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71B1 -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71B1
KR102130571B1 KR1020180164245A KR20180164245A KR102130571B1 KR 102130571 B1 KR102130571 B1 KR 102130571B1 KR 1020180164245 A KR1020180164245 A KR 1020180164245A KR 20180164245 A KR20180164245 A KR 20180164245A KR 102130571 B1 KR102130571 B1 KR 10213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frui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495A (ko
Inventor
이수혜
Original Assignee
이수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혜 filed Critical 이수혜
Priority to KR102018016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서, 알부틴 사용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미백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Low irritating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lbutin and extract of Euterpe oleracea fruit}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티로시나아제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히드로퀴논,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을 비롯한 다양한 추출물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피부의 안전성과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알부틴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미백효과를 가지면서 피부 자극 등 인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자극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1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9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2-10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및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및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9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2-10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서, 알부틴 사용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미백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백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을 특정 조성비로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비로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실험예 1 내지 2 참조).
본 발명의 상기 알부틴(albutin)은 월귤나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미백에 효과가 좋은 성분이며,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화학 구조로써, 산화방지제, 피부 컨디셔닝, 미백개선 효능이 있음은 물론, 제형의 안정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며의 상기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Acaiberry))는 브라질 북부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 인근에 자라는 야자수 열매로서, 여러 세기동안 원주민들이 질병 해독제, 천연 최음제 및 에너지와 활력을 증가시키는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최근 아사이베리의 풍부한 항산화 효능 및 면역력 증진 특성이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Blueberry)는 관목성 식물의 열매이며, 야생종은 열대 산악지대인 온대와 아한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블루베리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북아메리카의 3대 블루베리에는 하이부시 블루베리, 래빗아이 블루베리 및 로우부시 블루베리 등 3 종류가 있다. 블루베리에는 안토시아닌, 클로로겐산, 프로안토시아니딘, 플라보노 배당체, 카테킨 등의 다양한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 이 폴리페놀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성분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블루베리 열매는 노화와 파킨슨병의 예방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울러 알츠하이머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Blackberry)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장미과 딸기속에 속하는 식물의 열매로 높은 비타민 A 함량으로 눈의 피로에 좋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안토시아닌 외에도 플라보놀, 페놀산, 엘라그산, 비타민 C 및 E와 같은 다른 항산화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면역력 증진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의 연구에서 블랙베리는 암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항염증제로서의 잠재적인 생물학적 이점에 대해서 보고된바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Raspberry))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나무딸기류 과수의 한 속을 의미하는 라즈베리(나무)의 열매이다. 라즈베리 나무의 열매는 집합과로 여름에 익는다. 라스베리는 섬유소가 풍부히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C와 망간, 비타민 A, B, 칼슘, 포타슘 등의 인체의 생리 기능에 유용한 유효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라즈베리는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에 효능이 있으며, 피부노화 방지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Bilberry))는 유럽에서 수세기동안 생약 및 식재료로 사용된 월귤나무속 식물의 열매이다. 빌베리에는 폴리페놀이 과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제, 항염증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저한 수렴효과를 가져서 입 및 점막의 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설사 및 치질의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Cranberry))는 철쭉과의 월귤류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 산성의 소택지를 좋아하는 월귤나무의 열매이다. 크렌베리는 높은 비타민C 함량을 갖는 과일로, 특유의 상큼한 맛과 높은 항산화 작용 등의 건강상 이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크렌베리는 요로감염증을 제어하는 여러 기작을 가져 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식이요법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Strawberry))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딸기나무의 열매로, 우리나라에서는 '딸기'라고 불리는 열매이다. 스트로베리(딸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주요성분으로는 탄수화물, 칼슘, 인, 카로틴 등이 있으며, 비타민 중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 원료로부터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유효성분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1.50-2.50 중량부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부틴 1.80-2.20 중량부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부틴 1.95-2.05 중량부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블루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추출물을 0.04-0.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럼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보습제, 피부유연화제, 수분차단제 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컨디셔닝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유연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점증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향료,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 피부컨디셔닝제로서 부틸렌글라이콜,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2-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이소헥사데칸, 토코페릴알세테이트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EG-100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80 및 세테아릴알코올, 점증제로서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pH 조정제로서 시트릭애씨드, 및 기타 성분으로서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정제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및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9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2-10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3-7℃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3-21℃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4-6℃에서 14-16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6-18℃에서 5-7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은 알부틴 2.0 중량부 기준으로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0.01-0.10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사이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사이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6종 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및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들 성분을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1.50-2.50 중량부, 아사이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부틴 1.80-2.20 중량부, 아사이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3-0.07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부틴 1.95-2.05 중량부, 아사이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럼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보습제, 피부유연화제, 수분차단제 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컨디셔닝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유연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점증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향료,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 피부컨디셔닝제로서 부틸렌글라이콜,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2-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이소헥사데칸, 토코페릴알세테이트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EG-100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80 및 세테아릴알코올, 점증제로서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pH 조정제로서 시트릭애씨드, 및 기타 성분으로서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정제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및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9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2-10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3-7℃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3-21℃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4-6℃에서 14-16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6-18℃에서 5-7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은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인 것일 수 있고, 알부틴 2.0 중량부 기준으로 아사이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1-0.10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각각 0.03-0.07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각각 0.04-0.06 중량부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아사이베리추출물 및 6종 베리추출물의 준비
아사이베리 동결건조분말 100g에 추출용매로 50% 에탄올 1L을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Daejeon, Korea)에서 70℃, 6~12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6종의 베리류로부터 각각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알부틴, 아사이베리 및 6종 베리의 복합물의 준비
알부틴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정제수에 녹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25℃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1차 숙성시켜 1차 숙성물을 얻은 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1차 숙성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다시 1 내지 5℃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2차 숙성시켜 2차 숙성물을 얻었고, 이를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한 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알부틴, 아사이베리 및 6종 베리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알부틴과 아사이베리 및 6종 베리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알부틴과 아사이베리 및 6종 베리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알부틴과 상기 제조예 1의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복합물 또는 개별추출물을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3℃에서 15시간 동안 1차 숙성, 17℃에서 8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스트로베리 추출물
실시예 1-1 1.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1-2 1.8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1-3 2.0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1-4 2.2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1-5 2.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2-1 2.0 0.01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2-2 2.0 0.03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2-3 2.0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2-4 2.0 0.07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2-5 2.0 0.10 0.05 0.05 0.05 0.05 0.05 0.05
비교예 1 2.0 0.05 - - - - - -
비교예 2 2.0 - 0.05 0.05 0.05 0.05 0.05 0.05
비교예 3 -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비교예 4 2.0 - - - - - - -
비교예 5 - 0.05 - - - - - -
비교예 6 - - 0.05 0.05 0.05 0.05 0.05 0.05
상기 표 1의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기타성분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기타성분
피부 탄력 개선 아로니아열매추출물(0.04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부틸렌글라이콜,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2-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이소헥사데칸, 토코페릴알세테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기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EG-100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소르베이트80, 세테아릴알코올, 시트릭애씨드, 향료, 정제수
<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에 사용한 α-MSH는 10%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600μM 용액(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는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60mm 플레이트에 5% CO2 및 37℃ 조건하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한 멜라노마 세포주는 60mm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최종 200nM의 농도로,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DMEM 배지에 각각 희석시켜 최종 50㎍/㎖의 농도로 멜라노마 세포에 처하고 5% CO2 및 37℃에서 7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지를 수득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만을 첨가한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 값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멜라닌 생성 억제율(%)={1-(실험구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멜라닌 생성 억제율(%)
대조군(비처리군) 0.00
실시예 1-1 46.62
실시예 1-2 57.86
실시예 1-3 62.56
실시예 1-4 59.01
실시예 1-5 48.24
실시예 2-1 47.36
실시예 2-2 58.02
실시예 2-3 62.56
실시예 2-4 57.50
실시예 2-5 47.24
비교예 1 38.58
비교예 2 26.06
비교예 3 22.08
비교예 4 23.45
비교예 5 19.10
비교예 6 18.6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부틴,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스트로베리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께 포함한 실시예 1-1 내지 2-5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 처리군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비교예 2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 처리군 대비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1 내지 6 대비 실시예 1-1 내지 2-5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처리군에서 더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3 및 2-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 가장 우수한 미백 효과가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2-5와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발된 건강한 피부를 가진 20~30세의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인공색소 침착을 유도한 뒤 6주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및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색소 침착 없음'은 0점, '없거나 가벼운 색소침착'은 1점, '가벼운 색소침착'은 2점, '가볍거나 보통의 색소침착'은 3점, '보통의 색소침착'은 4점, '보통이거나 심한 색소침착'은 5점, '심한 색소침착'은 6점, '매우 심한 색소침착'은 7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각 시점별로 2명의 관찰자가 육안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하기 표 4에 평가 대상자 10명에 대한 관찰자 1 및 2에 의한 평가 점수의 평균값으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평가하였다.
0주 1주 2주 4주 6주 피부자극
실시예 1-1 6.5 6.0 4.8 3.8 2.9 2/10
실시예 1-2 6.6 4.9 3.7 2.5 1.9 1/10
실시예 1-3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1-4 6.7 4.6 3.2 2.0 1.6 1/10
실시예 1-5 6.8 5.7 4.5 3.4 2.6 3/10
실시예 2-1 6.6 5.9 4.8 3.6 2.8 2/10
실시예 2-2 6.8 4.8 3.4 2.1 1.8 1/10
실시예 2-3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2-4 6.7 4.7 3.3 2.2 1.9 1/10
실시예 2-5 6.7 6.0 4.7 3.7 2.7 2/10
비교예 1 6.8 6.3 5.3 4.3 3.7 5/10
비교예 2 6.6 6.2 5.7 5.1 4.5 7/10
비교예 3 6.8 6.5 6.0 5.4 4.9 5/10
비교예 4 6.5 6.3 5.8 5.2 4.7 8/10
비교예 5 6.6 6.4 6.2 5.6 5.5 4/10
비교예 6 6.9 6.6 6.3 5.8 5.6 4/1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0주 대비 6주 색소침착 정도의 감소율을 확인해 본 결과, 비교예 중에서는 알부틴과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포함한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2 내지 6에 비해 색소침착을 감소시키는 미백 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실시예 1-1 내지 2-5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미백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3 또는 2-3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미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을 사용한 경우에도 미백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실시예 1-1 내지 2-5에 비해 자극이 강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피부 자극의 우려가 있었다. 특히, 알부틴만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4)를 사용한 경우 피부 자극이 많이 유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알부틴과 아사이베리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내지 2-5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알부틴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숙성 조건에 따른 미백 효능 평가
상기 제조예 2의 숙성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복합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부틴 2.0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사이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크렌베리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각각 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하기 표 5의 온도(℃) 및 시간(h) 조건으로 1차 및 2차 숙성을 실시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복합물 및 상기 표 2의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3-1 내지 3-2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3-1 내지 3-23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차숙성조건 2차숙성조건 색소 침착정도 피부자극
온도 시간 온도 시간 0주 1주 2주 4주 6주
실시예 3-1 1 15 17 6 6.5 5.7 5.0 3.9 3.6 3/10
실시예 3-2 3 15 17 6 6.6 4.8 3.3 2.3 1.9 1/10
실시예 3-3 5 15 17 6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3-4 7 15 17 6 6.5 4.9 3.2 2.2 1.8 1/10
실시예 3-5 9 15 17 6 6.6 5.9 4.8 3.8 3.3 2/10
실시예 3-6 5 4 17 6 6.5 6.0 4.9 4.0 3.7 2/10
실시예 3-7 5 10 17 6 6.6 4.9 3.7 2.5 2.1 1/10
실시예 3-8 5 15 17 6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3-9 5 20 17 6 6.7 4.6 3.4 2.6 2.0 1/10
실시예 3-10 5 24 17 6 6.8 5.7 5.0 3.8 3.2 2/10
실시예 3-11 5 15 10 6 6.6 5.9 5.1 3.9 3.5 2/10
실시예 3-12 5 15 13 6 6.8 4.8 3.5 2.5 1.9 1/10
실시예 3-13 5 15 17 6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3-14 5 15 21 6 6.7 4.7 3.3 2.3 1.8 1/10
실시예 3-15 5 15 25 6 6.7 6.0 4.8 3.7 3.4 3/10
실시예 3-16 5 15 17 2 6.8 6.1 4.9 3.8 3.3 2/10
실시예 3-17 5 15 17 4 6.6 4.7 3.2 2.5 1.8 1/10
실시예 3-18 5 15 17 6 6.8 4.3 2.5 1.4 1.1 0/10
실시예 3-19 5 15 17 8 6.5 4.6 3.5 2.6 1.9 1/10
실시예 3-20 5 15 17 10 6.6 5.8 4.8 3.9 3.5 3/10
실시예 3-21 5 15 미수행 미수행 6.8 6.6 6.1 5.3 4.9 4/10
실시예 3-22 미수행 미수행 17 6 6.5 6.4 6.0 5.2 4.7 4/10
실시예 3-23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6.7 6.5 6.1 5.7 5.5 5/1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3 내지 7℃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13 내지 21℃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상기 외의 조건으로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1차 숙성 또는 2차 숙성을 1회만 수행하거나 숙성 단계를 거치지 않은 복합 추출물로 제조된 실시예 3-21 내지 3-23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색소 침착 개선 및 피부자극 억제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에서 15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17℃에서 6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 미백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알부틴(arbutin),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1.80-2.20 중량부, 아사이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랙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라즈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빌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크렌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 추출물 0.04-0.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알부틴(arbutin) 1.80-2.20 중량부,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라즈베리(Rubus idaeus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크렌베리(Vaccinium macrocarpon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 및 스트로베리(Fragaria chiloensis fruit) 추출물 0.04-0.06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9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2-10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3-7 ℃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3-21 ℃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64245A 2018-12-18 2018-12-18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245A KR102130571B1 (ko) 2018-12-18 2018-12-18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245A KR102130571B1 (ko) 2018-12-18 2018-12-18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95A KR20200075495A (ko) 2020-06-26
KR102130571B1 true KR102130571B1 (ko) 2020-07-06

Family

ID=7113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45A KR102130571B1 (ko) 2018-12-18 2018-12-18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223B1 (ko) * 2020-08-04 2022-02-21 주식회사 이엔코스 알부틴과 쪽 잎 및 유채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2402307B (zh) * 2020-10-29 2022-02-11 青海大学 一种具有淡化色斑、延缓肌肤老化作用的护肤果油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509693B1 (ko) * 2022-01-28 2023-03-15 에이드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41B1 (ko) 2007-12-26 2009-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부틴 베타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073107B1 (ko) * 2011-07-21 2011-10-12 해브앤비(주) 베리 칵테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제목 "이엔코스 미백에센스_알부틴 아사이 화이트닝세럼", 공개일 2018.07.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95A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137329A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39A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5709B1 (ko) 로베티올린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95367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