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102B1 -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102B1
KR101310102B1 KR1020110094201A KR20110094201A KR101310102B1 KR 101310102 B1 KR101310102 B1 KR 101310102B1 KR 1020110094201 A KR1020110094201 A KR 1020110094201A KR 20110094201 A KR20110094201 A KR 20110094201A KR 101310102 B1 KR101310102 B1 KR 10131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omposition
sulfur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609A (ko
Inventor
임강현
김이화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1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므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를 주름 및 피부색소침착 등을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또는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항주름 및 피부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wrinkling and whitening, comprising an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rni Fructus, Dioscoreae Rhizoma, Alismatis Rhizoma, Hoelen, and Moutan Cortex Radicis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노화의 가장 명백한 증거 중 하나이며, 피부의 노화과정은 일반적으로 짧은 파장의 UV광(UVB)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에 따른 광노화(photo-aging)가 원인이고, 주름과 얼굴, 목, 팔뚝 등의 노출된 부위에 나타나는 일광 흑색증(solar lentigo) 및 반점형 색소침착과 같은 색소 변화로 확인할 수 있다.
광노화는 UV로 인해 분열제활성단백질(mitogen-activated protein, MAP) 키나아제(kinase) 경로가 활성화되어, 사람의 피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발현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MMPs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를 포함하며, 광노화 과정에서 주요인자로 여겨진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멜라노형성(melanogenesis) 또한 UV에 의해 유도된다. 멜라노형성에서 주요 조절인자는 티로시나제(tyrosinase)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티로시나제는 동물조직에 존재하는 구리 함유 효소(copper-containing enzyme)로, 멜라닌의 생성을 촉매하며, 색소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중 하나이고, L-DOPA 산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MMPs와 같은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거나,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항노화 또는 항주름을 위한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으로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티로시나제의 발현 또는 작용을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미백을 위한 치료제 또는 화장료로 개발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항주름 및 미백의 효과를 위한 화장품 등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의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민감한 피부일 경우 부작용 또한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우수한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질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의 결과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이 항주름 및 피부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25.6 내지 38.4중량%, 산수유 12.8 내지 19.2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32중량%, 산수유 16중량%, 산약 16중량%, 택사 12중량%, 복령 12중량% 및 목단피 12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할 때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고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 내지 10000중량부를 첨가하고 10분 내지 30시간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0 내지 3000중량부를 첨가하고 2 내지 4시간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된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농축방법으로는 감압농축방법 및 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0.1 내지 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주름 및 미백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추출물의 함유량으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된 것이다.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Yukmigeehwang-hwan)의 구성성분으로, 육미지황환은 이 6가지 약재를 가루로 갈고 꿀과 함께 작은 알약의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허리와 다리가 약해지고, 가벼운 두통감, 현기증, 이명 및 청력감소와 같은 신장 및 간 음허의 치료를 위해 이 약재를 달여 먹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육미지황환 또는 이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및 티로시나제에 대한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한 항주름 및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대상으로 HS68 인간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UVB 노출에 따른 I형 프로콜라겐 생산 및 콜라게나제 활성에 대한 효과와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이 UVB에 손상된 세포에서 콜라게나제 활성 및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주름 및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의약안정청(KFDA)의 통상적인 약제학제 제제로의 제형화 기준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제형 기준에 의거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수, 완충제, 덱스트로스, 물, 글리세롤, 링거액, 락토즈, 수크로즈, 칼슘 실리케이트, 메틸 셀룰로오즈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담체를 사용한 경구투여와 비경구투여용으로 분말, 과립, 주사액, 시럽, 용액제, 정제, 좌약, 페사리(pessaries), 연고, 크림 또는 에어로졸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담체가 상기의 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경구 이외에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 흡입 등을 통한 유효성분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제형에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증상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다양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험적인 유효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체중 1㎏ 당 0.1 내지 2000㎎을 하루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물 그 자체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한 조성물을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상기 화장료 또는 화장품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및 영양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형태의 화장품 제조방법과 담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므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를 주름 및 피부색소침착 등을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또는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항주름 및 피부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HS68 인간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B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C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대조군이다. 10, 30, 100은 각각 10, 30, 100㎍/㎖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실험군이다. 각 결과값은 3번 반복실험한 결과에 대한 평균±표준오차(SEM)로 나타내었다.
도 2는 HS68 인간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I형 합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B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C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대조군이다. 10, 30, 100은 각각 10, 30, 100㎍/㎖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실험군이다. 각 결과값은 3번 반복실험한 결과에 대한 평균±표준오차(SEM)로 나타내었다.
도 3은 HS68 인간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B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C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대조군이다. 10, 30, 100은 각각 10, 30, 100㎍/㎖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처리한 실험군이다. 각 결과값은 3번 반복실험한 결과에 대한 평균±표준오차(SEM)로 나타내었다. *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p < 0.05).
도 4는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C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이며, 0.1, 1, 10은 0.1, 1, 10㎎/㎖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이다. 각 결과값은 3번 반복실험한 결과에 대한 평균±표준오차(SEM)로 나타내었다. *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p < 0.05).
도 5는 L-DOPA 산화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C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이며, 0.1, 1, 10은 0.1, 1, 10㎎/㎖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이다. 각 결과값은 3번 반복실험한 결과에 대한 평균±표준오차(SEM)로 나타내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산수유(Corni Fructus), 산약(Dioscoreae Rhizoma), 택사(Alismatis Rhizoma), 복령(Hoelen) 및 목단피(Moutan Cortex Radicis)는 옴니허브(Omniherb,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숙지황 24g, 산수유 12g, 산약 12g, 택사 9g, 복령 9g 및 목단피 9g에 2,000㎖의 물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가열추출기에서 100℃로 가열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추출액을 필터로 여과하고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농축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을 동결건조장치를 사용하여 동결건조시켜 13.7g의 동결건조물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물을 물 또는 완충용액 등에 각각의 농도별로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필터 페이퍼(Whatman no. 2, 0.45 ~ 0.2㎛)로 3회 여과하여 실험을 위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은 멸균된 유리병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하였다.
실험예 1.
HS68 인간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사용한 시약은 일부를 제외하고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평균의 표준오차(SEM)로 표현하였다. 변화의 유의성은 Dunnett's post hoc test로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p<0.05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것을 나타낸다.
1-1. 세포 배양
실험대상인 HS68 인간 섬유아세포(Health Protection Agency Culture Collections, UK)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및 1% 항생제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에서 37℃의 온도, 5% CO2의 가습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1-2. UVB 처리
실험대상 세포에 UV를 처리하기 위하여, UVB 전등(Vilber Lourmat, France)을 UVB 공급원으로 사용하였다. HS68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두 번 세척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UVB 처리는 얇은 PBS의 층 아래(200㎕/well)에서 수행되었다. UVB 처리 직 후, 혈청이 제외된 신선한 배지를 세포에 첨가하고, 24시간 배양 기간을 거친 후, 반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UVB 처리만 실시하지 않고 상기와 동일한 방식을 따랐다.
1-3. 세포 독성 검사
세포의 생존력은 MTT[3-(4,5 - dimethylthiazol - 2 - yl) - 2,5 - diphenyltetrazolium bromide](포마잔으로 환원)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HS68)를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well) 당 2×105cell/㎖의 밀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5% CO2의 조건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UVB 처리에 앞서, 세포에 각각 상기 실시예 1의 샘플로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UVB 처리 이후, 0.05㎎/㎖(최종농도)로 MTT를 처리하기 전에, 세포를 각 해당 샘플로 재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비처리군과 대조군은 실시예 1의 샘플의 처리없이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4시간 동안 37℃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MTT가 포함된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MTT 포마잔을 DMSO 200㎕로 추출한 다음, 흡광도를 690㎚의 파장을 참고하며 595㎚에서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다음 계산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계산식]
세포 생존력(%) = [(샘플의 OD595)/(대조군의 OD595)] × 100
이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세포 생존력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재계산하였다. 10, 30, 100㎍/㎖의 농도에서 각각 세포 생존력이 101.8±1.4%, 101.1±0.0% 및 99.1±1.0%로 나타났다. 따라서 100㎍/㎖의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콜라겐 I형 합성 분석
H68 인간 섬유아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접종(2×105cell/well)하고, 5% CO2 조건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UVB 처리 전에 세포를 각각 실시예 1의 샘플(10, 30, 100㎍/㎖ 농도)로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UVB 처리 이후, 세포를 각 실시예 1의 샘플로 재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비처리군 및 대조군은 실시예 1의 샘플 처리 없이 배양하였다. 배양 이후, 상층액을 각 웰로부터 수집하고, 프로콜라겐 I형 C-펩타이드 분석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assay kit, Takara Bio, Japan)를 사용하여 프로콜라겐 I형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콜라겐은 프로콜라겐이라 불리는 전구물질로 합성되며, 프로콜라겐은 아미노 터미널(N-term) 끝부분과 카르복시 터미널(C-term) 끝부분의 양쪽에 일반적으로 ‘프로펩타이드’로 불리는 추가 펩타이드 서열을 포함한다. 이 프로펩타이드는 분비되는 과정에서 콜라겐 트리플-헬릭스 분자(collagen triple-helix molecule)로부터 잘리는데, 이후 트리플-헬릭스 콜라겐은 세포외부로 분비되는 콜라겐 섬유로 중합된다. 그러므로 자유 프로펩타이드의 양은 합성된 콜라겐 분자의 양을 반영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30, 100㎍/㎖의 모든 농도(13.3±2.6ng/㎖, 15.9±3.6ng/㎖ 및 16.2±0.0ng/㎖)에서 대조군(15.3±1.6ng/㎖)에 비해 I형 콜라겐의 발현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 콜라게나제 억제 분석
콜라게나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1(MMP-1)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1-4의 상층액을 대상으로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human biotrak ELISA system(Amersham life science,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MP-1 활성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재계산하였다(도 3 참조). 이의 결과, 30, 100㎍/㎖의 농도에서 MMP-1의 활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50.0±6.2% 및 37.0±3.4%, p<0.05). 10㎍/㎖의 농도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59.0±8.3%),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6. 티로시나제 억제 분석
티로시나제 활성을 기존의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5)에 용해(0.1, 1 및 10㎎/㎖)된 각 실시예 1의 샘플 20㎕에 40U의 버섯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를 첨가하고, 1.5mM L-tyrosine 40㎕와 0.1M sodium phosphate buffer 220㎕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혼합물(300㎕)을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하지만 실시예 1의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혼합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을 100%로 하여 재계산하였다(도 4 참조). 이의 결과, 10㎎/㎖의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37.5±15.0%, p<0.05), 0.1 및 1㎎/㎖로 처리된 군의 티로시나제 활성은 유의성이 없었다(109.3±6.3% 및 99.3±2.9%).
1-7. L-DOPA 산화의 억제
L-DOPA 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약간 변경한 Joshi의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40U의 버섯 티로시나제가 포함된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5) 900㎕에 0.1M sodium phosphate buffer에 용해(0.1, 1 및 10㎎/㎖)된 각 실시예 1의 샘플 50㎕를 첨가하였다. 37℃에서 6분 배양한 다음, 3mM의 L-DOPA를 첨가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활성을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동일하지만 실시예 1의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혼합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을 100%로 하여 재계산하였다(도 5 참조). 10㎎/㎖의 농도에서 L-DOPA 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87.5±2.2%, p< 0.05), 0.1 및 1㎎/㎖로 처리된 군은 유의성이 없었다(101.8±0.0% 및 104.0±2.0%).

Claims (6)

  1.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고 가열하여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 내지 10000중량부를 첨가하고 10분 내지 30시간 가열하여 수득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숙지황 22.4 내지 41.6중량%, 산수유 11.2 내지 20.8중량%, 산약 11.2 내지 20.8중량%, 택사 8.4 내지 15.6중량%, 복령 8.4 내지 15.6중량% 및 목단피 8.4 내지 15.6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 내지 10000중량부를 첨가하고 10분 내지 30시간 가열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동결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0.1 내지 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10094201A 2011-09-19 2011-09-19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31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01A KR101310102B1 (ko) 2011-09-19 2011-09-19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01A KR101310102B1 (ko) 2011-09-19 2011-09-19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09A KR20130030609A (ko) 2013-03-27
KR101310102B1 true KR101310102B1 (ko) 2013-09-23

Family

ID=4818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201A KR101310102B1 (ko) 2011-09-19 2011-09-19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6146B (zh) * 2013-11-28 2017-07-0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金钗石斛复方提取物在具有美白功效化妆品中的应用
KR20210127547A (ko) 2020-04-14 2021-10-22 신광식 피부주름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765B1 (ko) * 2019-02-20 2021-02-10 주식회사 비에프씨씨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42843B (zh) * 2019-11-20 2022-08-19 上海国伊康美健康管理有限公司 参灵草抗衰中药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120A (ko) * 2000-03-10 2001-09-26 손 경 식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6663A (ko) * 2001-09-26 2003-04-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9263279A (ja) * 2008-04-25 2009-11-12 Oriza Yuka Kk エラスターゼ阻害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120A (ko) * 2000-03-10 2001-09-26 손 경 식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6663A (ko) * 2001-09-26 2003-04-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9263279A (ja) * 2008-04-25 2009-11-12 Oriza Yuka Kk エラスタ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Na Lee et al. Effect of Yukmigeehwang-hwan Extract on the Elastse Activity and DPPH.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1.3.30., Vol.14, No.1, pp.61~69. *
Se-Na Lee et al. Effect of Yukmigeehwang-hwan Extract on the Elastse Activity and DPPH.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1.3.30., Vol.14, No.1, pp.61~6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6146B (zh) * 2013-11-28 2017-07-0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金钗石斛复方提取物在具有美白功效化妆品中的应用
KR20210127547A (ko) 2020-04-14 2021-10-22 신광식 피부주름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09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8002B (zh) Type I Collagen Production Promote Oral Agent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40068986A (ko) 줄기 세포 인자의 생산ㆍ방출의 억제에 의한 소양, 피부거칠어짐, 민감성 피부 개선용 및 미백용 약제
KR101310102B1 (ko)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310110B1 (ko)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n et al.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JP2010083786A (ja) 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322353B1 (ko) 문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Woo et al.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of Cheongsangbangpung-tang aqueous extracts with cytotoxicity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320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889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8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