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865A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865A
KR20170130865A KR1020160061627A KR20160061627A KR20170130865A KR 20170130865 A KR20170130865 A KR 20170130865A KR 1020160061627 A KR1020160061627 A KR 1020160061627A KR 20160061627 A KR20160061627 A KR 20160061627A KR 20170130865 A KR20170130865 A KR 20170130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w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052B1 (ko
Inventor
권성순
구창회
강은정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성물은 천연 식물로부터 유래한 유효성분을 사용하여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안전성이 보장된 상태에서 우수한 피부 항염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보습 인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촉진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위생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OR MOISTURIZING ON SKIN COMPRI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피버퓨, 꿀풀, 및/또는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과 피부 내부로부터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요인이나 자극에 의하여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보습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에는 두피 및 모발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기관도 외부 자극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보습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염증은 조직이나 세포에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나 자극에 대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원래대로 회복시키려는 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외상, 자외선, 화상, 고온, 방사능 등의 물리적인 원인과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 환경 오염 물질 등에 의한 복합적인 요인 및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 등이 있다.
염증 원인의 제거 또는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항염 작용을 통해 이러한 염증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피부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 중 비스테로이드계로는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루펜,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등이 있는데, 필수지방산의 일종인 아라키돈산이 사이클로옥시게나제 및 리폭시게나제와 반응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세포독(leukotriene, prostaglandin)을 생성시키는 경우 사이클로옥시게나제와 반응하여 생합성되는 염증 유발물질은 차단할 수 있지만, 리폭시게나제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염증 유발물질은 차단하지 못하여 피부 염증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계 염증 치료제로는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이 효과가 있으나, 인체에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피부에 도포하면 도포 부위의 피부에 털이 많아지고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지고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이 돋고, 피부가 얇아지고 실핏줄이 드러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처방(도포)을 중지하면 오히려 증상이 더 심해지므로 상기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아스피린, 인도메타신과 같은 종래의 염증 억제 성분들은 그 효과가 널리 인정되고 있으나 위장 장애, 항진성 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 알려진 항염 성분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 측면, 제품 내 함유 시 안정성의 문제, 사용 함량 제한 등 법규 상의 문제들로 인해 그 사용 범위 및 수준이 제한적이다.
한편, 보습 기능은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기본적인 속성으로, 보습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피부 자체의 면역 기능과 보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습 성분으로는 다가 알코올 혹은 다당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수산화기가 친수성을 띠어 피부에 도포 시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흡습하여 표피의 수분을 유지하는 기작으로 작용하므로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감을 끈적이게 하고 다량을 제품에 함유할 경우 안정도에도 영향을 주며, 고가의 다당류의 경우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5628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757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염증 매개 인자의 억제를 통한 피부 항염 작용과 피부 내 수분 공급 인자의 발현 촉진을 통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이러한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위생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항염 조성물은 천연 식물로부터 유래한 유효성분을 사용하여 종래 염증 치료제에 비하여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안전성이 보장된 상태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촉진하여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제품 사용시 안정도가 보장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는 자외선B(UVB, Ultraviolet B)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TNF-α(조직 괴사 인자)에 대한 발현 저해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UVB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NF-κB(세포 핵 전사인자)에 대한 발현 저해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TNF-α에 대한 발현 저해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NF-κB에 대한 발현 저해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피부 보습 인자인 히알루론합성효소-3(hyaluronan synthase-3, HAS-3)에 대한 발현 촉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피부 보습 인자인 아쿠아포린에 대한 발현 촉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서 기관의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고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 및 모발을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을 수행하는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와 무관하게, 천연물로부터 수득된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로부터 수득된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은 각 식물을 원료로 추출을 수행하여 수득된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추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 산, 염기, 효소 등으로 식물을 처리할 수 있고, 이렇게 식물로부터 수득된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처리하여 수득되는 물질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버퓨(Tanacetum parthenium),” “꿀풀(Prunella vulgaris),” 및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각 식물 초본의 어린순, 잎, 꽃, 줄기, 껍질, 열매, 종자, 뿌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피버퓨(Tanacetum parthenium)는 남, 동 유럽에서 아시아까지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여름백국 또는 화란국화라고도 부른다. 속명인 타나세툼(Tanacetum)은 그리어어 ‘athanasia’에서 비롯되었으며,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feverfew’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까지 밝혀진 피버퓨의 구성 성분으로는 베타-카로텐(beta-carotene), 파르테노리드(parthenolide),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셀렌, 아연, 비타민 B1, B2, B3, C, 세스키테르핀 락톤(sesquiterpene lactone), 휘발성 오일, 타닌, 모노테르핀 등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버퓨 추출물은 피버퓨 초본의 잎, 꽃, 줄기, 뿌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꿀풀(Prunella vulgaris)은 하고초, 꿀방망이로도 불리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우리 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밀원식물로, 과거에는 꽃을 따서 꿀을 빨아 먹기도 했다. 꿀풀의 초본 전체에는 우르솔릭산(ursolic acid), 카페인산, 로즈마리산, 카로티노이드, 타닌,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꽃의 구성성분으로 사포닌, 트리테르펜, 플라보노이드류, 스테롤 및 지방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꿀풀 추출물은 꿀풀 초본의 어린순, 잎, 꽃, 줄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오이풀뿌리를 지유라고 부른다. 오이풀 뿌리의 성분으로는 약 17%의 탄닌과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고, 그 외에 갈산, 우르솔릭산, 엘라그산(ellagic acid), 쿼세틴(quercetin) 배당체, 캠페롤(kaempferol) 배당체, 류코안토시아니딘(leucoanthocyanidin)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오이풀 추출물은 오이풀 초본의 뿌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하여 추출물의 총 함량은 0.0001 내지 20 부피%, 0.001 내지 15 부피%, 0.05 내지 10 부피%, 0.1 내지 5 부피%, 0.5 내지 2 부피%, 0.8 내지 1.2 부피% 일 수 있다. 또한,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하여 추출물의 총 함량은 예를 들어 1.0 부피% 일 수 있다. 추출물의 총 함량이 지나치게 소량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지나치게 과량이면 사용되는 제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며, 유기 용매는 C1~C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프로판디올,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클로로포름,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헥산디올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용매는 그 총 질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75 질량%의 정제수, 24 내지 35 질량%의 1,3-부틸렌글리콜 및 1 내지 5 질량%의 1,2-헥산디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용매에 포함된 정제수의 함량은 혼합용매의 총 질량에 대하여 60 내지 75 질량%, 63 내지 73 질량%, 또는 65 내지 70 질량%일 수 있으며; 1,3-부틸렌글리콜의 함량은 혼합용매의 총 질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질량%, 25 내지 35 질량%, 또는 28 내지 32 질량%일 수 있으며; 1,2-헥산디올의 함량은 혼합용매의 총 질량에 대해 0.1 내지 7 질량%, 1 내지 5 질량%, 또는 2 내지 4 질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추출 공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물의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약 40 내지 120℃, 80 내지 110℃, 또는 90 내지 100℃의 조건에서 추출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95℃의 온도와 같은 가온 조건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약 1 내지 4시간, 구체적으로는 약 1.5 내지 2.5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90 내지 100℃, 에탄올인 경우에는 65 내지 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은 유효성분의 추출 수득량을 높이기 위해 1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5회로 연속 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피부에서의 염증 반응으로는 혈관 확장, 혈류 변화, 백혈구의 조직 내 침윤과 같은 생리적 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발적(redness), 발열, 팽윤, 및 통증 등의 증상뿐만 아니라, 혈관 투과성의 증가와 함께 항체 및 대식 세포 등이 염증 부위로 집중되면서 홍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가 염증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를 억제하고 NF-κB의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 항염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건강한 인체 피부의 수분은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주며, 적절한 수분 함량이 유지되어야 피부 자체의 보호 기능과 면역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아쿠아포린(aquaporin)은 세포막에서 물 분자의 출입을 조절하는 막 단백질로, 피부 내의 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콜라젠 및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과 함께 세포 외 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히알루론산은 다당류인 글라이코스아미노글라이칸(GAG)의 일종으로, 피부가 충분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 흡착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AS-3의 양을 증가시키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보습 유지력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아쿠아포린의 합성을 촉진하고 HAS-3을 증가시켜 피부의 수분 보유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보습 강화 작용을 나타내므로,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의 2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의 2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이들 각각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 항염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피버퓨 추출물:꿀풀 추출물:오이풀 추출물의 부피비는 1~9:1~9:1~9 의 정수 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에서 피버퓨 추출물:꿀풀 추출물:오이풀 추출물의 부피비는 1~5:1~5:1~5, 1~3:1~3:1~3, 1~2.7:1~2.7:1~2.7, 1~2.3:1~2.3:1~2.3, 또는 1~2:1~2: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서 피버퓨 추출물:꿀풀 추출물:오이풀 추출물의 부피비는 예를 들어 약 2: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성분으로 항산화제, 보존제, 흡수제, 각질제거제, 증점제, 선크림제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향료, 소취제, 안정화제, 피부 보호제, 및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항산화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아세틸 시스테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타이드, 에리소르빈산, 디아밀하이드로퀴논 및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항산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보존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포타슘소르베이트, 데하이드로 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펜탄디올 및 소르브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보존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흡수제는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신에이트, 카올린, 옥수수 전분, 오트 전분, 시클로덱스트린, 탈크,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흡수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각질제거제는 알파-히드록시산, 베타-히드록시산, 락트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각질제거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증점제는 카르복실산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산), 파라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이소파라핀),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및 검(예를 들어, 한천, 알긴, 알긴산암모늄, 또는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증점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선크림제제는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글리세릴 PABA, 옥틸디메틸 PABA, 부틸 PABA, 신나메이트, 안트라닐레이트, 살리실레이트, 카올린, 탈크, 페트롤라툼, 및 메탈 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크림제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유화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밀납,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60, 도데실벤젠술폰산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피이지-120메틸글루코오스디올리에이트, 및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향료는 허브, 일랑일랑 정유, 오렌지 정유, 카난가 정유, 계피정유, 케모마일 꽃추출물, 레몬 글래스 정유, 레몬 정유, 및 로즈마리 정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향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소취제는 과망간산 칼륨, 표백분, 편백나무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레몬즙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소취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카로티노이드, 레티놀, 티오글리세롤, 및 시스테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안정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보호제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 알코올, 스쿠알란, 알란토인,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콜로스트럼, 알란토인, 및 D-판테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피부 보호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및 탄산 칼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pH 조절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위생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화장품은 화장수, 에센스, 선크림, 선로션, 크림류 등과 같은 기초 화장품; 가루분, 고형백분, 크림백분, 파운데이션, 입술연지, 눈썹연필, 미조료 등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 헤어 로션, 헤어 토닉, 액상 및 유상 정발료, 헤어 크림, 헤어 트리트먼트 크림, 샴푸, 헤어 스프레이 등과 같은 헤어케어 화장품; 팩과 같은 얼굴 케어 화장품; 또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과 같은 바디케어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및 겔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위생용품은 물티슈, 티슈, 기저귀, 생리대, 위생 와이프, 습윤 와이프, 클리닝 와이프, 훼이셜 와이프, 스킨케어 와이프, 및 지한제 와이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명세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대조예 및 비교예]
(1) 피버퓨 초본의 잎, 꽃, 줄기, 및 뿌리로 구성된 혼합물을 1:20의 중량비로 추출 용매(정제수 67 질량%, 1,3-부틸렌 글리콜 30 질량%, 및 1,2-헥산디올 3 질량%로 구성됨)에 넣어 95℃에서 2시간 동안 추출후 잔류용매를 제거하여 피버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피버퓨 대신 꿀풀 초본의 어린순, 잎, 꽃, 및 줄기로 구성된 혼합물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꿀풀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오이풀 초본의 뿌리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오이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이렇게 제조된 각 추출물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10 부피%로 희석한 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하기 배지로 재차 희석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지: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100 IU/mL의 페니실린 및 100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미디엄(Medium) 1640(시험예 1);
저 세럼 성장 성분(low serum growth supplement)(50X의 저 세럼 성장 성분을 1X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과 100 units/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섬유아세포주 배지(시험예 2)
(4) 대조예의 경우 아무런 평가 시료(유효 성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비교예 1 및 2는 각각 덱사메타손 및 히알루론산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상기 배지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항목 유효성분 함량(부피%)
대조예 없음 -
실시예 1 피버퓨 추출물 1%
실시예 2 꿀풀 추출물 1%
실시예 3 오이풀 추출물 1%
실시예 4 피버퓨 추출물 + 꿀풀 추출물 + 오이풀 추출물의 혼합물(혼합비는 부피 기준 2:1:2) 1%
비교예 1 덱사메타손(Sigma, 제품번호: D8893) 0.065%
비교예 2 히알루론산 0.005%
[시험예 1] 식물 추출물의 피부 항염 효과 평가
(1) RAW264.7 세포(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입수)를 6-웰 플레이트에 5×105 cell/well의 농도로 각각 분주한 후, 각 웰에 10 부피%의 소태아혈청(GIBCO, Cat.No. 12483-020), 100 IU/mL의 페니실린(SIGMA, Cat.No. P3032) 및 100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SIGMA, Cat.No. S9137)이 첨가된 RPMI 미디엄 1640(GIBCO, 제품번호 61870-036) 배지를 넣고 37℃, 5%의 CO2 하에서(이하 세포 배양시 동일한 조건)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RAW264.7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대조예를 각 웰에 처리하여 37℃, 5%의 CO2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2) 배양된 세포에 각각 UVB 또는 과산화수소수를 하기와 같이 처리하여 세포손상을 유도하였다.
- UVB 처리에 의한 세포손상
상기 (1)에서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세척하고 UVP 크로스링커스(UVP Crosslinkers)(UVP, United Kingdom)에서 40 mJ/cm2의 UVB를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세포 손상을 유도한 뒤 배지를 교체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 과산화수소수에 의한 세포 손상
상기 (1)에서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세척한 뒤 과산화수소수(DAEJUNG, Korea)를 500μM 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3) 이렇게 배양된 세포로부터 항염 관련 유전자의 분석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RNA를 추출 및 정량한 다음 cDNA를 합성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① 상기 (2)에서 시료와 함께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1X PBS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② 1X PBS를 제거하고 플레이트에 배양된 세포의 각 웰에 트리아졸 시약 (Invitrogen, USA)을 세포에 고루 닿도록 넣고 실온에서 3~5분간 방치하였다.
③ 각 웰 안의 세포를 스크래퍼로 조심스럽게 긁어서 마이크로튜브에 모은 뒤 40 μL의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섞어주었다.
④ 실온에서 2~3분간 방치 후 12,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⑤ 원심 분리 후 투명한 상등액을 새 튜브에 옮긴 후 100 μ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넣고 조심스럽게 뒤집어(invert) 상온에서 10 분간 방치 후 12,000rpm,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⑥ 상등액을 버리고 RNA 펠렛을 DEPC(diethyl pyrocarbonate)가 처리된 정제수로 희석한 75 부피%의 에탄올 200 μL를 넣어 펠렛을 세척해준 뒤 상등액을 버리고 RNA 펠렛을 실온 건조하였다.
⑦ 건조시킨 RNA 펠렛에 DEPC가 처리된 정제수 50 μL를 넣어 현탁시킨 뒤 55 내지 60℃에서 10분간 가열한다.
⑧ 그런 뒤, RNA를 260nm에서 흡광도를 통하여 정량하였다.
정량값 구하는 식: 정량값=OD 값 * 희석배수 * 40 μg/mL
(OD260=1은 40 μg/mL)
(4) cDNA합성은 PrimeScript 1st strand cDNA Synthesis Kit(TaKaRa, Cat. No 6110A)를 이용하였고 키트의 방법에 의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PCR은 Taq polymerase Kit(TaKaRa, Cat. No R001A)를 사용하여 그 키트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고 PCR장비(Biofree, Cat. No TC-96/G/H/(b)B)를 이용해 하기 표 2의 프라이머(이하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프라이머는 바이오니아(Daejeon, Korea)에서 주문 제작하였다)로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의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이미지 분석기(KOREALABTECH, Bundang, Korea)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입수처
TNF-α Forward: 5’-CAG AGG GAA GAG TTC CCC AG-3’(서열번호 1)
Reverse: 5’-CCT TGG TCT GGT AGG AGA CG-3’(서열번호 2)
바이오니아
NF-κB Forward: 5’- TCT CAG CAA TGT CAA CGA C-3’(서열번호 3)
Reverse: 5’- TTT ATG CCT ACA GCC TCC T-3’(서열번호 4)
바이오니아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대조예를 처리한 후 TNF-α 및 NF-κB의 발현량 결과를 각각 도 1 내지 4, 및 하기 표 3 내지 6에 나타내었다. 각 유전자의 발현율은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각 유전자의 발현율(%) = (시료 처리시 유전자 발현양/대조군의 유전자 발현 양) X 100
표 3은 UVB 처리 시 TNF-α의 발현량 결과이고, 표 4는 UVB 처리 시 NF-κB의 발현량 결과이고, 표 5는 과산화수소수 처리 시 TNF-α의 발현량 결과이고 표 6은 과산화수소수 처리 시 NF-κB의 발현량 결과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표 3 내지 표 6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에 해당한다.
시료 함량(부피%) UVB TNF-α의 발현량 (%) 표준편차
대조예 0 + 100.00 0.00
실시예 1 1 + 73.85 1.64
실시예 2 1 + 73.82 0.73
실시예 3 1 + 74.37 0.58
실시예 4 1 + 59.69 2.69
비교예 1 0.065 + 50.80 4.92
시료 함량(부피%) UVB NF-κB 의 발현량(%) 표준편차
대조예 0 + 100.00 0.00
실시예 1 1 + 69.95 0.93
실시예 2 1 + 71.19 0.10
실시예 3 1 + 71.45 2.01
실시예 4 1 + 51.25 0.27
비교예 1 0.065 + 54.84 1.29
시료 함량(부피%) H2O2 TNF-α의 발현량 (%) 표준편차
대조예 0 + 100.00 0.00
실시예 1 1 + 70.80 0.96
실시예 2 1 + 71.22 1.83
실시예 3 1 + 71.44 1.48
실시예 4 1 + 46.36 1.09
비교예 1 0.065 + 42.14 0.77
시료 함량(부피%) H2O2 NF-κB 의 발현량 (%) 표준편차
대조예 0 + 100.00 0.00
실시예 1 1 + 72.43 1.02
실시예 2 1 + 66.10 1.98
실시예 3 1 + 55.88 2.83
실시예 4 1 + 47.89 0.41
비교예 1 0.065 + 67.17 7.82
도 1 내지 4, 및 표 3 내지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UVB 또는 과산화수소수에 의한 손상으로 유도되는 항염 인자들의 발현량이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3 및 도 1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UVB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약 25 내지 26% 정도의 TNF-α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40%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TNF-α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4의 효과는 비교예 1인 덱사메타손의 발현 억제 효과와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천연 성분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4의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표 4 및 도 2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UVB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약 28 내지 30% 정도의 NF-κB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49%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NF-κB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4의 효과는 비교예 1인 덱사메타손의 발현 억제 효과보다 우수한 수준이며, 특히 천연 성분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4의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표 5 및 도 3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약 28 내지 29% 정도의 TNF-α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53%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TNF-α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4의 효과는 비교예 1인 덱사메타손의 발현 억제 효과와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천연 성분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4의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표 6 및 도 4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약 27 내지 44% 정도의 NF-κB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52%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NF-κB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4의 효과는 비교예 1인 덱사메타손의 발현 억제 효과보다 우수한 수준이며, 특히 천연 성분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4의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이 현저한 피부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식물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평가
(1) 사람 섬유아 세포주(human dermal fibroblast)인 HDFa세포(ThermoFisher SCIENTIFIC)를 6-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well의 농도로 각 웰에 분주한 후, 저 세럼 성장 성분(LSGS,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50X의 저 세럼 성장 성분을 1X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과 100 units/mL의 스트렙토마이신(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첨가한 섬유아세포주 기본 배지(Medium 106, Gibco, 제품번호: M-106-500)를 각 웰에 넣고 37℃, 5%의 CO2 하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2) 배양된 HDFa를 PBS로 세척하고 배지 교체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및 대조예로 처리하여 37℃, 5%의 CO2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3) 이렇게 배양된 세포에서 상기 시험예 1의 (3) 및 (4)의 방법에 따르되, 하기 표 7의 프라미어를 사용하여 HAS-3(Hyalruronan synthase 3)와 아쿠아포린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입수처
HAS-3 Forward: 5’- GGA AAG CTT GGC ATG TAC CGC AAC AG-3’(서열번호 5)
Reverse: 5’- AGA GGA GGG AGT AGA GGG AC-3’(서열번호 6)
바이오니아
아쿠아포린 Forward: 5’- ACC CTC ATC CTG GTG ATG TTT G-3’(서열번호 7)
Reverse: 5’- TCT GCT CCT TGT GCT TCA CAT-3’(서열번호 8)
바이오니아
그리고 상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각 유전자의 발현율을 각각 도 5, 도 6, 및 표 8,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8은 HAS-3의 유전자 발현량 결과이고, 표 9는 아쿠아포린의 유전자 발현량 결과이다. 도 5 및 7은 각각 표 8 및 표 9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시료 함량(부피%) HAS-3의 발현량(%) 표준편차
대조예 0 100.00 0.00
실시예 1 1 111.72 3.15
실시예 2 1 117.21 1.45
실시예 3 1 128.63 0.31
실시예 4 1 133.85 3.14
비교예 2 0.005 150.31 3.15
시료 함량(부피%) 아쿠아포린의 발현량(%) 표준편차
대조예 0 100.00 0.00
실시예 1 1 112.01 3.53
실시예 2 1 128.65 3.46
실시예 3 1 123.43 0.40
실시예 4 1 150.91 5.05
비교예 2 0.005 147.87 2.27
표 8, 표 9, 도 5 및 6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보습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8 및 도 5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HAS-3 유전자의 발현을 약 12 내지 28% 정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34%의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해 HAS-3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9 및 도 6에 따르면 피버퓨 추출물(실시예 1), 꿀풀 추출물(실시예 2) 및 오이풀 추출물(실시예 3)은 아쿠아포린 유전자의 발현을 약 12 내지 28% 정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모두 조합한 조성물(실시예 4)은 약 51%의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추출물 각각에 비해 아쿠아포린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 4의 결과는 비교예 2인 히알루론산의 결과보다 우수한 수준이며, 특히 천연 성분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4의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이 현저하게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험예 1 및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 항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그로 인해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부피%)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60 0.4
트리에탄올아민 0.1
보존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부피%)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스쿠알란 2.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부피%)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 1.0
베타글루칸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스쿠알란 2.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부피%)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 1.0
베타글루칸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9
파라핀 2.0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부피%)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 1.0
히알루론산 추출물 2.0
베타글루칸 2.0
알란토인 0.1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명세서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Yuhan-Kimberly, Limited <120>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OR MOISTURIZING ON SKIN COMPRISING PLANT EXTARCT <130> KC161016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TNF-alpha <400> 1 cagagggaag agttcccc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TNF-alpha <400> 2 ccttggtctg gtaggagacg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NF-kappa B <400> 3 tctcagcaat gtcaacgac 19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NF-kappa B <400> 4 tttatgccta cagcctcct 19 <210> 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HAS-3 <400> 5 ggaaagcttg gcatgtaccg caacag 26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HAS-3 <400> 6 agaggaggga gtagagggac 20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Aquaporin <400> 7 accctcatcc tggtgatgtt tg 22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Aquaporin <400> 8 tctgctcctt gtgcttcaca t 21

Claims (11)

  1.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버퓨 추출물, 꿀풀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중의 2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추출물의 총 함량은 0.0001 내지 20 부피%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버퓨 추출물은 피버퓨 초본의 잎, 꽃, 줄기, 뿌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꿀풀 추출물은 꿀풀 초본의 어린순, 잎, 꽃, 줄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오이풀 초본의 뿌리 추출물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제, 보존제, 흡수제, 각질제거제, 증점제, 선크림제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향료, 소취제, 안정화제, 피부 보호제, 및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헤어케어 화장품, 얼굴 케어 화장품, 및 바디케어 화장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및 겔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용품은 물티슈, 티슈, 기저귀, 생리대, 위생 와이프, 습윤 와이프, 클리닝 와이프, 훼이셜 와이프, 스킨케어 와이프, 및 지한제 와이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60061627A 2016-05-19 2016-05-19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8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27A KR102085052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27A KR102085052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65A true KR20170130865A (ko) 2017-11-29
KR102085052B1 KR102085052B1 (ko) 2020-03-05

Family

ID=6081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27A KR102085052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745B1 (ko)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필-오프 팩 조성물
KR102293978B1 (ko) * 2020-04-24 2021-08-27 주식회사 지크린 과산화 수소를 함유한 소독제 조성물이 함유된 소독 물티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87B1 (ko) 2004-12-09 2006-12-11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090117199A (ko) * 2008-05-09 2009-11-12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644A (ko) * 2013-07-23 2015-02-02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575722B1 (ko) 2013-10-28 2015-12-0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101582974B1 (ko) * 2015-08-07 2016-01-06 (주)더마랩 카사바 덩이줄기 효소추출물 및 피버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678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하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87B1 (ko) 2004-12-09 2006-12-11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090117199A (ko) * 2008-05-09 2009-11-12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644A (ko) * 2013-07-23 2015-02-02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575722B1 (ko) 2013-10-28 2015-12-0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20160054678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하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582974B1 (ko) * 2015-08-07 2016-01-06 (주)더마랩 카사바 덩이줄기 효소추출물 및 피버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745B1 (ko)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필-오프 팩 조성물
KR102293978B1 (ko) * 2020-04-24 2021-08-27 주식회사 지크린 과산화 수소를 함유한 소독제 조성물이 함유된 소독 물티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52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289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842089A (zh) 用于刺激前胶原蛋白或胶原蛋白和透明质酸合成的方法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24947A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101124A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642849A (zh) 包括芝麻素之組成物、其製造方法及用於皮膚抗老化及皮膚美白應用之用途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85052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3171225A (ja) インテグリンα6β4産生促進用組成物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819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JP2008184441A (ja) 細胞増殖促進用皮膚外用剤
CN100413489C (zh) 平衡调理修复霜
KR20220133136A (ko)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