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이러한 견지에서, 피부의 노화억제와 미백 효과가 있는 근본적 물질을 찾고자 하여 자연의 여러가지 천연물들 중에서 미백에 유효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혼합 식물 추출물이 우수한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홉가지 천연물을 일정 혼합비로 추출하여 얻은 혼합 식물 추출물의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검색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 억제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고 시험한 결과 안정성,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혼합 식물 추출물을 일정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멜라닌 형성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억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추출물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로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차로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을 각각 당귀 1∼10%, 백작약 5∼15%, 숙지황 1∼5%, 황백 10∼20%, 맥문동 10∼20%, 지모 5∼10%, 감초 20∼30%, 생지황 20∼30%, 건지황 10∼20%의 건조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1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백, 맥문동, 지모, 감초, 생지황, 건지황 등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1∼10%, 바람직하게는 0.01∼5%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물 제조예 1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증류수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5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2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에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5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3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메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2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4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부탄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3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5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아세톤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2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6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7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헥산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5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8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프로판올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9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함수 부틸렌글리콜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50g(건조중량)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예 10
당귀 50g, 백작약 90g, 숙지황 1g, 황백 100g, 맥문동 200g, 지모 50g, 감초 200g, 생지황 200g, 건지황 100g을 혼합하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5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51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 1. 항산화 효과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항산화 효과 측정은 펜톤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TBA)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에틸리놀레이트 10㎕, 0.02%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ol, 과산화수소 2㎛ol을 함유하는 25mM 트리스 완충용액/ 0.75mM 칼륨 완충용액 5ml에 추출 혼합물의 도데실메칠황산염 용액을 가한 후 55도에서 16시간 배양후, 4% 부틸히드록실톨루엔 50㎕를 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킨다. 다음 이 용액 0.3ml을 시험관에 넣고 0.05M 염산 3.0ml, 0.67%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 용액을 가하고 30분간 끓인다. 이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ml를 가하고 원심분리 후 부탄올층의 흡광도를 535nm에서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한다. 이때 대조시험을 동시에 실시한다.
혼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 혼합물의최종 농도(㎍/㎖) |
항산화 효과(%) |
제조예 1 |
1,000100 |
8825 |
제조예 2 |
1,000100 |
9133 |
제조예 3 |
1,000100 |
8239 |
제조예 4 |
1,000100 |
8825 |
제조예 5 |
1,000100 |
9042 |
제조예 6 |
1,000100 |
9229 |
제조예 7 |
1,000100 |
9019 |
제조예 8 |
1,000100 |
9034 |
제조예 9 |
1,000100 |
9547 |
제조예 10 |
1,000100 |
9223 |
실험 2. 항염증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혼합 식물 추출물을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억제율(%) = (AB) / A ×100
A :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 혼합 식물 추출물 도포군 귀의 두께(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염 효과
시 료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최종농도(㎍/ml) |
용 매 |
귀 두께(㎛) |
억제율(%) |
시료처리 전 |
시료처리 후 |
Indomethacin |
1.0 |
에탄올 |
320 |
465 |
42.5 |
아라키돈산 |
2㎎/ear |
에탄올 |
299 |
551 |
- |
제조예 1 |
1.0 |
에탄올 |
320 |
515 |
18.3 |
제조예 2 |
1.0 |
에탄올 |
295 |
503 |
17.4 |
제조예 3 |
1.0 |
에탄올 |
268 |
483 |
14.7 |
제조예 4 |
1.0 |
에탄올 |
310 |
513 |
19.5 |
제조예 5 |
1.0 |
에탄올 |
270 |
473 |
19.8 |
제조예 6 |
1.0 |
에탄올 |
283 |
489 |
20.6 |
제조예 7 |
1.0 |
에탄올 |
296 |
503 |
18.6 |
제조예 8 |
1.0 |
에탄올 |
295 |
495 |
20.6 |
제조예 9 |
1.0 |
에탄올 |
295 |
495 |
22.0 |
제조예 10 |
1.0 |
에탄올 |
296 |
497 |
20.5 |
실험 3. 세포막 보호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세포막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백혈구 제거된 상태)는 뉴질랜드산 Albino 토끼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다. 적혈구 현탁액은 700nm에서 O.D.가 0.6 이었고, 적혈구 수는 1.5×107cells/ml 이었다. 혼합 식물 추출물 50㎕을 적혈구 현탁액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pre-incubation 시킨 후, 광증감제(rose-bengal)를 가하고 광조사 하였다. 15분간 광조사 후 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정도를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투광도(% transmittance)로부터 구하였다. 혼합 식물 추출물의 광용혈에 미치는 효과는 post-incubation 시간과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τ 50 으로 나타냈다.τ 50 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용혈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1,3-부틸렌글리콜이다.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세포막 보호 효과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최종 농도(㎍/㎖) |
세포막 보호작용(τ 50 : min) |
Control |
100 |
20 |
제조예 1 |
100 |
225 |
제조예 2 |
100 |
255 |
제조예 3 |
100 |
210 |
제조예 4 |
100 |
260 |
제조예 5 |
100 |
290 |
제조예 6 |
100 |
298 |
제조예 7 |
100 |
295 |
제조예 8 |
100 |
300 |
제조예 9 |
100 |
305 |
제조예 10 |
100 |
295 |
실험 4. 세포증식 효과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제조예 9에 대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96 microwell plate 에 5% fetal bovine serum(FBS) 용액을 100㎕씩 넣은 다음, 2%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시료를 일정농도 분산시켜 묽혀 100㎕씩 다시 첨가하였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포피(foreskin)조직에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well 당 4000개씩 100㎕ 배지에 분산시켜 가한 후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200ul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DMSO를 well당 150㎕씩 가한 후 10분간 흔들어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추출 혼합물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최종농도(㎍/ml) |
세포 증식 효과(%) |
제조예 1 |
10 |
108 |
제조예 2 |
10 |
109 |
제조예 3 |
10 |
104 |
제조예 4 |
10 |
102 |
제조예 5 |
10 |
116 |
제조예 6 |
10 |
111 |
제조예 7 |
10 |
115 |
제조예 8 |
10 |
117 |
제조예 9 |
10 |
121 |
제조예 10 |
10 |
118 |
실험 5. Tyrosinase 저해 효과 실험
상기 추출물 제조예 9에 대하여 Tyrosinase 활성 저해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L-Tyrosine(0.3㎎/㎖) 1.0㎖에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0.1M) 1.0㎖와 여러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0.9ml을 상온조건에서 넣고 37℃에서 10∼20분간 유지한다. 그 후 Tyrosinase(1250 units/ml) 0.1㎖를 넣고 10분간 유지한다. 10분±5초 이내로 꺼내서 얼음물로 구성된 냉동조건에서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대신 30% 부틸렌글리콜을 넣었다. 마지막으로 475㎚에서 흡광도를 조사한다.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다음의 공식으로 구한다.
Tyrosinase 저해율(%)
= [1 - (각 농도 혼합 식물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X 100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미백 효과 측정 결과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혼합 식물 추출물의최종 농도(㎍/㎖) |
티로시나제 저해율(%) |
제조예 1 |
20050 |
8548 |
제조예 2 |
20050 |
8852 |
제조예 3 |
20050 |
9258 |
제조예 4 |
20050 |
8841 |
제조예 5 |
20050 |
8952 |
제조예 6 |
20050 |
7870 |
제조예 7 |
20050 |
7238 |
제조예 8 |
20050 |
8252 |
제조예 9 |
20050 |
9670 |
제조예 10 |
20050 |
9058 |
실험 6.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 실험
상기 추출물 제조예 9에 대하여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으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멜라노사이트 배양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소의 멜라노마 세포를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여 1.0×108세포 / T25 프라스크가 될 때까지 배양한다. 그 다음 농도별로 혼합 식물 추출물을 넣고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한다. 그 후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수거하여 세포의 흑화 정도를 관찰한다. 멜라닌이 생성되어 배출된 T25 프라스크의 상층액을 취해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고, 세포수는 수거된 세포 : tryphan blue = 1 : 9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세어 단위 세포당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하여 %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혼합 식물 추출물에 대한 미백 효과 측정 결과
|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혼합 식물 추출물의최종 농도(㎍/㎖) |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제조예 1 |
5010 |
8039 |
제조예 2 |
5010 |
7528 |
제조예 3 |
5010 |
7734 |
제조예 4 |
5010 |
7319 |
제조예 5 |
5010 |
6925 |
제조예 6 |
5010 |
5416 |
제조예 7 |
5010 |
4622 |
제조예 8 |
5010 |
6530 |
제조예 9 |
5010 |
8537 |
제조예 10 |
5010 |
7930 |
실시예 1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 로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1 |
비교예 1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글리세린 |
3.0 |
3.0 |
3 |
부틸렌 글리콜 |
2.0 |
2.0 |
4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2.0 |
5 |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
1.00 |
1.0 |
6 |
에탄올 |
10.0 |
10.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8 |
방부제 |
미량 |
미량 |
9 |
색소 |
미량 |
미량 |
10 |
향료 |
미량 |
미량 |
11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2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2 |
비교예 2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밀납 |
1.00 |
1.0 |
3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4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0.5 |
5 |
유동파라핀 |
5.0 |
5.0 |
6 |
스쿠알란 |
5.0 |
5.0 |
7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1.00 |
1.00 |
8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
1.00 |
1.00 |
9 |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0.50 |
0.50 |
10 |
스테아린산 |
1.50 |
1.50 |
11 |
부틸렌글리콜 |
5.00 |
5.00 |
12 |
프로필렌글리콜 |
5.00 |
5.00 |
13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0.1 |
14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15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6 |
색소 |
미량 |
미량 |
17 |
향료 |
미량 |
미량 |
18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2: 11, 12, 13, 15, 18를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4를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2: 11, 12, 13, 15, 18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4를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3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3 |
비교예 3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밀납 |
5.00 |
5.00 |
3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4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0.5 |
5 |
유동파라핀 |
10.0 |
10.0 |
6 |
스쿠알란 |
10.0 |
5.0 |
7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1.00 |
5.0 |
8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
1.00 |
5.0 |
9 |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0.50 |
0.50 |
10 |
스테아린산 |
1.50 |
1.50 |
11 |
부틸렌글리콜 |
5.00 |
3.00 |
12 |
프로필렌글리콜 |
5.00 |
3.00 |
13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14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5 |
색소 |
미량 |
미량 |
16 |
향료 |
미량 |
미량 |
17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3: 11, 12, 14,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3: 11, 12, 14,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4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4 |
비교예 4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밀납 |
10.0 |
10.0 |
3 |
폴리솔베이트 60 |
1.5 |
1.5 |
4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 |
0.8 |
5 |
유동파라핀 |
40.0 |
40.0 |
6 |
스쿠알란 |
5.0 |
5.0 |
7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4.0 |
8 |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
0.2 |
0.2 |
9 |
글리세린 |
5.0 |
5.0 |
10 |
부틸렌글리콜 |
3.0 |
3.0 |
11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12 |
트리에탄올아민 |
0.2 |
0.2 |
13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4 |
색소 |
미량 |
미량 |
15 |
향료 |
미량 |
미량 |
16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4: 8, 9, 10, 11, 12, 13, 16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4: 8, 9, 10, 11, 12,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5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5 |
비교예 5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시토 스테롤 |
1.70 |
1.70 |
3 |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
1.50 |
1.50 |
4 |
세라마이드 |
0.7 |
0.7 |
5 |
세테아레스-4 |
1.2 |
1.2 |
6 |
콜레스테롤 |
1.5 |
1.5 |
7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0.4 |
8 |
농글리세린 |
5.0 |
5.0 |
9 |
선플라우어오일 |
15.0 |
15.0 |
1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2 |
0.2 |
11 |
산탄검 |
0.2 |
0.2 |
12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3 |
향료 |
미량 |
미량 |
14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5: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예 5: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시예 6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혼합 식물 추출물은 제조예 9를 사용하였다.
|
원 료 |
실시예 6 |
비교예 6 |
1 |
혼합 식물 추출물 |
10.0 |
- |
2 |
밀납 |
2.0 |
2.0 |
3 |
사이크로메치콘 |
2.0 |
2.0 |
4 |
유동파라핀 |
5.0 |
5.0 |
5 |
스쿠알란 |
5.0 |
5.0 |
6 |
스테아린산 |
2.0 |
2.0 |
7 |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3.0 |
3.0 |
8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4.0 |
9 |
글리세린 |
4.0 |
4.0 |
1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11 |
부틸렌글리콜 |
3.0 |
3.0 |
12 |
트리에탄올아민 |
1.0 |
1.0 |
13 |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
0.5 |
0.5 |
14 |
안료 |
12 |
12 |
15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6 |
향료 |
미량 |
미량 |
17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제조방법〉
실시예 6: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6: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 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험예 1.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 도포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20∼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50명을 각각 25%씩으로 구성하여 피부상태 개선과 피부의 유수분 상태를 조사하였다. 동일인에게 안면 윗쪽 부분에는 실시예 3의 영양크림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3의 영양크림을 매일 아침 세안 후 피부에 1일 1회 20일간 도포한 후 피부 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확인 실험 결과
조사항목견 본 |
피부 상태 개선 |
인원수 |
% |
실시예 3 |
매우 좋다 |
29 |
58.0 |
좋다 |
15 |
30.0 |
보통이다 |
6 |
12.0 |
그저 그렇다 |
- |
- |
비교예 3 |
매우 좋다 |
- |
- |
좋다 |
9 |
18.0 |
보통이다 |
18 |
36.0 |
그저 그렇다 |
23 |
46.0 |
상기 조사결과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3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3 보다 피부 개선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1)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영양로션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안면 왼쪽 부분에는 실시예 2의 영양로션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2의 영양로션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탄력 측정기기(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4 및 도 3에 나타낸다.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1) 결과
시 료조사항목 |
실시예2 의 화장료 |
비교예2 의 화장료 |
T0 |
T1 |
T2 |
T3 |
T4 |
T0 |
T1 |
T2 |
T3 |
T4 |
탄력성 |
튀어오름 수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진폭 |
첫번째 |
1.9 |
5.8 |
6.5 |
7.3 |
8.1 |
1.7 |
3.1 |
3.7 |
3.8 |
4.0 |
두번째 |
1.5 |
4.0 |
5.5 |
6.5 |
7.3 |
1.6 |
2.2 |
2.9 |
2.9 |
3.2 |
세번째 |
0.0 |
3.2 |
4.1 |
5.6 |
6.1 |
0.0 |
0.0 |
2.3 |
2.5 |
2.8 |
네번째 |
0.0 |
0.0 |
2.6 |
4.9 |
5.6 |
0.0 |
0.0 |
0.0 |
0.0 |
0.0 |
평 균 |
0.85 |
3.25 |
4.675 |
6.075 |
6.775 |
0.825 |
1.325 |
2.225 |
2.30 |
2.50 |
(주)T0: 사용전 T1: 1주 사용 후 T2: 2주 사용 후
T3: 3주 사용 후 T4: 4주 사용 후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영양로션이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2의 영양로션에 비해 혼합 식물 추출물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에 의해 피부 탄력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2)
피부탄력성에 대한 식물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번 실시예 5를 적용하였다. 오른쪽 눈 가장자리는 비교예 5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하였다. 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피부 탄력성 증가 실험 결과
시 료 |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효과(%) |
15일 |
30일 |
실시예 5 |
8.5 |
19.3 |
비교예 5 |
2.3 |
5.9 |
실험예 4. 피부 홍반 & 멜라닌 지수 측정 실험
실시예 5와 비교예 5의 영양로션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미백 효과에 대한 혼합 식물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20명을 선정하였다. Mexameter로 왼팔과 오른팔에 10 MED(Minimum Ederma Dose)의 자외선을 쬐이고 왼팔 안쪽에는 실시예 5의 영양로션을, 오른팔 안쪽에는 비교예 5의 영양로션을 도포하였다.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한 후 1일, 3일, 5일,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Mexameter를 이용하여 홍반 지수와 멜라닌 지수를 측정하였다. Mexameter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 측정은 홍반과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미백 효과가 좋은 것이다.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6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피부 홍반과 멜라닌 지수 측정 실험 결과
적 용 |
개선 정도 |
인원수 |
멜라닌 양(%) |
홍반량(%) |
실시예 5 |
효과가 좋다 |
12 |
2 |
3 |
보통이다 |
5 |
7 |
5 |
약간의 변화가 있다 |
3 |
12 |
9 |
변화가 없다 |
- |
- |
- |
비교예 5 |
효과가 좋다 |
- |
- |
- |
보통이다 |
4 |
8 |
6 |
약간의 변화가 있다 |
5 |
10 |
11 |
변화가 없다 |
11 |
18 |
15 |
상기 조사 결과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5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5 보다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