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22B1 -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222B1
KR102365222B1 KR1020200097572A KR20200097572A KR102365222B1 KR 102365222 B1 KR102365222 B1 KR 102365222B1 KR 1020200097572 A KR1020200097572 A KR 1020200097572A KR 20200097572 A KR20200097572 A KR 20200097572A KR 102365222 B1 KR102365222 B1 KR 10236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279A (ko
Inventor
이명오
이수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코스
Priority to KR102020009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과 쪽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기능성분인 알부틴을 고함량으로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쪽 추출물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서 알부틴에 의한 피부 자극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ow irritating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lbutin, Polygonum tinctorium leaf and Betula platyphylla japonica bark extract}
본 발명은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티로시나아제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히드로퀴논,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을 비롯한 다양한 추출물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피부의 안전성과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알부틴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농도의 미백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도,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던 중, 알부틴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공보 10-09231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부틴;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기능성분인 알부틴을 고함량으로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쪽 추출물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서 알부틴에 의한 피부 자극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부틴;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1-5.0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1-5.0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5-3.5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5-3.5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경우 알부틴에 의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틴;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및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1-5.0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1-5.0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1-5.0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5-3.5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5-3.5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5-3.5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9-2.6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및 유채 전초 추출물 0.9-2.6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경우 알부틴에 의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맛사지크림, 영양로션, 모이스쳐로션, 밀크로션, 로션, 아스트린젠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팩, 패치, 겔, 파우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보습제, 피부유연화제, 수분차단제 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보호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유연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유화제, 점증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향료,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피부보호제로서는 부용추출물, 인도유향수지추출물, 스쿠알란,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알란토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마리추출물, 고삼추출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D-판테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화제로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세린, 솔비톨, 만니톨,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글릴세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연제로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알코올,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카프릴릴글라이콜, 트리옥타노인, 세틸옥타노에이트, 스테아릭애씨드, 사이클로메치콘, 쉐어버터, 라놀린, 다메치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트리에탄올아민,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티우레이트코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킬레이트화제로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용제로서는 정제수, 1,2-헥산디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쪽(P olygonum tinctorium ) 잎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쪽 잎 100g을 분쇄한 뒤, 70% 에탄올(EtOH) 수용액 1L를 사용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48시간동안 교반하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쪽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japonica ) 껍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자작나무 껍질 100g을 분쇄한 뒤, 70% 에탄올(EtOH) 수용액 1L를 사용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48시간동안 교반하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유채( Brassica napus ) 전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유채 전초(whole plant) 100g을 분쇄한 뒤, 70% 에탄올(EtOH) 수용액 1L를 사용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48시간동안 교반하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유채 전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알부틴과 천연 추출물 함유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2에서 수득된 추출물과 알부틴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A는 미백 효능 및 자극 저감 효능 성분을 나타내고, B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 성분을 나타낸다.
구분 성분(단위: 중량%) 실시예 1
A 알부틴 5.0
쪽 잎 추출물 1.75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1.75
유채 전초 추출물 -
B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라이콜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세테아릴 알코올 2.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 1.0
C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비교예 1> 알부틴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쪽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나이아신아마이드,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미백성분인 알부틴 5 중량%를 나이아신아마이드 10 중량%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나이아신아마이드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미백성분인 알부틴 5 중량%를 나이신아마이드 10 중량%로 대체하고, 쪽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발된 건강한 피부를 가진 19~29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인공색소 침착을 유도한 뒤 6주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및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색소 침착 없음'은 0점, '없거나 가벼운 색소침착'은 1점, '가벼운 색소침착'은 2점, '가볍거나 보통의 색소침착'은 3점, '보통의 색소침착'은 4점, '보통이거나 심한 색소침착'은 5점, '심한 색소침착'은 6점, '매우 심한 색소침착'은 7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각 시점별로 3명의 관찰자가 각각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에 3명의 관찰자가 각각 평가한 점수를 평균치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평가하였다.
구분 0주 1주 2주 4주 6주 피부자극
실시예 1 6.6 6.0 5.5 5.1 4.2 0/10
비교예 1 6.6 6.1 5.6 5.1 4.3 7/1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미백 효능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피부자극의 유무 평가결과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예 2> 유효성분에 따른 피부 자극 유무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발된 건강한 피부를 가진 19~29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및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자극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평가하였다.
피부자극
실시예 1 0/10
비교예 1 7/10
비교예 2 6/10
비교예 3 6/1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피부자극의 유무 평가결과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미백성분으로 알부틴과 함께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알부틴에 의한 피부자극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미백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함께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한 샘플에서는 나이아신아마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유효성분 함량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 평가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화장료를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이 유발된 후, 하기 표 4의 유효성분 조성으로 제조한 화장료 샘플을 도포하여,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진정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무반응'은 0점,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은 1점,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은 2점,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은 3점, '뚜렷한 홍반'은 4점, '심한 홍반'은 5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4에 평가 대상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여기서, 하기 표 4의 실시예 1-1 내지 3-6의 화장료 샘플은 실시예 1의 표 1에서 유효성분 구성에 해당하는 A 성분의 함량만 변경하여 제조하였고, 나머지 B 성분의 함량과 C 성분에서 향료의 함량은 동일하게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유효성분 함량(중량부) 피부자극(홍반) 정도
알부틴 쪽 잎 추출물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유채 전초 추출물
실시예 1-1 5 0.8 1.75 - 2.3 2.5
실시예 1-2 0.9 - 0.7 0.6
실시예 1-3 1.0 - 0.5 0.6
실시예 1-4 2.5 - 0.5 0.4
실시예 1-5 2.6 - 0.6 0.8
실시예 1-6 2.7 - 2.1 2.2
실시예 2-1 5 1.75 0.8 - 2.3 2.1
실시예 2-2 0.9 - 0.6 0.8
실시예 2-3 1.0 - 0.7 0.7
실시예 2-4 2.5 - 0.5 0.7
실시예 2-5 2.6 - 0.7 0.6
실시예 2-6 2.7 - 2.3 2.5
실시예 3-1 5 1.75 1.75 0.8 2.2 2.3
실시예 3-2 0.9 0.2 0.2
실시예 3-3 1.0 0.2 0.1
실시예 3-4 2.5 0.1 0.2
실시예 3-5 2.6 0.2 0.2
실시예 3-6 2.7 2.1 2.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6에 따르면 알부틴 5 중량부 기준으로 쪽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함유하는 샘플에서 피부자극(홍반)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고,
실시예 3-1 내지 3-6에 따르면 알부틴 5 중량부 기준으로 쪽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및 유채 전초 추출물 0.9-2.6 중량부 함유하는 샘플에서 피부자극(홍반)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특히, 상기 추출물들의 함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 추출물들의 함량 한정 범위는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알부틴;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및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1-5.0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1-5.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5-3.5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5-3.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1-5.0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1-5.0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1-5.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5-3.5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5-3.5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5-3.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알부틴 5 중량부 기준;
    쪽(Polygonum tinctorium) 잎 추출물 0.9-2.6 중량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japonica) 껍질 추출물 0.9-2.6 중량부;
    유채(Brassica napus) 전초 추출물 0.9-2.6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맛사지크림, 영양로션, 모이스쳐로션, 밀크로션, 로션, 아스트린젠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팩, 패치, 겔, 파우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7572A 2020-08-04 2020-08-04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72A KR102365222B1 (ko) 2020-08-04 2020-08-04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72A KR102365222B1 (ko) 2020-08-04 2020-08-04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79A KR20220017279A (ko) 2022-02-11
KR102365222B1 true KR102365222B1 (ko) 2022-02-21

Family

ID=8026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572A KR102365222B1 (ko) 2020-08-04 2020-08-04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2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672A (ja) 2011-10-29 2014-12-08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光線療法に用いる美白剤
JP2019112422A (ja) 2011-01-07 2019-07-11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lergan,Incorporated メラニン改変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861A1 (fr) * 2006-11-24 2008-05-29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Poudre d'extrait de plante contenant de l'indigo,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lle-ci et utilisation de celle-ci
KR100923141B1 (ko) 2007-12-26 2009-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부틴 베타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2422A (ja) 2011-01-07 2019-07-11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lergan,Incorporated メラニン改変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JP2014532672A (ja) 2011-10-29 2014-12-08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光線療法に用いる美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79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755B2 (ja) ヒドロキシ脂肪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US20030170199A1 (e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based on cocoa extracts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3601875B2 (ja) 化粧料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4317B1 (ko)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JP2003160461A (ja) 皮膚外用剤
JP2002308750A (ja) 皮膚外用剤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65222B1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223B1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유채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712A (ko) 시베리아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4719A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개선용 조성물
JP2018516878A (ja) ゲンチオピクロシドを含まないゲンチアナ抽出物
KR102453959B1 (ko)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3929B1 (ko) 피부탄력을 위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20034298A (ko)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