.7 36.4
10 15.7 16.0 14.8 34.1 33.2 32.1 14.9 15.2 14.7 33.6 33.5 33.3
11 13.2 13.9 13.7 34.4 36.7 34.7 13.7 13.5 12.4 27.9 27.6 28.0
12 15.7 15.0 14.0 38.3 38.9 36.0 14.7 15.0 14.5 33.8 34.7 37.3
13 17.2 17.0 16.9 42.8 43.4 40.9 17.1 17.3 16.7 42.1 42.3 41.1
14 18.8 18.5 19.1 39.4 36.1 37.1 17.4 18.0 18.2 39.9 38.1 38.2
15 15.0 17.9 14.6 36.9 35.2 35.0 17.7 17.5 16.2 43.2 41.8 40.9
16 24.1 24.0 23.9 51.3 50.5 50.1 20.2 19.6 19.7 46.7 44.4 44.2
17 9.1 11.4 9.3 22.4 24.3 22.3 11.3 11.7 11.4 26.7 26.7 26.6
18 18.2 17.5 16.0 44.0 39.8 37.4 20.6 20.2 20.2 46.8 45.0 46.8
19 14.1 13.7 13.7 36.4 32.8 34.9 14.9 13.2 14.4 36.0 31.4 36.2
20 16.7 15.3 14.9 34.4 35.3 33.9 16.5 16.8 16.5 38.3 37.3 36.5
평균 15.79 15.78 15.21 37.38 36.99 35.50 15.02 15.10 14.95 35.62 35.31 35.11
표준편차 3.08 2.77 3.07 5.92 6.12 5.66 2.56 2.41 2.39 5.83 5.37 5.43
하기 표 2는 눈가 주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 눈가 주름 변화량은 (도포 후 측정값-도포 전 측정값)으로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대조군
Ra R3z Ra R3z
2w-0w 4w-0w 2w-0w 4w-0w 2w-0w 4w-0w 2w-0w 4w-0w
1 0.3 0.1 0.2 -0.8 0.0 -0.3 -0.6 0.7
2 -0.3 -0.8 -0.4 -1.1 0.6 0.3 -0.4 -0.5
3 0.5 -0.7 -1.1 -3.2 0.7 -0.1 2.9 0.5
4 -0.5 -0.1 1.0 -3.2 -0.4 0.3 1.0 0.4
5 0.0 0.0 0.6 -1.3 0.9 1.0 0.5 0.6
6 -0.5 0.5 5.2 0.0 1.5 1.0 3.5 -0.6
7 -0.7 -1.0 -0.8 -2.8 -0.5 0.4 -0.2 -2.4
8 -0.8 -1.8 -5.0 -5.8 -0.2 -0.2 -0.9 -2.8
9 -0.5 -0.9 0.8 0.7 -0.1 0.2 0.2 -0.1
10 0.3 -0.9 -0.9 -2.0 0.3 -0.2 -0.1 -0.3
11 0.7 0.5 2.3 0.3 -0.2 -1.3 -0.3 0.1
12 -0.7 -1.7 0.6 -2.3 0.3 -0.2 0.9 3.5
13 -0.2 -0.3 0.6 -1.9 0.2 -0.4 0.2 -1.0
14 -0.3 0.3 -3.3 -2.3 0.6 0.8 -1.8 -1.7
15 2.9 -0.4 -1.7 -1.9 -0.2 -1.5 -1.4 -2.3
16 -0.1 -0.2 -0.8 -1.2 -0.6 -0.5 -2.3 -2.5
17 2.3 0.2 1.9 -0.1 0.4 0.1 0.0 -0.1
18 -0.7 -2.2 -4.2 -6.6 -0.4 -0.4 -1.8 0.0
19 -0.4 -0.4 -3.6 -1.5 -1.7 -0.5 -4.6 0.2
20 -1.4 -1.8 0.9 -0.5 0.3 0.0 -1.0 -1.8
평균 -0.01 -0.58 -0.39 -1.88 0.08 -0.08 -0.31 -0.51
표준편차 1.02 0.81 2.40 1.85 0.67 0.64 1.75 1.48
하기 표 3은 눈가 주름 측정값의 통계학적 분석 결과이다.
Ra R3z
p-value 2w 0.771 (p>0.05) 0.911 (p>0.05)
4w 0.035 (p<0.05) 0.014 (p<0.05)
상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은 Ra 값이 도포 전 (0w) 15.79 ㎛에서 도포 2주 후 15.78 ㎛, 도포 4주 후 15.21 ㎛로 나타났으며, R3z 값은 도포 전 37.38 ㎛에서 도포 2주 후 36.99 ㎛, 도포 4주 후 35.50 ㎛로 나타났다. 대조군은 Ra 값이 도포 전 15.02 ㎛에서 도포 2주 후 15.10 ㎛, 도포 4주 후 14.95 ㎛로 나타났으며, R3z 값은 도포 전 35.62 ㎛에서 도포 2주 후 35.31 ㎛, 도포 4주 후 35.11 ㎛로 나타났다. 도포 4주 후 상기 실시예 1 및 대조군 모두 눈가 주름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상기 실시예 1은 도포 4주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두 가지 변수 Ra, R3z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눈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5).
하기 표 4는 눈가 주름 개선율을 나타낸 것으로, 눈가 주름 개선율(%)은 {-(도포 후 측정값-도포 전 측정값)/도포 전 측정값}×100(%)으로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대조군
Ra R3z Ra R3z
2w 4w 2w 4w 2w 4w 2w 4w
1 -2.2 -0.7 -0.6 2.3 0.0 2.3 1.8 -2.1
2 2.0 5.2 1.2 3.4 -4.4 -2.2 1.2 1.5
3 -3.8 5.3 3.1 8.9 -5.3 0.8 -9.1 -1.6
4 3.4 0.7 -2.5 8.1 2.8 -2.1 -2.9 -1.2
5 0.0 0.0 -1.8 4.0 -8.0 -8.8 -1.8 -2.2
6 2.6 -2.6 -11.3 0.0 -11.3 -7.5 -9.8 1.7
7 4.6 6.5 2.1 7.5 3.7 -3.0 0.7 7.9
8 5.1 11.5 12.9 15.0 1.5 1.5 2.6 8.0
9 2.8 5.1 -2.2 -1.9 0.6 -1.3 -0.5 0.3
10 -1.9 5.7 2.6 5.9 -2.0 1.3 0.3 0.9
11 -5.3 -3.8 -6.7 -0.9 1.5 9.5 1.1 -0.4
12 4.5 10.8 -1.6 6.0 -2.0 1.4 -2.7 -0.4
13 1.2 1.7 -1.4 4.4 -1.2 2.3 -0.5 2.4
14 1.6 -1.6 8.4 5.8 -3.4 -4.6 4.5 4.3
15 -19.3 2.7 4.6 5.1 1.1 8.5 3.2 5.3
16 0.4 0.8 1.6 2.3 3.0 2.5 4.9 5.4
17 -25.3 -2.2 -8.5 0.4 -3.5 -0.9 -0.0 0.4
18 3.8 12.1 9.5 15.0 1.9 1.9 3.8 0.0
19 2.8 2.8 9.9 4.1 11.4 3.4 12.8 -0.3
20 8.4 10.8 -2.6 1.5 -1.8 0.0 2.6 4.7
평균 -0.73 3.54 0.84 4.85 -0.77 0.25 0.61 1.73
표준편차 8.10 4.95 6.19 4.55 4.78 4.44 4.83 3.16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은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2주 후 Ra 값이 -0.73%, R3z 값이 0.84%의 눈가 주름 개선율을 나타내었고, 도포 4주 후 Ra 값이 3.54%, R3z 값이 4.85%의 개선율을 보였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2주 후 Ra 값이 -0.77%, R3z 값이 0.61%의 눈가 주름 개선율을 나타내었고, 도포 4주 후 Ra 값이 0.25%, R3z 값이 1.73%의 개선율을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이 대조군에 비해 도포 2주 및 4주, 모든 변수에 대하여 우수한 눈가 주름 개선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피부 자극 평가
피부 자극 평가는 상기 시험예 1을 실시하는 동안 시험 대상자에 의한 자가설문 평가 및 육안 평가를 토대로 실시하였다. 자가설문 평가는 홍반 (Erythema), 부종 (Edema), 인설 (Scaling), 가려움 (Itching), 자통 (Stinging), 작열감 (Burning), 뻣뻣함 (Tightness), 따끔거림 (Prickling) 및 다른 이상반응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피부 이상반응이 나타날 시 심한 정도에 따라 등급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피부 자극 평가 결과, 대상자 전원 피부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안 평가에서도 피부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a) 생강, 망고, 개나리, 옥수수, 울금, 귤피, 고구마 및 호박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개나리, 옥수수, 울금 및 호박을 80 내지 110℃에서 2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생강, 망고, 귤피 및 고구마를 85 내지 11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에탄올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은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을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에 보습제 및 방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컬러테라피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지는 다가알콜계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및 살리실산 (Salicylic aci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귤피추출물, 고구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이 0.5~2 : 0.5~2 : 1~4 : 0.5~2 : 1~4 : 1~4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노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컬러테라피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추출물, 옥수수추출물, 울금추출물 및 호박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컬러테라피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추출물, 망고추출물, 귤피추출물 및 고구마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및 컬러테라피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2901A 2018-08-09 2018-08-09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208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01A KR102086687B1 (ko) 2018-08-09 2018-08-09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01A KR102086687B1 (ko) 2018-08-09 2018-08-09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99A KR20200017699A (ko) 2020-02-19
KR102086687B1 true KR102086687B1 (ko) 2020-05-22

Family

ID=6967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901A KR102086687B1 (ko) 2018-08-09 2018-08-09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016A (ko) 2020-12-24 2022-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33B1 (ko) 2020-05-28 2020-11-06 주식회사 하나모아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강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7006A (ko) 2022-10-04 2024-04-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Eckmax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4182B1 (ko) * 2023-06-16 2023-12-1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847A (ja) 2004-06-04 2009-12-17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不活性型潜在型TGFbの活性型TGFbへの変換を誘導できる有効成分
KR101842700B1 (ko) * 2017-03-27 2018-03-2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531932A (ja) 2015-09-25 2018-11-01 プロスティミ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32B1 (ko) * 2006-01-04 2008-05-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1A (ko) 2016-11-09 2018-05-18 씨앤텍 주식회사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847A (ja) 2004-06-04 2009-12-17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不活性型潜在型TGFbの活性型TGFbへの変換を誘導できる有効成分
JP2018531932A (ja) 2015-09-25 2018-11-01 プロスティミ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KR101842700B1 (ko) * 2017-03-27 2018-03-2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016A (ko) 2020-12-24 2022-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99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0222A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CN111658582A (zh) 包含未成熟水果混合提取物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30026663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75454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47757A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938511B (zh)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109031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9998A (ko) 공진단 성분 추출물과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90790B1 (ko) 한방 나노좀을 함유하는 피부트러블 개선 및 진정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