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663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663A
KR20030026663A KR1020010059743A KR20010059743A KR20030026663A KR 20030026663 A KR20030026663 A KR 20030026663A KR 1020010059743 A KR1020010059743 A KR 1020010059743A KR 20010059743 A KR20010059743 A KR 20010059743A KR 20030026663 A KR20030026663 A KR 20030026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preparation example
sk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419B1 (ko
Inventor
김주호
주영아
안정호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4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식물성 혼합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식물성 천연 추출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러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erb extracts}
본 발명은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식물성 혼합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인체 내에서 외부 환경과 가장 밀접하게 접하고 있는 신체 기관으로, 인체 내부를 보호하는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 이렇게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피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외선이나, 상처, 환경오염 등에 의해 주름과 기미, 검버섯 등 노화 현상의 대표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피부노화 mechanism은 다음과 같다. 자외선이나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이 생성되며, 생성된 활성산소와 프리라디칼에 의해 세포막이 공격을 당하게 되어 세포가 파괴되고 피부는 결국 염증(inflammation)을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염증화 된(inflammated) 조직은 생리학적 진행 메카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하여 주름 등을 형성하는 피부노화가 일어난다. 피부노화 메카니즘에 관여되는 단계를 억제, 막아주는 것이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멜라닌 생성 mechanism을 보면, 멜라닌은 표피에서 생성되는 검은 색소이며, 멜라노사이트라는 세포에서 생성된다. 멜라닌은 햇빛의 UV(자외선)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UV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더 깊숙이 있는 세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자외선 등에 의한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은 피부에 손상을 줄 뿐 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병변으로부터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포의 노화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 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collagen, hyaluronic acid, elastin, proteoglycan, 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 내에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활성화 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미백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는 여러가지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태양광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멜라닌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멜라닌은 피부 세포의 일종인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분포되어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연적인 스크리닝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멜라닌 생성 기저에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 티로시나제라는 효소가 있다. 티로시나제는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하여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산화 축합 반응으로 흑색 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미 아스코르빈산(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일본특개평 6-192062), 코직산(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일본특개평 4-9315)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처방계 중에서의 안정성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티로시나제의 억제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생체 레벨과 유사한 멜라노마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 효과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코직산과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성분들을 소량 함유한 화장료는 실온에서 수 주일 동안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 식물성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가지고 있어 미백 물질의 좋은 검색대상이 되고 있다.
종래, 피부노화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원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야채, 과일, 꽃 등의 안전성이 뛰어난 식물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노화억제와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식물성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혼합 식물 추출물(제조예 9 사용)의 세포막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혼합 식물 추출물(제조예 9 사용)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에 의한 피부 탄력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5의 피부 주름 깊이 감소 효과를 색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견지에서, 피부의 노화억제와 미백 효과가 있는 근본적 물질을 찾고자 하여 자연의 여러가지 천연물들 중에서 미백에 유효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혼합 식물 추출물이 우수한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홉가지 천연물을 일정 혼합비로 추출하여 얻은 혼합 식물 추출물의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검색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고 시험한 결과 안정성,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혼합 식물 추출물을 일정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멜라닌 형성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억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추출물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로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차로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을 각각 당귀 1∼10%, 백작약 5∼15%, 숙지황 1∼5%, 황백 10∼20%, 맥문동 10∼20%, 지모 5∼10%, 감초 20∼30%, 생지황 20∼30%, 건지황 10∼20%의 건조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1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 등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1∼10%, 바람직하게는 0.01∼5%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물 제조예 1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증류수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5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2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에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5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3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메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2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4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부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3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5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아세톤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2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6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7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헥산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5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8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프로판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9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함수 부틸렌글리콜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5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10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51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 1. 항산화 효과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항산화 효과 측정은 펜톤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TBA)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에틸리놀레이트 10㎕, 0.02%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ol, 과산화수소 2㎛ol을 함유하는 25mM 트리스 완충용액/ 0.75mM 칼륨 완충용액 5ml에 추출 혼합물의 도데실메칠황산염 용액을 가한 후 55도에서 16시간 배양후, 4% 부틸히드록실톨루엔 50㎕를 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킨다. 다음 이 용액 0.3ml을 시험관에 넣고 0.05M 염산 3.0ml, 0.67%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 용액을 가하고 30분간 끓인다. 이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ml를 가하고 원심분리 후 부탄올층의 흡광도를 535nm에서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한다. 이때 대조시험을 동시에 실시한다.
혼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 혼합물의최종 농도(㎍/㎖) 항산화 효과(%)
제조예 1 1,000100 8825
제조예 2 1,000100 9133
제조예 3 1,000100 8239
제조예 4 1,000100 8825
제조예 5 1,000100 9042
제조예 6 1,000100 9229
제조예 7 1,000100 9019
제조예 8 1,000100 9034
제조예 9 1,000100 9547
제조예 10 1,000100 9223
실험 2. 항염증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혼합 식물 추출물을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억제율(%) = (A­B) / A ×100
A :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 혼합 식물 추출물 도포군 귀의 두께(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염 효과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최종농도(㎍/ml) 용 매 귀 두께(㎛) 억제율(%)
시료처리 전 시료처리 후
Indomethacin 1.0 에탄올 320 465 42.5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9 551 -
제조예 1 1.0 에탄올 320 515 18.3
제조예 2 1.0 에탄올 295 503 17.4
제조예 3 1.0 에탄올 268 483 14.7
제조예 4 1.0 에탄올 310 513 19.5
제조예 5 1.0 에탄올 270 473 19.8
제조예 6 1.0 에탄올 283 489 20.6
제조예 7 1.0 에탄올 296 503 18.6
제조예 8 1.0 에탄올 295 495 20.6
제조예 9 1.0 에탄올 295 495 22.0
제조예 10 1.0 에탄올 296 497 20.5
실험 3. 세포막 보호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세포막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백혈구 제거된 상태)는 뉴질랜드산 Albino 토끼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다. 적혈구 현탁액은 700nm에서 O.D.가 0.6 이었고, 적혈구 수는 1.5×107cells/ml 이었다. 혼합 식물 추출물 50㎕을 적혈구 현탁액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pre-incubation 시킨 후, 광증감제(rose-bengal)를 가하고 광조사 하였다. 15분간 광조사 후 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정도를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투광도(% transmittance)로부터 구하였다. 혼합 식물 추출물의 광용혈에 미치는 효과는 post-incubation 시간과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τ 50 으로 나타냈다.τ 50 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용혈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1,3-부틸렌글리콜이다.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세포막 보호 효과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최종 농도(㎍/㎖) 세포막 보호작용(τ 50 : min)
Control 100 20
제조예 1 100 225
제조예 2 100 255
제조예 3 100 210
제조예 4 100 260
제조예 5 100 290
제조예 6 100 298
제조예 7 100 295
제조예 8 100 300
제조예 9 100 305
제조예 10 100 295
실험 4. 세포증식 효과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96 microwell plate 에 5% fetal bovine serum(FBS) 용액을 100㎕씩 넣은 다음, 2%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시료를 일정농도 분산시켜 묽혀 100㎕씩 다시 첨가하였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포피(foreskin)조직에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well 당 4000개씩 100㎕ 배지에 분산시켜 가한 후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200ul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DMSO를 well당 150㎕씩 가한 후 10분간 흔들어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추출 혼합물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최종농도(㎍/ml) 세포 증식 효과(%)
제조예 1 10 108
제조예 2 10 109
제조예 3 10 104
제조예 4 10 102
제조예 5 10 116
제조예 6 10 111
제조예 7 10 115
제조예 8 10 117
제조예 9 10 121
제조예 10 10 118
실험 5. Tyrosinase 저해 효과 실험
상기 추출물 제조예 9에 대하여 Tyrosinase 활성 저해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L-Tyrosine(0.3㎎/㎖) 1.0㎖에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0.1M) 1.0㎖와 여러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0.9ml을 상온조건에서 넣고 37℃에서 10∼20분간 유지한다. 그 후 Tyrosinase(1250 units/ml) 0.1㎖를 넣고 10분간 유지한다. 10분±5초 이내로 꺼내서 얼음물로 구성된 냉동조건에서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대신 30% 부틸렌글리콜을 넣었다. 마지막으로 475㎚에서 흡광도를 조사한다.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다음의 공식으로 구한다.
Tyrosinase 저해율(%)
= [1 - (각 농도 혼합 식물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X 100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미백 효과 측정 결과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혼합 식물 추출물의최종 농도(㎍/㎖) 티로시나제 저해율(%)
제조예 1 20050 8548
제조예 2 20050 8852
제조예 3 20050 9258
제조예 4 20050 8841
제조예 5 20050 8952
제조예 6 20050 7870
제조예 7 20050 7238
제조예 8 20050 8252
제조예 9 20050 9670
제조예 10 20050 9058
실험 6.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 실험
상기 추출물 제조예 9에 대하여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으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멜라노사이트 배양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소의 멜라노마 세포를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여 1.0×108세포 / T25 프라스크가 될 때까지 배양한다. 그 다음 농도별로 혼합 식물 추출물을 넣고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한다. 그 후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수거하여 세포의 흑화 정도를 관찰한다. 멜라닌이 생성되어 배출된 T25 프라스크의 상층액을 취해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고, 세포수는 수거된 세포 : tryphan blue = 1 : 9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세어 단위 세포당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하여 %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미백 효과 측정 결과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혼합 식물 추출물의최종 농도(㎍/㎖) 멜라닌 생성 저해율(%)
제조예 1 5010 8039
제조예 2 5010 7528
제조예 3 5010 7734
제조예 4 5010 7319
제조예 5 5010 6925
제조예 6 5010 5416
제조예 7 5010 4622
제조예 8 5010 6530
제조예 9 5010 8537
제조예 10 5010 7930
실시예 1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 로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1 비교예 1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1.0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2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2 비교예 2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밀납 1.0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5.0 5.0
6 스쿠알란 5.0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1.0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0 1.0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0.50
10 스테아린산 1.50 1.50
11 부틸렌글리콜 5.00 5.00
12 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4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색소 미량 미량
17 향료 미량 미량
18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2: 11, 12, 13, 15, 18를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4를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2: 11, 12, 13, 15, 18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4를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3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3 비교예 3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밀납 5.00 5.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10.0 10.0
6 스쿠알란 10.0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5.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0 5.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0.50
10 스테아린산 1.50 1.50
11 부틸렌글리콜 5.00 3.00
12 프로필렌글리콜 5.00 3.00
13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4 방부제 미량 미량
15 색소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3: 11, 12, 14,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3: 11, 12, 14,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4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4 비교예 4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글리세린 5.0 5.0
10 부틸렌글리콜 3.0 3.0
1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4: 8, 9, 10, 11, 12, 13, 16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4: 8, 9, 10, 11, 12,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5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5 비교예 5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5: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예 5: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시예 6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 6 비교예 6
1 혼합 식물 추출물 10.0 -
2 밀납 2.0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2.0
4 유동파라핀 5.0 5.0
5 스쿠알란 5.0 5.0
6 스테아린산 2.0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9 글리세린 4.0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부틸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0.5
14 안료 12 12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예 6: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6: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험예 1.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 도포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20∼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50명을 각각 25%씩으로 구성하여 피부상태 개선과 피부의 유수분 상태를 조사하였다. 동일인에게 안면 윗쪽 부분에는 실시예 3의 영양크림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3의 영양크림을 매일 아침 세안 후 피부에 1일 1회 20일간 도포한 후 피부 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확인 실험 결과
조사항목견 본 피부 상태 개선
인원수 %
실시예 3 매우 좋다 29 58.0
좋다 15 30.0
보통이다 6 12.0
그저 그렇다 - -
비교예 3 매우 좋다 - -
좋다 9 18.0
보통이다 18 36.0
그저 그렇다 23 46.0
상기 조사결과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3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3 보다 피부 개선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1)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영양로션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안면 왼쪽 부분에는 실시예 2의 영양로션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2의 영양로션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탄력 측정기기(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4 및 도 3에 나타낸다.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1) 결과
시 료조사항목 실시예2 의 화장료 비교예2 의 화장료
T0 T1 T2 T3 T4 T0 T1 T2 T3 T4
탄력성 튀어오름 수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진폭 첫번째 1.9 5.8 6.5 7.3 8.1 1.7 3.1 3.7 3.8 4.0
두번째 1.5 4.0 5.5 6.5 7.3 1.6 2.2 2.9 2.9 3.2
세번째 0.0 3.2 4.1 5.6 6.1 0.0 0.0 2.3 2.5 2.8
네번째 0.0 0.0 2.6 4.9 5.6 0.0 0.0 0.0 0.0 0.0
평 균 0.85 3.25 4.675 6.075 6.775 0.825 1.325 2.225 2.30 2.50
(주)T0: 사용전 T1: 1주 사용 후 T2: 2주 사용 후
T3: 3주 사용 후 T4: 4주 사용 후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영양로션이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2의 영양로션에 비해 혼합 식물 추출물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에 의해 피부 탄력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2)
피부탄력성에 대한 식물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번 실시예 5를 적용하였다. 오른쪽 눈 가장자리는 비교예 5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하였다. 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결과
시 료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효과(%)
15일 30일
실시예 5 8.5 19.3
비교예 5 2.3 5.9
실험예 4. 피부 홍반 & 멜라닌 지수 측정 실험
실시예 5와 비교예 5의 영양로션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미백 효과에 대한 혼합 식물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20명을 선정하였다. Mexameter로 왼팔과 오른팔에 10 MED(Minimum Ederma Dose)의 자외선을 쬐이고 왼팔 안쪽에는 실시예 5의 영양로션을, 오른팔 안쪽에는 비교예 5의 영양로션을 도포하였다.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한 후 1일, 3일, 5일,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Mexameter를 이용하여 홍반 지수와 멜라닌 지수를 측정하였다. Mexameter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 측정은 홍반과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미백 효과가 좋은 것이다.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6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피부 홍반과 멜라닌 지수 측정 실험 결과
적 용 개선 정도 인원수 멜라닌 양(%) 홍반량(%)
실시예 5 효과가 좋다 12 2 3
보통이다 5 7 5
약간의 변화가 있다 3 12 9
변화가 없다 - - -
비교예 5 효과가 좋다 - - -
보통이다 4 8 6
약간의 변화가 있다 5 10 11
변화가 없다 11 18 15
상기 조사 결과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5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5 보다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식물성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서도 피부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건조 중량비로 당귀 1∼10%, 백작약 5∼15%, 숙지황 1∼5%, 황백 10∼20%, 맥문동 10∼20%, 지모 5∼10%, 감초 20∼30%, 생지황 20∼30%, 건지황 10∼20%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추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에서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10∼37℃에서 추출 용매에 1∼15일 간 침적시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가 증류수 또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의 단독 또는 상기 유기용매 1종과 물과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가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 생약 추출물을 그 건조 중량으로서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1∼10%(w/v)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혼합 생약 추출물을 그 건조 중량으로서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1∼5%(w/v)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59743A 2001-09-26 2001-09-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2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43A KR100422419B1 (ko) 2001-09-26 2001-09-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43A KR100422419B1 (ko) 2001-09-26 2001-09-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663A true KR20030026663A (ko) 2003-04-03
KR100422419B1 KR100422419B1 (ko) 2004-03-11

Family

ID=2956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743A KR100422419B1 (ko) 2001-09-26 2001-09-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41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66A1 (en) * 2007-04-30 2008-11-06 Byung Ki Suh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101310102B1 (ko) * 2011-09-19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310110B1 (ko) * 2011-10-06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WO2016111478A1 (ko) * 2015-01-06 2016-07-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7910A (ko) 2015-05-20 2016-12-02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CN106361636A (zh) * 2016-09-19 2017-02-01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护肤组合物及其在美白亮肤中的应用
KR20170136932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8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55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3012A (ko) *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황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13A (ko) *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황 냉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043A (ko) * 2019-08-06 2021-02-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N113208959A (zh) * 2021-04-30 2021-08-06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抑制黑色素生成的组合物、美白精华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24B1 (ko) * 2004-11-26 2011-11-08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10744B1 (ko) 2007-12-29 2011-01-2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지황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 제거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909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植物生薬の水溶性抽出エキス含有美白化粧料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0369578B1 (ko) * 1998-03-20 2003-03-17 주식회사 태평양 주름개선효과가있는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KR100358937B1 (ko) * 1998-04-23 2003-03-17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성장호르몬 분비자극 활성을 가지는 수용성지모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인자
KR100272463B1 (ko) * 1998-11-16 2000-11-15 박동기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100328975B1 (ko) * 1999-09-03 2002-03-20 서경배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10000396A (ko) * 2000-09-26 2001-01-05 이봉석 미백 화장료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1811A (ko) * 2001-09-07 2003-03-15 김진영 미백제 및 그 미백제 제조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66A1 (en) * 2007-04-30 2008-11-06 Byung Ki Suh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101310102B1 (ko) * 2011-09-19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310110B1 (ko) * 2011-10-06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WO2016111478A1 (ko) * 2015-01-06 2016-07-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7910A (ko) 2015-05-20 2016-12-02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KR20170136932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8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55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6361636A (zh) * 2016-09-19 2017-02-01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护肤组合物及其在美白亮肤中的应用
CN106361636B (zh) * 2016-09-19 2019-12-31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护肤组合物及其在美白亮肤中的应用
KR20190003012A (ko) *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황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13A (ko) *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황 냉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043A (ko) * 2019-08-06 2021-02-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N113208959A (zh) * 2021-04-30 2021-08-06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抑制黑色素生成的组合物、美白精华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419B1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41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9072A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2360B1 (ko)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93251A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알부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050038381A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17476B1 (ko) 터피넨-4-올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