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173B1 -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173B1
KR102015173B1 KR1020170108575A KR20170108575A KR102015173B1 KR 102015173 B1 KR102015173 B1 KR 102015173B1 KR 1020170108575 A KR1020170108575 A KR 1020170108575A KR 20170108575 A KR20170108575 A KR 20170108575A KR 102015173 B1 KR102015173 B1 KR 10201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200A (ko
Inventor
이명오
이수혜
Original Assignee
이명오
이수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오, 이수혜 filed Critical 이명오
Priority to KR102017010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및 트레할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사용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하면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므로 미백용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Low irritating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티로시나아제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히드로퀴논,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을 비롯한 다양한 추출물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피부의 안전성과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알부틴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부틴을 포함한 미백용 조성물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롤의 고유한 미백효과는 유지하면서 피부 자극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성분들을 찾아냈으며, 이들의 최적의 함량비를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928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자극 완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및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및 서양톱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트레할로스(Trehalose)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 사용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가 있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미백효과는 극대화하면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인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트레할로스를 밝혔으며,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의 최적 함량비를 확립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및 서양톱풀추출물을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실험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Beta-Glucan),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및 서양톱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알부틴(albutin)은 월귤나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미백에 효과가 좋은 성분이며,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화학 구조로써, 산화방지제, 피부 컨디셔닝제, 미백개선 효능이 있음은 물론, 제형의 안정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장품 분야에서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판테놀(Panthenol)은 침수성 있는 보습제로 사용되며 노화방지, 여드름 억제, 피지과다분비 억제, 상처치료 및 재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은 브라질에서 자생하는 칸데이아나무에서 얻어지는 천연성분으로 향과 색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을 제조할 때 품질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지용성으로 피부에 빠르게 스며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녹차(Camellia sinensis leaf)는 동백나무과에 속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실활(失活)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져 왔다.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항산화, 항염증, 항돌연변이, 심장질환예방, 항혈관형성, 세포사멸, 비만예방, 콜레스테롤강하, 항동맥경화증, 항당뇨, 항균, 항바이러스, 노화방지 등의 약리작용이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의 아르니카 꽃(Arnica Montana Flower)은 독일, 이탈리아 등 중부 유럽이 원산지이며, 진통 및 소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리 통증, 결림, 부종 치료 및 혈류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병풀(Centella Asiatica)은 가장자리에 톱니를 두른 작은 부채모양의 잎에 흰색 또는 연보라색의 꽃을 피우는 미나리과 식물이며, 병풀의 잎과 줄기에는 마데카식산이라는 성분이 있어 염증을 낫게하고, 종량과 궤양 등 상처를 치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은 유럽이 원산지이고, 양시초라고도 하며 청열, 해독, 타박상, 출열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꽃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갠티아나 추출물 및 서양톱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병풀, 아르니카꽃, 녹차, 갠티아나 및 서양톱풀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병풀, 아르니카꽃, 녹차, 갠티아나 또는 서양톱풀 추출물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1.0 내지 3.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0 내지 3.0 중량부, 갠티아나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알파-비사보롤 0.1 내지 1.0 중량부, 베타글루칸 1.0 내지 3.0 중량부, 판테놀 0.05 내지 0.15 중량부, 녹차 추출물 0.1 내지 0.3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아르니카 꽃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서양톱풀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트레할로스(Trehalose)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트레할로스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및 트레할로스를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만을 함유할 경우 나타나는 피부 자극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짐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실험예 1 및 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맛사지크림, 영양로션, 모이스쳐로션, 밀크로션, 로션, 아스트린젠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팩, 패치, 겔, 파우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보습제, 피부유연화제, 수분차단제 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보호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유연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점증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향료,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피부보호제로서는 부용추출물, 인도유향수지추출물, 스쿠알란,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알란토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마리추출물, 고삼추출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D-판테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화제로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세린, 솔비톨, 만니톨,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글릴세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연제로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알코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카프릴릴글라이콜, 트리옥타노인, 세틸옥타노에이트, 스테아릭애씨드, 사이클로메치콘, 쉐어버터, 라놀린, 다메치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트리에탄올아민,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티우레이트코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킬레이트화제로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용제로서는 정제수, 1,2-헥산디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 알파- 비사보롤 및 식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
완전히 건조된 갠티아나 100g을 분쇄한 뒤, 70% 에탄올(EtOH) 수용액 1L를 사용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교반하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갠티아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및 서양톱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과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및 추가 성분들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단위: 중량%) 실시예 1
A 알부틴 2.0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갠티아나 추출물 0.10
알파-비사보롤 0.50
베타글루칸 2.00
판테놀 0.10
녹차 추출물 0.20
병풀 추출물 0.10
아르니카꽃 추출물 0.10
서양톱풀 추출물 0.10
B 글리세린 1.00
부틸렌 글라이콜 2.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0
세테아릴 알코올 2.0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2.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2.00
프로판디올 2.00
C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 실시예 2>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 알파- 비사보롤 , 식물 추출물 및 트레 할로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
트레할로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추출물,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파-비사보롤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2)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단위: 중량%) 실시예 1
A 알부틴 2.0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갠티아나 추출물 0.10
알파-비사보롤 0.50
베타글루칸 2.00
판테놀 0.10
녹차 추출물 0.20
병풀 추출물 0.10
아르니카꽃 추출물 0.10
서양톱풀 추출물 0.10
트레할로스 0.10
B 글리세린 1.00
부틸렌 글라이콜 2.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0
세테아릴 알코올 2.0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2.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2.00
프로판디올 2.00
C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 비교예 1> 알부틴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식물 추출물,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및 트레할로스를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알부틴 2.00 2.00 2.0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2.00 2.00
갠티아나 추출물 - 0.10 -
알파-비사보롤 - 0.50 0.50
베타글루칸 - 2.00 -
판테놀 - - -
녹차 추출물 - - 0.20
병풀 추출물 - - 0.10
아르니카꽃 추출물 - - 0.10
서양톱풀 추출물 - 0.10 -
트레할로스 - - 0.10
B 글리세린 1.00 1.00 1.00
부틸렌 글라이콜 2.00 2.00 2.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세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2.00 2.00 2.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2.00 2.00 2.00
프로판디올 2.00 2.00 2.00
C 향료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00 100.00 100.00
<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발된 건강한 피부를 가진 20~30세의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인공색소 침착을 유도한 뒤 6주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및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색소 침착 없음'은 0점, '없거나 가벼운 색소침착'은 1점, '가벼운 색소침착'은 2점, '가볍거나 보통의 색소침착'은 3점, '보통의 색소침착'은 4점, '보통이거나 심한 색소침착'은 5점, '심한 색소침착'은 6점, '매우 심한 색소침착'은 7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각 시점별로 2명의 관찰자가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하기 표 4 및 표 5에 평가 대상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표 4는 관찰자 1에 의한 육안 평가 결과이고, 표 5는 관찰자 2에 의한 육안 평가 결과이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평가하였다.
구분 N 0주 1주 2주 4주 6주 피부자극
실시예 1 10 6.5 5.5 4.5 3.5 3.0 2/10
실시예 2 10 6.5 5.7 5.0 3.8 3.2 0/10
비교예 1 10 6.5 5.5 5.1 4.0 3.9 8/10
비교예 2 10 6.5 5.6 5.1 4.1 3.8 5/10
비교예 3 10 6.5 5.7 5.2 3.8 3.5 4/10
구분 N 0주 1주 2주 4주 6주 피부자극
실시예 1 10 6.5 5.6 4.5 3.6 3.0 2/10
실시예 2 10 6.5 5.7 4.8 3.8 3.3 0/10
비교예 1 10 6.5 5.5 5.1 4.0 3.9 8/10
비교예 2 10 6.5 5.6 5.1 4.1 3.8 4/10
비교예 3 10 6.5 5.7 5.2 3.8 3.5 3/10
그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미백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2를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미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을 사용한 경우에도 미백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만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1)를 사용한 경우 피부 자극이 많이 유발된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 및 3 역시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1 및 2에 비해 자극이 강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피부 자극의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및 2)은 피부 자극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 또는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 분석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와 함유되지 않는 화장료를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이 유발된 후, 상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진정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무반응'은 0점,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은 1점,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은 2점,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은 3점, '뚜렷한 홍반'은 4점, '심한 홍반'은 5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평가 대상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구분 피부 자극(홍반) 정도
실시예 1 2.0 1.9
실시예 2 0.2 0.3
비교예 1 3.0 2.8
비교예 2 2.2 2.4
비교예 3 2.3 2.1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트레할로스를 모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실시예 1 또는 비교예에 비해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에서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 분석
피부 미백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부틴 2.00 중량%와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중량%에 갠티아나 추출물,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트레할로스의 함량을 달리하여 하기 표 7 내지 표 12의 조성으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2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성분 외의 다른 성분들의 함량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혼합하였다.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3 1.0 2.00 0.10 0.20 0.10 0.10 0.10 0.10 2.0 2.0
실시예 4 0.7 2.00 0.10 0.20 0.10 0.10 0.10 0.10 1.5 1.5
실시예 5 0.3 2.00 0.10 0.20 0.10 0.10 0.10 0.10 1.0 1.0
실시예 6 0.1 2.00 0.10 0.20 0.10 0.10 0.10 0.10 0.8 0.8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7 0.50 2.5 0.10 0.20 0.10 0.10 0.10 0.10 1.8 1.8
실시예 8 0.50 1.50 0.10 0.20 0.10 0.10 0.10 0.10 1.5 1.5
실시예 9 0.50 1.00 0.10 0.20 0.10 0.10 0.10 0.10 1.2 1.2
실시예 10 0.50 0.50 0.10 0.20 0.10 0.10 0.10 0.10 1.2 1.2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11 0.50 2.00 0.8 0.20 0.10 0.10 0.10 0.10 1.0 1.0
실시예 12 0.50 2.00 0.5 0.20 0.10 0.10 0.10 0.10 1.4 1.4
실시예 13 0.50 2.00 0.3 0.20 0.10 0.10 0.10 0.10 1.8 1.8
실시예 14 0.50 2.00 - 0.20 0.10 0.10 0.10 0.10 2.0 2.0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15 0.50 2.00 0.10 0.15 0.10 0.10 0.10 0.10 1.0 1.0
실시예 16 0.50 2.00 0.10 0.10 0.10 0.10 0.10 0.10 1.4 1.4
실시예 17 0.50 2.00 0.10 0.05 0.10 0.10 0.10 0.10 1.6 1.6
실시예 18 0.50 2.00 0.10 - 0.10 0.10 0.10 0.10 1.8 1.8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19 0.50 2.00 0.10 0.20 0.05 0.10 0.10 0.10 0.8 0.8
실시예 20 0.50 2.00 0.10 0.20 - 0.10 0.10 0.10 1.0 1.0
실시예 21 0.50 2.00 0.10 0.20 0.10 0.05 0.10 0.10 0.9 0.9
실시예 22 0.50 2.00 0.10 0.20 0.10 - 0.10 0.10 1.0 1.0
(단위:
중량%)
알파-비사보롤 베타글루칸 판테놀 녹차 추출물 병풀 추출물 아르니카 꽃 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트레할로스 피부자극
(홍반) 정도
실시예 23 0.50 2.00 0.10 0.20 0.10 0.10 0.05 0.10 0.8 0.8
실시예 24 0.50 2.00 0.10 0.20 0.10 0.10 - 0.10 1.0 1.0
실시예 25 0.50 2.00 0.10 0.20 0.10 0.10 0.10 0.05 0.9 0.9
실시예 26 0.50 2.00 0.10 0.20 0.10 0.10 0.10 - 1.0 1.0
그 결과,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1.0 내지 3.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0 내지 3.0 중량부, 갠티아나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알파-비사보롤 0.1 내지 1.0 중량부, 베타글루칸 1.0 내지 3.0 중량부, 판테놀 0.05 내지 0.15 중량부, 녹차 추출물 0.1 내지 0.3 중량부, 병풀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아르니카 꽃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트레할로스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 진정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2.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중량부, 갠티아나 추출물 0.1 중량부, 알파-비사보롤 0.5 중량부, 베타글루칸 2.0 중량부, 판테놀 0.1 중량부, 녹차 추출물 0.2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중량부, 아르니카 꽃 추출물 0.1 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0.1 중량부 및 트레할로스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알부틴(albutin),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갠티아나(Gentiana Lutea Root) 추출물,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베타글루칸(Beta-Glucan), 판테놀(Panthenol),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아르니카 꽃(Arnica Montana Flower) 추출물 및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부틴 2.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중량부, 갠티아나 추출물 0.1 중량부, 알파-비사보롤 0.5 중량부, 베타글루칸 2.0 중량부, 판테놀 0.1 중량부, 녹차 추출물 0.2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중량부, 아르니카 꽃 추출물 0.1 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0.1 중량부 및 트레할로스 0.1 중량부인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맛사지크림, 영양로션, 모이스쳐로션, 밀크로션, 로션, 아스트린젠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팩, 겔, 파우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인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08575A 2017-08-28 2017-08-28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75A KR102015173B1 (ko) 2017-08-28 2017-08-28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75A KR102015173B1 (ko) 2017-08-28 2017-08-28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00A KR20190023200A (ko) 2019-03-08
KR102015173B1 true KR102015173B1 (ko) 2019-08-27

Family

ID=658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575A KR102015173B1 (ko) 2017-08-28 2017-08-28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84B1 (ko) * 2019-10-24 2021-07-14 주식회사 모드코스 화장료 조성물
KR102365223B1 (ko) * 2020-08-04 2022-02-21 주식회사 이엔코스 알부틴과 쪽 잎 및 유채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93993A (zh) * 2021-10-16 2021-11-26 江西广恩和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美足霜及其制备方法
CN115531268A (zh) * 2022-10-18 2022-12-30 深圳市科医美医疗投资有限公司 一种颈部皮肤修复用营养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89B1 (ko) 2004-01-29 2007-04-1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초유와 알부틴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제목 "시드물 미백크림 알부틴 최대함량으로 환하게 : )", 공개일 2015.07.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00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1682A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712B1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CN106860067B (zh) 马达加斯加哈伦加那提取物的化妆和/或皮肤病学用途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395B1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834084B2 (ja) ゲンチオピクロシドを含まないゲンチアナ抽出物
KR102307139B1 (ko) 아이리쉬모스, 마조람, 카룸 페트로셀리눔 및 둥근빗살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222B1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223B1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유채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802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02A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513929B1 (ko) 피부탄력을 위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