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199A -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199A
KR20090117199A KR1020080043127A KR20080043127A KR20090117199A KR 20090117199 A KR20090117199 A KR 20090117199A KR 1020080043127 A KR1020080043127 A KR 1020080043127A KR 20080043127 A KR20080043127 A KR 20080043127A KR 20090117199 A KR20090117199 A KR 2009011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lotion
cucumber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536B1 (ko
Inventor
홍은숙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4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이풀 추출물의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이풀 추출물, 화장료 조성물,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섬유아세포 증식, 피부 보습, 상처 치유, 피부 주름 개선

Description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본 발명은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5 ~ 50중량%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오이풀 추출물의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상해를 직접 받는 부위인 동시에 또한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조직이다. 그러나, 우리의 피부는 예를 들어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손상으로 피부의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피부는 더욱 더 큰 손상을 입게 되고 빠르게 피부 탄력이 저하되며, 주름이 생성되게 된다.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 안의 콜라겐(collagen), 뮤코다당 류(mucopolysacchar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이 증가한다. 이렇게 되면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는 거칠게 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은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력을 잃게 되어 결국 피부는 건조하게 되고 투명성(translucency)을 잃게 되어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되고 주름이 생성된다. 한편, 피부의 보습 작용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피부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노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수분균형은 표피(epidermis)에 의해 조절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이 쌓여 있는 것이지만 피부의 수분유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생체는 생명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정상피부에서의 수분은 체내에 70%, 각질층에 20%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준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 ~ 20%를 유지한다. 현재 피부 내 수분 유지 방법은 폐색제(occlusive agent)를 사용하고 있으며, 폐색제는 수분 손실을 막는 장벽을 피부 위에 형성함으로써, 수분 보유를 촉진하는 소수성 물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색제에는, 바세린, 라놀린, 코코아 버터,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이 포함된다. 또한,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크로톤 오일(Croton Oil), 수 산화나트륨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20 내지 50 여종의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이들 원료들이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움증, 알러지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가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면 각질층이 손상을 받게 되고, 따라서 각질층 손상의 지표가 되는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1차적인 염증반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화장품은 피부에 유해한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때문에 피부 보습 효과, 보호 효과 등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염증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혹은 생체 내 대사산물 가운데 자극성 물질에 대한 방어 기작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염증은 화학적 매개체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항염증제는 여러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아 그 사용에 한계가 있어왔다.
외부에 의한 피부 손상이 일어났을 때 상처 치유가 곧바로 일어나게 되는데 표피와 진피의 손상으로 기저막이 노출되어 있으면서 표피가 소실된 상처는 상처표면이 선홍색을 띤다. 피부 손상 회복 과정에서 염증반응, 상피세포의 증식과 이주로 표피층이 복구되며, 진피까지 소실되었을 경우 상피세포의 회복과 함께 결체조직의 복구도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결체조직을 형성하는 과정 중 콜라겐 합성과정이 있는데, 섬유아세포에 의해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오이풀을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다른 목적들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5 ~ 50중량%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오이풀 추출물의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자 등은 오이풀 추출물이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을 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오이풀 추출물의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 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5 ~ 50중량%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굵은 뿌리줄기에서 갈라진 뿌리는 양끝이 뵤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어지고, 원대는 곧게 1m 정도 자라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 겹잎이며, 뿌리잎은 작은잎이 7 ∼ 11개이고, 잎자루와 작은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줄기잎은 작아지며 대가 없어진다.
꽃은 7 ∼ 9월에 피고 검붉은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은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위에서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꽃받침조각과 수술은 4개씩이고 꽃잎이 없으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고 사각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종류는 오이풀, 가는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산오이풀, 자주가는오이풀, 술오이풀, 두메오이풀, 구슬오이풀, 구름오이풀이 있다.
오이풀은 지혈, 해독, 화상, 종기, 무좀, 습진, 설사, 이질, 위출혈, 장출혈, 위산 과다, 악창, 생리통, 수렴, 대장염, 토혈, 월경 과다, 출산 출혈 과다시, 외상 출혈에 효과가 있다. 또한, 한방에서 뿌리를 지유(地楡)라고 하며, 수렴, 해 열, 설사, 이질, 지혈, 월경과다, 객혈, 피부병, 상처 및 화상과 열상 등에 사용하는데, 17%의 타닌과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한국, 중국, 동부 시베리아, 일본 및 캄차카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이풀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오이풀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한 오이풀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은 여과되고,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오이풀 추출물의 제조시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 10 배로 하고, 추출 온도는 30 ~ 90℃, 바람직하게는 60 ~ 8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추출 시간은 5 ~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0시간이다.
오이풀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 시키고, 상층액을 감압 여과할 수도 있고,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70℃에서 감압농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중량% 함유될 수 있다. 오이풀 추출물의 함유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상승 효과가 미약하 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오이풀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이풀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오이풀 추출물의 제조
오이풀 5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5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70℃ 수욕조에서 10시간 이상 온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를 동결건조하여 농축한 다음,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항산화 활성 실험
오이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인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오이풀 추출물 100㎍/㎖과 항산화 측정 용액인 0.2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 100㎕을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C(100㎍/㎖)와 함께 실험하여 추출물이 어느 정도의 활성을 갖는지를 상대적으로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68.1%로 나타났으므로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비타민 C 오이풀 추출물
항산화 활성(%) 66.2% 68.1%
실험예 2 : 항염증 효과 평가법 - 카라기난 족 부종( Carrageenan Foot Edema )
오이풀 추출물을 10 ~ 100㎎/㎏씩 쥐의 복강으로 투여하고 1시간 후, 0.1% 카라기난 용액 0.5 ㎖을 실험 동물의 뒷 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했다. 카라기난 주입 직후와 주입 후 4시간 뒤의 쥐의 발부피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표 2에 기재하였다.
%억제율 = (1 - ΔV처리군 / ΔV대조군)×100
(ΔV : 발 부피의 변화)
투여용량(㎎) %억제율
10 32.0
30 48.2
50 60.7
100 84.6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풀 추출물의 투여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염증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세포증식효과
오이풀 추출물의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보기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상기에서 제조한 오이풀 추출물을 최종 농도 50 ~ 500㎍/㎖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한다. 배양 후 MTT(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5㎎/㎖) 용액 10㎕을 첨가하여 4시간 방치 후 반응액을 제거한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용액을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세포증식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3 에 기재하였다.
세포증식효과(%) = {(추출물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료(㎍/㎖)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
50 28.2
100 31.9
200 60.5
300 71.8
500 80.7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풀 추출물은 세포증식효과가 뛰어나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콜라겐 합성효과
1 X 105개의 신생아 피부로부터 분리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오이풀 추출물 시료를 50 ~ 500㎍/㎖로 처리하였다. 24 ∼ 48 시간 배양한 후, 섬유아세포가 새롭게 합성 분비한 콜라겐의 양을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콜라겐 키트(procollagen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콜라겐량을 세포수 또는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시료(㎍/㎖) 콜라겐 합성증가(%)
대조군 -
50 12.4
100 26.1
200 48.9
300 60.7
500 84.6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이풀 추출물이 콜라겐 합성 증가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어 이를 통한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 실시예 비교예
제조예 1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오이풀 추출물이 결여된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5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
오이풀 추출물 4.0 -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 5.0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5.0 5.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2.0 2.0
폴리소르베이트60 1.7 1.7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3 1.3
향료,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시험예 5 : 보습력 개선 임상효과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 보습력 개선 임상효과를 측정하였다. 36세에서 59세의 여성 20명(평균연령 48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부 수분량이 65이하인 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을 선별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2부위를 정하고 피부의 수분량을 각각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4주간 도포(2회/일)하고, 피부 수분함량 측정장치인 코네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각질층 바로 아래의 표피층의 수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피검자 D0 D28 D0 D28
1 63 71 65 67
2 63 72 54 72
3 51 93 54 79
4 49 - 52 -
5 62 75 65 69
6 65 75 55 74
7 37 67 51 80
8 55 59 61 75
9 63 98 54 89
10 27 55 39 88
11 33 58 29 64
12 30 58 45 70
13 44 67 61 75
14 46 71 32 60
15 41 59 44 70
16 57 92 45 81
17 64 77 64 81
18 44 74 25 59
19 61 86 46 83
20 40 85 48 97
평균 54 75 54 47
△28 24.4%
상기 표 6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적용 전/후의 상대적인 수치 계산을 통해 살펴보면,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코네오미터 측정결과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를 적용 28일 후, 수분도가 24.4%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피검자 68%에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수분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서, 피부 보습력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 경피 수분증발 억제 임상효과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경피 수분증발 억제 임상효과를 측정하였다. 36세에서 59세의 여성 20명(평균연령 48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부 수분량이 65이하인 건성피부를 가진 사람을 선별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2부위를 정하고 피부의 수분량을 각각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4주간 도포(2회/일)하고, 경피 수분증발량 측정장치인 투와미터(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적용전) - (적용후) = (△TEWL)
피검자 실시예 (△TEWL) 비교예 (△TEWL)
1 7 2
2 5 3
3 5 3
4 6 2
5 4 5
6 5 4
7 7 3
8 8 3
9 6 2
10 7 1
11 6 1
12 5 2
13 8 1
14 8 4
15 4 3
16 3 2
17 6 3
18 6 2
19 5 2
20 7 4
평균 5.9 2.6
상기 표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경피수분증발 억제가 5.9로 비교예의 2.6보다 2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수분손실을 억제시키는 것으로서, 피부 보습력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 유연 화장수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오이풀 추출물 1.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 영양 크림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크림을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오이풀 추출물 2.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이풀 추출물은 표피 수분량 증가, 표피 수분 증발 억제, 항염,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및 섬유아세포 증식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첨가하고 열수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 량에 대해서 0.005~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43127A 2008-05-09 2008-05-09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27A KR101020536B1 (ko) 2008-05-09 2008-05-09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27A KR101020536B1 (ko) 2008-05-09 2008-05-09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99A true KR20090117199A (ko) 2009-11-12
KR101020536B1 KR101020536B1 (ko) 2011-03-09

Family

ID=4160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127A KR101020536B1 (ko) 2008-05-09 2008-05-09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7A (ko)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오이의 주요성분 추출법 및 이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865A (ko) * 2016-05-19 2017-11-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03010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09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71B1 (ko) 2018-05-04 2020-01-22 대한민국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632084B1 (ko) 2020-12-10 2024-02-02 (주)다럼앤바이오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62A (ko) * 2000-12-14 2002-06-22 김광석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0714172B1 (ko) * 2004-04-13 2007-05-02 주식회사 참 존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2621A (ko) * 2005-03-24 2006-09-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7A (ko)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오이의 주요성분 추출법 및 이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865A (ko) * 2016-05-19 2017-11-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03010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09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536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374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의 과피의 추출물의 용도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7B1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48A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8B1 (ko)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802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100000112A (ko) 피부염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50080701A (ko)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2159A (ko) 장뇌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