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679B1 -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679B1
KR101435679B1 KR1020070091382A KR20070091382A KR101435679B1 KR 101435679 B1 KR101435679 B1 KR 101435679B1 KR 1020070091382 A KR1020070091382 A KR 1020070091382A KR 20070091382 A KR20070091382 A KR 20070091382A KR 101435679 B1 KR101435679 B1 KR 10143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extract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426A (ko
Inventor
김청택
정재수
최수규
오주영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9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6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생체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능,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능,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억제능 및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능 등이 탁월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보습, 주름, 연교, 하고초, 백단향, 초임계, 추출, 화장료

Description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AND IMPROVING WRINKLE ON SKIN}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몸 중에서 노화 현상을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부분 또한 피부로서, 자외선,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 탄력섬유(엘라스틴),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및/또는 섬유아세포의 감소를 야기하여 피부의 건조 및 주름 생성 등의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 및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 시)의 유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등, Ann NY Acad Sci,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증가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 등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콜라게나제(collagenase)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알려져 있지만, 그 발현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고,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의 감소·변성의 일인이 되고, 피부의 주름의 형성 등의 큰 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엘라스틴(elastin)은 진피에 있는 섬유성분 가운데 비교적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피부, 허파 및 혈관에 탄성력을 갖게 한다고 알려져 있고, 엘라스틴의 위축으로 인해 탄성섬유성 위황색종(PXE :pseudoxanthoma elasticum)이 발생하면 피부에 과도한 주름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엘라스틴과 콜라겐 사이에 존재하는 히아루론산은 세포에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자기 무게의 수십, 수백배의 수분을 결합하는 능력이 있어 촉촉하고 생기 있는 피부를 유지시켜 주고, 보습제 중에서 수분유지능력이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진피 조직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섬유아세포는 콜라겐을 생성, 분비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단백질 및 세포간 물질의 생체합성기능 저하 등에 의해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주름 예방 및 개선 화장료는 비타민 A(레티놀)이나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하는 제품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원료를 함유한 제품은 경시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유효 농도 이상으로 피부에 침투되거나 분해될 경우, 상당한 피부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정성의 문제로 사용량이 제 한되어 왔고, 실질적인 주름예방 및 개선효과 및 보습능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또한, 피부 노화나 주름 억제를 위해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기도 하는 데, 화학물질은 그 부작용 때문에 기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약 추출물 등의 천연물질 등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정성이 높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억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러 선행특허문헌에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4354호[문헌 1]에는 생약추출물과 향료를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합성향료(페닐 에틸알콜,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및 알파-이오논을 일정비율 혼합)와 천연향료(게르마늄 오일, 카모밀라 오일, 라벤더 오일, 샌달우드 오일을 일정비율 혼합)를 포함하는 조합향료와 생약추출물(가자, 과루, 금은화, 당귀, 대산, 대청엽, 백부, 백작, 복향, 산두근, 어성초, 연교, 용담초, 익모초, 적작, 지모, 진교, 청대, 치자, 패장초, 포공용, 하고초, 황금, 황기, 황련, 황백 및 후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약)을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2581호[문헌 2]에는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로서 감초, 금은화, 하수오, 포공영, 노희, 율피, 백지, 황금, 복령, 삼백초, 미강, 황련 및 모려분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화장료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1] KR 공개공보 제10-2005-0004354호
[문헌 2] KR 공개공보 제10-2005-0002581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지거나, 장기간 사용 시 생약 재료 자체가 갖는 독성으로 인해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생약 재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주로 열수 추출법이나 용매 추출법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출법을 통한 추출물은 생약 약리 활성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고(저순도), 열 등에 의해 쉽게 변성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생체에 대해 안정하고,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며, 고순도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새로운 원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3종류 이상의 생약 재료를 예의 선정하고, 이들을 최적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생체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능,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능,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억제능 및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능 등이 탁월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임계 추출법을 통한 고순도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시킴으 로써, 생약 추출물 함유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5 ~ 2 : 0.5 ~ 1 : 0.5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에 더하여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지는 생리 활성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되면서, 열에 의한 변성이나 불순물이 없도록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001 ~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20중량부로 함유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화장료, 약제 조성물의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체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능,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능,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억제능 및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능 등이 탁월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추출물이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어 열에 의한 변성이나 불순물이 없고,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지는 생리 활성성분이 추출물 내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추출물의 약리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생약 재료 중에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생약 재료를 찾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이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이들 3종류의 생약 재료의 추출물이 동시에 함유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배합비로 함유된 경우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생약 재료의 추출물로부터 생리 활성성분이 함유되도록 추출하되, 초임계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한 경우 산화안정도와 순도가 향상되어 피부에 안전하고 추출물의 약리 효과가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구체적으로 화장료나 약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되며,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적어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중에서 상기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으로 된 3종의 추출물이 조성물 내에 동시에 함유된 경우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 로, 상기 3종류의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우수한 섬유아세포 증식능, 콜라겐 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 억제능,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및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적 연구에 따르면, 상기 3종류의 생약 재료들은 생약 재료마다 각각의 상승 된 생리 활성 작용효과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교는 여러 생리 활성 작용효과 중에서 특히 섬유아세포 증식능이 우수하고, 상기 하고초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이 특히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백단향은 콜라겐 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 억제능,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을 통한 보습능 등이 특히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종류의 생약 재료가 각각의 상승 된 생리 활성 작용효과를 발휘하여 주름 발생의 억제 및 개선 능력이 뛰어나며, 피부내의 수분 함유량 증대 및 피부 등에 발생한 상처의 치유 효능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에 더하여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백단향,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 이상 7가지의 생약 추출물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은 0.5 ~ 2 : 0.5 ~ 1 : 0.5 ~ 2로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생약 재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약 재료마다 각각의 효과를 가지는데, 상기한 중량비보다 낮은 경우 그의 함유에 따른 생리 활성 작용효과가 미비하고, 상기한 중량비보다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생약 재료의 함량이 적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연교의 경우 0.5 미만이면 효과적인 섬유아세포 증식능을 도모하기 어렵고, 2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하고초와 백단향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효과(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콜라겐 합성 촉진능, 히이루론산 생합성 촉진능 등)를 도모하기 어렵다. 또한, 하고초의 경우 0.5 미만이면 효과적인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을 도모하기 어려우며, 1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연교와 백단향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효과(섬유아세포 증식능, 콜라겐 합성 촉진능, 히이루론산 생합성 촉진능 등)를 도모하기 어렵다. 아울러, 백단향의 경우 0.5 미만이면 효과적은 콜라겐 합성 촉진능, 콜라게나제 억제능 및 히아루론산 생합성 촉진능을 도모하기 어렵고, 2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연교와 하고초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효과(섬유아세포 증식능,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등)를 도모하기 어렵다.
아울러, 상기 혼합 추출물이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에 더하여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이들 추가로 포함되는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은 연교 0.5 ~ 2에 대하여 각각 0.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추출물이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에 더하여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을 포함하여 7가지 생약 재료들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 연교 : 하고초 : 백단향 : 천궁 : 백지 : 작약 : 천화분은 0.5 ~ 2 : 0.5 ~ 1 : 0.5 ~ 2 : 0.5 ~ 2 : 0.5 ~ 2 : 0.5 ~ 2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 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 30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부 미만이면 혼합 추출물의 함유에 따른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 효과가 크지 않고 조성물의 제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내에 0.01 ~ 20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생약 재료들은 예로부터 각종 질환의 증상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들로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된 생약재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들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교는 물푸레나무과 식물 연교(개나리, Forsythia suspensa, F. koreana, F. viridissima)의 열매로 항균효과가 알려져 있다.
하고초(夏枯草, Prunella vulgaris Linne)는 꿀풀과 식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 만성적인 종기, 두창, 급성 유선염 및 임파선 결핵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혈압강하작용과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백단향(Santalum album L.)의 심재에는 3 ~ 5%의 정유가 들어있으며, 산타놀이 90%이상 들어있다. 또한 특수한 아미노산인 시스(cis) 및 트랜스(trans) 4-히드록시프롤린, 호모스퍼미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천궁은 산형과 식물 천궁(Ligusticum chuanxiong, L. wallichii var. officinale, Cnidium officinale)의 뿌리줄기로 항균효과, 중추신경계 진정작용이 알려져 있다.
백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구릿대의 뿌리로 진통제 역할을 하며 특히, 두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촌본인 작약의 뿌리로 수렴작용과 해열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천화분(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은 과루근 또는 백약이라고도 하며 박과에 속하는 하늘타리의 덩이뿌리로서, 종기, 타박상, 피부습진, 상처부위, 치루 유선염 등에 유효하며 배농, 소종, 해독, 해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열수나 유기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초임계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특정 압력, 특정 온도의 조건에서 기체와 액체의 양쪽 성질을 모두 갖는 초임계(super critical fluid) 상태에서 수행되는 초임계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이러한 초임계 추출법의 조작 조건에서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예시한 구현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약 재료를 분쇄한 혼합물(예, 연교 : 하고초 : 백단향 = 1 : 1 : 1)을 용매에 혼합, 교반한 후, 30분 ~ 2시간 동안 방치한다. 방치 후 상기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고압 기체펌프를 이용하여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300기압에 달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후, 온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승온(예, 40℃)하고, 추출조의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부 배출하면서 초임계 추출조에 20분 ~ 150분간 유지시킨 후, 고압 기체 펌프를 재가 동하여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혼합물을 방출시키면서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음으로, 방출된 혼합물을 상압으로 감압하여,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하고, 상기 혼합물의 유효성분 추출물과 용매를 함께 포집기 내로 회수한다.
위와 같은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경우, 열에 의한 변성이나 불순물이 없고,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지는 생리 활성성분이 추출물 내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추출물의 약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용매로서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어 추출성분별 임계 조건 조절이 용이하고, 저온공정, 비산화적 공정으로 인하여 추출물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 공정에서 조용매로서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되, 조용매로서 부틸렌글리콜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이 조용매로서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부틸렌글리콜이 극성을 부여하여 최종 수득되는 추출물 내의 생리 활성성분의 함량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혼합 추출물을 적어도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서의 화장료나 약제용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화장료나 약제의 베이스 성분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분말제, 겔제, 분무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또는 피부 점착타입 등으로 부터 선택된 약제 제형; 크림,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엣센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또는 분사형 액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제형에 첨가물 역시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료, 약제 분야의 일반적인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분야의 일반적인 첨가물의 예로는 항생제,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보존료, 향료,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교 50g, 하고초 50g, 백단향 50g, 천궁 50g, 백지 50g, 작약 50g 및 천화분 50g 이상 7가지의 생약을 혼합한 것(연교 : 하고초 : 백단향 : 천궁 : 백지 : 작약 : 천화분 = 1 : 1 : 1 : 1 : 1 : 1 : 1의 중량비)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를 혼합하여 분쇄한 혼합물 350g을 조용매인 부틸렌글리콜에 혼합하여 교반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방치되었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고압용 기체펌프를 이용하여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압력이 300기압에 달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하였다. 온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추출조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열선을 통해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0.5℃/min 속도로 40℃까지 승온하고, 추출조의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부 배출하면서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50분간 유지한 후, 고압용 기체 펌프를 재가동하여 20L/min의 유량으로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방출시키며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압력조절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방출된 방출물은 압력 및 온도의 강하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고체 드라이아이스로 전이되었다. 상기에서 방출된 추출물은 상압으로 감압하여,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고, 상기 혼합물의 유효성분 추출물과 부틸렌글리콜을 함께 포집기 내로 회수하였다. 위의 과정을 12시간 동안 수행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시료로 연교 50g, 하고초 50g 및 백단향 50g 이상 3가지의 생약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연교 : 하고초 : 백단향 = 1 : 1 : 1의 중량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1 : 0.5 : 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1 : 0.5 : 2의 중량비 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5 :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2 : 1 : 2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3 : 1 : 2.5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5 : 0.3 : 3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연교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하고초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백단향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백단향 75g, 하고초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백단향 75g, 연교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하고초 75g, 연교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시험예 1: 섬유아세포( fibroblast ) 증식효과의 시험
인간유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5000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농도별 추출물을 배양 배지로 1/10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첨가한 후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 0.2%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용액을 각 웰당 30㎕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당 100㎛의 DMSO(dimethyl sulfoxide)용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진탕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효과의 시험
인간유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에 분주하고 5%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5% CO2, 37℃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1회 세척하였다. 배양된 섬유아세포와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L[2,3,4,5-H]플로린 5μCi, 아스콜빈산 30 μg/ml를 첨가하고 5% CO2, 37℃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로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타입 1 콜라게나제(type 1 collagenase)를 처리한 후 5% TCA(trichloroacetic acid)용액에 넣어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 대한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으로 환산하여 증가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콜라게나제 효소 활성 저해 실험은 콜라겐의 염색 물질인 아조콜(az℃oll)을 이용한 아조콜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질 아조콜과 효소 콜라게나제는 시그마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효소 저해 활성 측정은 50mM potassium phosphate완충용액(pH6.6) 0.9ml, 아조콜 5mg, 콜라게나제 효소용액 0.1ml 및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3℃에서 1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유도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침전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콜라게나제 저해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저해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에 대하여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는 돼지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에 의한 합성 펩티드 기질의 가수분해에 근거한 시험법으로 광파장 410nm에서의 4-니트로아닐린(4-nitroanilin)의 방출량을 측정하여 저해율을 구하였다. 먼저 엘라스타제 효소액 0.3ml, 0.2 M Tris-HCl 완충용액 1.4ml, 멸균수 0.2ml 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37℃ 항온조에서 효소활성화를 시킨다. 활성시킨 후, 기질용액 0.8mM 숙시닐-(알라닌)3-니트로아닐리드[succinyl-(Ala)3-p-nitroanilide] 0.3ml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 동안 반 응시키면서 4-니트로아닐린의 양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저해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Mouse 유래의 섬유아세포 NIH 3 T3 에서의 HAS2 발현 증가 시험
Mouse유래의 섬유아세포 NIH 3T3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다시 12시간동안 동일배지를 처리하여 우혈청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2시간 처리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RNA 분리 kit(Tri-reagent, Gibco BRL) 1 ㎖을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정량적인 역전사 PCR을 수행하였다. HAS2 및 GAPDH의 PCR 수행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은 sense primer : 5′CTGTGAAAAGGCTGACCTAC-3′ anti-sense primer : 5′TCAGTAAGGCACTTGGACCG-3′이다.
1ug 의 total RNA를 reverse transcription system(Promega, USA)을 이용하여 역전사 하여 cDNA를 얻었다. 이후 역전사 반응 용액 2 ㎕를 50 mM KCl, 10 mM tris-HCl(pH 8.3), 5 mM MgCl2, 0.16mM dNTP의 PCR 반응 완충액 50 ㎕에 섞고, 20 pmol의 프라이머와 1.25 U의 Taq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94 ℃ 에서 60초, 60 ℃에서 120초, 72 ℃에서 120 초의 3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PCR 결과를 아가로스 젤에 전기영동하고 이를 Fluoro-S MultiImager(BioR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HAS2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
농도(%)
세포증식
효과(%)
콜라겐합성
증가율(%)
콜라게나제
저해율(%)
엘라스타제
저해율(%)
HAS2의
mRNA 양(%)
실시예 1 1 x 10-3 13 35 29 43 35
1 x 10-2 32 49 45 58 68
1 x 10-1 48 68 67 75 122
실시예 2 1 x 10-3 9 21 19 37 27
1 x 10-2 24 35 34 45 51
1 x 10-1 39 48 53 61 98
실시예 3 1 x 10-3 10 24 9 21 30
1 x 10-2 27 37 21 33 54
1 x 10-1 42 51 37 42 108
실시예 4 1 x 10-3 8 21 21 9 19
1 x 10-2 26 37 35 21 42
1 x 10-1 41 55 54 48 101
실시예 5 1 x 10-3 11 24 18 18 21
1 x 10-2 19 38 34 34 48
1 x 10-1 35 54 42 52 89
실시예 6 1 x 10-3 21 27 24 12 27
1 x 10-2 38 41 38 32 59
1 x 10-1 47 62 52 45 108
실시예 7 1 x 10-3 9 13 34 7 12
1 x 10-2 15 28 41 12 34
1 x 10-1 21 35 68 19 75
실시예 8 1 x 10-3 7 12 42 7 7
1 x 10-2 15 24 69 15 21
1 x 10-1 19 32 86 21 47
구분 시료
농도(%)
세포증식
효과(%)
콜라겐합성
증가율(%)
콜라게나제
저해율(%)
엘라스타제
저해율(%)
HAS2의
mRNA 양(%)
비교예 1 1 x 10-3 5 3 2 2 18
1 x 10-2 18 6 3 2 32
1 x 10-1 25 11 5 4 58
비교예 2 1 x 10-3 3 2 3 48 3
1 x 10-2 6 7 7 72 8
1 x 10-1 8 9 9 89 12
비교예 3 1 x 10-3 3 3 54 2 3
1 x 10-2 7 9 79 6 8
1 x 10-1 11 19 97 9 12
비교예 4 1 x 10-3 5 9 34 23 4
1 x 10-2 9 14 49 45 13
1 x 10-1 14 18 81 67 19
비교예 5 1 x 10-3 7 2 28 3 15
1 x 10-2 11 7 46 8 22
1 x 10-1 17 13 59 11 42
비교예 6 1 x 10-3 7 3 3 31 18
1 x 10-2 12 9 5 48 27
1 x 10-1 18 17 6 66 39
대조군
(미첨가)
1 x 10-3 0 0 0 0 0
1 x 10-2 0 0 0 0 0
1 x 10-1 0 0 0 0 0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은 각각의 생리 활성 작용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표 2]에서 비교예 1 ~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연교의 경우(비교예 1)에는 5종의 실험에 따른 여러 가지 생리 활성 작용효과(섬유아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증식효과, 콜라겐나제의 활성 억제효과,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효과 및 HAS2 mRNA의 생성 증가효과) 중에서 섬유아세포 증식효과와 HAS2 mRNA의 생성 증가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하고초의 경우(비교예 2)에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 작용효과 중에서 엘라스타제의 활성 저해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백단향의 경우(비교예 3)에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 작용효과 중에서 콜라겐 합성 증가율과 콜라겐나제의 활성 저해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을 미첨가 하였을 경우(대조군)나 연교, 하고초, 백단향을 단독 또는 2종으로 첨가하는 경우[비교예 1 ~ 6]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3종류의 생약을 동시에 첨가하는 경우(실시예 1 ~ 8)가 5종의 실험(섬유아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증식효과, 콜라겐나제의 활성 억제효과,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효과 및 HAS2 mRNA의 생성 증가효과 실험) 모두에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 6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과, 실시예 7 및 8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을 대비하여 보면, 상기 3종류의 생약이 적정 중량비로 혼합된 경우, 즉 실시예 1 ~ 6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이 실시예 7 및 8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보다 5종의 실험 결과에서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한 것들이지만 본 발명자들의 다수의 실험적 연구에 따르면, 실시예 1 ~ 6에서와 같이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5 ~ 2 : 0.5 ~ 1 : 0.5 ~ 2의 중량비로 적정 혼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처방예(제형예)를 제시한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처방예(제형예)들은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제형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처방예(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크림 처방예 (단위: 중량부 )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추출물: 2.0
- 스테아린산: 15.0
- 세탄올: 1.0
- 수산화칼륨: 0.7
- 글리세린: 5.0
- 프로필렌글리콜: 3.0
- 방부제: 적량
- 향: 적량
-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유연화장수의 처방예 (단위: 중량부 )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추출물: 2.0
- 에탄올: 10.0
-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 글리세린: 5.0
- 1,3-부틸렌글리콜: 6.0
- 향: 적량
- 색소: 적량
-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영양화장수의 처방예 (단위: 중량부 )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추출물: 2.0
- 와셀린: 2.0
-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0.8
-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틸: 1.2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 프로필렌글리콜: 5.0
- 에탄올: 3.2
-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18.0
- 수산화칼륨: 0.1
- 향: 적량
- 색소: 적량
-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팩의 처방예 (단위: 중량부 )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추출물: 2.0
- 글리세린: 5.0
- 프로필렌글리콜: 4.0
- 폴리비닐알코올: 15.0
- 에탄올: 8.0
-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틸: 1.0
-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2
- 향: 적량
- 색소: 적량
-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엣센스의 처방예 (단위: 중량부 )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에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추출물: 2.0
- 프로필렌글리콜: 10.0
- 글리세린: 10.0
-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 에탄올: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 향: 적량
-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시험예 6: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시험
상기 처방예(제형예) 중에서 크림(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의 추출물을 함유 크림)과 추출물 미첨가 크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 건조증을 나타내는 성인 남, 녀 30명을 3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의 1주, 2주, 4주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 수분 측정기)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3]의 결과는 시험 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1주, 2주, 4주, 6주)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도포군 수분 증가율(%)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실시예 1(크림) 45 53 67 55
실시예 2(크림) 42 53 62 52
실시예 3(크림) 39 48 61 53
실시예 4(크림) 41 52 69 59
실시예 5(크림) 46 57 71 63
실시예 6(크림) 42 53 61 49
실시예 7(크림) 31 42 46 39
실시예 8(크림) 37 48 53 42
비교예 1(크림) 12 24 31 22
비교예 2(크림) 18 27 32 26
비교예 3(크림) 21 32 37 29
비교예 4(크림) 15 27 33 21
비교예 5(크림) 13 26 34 22
비교예 6(크림) 21 35 42 33
추출물 미첨가
(크림)
12 21 27 1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 8의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군에서는 추출물 미첨가한 크림을 사용한 군이나 상기 연교, 하고초, 백단향이 단독 또는 2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비교예 1 ~ 6의 추출물 함유 크림)에 비해 현저한 피분 수분량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6주 경과 후(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 후 2주 후)의 수치가 시험물질의 도포중인 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일정기간 동안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시험
상기 처방예(제형예) 중에서 엣센스(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의 추출물을 함유 엣센스)와 추출물 미첨가 엣센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0 ~ 50세의 여성 225명을 15명씩 15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10주간 안면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10주 후 피부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피부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때,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시험의 종료 직후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피부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피부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피부 주름 밀도의 감소율)는 엣센스 사용 전 피부 주름밀도에 대한 사용 후 피부 주름밀도의 비를 평균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엣센스) 2 3 10
실시예 2(엣센스) 3 3 9
실시예 3(엣센스) 2 5 8
실시예 4(엣센스) 3 4 8
실시예 5(엣센스) 2 4 9
실시예 6(엣센스) 4 3 8
실시예 7(엣센스) 4 5 6
실시예 8 (엣센스) 3 7 5
비교예 1(엣센스) 6 7 2
비교예 2(엣센스) 7 5 3
비교예 3(엣센스) 5 8 2
비교예 4(엣센스) 5 7 3
비교예 5(엣센스) 4 9 2
비교예 6(엣센스) 5 8 2
추출물 미첨가
(엣센스)
9 5 1
시료 피부 주름 밀도 감소율(%)
실시예 1(엣센스) 49
실시예 2(엣센스) 43
실시예 3(엣센스) 42
실시예 4(엣센스) 38
실시예 5(엣센스) 41
실시예 6(엣센스) 43
실시예 7 (엣센스) 37
실시예 8 (엣센스) 35
비교예 1(엣센스) 13
비교예 2(엣센스) 17
비교예 3(엣센스) 21
비교예 4(엣센스) 19
비교예 5(엣센스) 23
비교예 6(엣센스) 21
추출물 미첨가 (엣센스) 7
상기 [표 4] 및 [표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8의 추출물을 함유한 엣센스를 사용한 군이 추출물 미첨가한 엣센스를 사용한 군이나 상기 연교, 하고초, 백단향이 단독 또는 2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비교예 1 ~ 6의 추출물 함유 엣센스)에 비해 현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상승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 시험 과정에서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및 엣센스를 도포한 후,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의 혼합 추출물, 그리고 여기에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을 더 포함시킨 혼합 추출물은 섬유아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증식효과, 콜라겐나제의 활성 억제효과,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효과 및 HAS2 mRNA의 생성 증가효과 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결과(제형예의 인체 적용 실험 결과)에서 실질적인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이 피부 안정성을 확보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및 백단향을 0.5 ~ 2 : 0.5 ~ 1 : 0.5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연교, 하고초, 백단향, 천궁, 백지, 작약 및 천화분의 추출물을 0.5~2 : 0.5~1 : 0.5~2 : 0.5~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초임계 추출법은 조용매로서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 30중량부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91382A 2007-09-10 2007-09-10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3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82A KR101435679B1 (ko) 2007-09-10 2007-09-10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82A KR101435679B1 (ko) 2007-09-10 2007-09-10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6A KR20090026426A (ko) 2009-03-13
KR101435679B1 true KR101435679B1 (ko) 2014-09-01

Family

ID=4069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82A KR101435679B1 (ko) 2007-09-10 2007-09-10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49A (ko) 2015-06-25 2017-01-04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9220B (zh) * 2013-11-12 2015-07-29 青岛绿曼生物工程有限公司 治疗宠物疥癣病的复方蜂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67110B1 (ko) 2014-09-26 2020-10-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늘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KR20000045573A (ko) * 1998-12-30 2000-07-25 유상옥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7001021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7153888A (ja) 2005-11-14 2007-06-21 Kanebo Foods Ltd 体内浄化用組成物、それを用いた食品、入浴剤、化粧料、製剤及び有害金属排泄促進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KR20000045573A (ko) * 1998-12-30 2000-07-25 유상옥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70010216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7153888A (ja) 2005-11-14 2007-06-21 Kanebo Foods Ltd 体内浄化用組成物、それを用いた食品、入浴剤、化粧料、製剤及び有害金属排泄促進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49A (ko) 2015-06-25 2017-01-04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6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597B2 (ja) MC−1R、MC−2R、および/またはμオピオイド受容体刺激
US8460721B2 (en) Active ingredient that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or activity of fibroblasts
US829329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the appearance of dynamic facial wrinkles
CN103237555A (zh) 外用皮肤护理制剂
TW201206494A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N112535652A (zh) 一种光感赋活原液及其制备方法
KR20080068160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il et al. A review on: standerdization of herb in new era of cosmaceuticals: herbal cosmetics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865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342047B1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과 탄력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5A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MX2014009188A (es) Uso de extracto de carambola como un modulador de cpt-1 y composiciones del mi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