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298A -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298A
KR20120034298A KR1020100095761A KR20100095761A KR20120034298A KR 20120034298 A KR20120034298 A KR 20120034298A KR 1020100095761 A KR1020100095761 A KR 1020100095761A KR 20100095761 A KR20100095761 A KR 20100095761A KR 20120034298 A KR20120034298 A KR 2012003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taxoxyline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옥
정광선
박준호
임지희
Original Assignee
스킨큐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킨큐어(주) filed Critical 스킨큐어(주)
Priority to KR102010009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298A/ko
Publication of KR2012003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우무 추출물(Pterocladiella capillace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유효성분인 개우무 추출물은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가진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개우무 추출물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Pterocladiella capillacea}
본 발명은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한 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인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피부손상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티로시나제(tyrosinase)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을 멜라닌 중합체 생성의 중간산물인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함으로써 피부 흑화과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이 사용하여 피부 미백이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지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전하여 화장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그 외에 비타민 C의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 쉽게 산화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백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피부 부작용이 없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신규의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개우무 추출물 단독 또는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면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별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우무 추출물(Pterocladiella capillacea)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신규의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개우무 추출물 단독 또는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면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탁시폴린(taxifolin)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개우무 (Pterocladiella capillacea)는 우뭇가사리속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제주도, 남, 서해안의 각지에 분포하며 동해안에서는 울암, 고리 등지에 서식한다. 우뭇가사리와 형태가 비슷하지만, 몸은 보통 얇고 편압하며 폭이 넓다. 가지는 대생 또는 호생하며 형성된다. 가지의 기부는 가늘지만, 끝은 대체로 뭉툭하거나 끝이 가늘다. 한천의 원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개우무 ( Pterocladiella capillacea ) 추출물은 개우무 전초를 하기추출방법을 이용해 수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개우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는 유용한 해조류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개우무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우무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또 다른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탁시폴린은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er),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가래나무(Juglanhurica), 소나무껍질(pine bark) 등에서 추출되는 플라보노이드 물질로서,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보호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탁시폴린은 디하이드로퀘르세틴(dihydroquercetin)으로 불리기도 하며, IUPAC 명은 2-(3,4-디하이드록시페닐)-3,6,7-트리하이드록시-크로만-4-온(2-(3,4-dihydroxyphenyl)-3,6,7-trihydroxy-chroman-4-one)이다. 탁시폴린은 하기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탁시폴린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탁시폴린을 얻기 위하여, 상기의 추출용매 처리 이후에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탁시폴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탁시폴린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즉, 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 물질의 존재에 의해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가지고, 이에 상기한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두 물질의 존재에 의해 미백효능이 상승적으로(synergic) 개선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즉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에 의해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와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에 의해 상승적인 피부미백 효능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상세하게는,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과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은 멜라닌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개우무 추출물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과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은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성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01-2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이다. 개우무 추출물의 단독 유효성분의 중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은 0.5:1-1.5: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1.3:1,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8:1-1.2:1,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상기 개우무 추출물:탁시폴린의 중량비가 0.5:1-1.5:1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두 유효성분에 의해 달성되는 피부미백 효능의 상승적인 증가 패턴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2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이다.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의 복합 유효성분의 중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과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 이외에, 그 작용(피부미백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추가의 피부미백용 물질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개우무 추출물 단독 유효성분과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ⅱ) 유효성분인 개우무 추출물은 멜라닌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개우무 추출물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ⅲ)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ⅳ) 또한,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조성물에 의한 상승적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쥐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한국세포주은행)를 이용하여 개우무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와 비교하였다.
본 실험은 뮤라인 멜라노마(murine melanoma)(B-16 F10)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x 105 개로 접종하고 5% CO2 및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어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하고, 5% CO2 및 37℃ 하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이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헤마토사이토미터(hematocytometer)(Tiefe Depth Profondeur 0.100mm, Paul Marienfeld GmbH & Co. KG, 독일)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 세포 펠릿을 60℃에서 건조시키고 10% DMSO가 함유된 1 M 수산화나트륨액 100 ml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Tek ELx8081U, 미합중국)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율 농도(%) 빈도 혹은 발생율
(Incidence(%))
멜라닌합성감소율(%)
개우무 추출물:탁시폴린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0.5 : 0.5 0.75 0.75 142 42
0.5 : 1.0 0.5 1.0 126 26
1.0 : 0.5 1.0 0.5 123 23
0.5 : 1,5 0.375 1.125 125 25
1.5 : 0.5 1.125 0.375 124 24
개우무 추출물 단독 1.5 0 119 19
탁시폴린 단독 0 1.5 115 15
대조군 0 0 100 -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탁시폴린 단독을 처리했을 때보다 개우무 추출물 단독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함량이 더 감소하였고,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둘 모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함량이 상승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의 중량 비율이 1:1이 될 경우, 가장 높은 멜라닌 생합성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조성물에 의한 상승적 티로시나제 억제효과 측정
쥐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한국세포주은행)를 이용하여 개우무 추출물에 의한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에 의한 세포내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효과와 비교하였다.
본 실험은 뮤라인 멜라노마(murine melanoma)(B-16 F1)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x 105 개로 접종하고 5% CO2 및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어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다음 5% CO2 37℃ 하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개우무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 ppm, 10 ppm 및 100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이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헤마토사이토미터(hematocytometer)(Tiefe Depth Profondeur 0.100mm, Paul Marienfeld GmbH & Co. KG, 독일)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 세포 펠릿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분쇄시키고 12,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Tek ELx8081U, 미합중국)로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율 농도(%) 빈도 혹은 발생율
(Incidence(%))
티로시나제 억제율(%)
개우무 추출물:탁시폴린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0.5 : 0.5 0.75 0.75 53 47
0.5 : 1.0 0.5 1.0 82 18
1.0 : 0.5 1.0 0.5 85 15
0.5 : 1,5 0.375 1.125 72 28
1.5 : 0.5 1.125 0.375 82 18
개우무 추출물 단독 1.5 0 87 12
탁시폴린 단독 0 1.5 91 9
대조군 0 0 100 -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개우무 추출물 단독 및 탁시폴린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우수한 효능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의 중량 비율이 1:1이 될 경우,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의 혼합 조성물이 티로시나제를 억제함에 있어서 상승적 효능을 보임을 제시한다.
실시예 3: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조성물 함유한 화장료의 미백 효과 측정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료의 미백효과를 동물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A(개우무 추출물 0.5% + 탁시폴린 0.5%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 제조예 1(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제조예 2(개우무 추출물 1% 함유한 영양크림) 및 비교 제조예 3(탁시폴린 1% 함유한 영양크림)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다.
사람과 유사하게 자외선에 의해 색소침착이 생긴다고 알려진 갈색 기니아 피그(Tortoiseshell guinea pigs; Brown guinea pigs)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갈색 기니아 피그에서 자외선(UV)에 의한 색소침착을 유발하기 위하여, 갈색 기니아 피그 배위의 털을 제거한 피부에 3 X 3 cm2의 정방형 창문이 뚫린 차광용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킨 후, SE lamp(파장 290-320 nm, 도시바)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총 조사 에너지량 = 1350 mJ/cm2). 자외선 조사 후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내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개우무 추출물 및 알부틴)를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2-3일 후에 색소침착이 나타났으며, 약 2주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이 때부터 각 시료를 도포하였다.
도포회수는 1일 1회 또는 2회로, 50일간 계속하였다. 시료는 특정한 용매(Propylene Glycol: Ethanol: Water = 5: 3: 2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용해 및 희석하였으며, 면봉으로 도포하고 다른 부위에 반드시 용매를 도포하는 대조부위를 마련하였다. 이 경우 효과 판정과 함께 누적자극성 여부도 관찰하였다.
색차계(CR2002 chromameter, 미놀타, 일본)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색을 표시하는데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L*값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L*값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색소침착을 균등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구하고 이 값으로 효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L* = 도포 00일 후의 L*값 - 도포 개시일의 L*
△L* 값을 시료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에 대해서 구한 후 비교하면 미백물질의 효과를 알 수 있다.
시험항목 비교 제조예 1
(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
비교 제조예 2
(개우무 추출물 1% 함유)
비교 제조예 3
(탁시폴린 1% 함유)
제조예 A
(개우무 추출물 0.5% + 탁시폴린 0.5% 함유)
미백효과 (△L) 0.28 0.51 0.45 0.6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개우무 추출물만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 2)이 탁시폴린만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 3)에 비해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크림이 개우무 추출물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을 함유한 크림(비교 제조예)에 비해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p<0.001).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개우무 추출물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을 처리했을 때보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동시에 처리했을 경우, 미백효과에 대한 우수한 상승작용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크림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및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B.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화장수
a) 유연 화장수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수성 성분에 정제수를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유성성분, 유화제, 방부제 및 향을 실온에서 용해시킨 후, 수상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과하였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5
피이지 1500 4.00
카보머 0.16
1,3 부틸렌 글라이콜 3.00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5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b) 수렴 화장수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수렴 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수성 성분에 정제수를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유상성분, 유화제, 방부제 및 향에 에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켜 알코올 상을 제조한 다음 수상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과하였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수렴화장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글리세린 2.00
1,3 부틸렌글라이콜 3.00
EDTA 0.05
에탄올 7.00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C. 로션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로션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부틸렌 글라이콜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친수성 증점제인 산탄검 2% 용액을 첨가하여 전체에 대해 0.0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킨 후,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향 및 색소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로션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 (중량%)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 (taxifolin) 0.50
글리세린 3.00
카보머 0.10
산탄검 0.05
1,3 부틸렌 글라이콜 3.00
폴리글리세린-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 알코올 0.30
호호바 오일 3.00
유동 파라핀 2.00
스쿠알란 3.00
디메치콘 0.5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0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D. 겔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겔의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젤의 성분 및 조성
성분 함량(중량 %)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2
1,3 부틸렌 글라이콜 4.00
카보머 0.60
글리세린 5.0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5
트리에탄올 아민 0.50
트리클로산 0.20
에탄올 5.00
폴리옥시 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4.0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미량
합계 100
E. 에센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에센스의 조성은 하기 표 9와 같다. 정제수에 점증제를 천천히 교반하면서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수상 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유화제, 피부 유연제, 향 및 방부제에 에탄올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수상에 알코올 상을 교반하면서 가하고 알칼리제를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우무 추출물, 탁시폴린 및 색소를 첨가하였다.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한 에센스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 (중량%)
개우무 추출물 0.50
탁시폴린(taxifolin) 0.50
EDTA 0.05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30
글리세린 5.00
1,3 부틸렌 글라이콜 4.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30
호호바 오일 0.50
마카데미아 넛 오일 0.5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 톨루엔 0.05
디메치콘 3.0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 이소파라핀/라우레쓰-7 1.50
글리세릴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프로필렌 글라이콜 5.00
에탄올 3.0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비교 제조예 : 정제수를 함유한 크림
상기 제조예에서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대신에 정제수, 개우무 추출물 단독 또는 탁시폴린 단독으로 대체한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함량 (중량 %) 함량 (중량 %) 함량 (중량 %)
개우무 추출물 0.0 1.0 0.0
탁시폴린 (taxifolin) 0.0 0.0 1.0
호호바 오일 5.0 5.0 5.0
유동 파라핀 7.0 7.0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2.0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0.5 0.5
스쿠알란 3.0 3.0 3.0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글리세린 5.0 5.0 5.0
트리 에탄올 아민 0.3 0.3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0.3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0.2 0.2
방부제, 향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실시예 4: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조성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을 베이스로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을 각각 1%, 5% 및 10%를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정리되어 있다.
평균반응도=[{(반응지수 x 반응도)/(총 피검자수 x 최고점수(4점))}] x 100 ] ÷ 검사횟수(9회)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 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1%)
[시험군 1]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5%) [시험군 2]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과 탁시폴린 함유 조성물(10%)
[시험군 3]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0.5%)+탁시폴린(0.5%)[시험군 4]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2.5%)+탁시폴린(2.5%)[시험군 5]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우무추출물(5.0%)+탁시폴린(5.0%)[시험군 6] 2 - - 0 - - - - - - - - - - - - - - - - - - - - - - - 0.18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
상기 표 8에서 시험군 1, 2, 3, 4, 5 및 6 모두 ±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2명, 0명 및 0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0.18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개우무 추출물과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유효성분인 개우무 추출물은 멜라닌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탁시폴린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의 효과는 개우무 추출물 또는 탁시폴린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도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로 인간 개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탁시폴린(taxifolin)을 유효성분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우무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은 0.5:1-1.5: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은 1:1의 중량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우무 추출물 및 탁시폴린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95761A 2010-10-01 2010-10-01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034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61A KR20120034298A (ko) 2010-10-01 2010-10-01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61A KR20120034298A (ko) 2010-10-01 2010-10-01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298A true KR20120034298A (ko) 2012-04-12

Family

ID=4613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761A KR20120034298A (ko) 2010-10-01 2010-10-01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43B1 (ko) * 2016-08-17 2017-03-06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택시폴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0457B1 (ko) 2021-10-26 2022-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탁시폴린 배당체 추출물과 탁시폴린 비당체 추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43B1 (ko) * 2016-08-17 2017-03-06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택시폴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0457B1 (ko) 2021-10-26 2022-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탁시폴린 배당체 추출물과 탁시폴린 비당체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533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0862968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86743B1 (ko)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 또는 발모제
KR20090044719A (ko)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100863618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20034298A (ko) 개우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21251B1 (ko) 프로토카테큐익 산을 포함하는 탈모억제제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20009708A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17281B1 (ko) 사랑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257338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02769B1 (ko) 이소람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2365222B1 (ko) 알부틴과 쪽 잎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53B1 (ko)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096206B1 (ko) 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23537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919897B1 (ko)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2017013755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