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999A -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999A
KR20200104999A KR1020190023537A KR20190023537A KR20200104999A KR 20200104999 A KR20200104999 A KR 20200104999A KR 1020190023537 A KR1020190023537 A KR 1020190023537A KR 20190023537 A KR20190023537 A KR 20190023537A KR 20200104999 A KR20200104999 A KR 2020010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ion
pla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179B1 (ko
Inventor
김미진
정택규
김무한
이현정
김자영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19002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Anti-aging Comprising Extracts of Plants}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며, 항산화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에 적용할 경우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반면,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저가의 합성 항산화제는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주름이 형성되는 원인은 자연적 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과 자외선 노출(광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두 가지 원인에 의한 주름 형성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자연적 노화와 광노화에 의한 피부변화와 관련되어 발견되는 공통적인 현상은 진피 내의 주 구성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 진피의 기질인 히알루론산의 감소에 의한 피부 탄력 감소이다. 특히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의하면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이 주름의 생성 및 피부의 탄력저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인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미백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멜라닌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의 함량,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노인성 흑자, 모반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으로 미(美)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면서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 제품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미백제 및 미백 화장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멜라닌 침착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오늘날 여러 미백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멜라닌형성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며 여러 부작용들을 유발한다. 예를 들면, 미백 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세포독성이 있으며, 신장독성 및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직흑변증(Ochonosis)과 같은 피부손상으로 인해 유럽에서는 미백화장품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코직산(Kojic acid)은 미백효과가 우수하지만 세포독성이 있으며, 접촉성 피부염 또는 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는 환경의 변화나 내부의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및 외부 요인에 의한 자극 등으로 민감해지며 수분 보유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윤기를 잃어 칙칙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피부의 수분이 감소하는 경우 피부는 건조하게 되며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피부 톤도 어두워지며 피부 보호막 기능이 저하되어 외부의 자극에도 더욱 민감한 상태가 되어 각종 트러블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각질층의 보습 상태는 피부의 외형(피부의 유연성 및 거친 정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각질층의 피부 수분 함량은 피부의 컨디션 및 투과성과 관련되는 피부 막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화장품 또는 바르는 의약품의 흡습도가 달라질 수 있어 피부 보습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가 보습 및 탄력을 잃지 않도록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해주고, 그 효과를 지속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염증(Inflammation)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뜻한다. 즉, 염증은 생체 내 면역 반응 중 하나로 생체 내로 외부인자가 침입 시 작동하는데 피부에서는 자극이나 상처가 생길 경우 또는 화농성 여드름 주변부에 보면 부어오르며 붉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것들이 면역 반응에 의해 염증이 생긴 것이다. 구체적으로, 외부 세균이 특정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을 하게 되면 생체의 백혈구가 이를 인지하여 증식된 외부 세균을 활발히 공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 발생되는 백혈구의 사해가 균에 의하여 침입받은 조직에 축적됨과 동시에 백혈구에 의하여 사멸된 침입균의 세포 파괴물이 침입받은 조직 내로 융해되어 농양이 형성된다. 염증에 의한 농양의 치료는 소염작용을 통하여 촉진될 수 있는데, 소염작용이란 항균제를 이용하여 침입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농양 중에 축적된 이물질들을 탐식하는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하여 이물질들을 소화 및 배설하는 대식세포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등의 염증 치료 촉진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수복 및 재생하기 위한 생체방어 반응과정이고, 이 반응과정에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및 면역세포 등이 작용한다. 정상적으로 외부 침입균에 의하여 유도되는 염증 반응은 생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시스템인 반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염증반응이 유도되면 다양한 질환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들을 염증 질환이라 한다. 염증 질환은 외부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표적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다양한 염증 매개물질이 염증을 증폭 및 지속시켜 인체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서 급성염증,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관절 내에서의 질환, 건선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질환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등을 포함한다.
여러 면역 반응 요소 중에 대식세포(Macrophage)는 거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 면역계 세포로 단핵구와 함께 선천성 면역 반응뿐만 아니라 후천성 면역반응에도 관여하여 생체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PS(Lipo poly saccharide)는 그람음성균 세포외막이 구성성분으로 인체가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 폐혈성 쇼크상태를 야기하는 내독소로 알려져 있다. 생쥐 유래 RAW 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면 IL-1β, IL-6, TNF-α 및 IL-13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이 증가되고,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다. 그리고 LPS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염증 매개 단백질의 발현인자인 NF-kB 및 MAPK의 활성화 경로를 통해 일어나서 산화질소를 생성한다. 따라서, 대식세포는 LPS에 의해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염증 개선 소재 탐색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가지는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에 독성이나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기술로는, 국내의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857호「금은화, 유근피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보습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4714호「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2560호「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008호「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이 우수한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8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47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25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0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물 유래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한 후, 1차 증류된 증류액을 제거하고,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을 수득한 후, 수득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 이하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하는 단계; 및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증기추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용매의 함량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를 혼합한 식물 고형분 중량의 2 내지 10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파괴가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추출물의 종류와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초임계 추출, 초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차 증류 추출을 통한 찜 처리 후,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을 초음파 추출하는 것이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끓는 점이 낮은 휘발성 성분이나 잔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고, 활성성분의 안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하는 것이 고온 추출에 의한 활성성분의 파괴나 분해를 최소화하여 활성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임으로써,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만일, 추출 조건이 일반적인 가온추출인 경우에는 활성성분의 추출 효율 저하로 인하여, 충분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한 후, 1차 증류된 증류액을 제거하고,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을 수득한 후, 수득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 이하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 복합물을 1차적으로 찜 처리를 하면, 식물 약재 내부의 세포벽을 약화시켜 식물 약재 내부의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증가하게 되며, 1차 증류액을 통해 끓는 점이 낮은 휘발성 성분이나 잔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존 일반적인 용매 추출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하다. 또한, 1차 증류추출에 의한 찜 처리 후, 수득된 식물 복합물을 초음파 추출하면 활성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액을 농축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기 추출액을 농축여과한 농축물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조성물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 및 발림성 등이 저하되어 화장품으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피부 미용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피부 건강 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은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스프레이,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바디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산화 티타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바디젤인 경우에 전술한 유효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바디젤 제조 시에 사용되는 성분인,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멘톨, 에탄올, 글리세린, 디소디움이디티에이, 메틸파라벤, 향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보머, 트리에탈올아민은 점증제로 작용하고, 멘톨은 향 성분으로 작용하며, 에탄올은 청량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디소디움이디티에이는 금속성분 킬레이트로 기능하고, 메틸파라벤은 방부제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향은 멘톨향 이외에도 허브향 등과 같은 다양한 향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성분 이외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점증제, 청량감 부여, 향 성분, 보습제 등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물질들을 적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분무제)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탤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첨가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첨가되는데,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지방 분해 촉진을 위한 바디젤,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에어졸 타입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경피 투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피부 지방의 상태 정도 등의 개인차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조성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용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하는 단계; 및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증기를 이용하여 식물 복합물을 1차적으로 찜 처리를 하면, 식물 약재 내부의 세포벽을 약화시킴으로 식물 약재 내부의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1차 증류액을 통해 끓는점이 낮은 휘발성 성분이나 잔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존 일반적인 용매 추출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하다.
이때, 상기 추출은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만일, 추출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충분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보습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식물 복합 용매 추출물 제조
고삼(네이처허브), 복령(네이처허브), 복분자(네이처허브), 율피(네이처허브) 및 토사자(네이처허브)를 각각 1:1:1:1:1로 혼합한 다음, 혼합물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물 복합 증류 추출물 제조
고삼(네이처허브), 복령(네이처허브), 복분자(네이처허브), 율피(네이처허브) 및 토사자(네이처허브)를 각각 1:1:1:1:1로 혼합한 다음, 혼합물 50g을 부직포 주머니에 넣은 후, 도 1과 같이 증류 추출장치에 넣는다. 다음으로, 정제수 1L를 첨가하고 끓여 증기를 이용하여 100℃이상에서 30분 동안 찜 처리를 하였다. 증기로 1차 찜처리한 다음, 1차 증류액을 제거한 후, 남아있는 식물 약재를 회수하고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상기 추출액과 증류 과정 중에 남아있는 정제수 잔류액을 혼합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삼 추출물 제조
고삼(네이처허브)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고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복령 추출물 제조
복령(네이처허브)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복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복분자 추출물 제조
복분자(네이처허브)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복분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율피 추출물 제조
율피(네이처허브)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율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토사자 추출물 제조
토사자(네이처허브) 5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을 1L 첨가하여 60℃에서 6시간 동안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상기 추출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최종 분말화된 토사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시험 : DPPH 소거 활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먼저, 0.2mM DPPH 용액 1mL에 각각의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Synergy, BioTek, USA)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자유라디칼 소거율은 아래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율(%)=100-(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
구분 소거율(%)
10 μg/mL 50 μg/mL 100 μg/mL
실시예 1 10.1 ± 2.1 39.8 ± 2.2 58.4 ± 1.5
실시예 2 9.8 ± 1.9 45.2 ± 3.1 63.7 ± 2.9
비교예 1 5.9 ± 0.7 30.1 ± 3.3 48.1 ± 0.5
비교예 2 8.5 ± 1.9 29.8 ± 2.0 40.6 ± 1.2
비교예 3 15.9 ± 3.7 35.5 ± 1.8 55.1 ± 0.8
비교예 4 13.2 ± 3.5 39.2 ± 3.5 57.3 ± 3.5
비교예 5 10.0 ± 1.8 25.5 ± 2.0 42.1 ± 1.6
그 결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 모두 양호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식물 복합 추출물인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주름개선 효능 시험 : 콜라겐 생성 효과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콜라겐 생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배양된 섬유아세포(HS68 cells) 세포를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웰당 1x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각 추출물이 농도별로 희석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 peptide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구분 PIP (%)
0 μg/mL 1 μg/mL 5 μg/mL 10 μg/mL
실시예 1 100 115.5 ± 6.7 123.3 ± 6.1 139.1 ± 6.8
실시예 2 100 122.0 ± 8.2 139.8 ± 7.5 146.5 ± 8.4
비교예 1 100 98.6 ± 2.9 104.1 ± 4.9 102.6 ± 5.9
비교예 2 100 103.6 ± 5.1 109.7 ± 2.3 111.6 ± 6.3
비교예 3 100 100.3 ± 9.5 107.6 ± 3.8 104.1 ± 6.7
비교예 4 100 108.7 ± 3.9 116.4 ± 8.0 123.3 ± 6.8
비교예 5 100 101.5 ± 5.0 108.1 ± 7.3 109.3 ± 6.3
그 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5 대비 실시예 1~2이 콜라겐 생성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콜라겐 생성 효과가 나타나 주름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주름개선 효능 시험 : 콜라게나아제(MMP-1) 억제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콜라게나아제(MMP-1)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배양된 섬유아세포(HS68 cells) 세포를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웰당 1x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UV A를 조사하여 콜라게나아제의 생성을 유도하고, 각각 추출물이 농도별로 희석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는 콜라게나아제 측정 키트(MMP-1, Human, Biotrak ELISA System, GE Healthcare, USA)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아제 양을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구분 MMP-1 (%)
0 μg/mL 1 μg/mL 5 μg/mL 10 μg/mL
실시예 1 100 103.1 ± 7.8 69.7 ± 7.6 54.9 ± 3.8
실시예 2 100 82.1 ± 9.9 45.1 ± 4.5 39.8 ± 3.5
비교예 1 100 108.0 ± 4.8 97.0 ± 9.5 100.5 ± 7.9
비교예 2 100 98.4 ± 10.8 88.3 ± 5.9 82.1 ± 4.5
비교예 3 100 88.3 ± 9.9 82.5 ± 7.6 79.7 ± 7.6
비교예 4 100 92.7 ± 18.8 75.9 ± 10.2 62.4 ± 6.8
비교예 5 100 107.3 ± 8.4 93.9 ± 9.1 81.6 ± 7.8
그 결과,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2는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3~5 대비 실시예 1~2이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가 나타나 주름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미백 효능 시험 : 멜라닌 생성 억제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배양된 Murine B16F10 melanoma 세포를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웰당 5X104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D-phosphate buffered saline(D-PBS)으로 세척한 다음 1μM α-MSH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 후, 각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동안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 buffer로 세척한 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1M NaOH 0.3 mL을 참가 후, 55℃에서 2시간 방치하여 세포 내의 멜라닌을 얻었다. 이를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로 옮긴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구분 Melanin (%)
0 μg/mL 25 μg/mL 50 μg/mL 100 μg/mL
실시예 1 100 106.6 ± 0.4 81.9 ± 1.7 64.2 ± 1.5
실시예 2 100 92.3 ± 1.0 78.5 ± 0.4 50.8 ± 0.4
비교예 1 100 102.0 ± 1.2 100.8 ± 1.1 97.2 ± 2.6
비교예 2 100 98.8 ± 7.2 79.2 ± 4.9 66.8 ± 5.2
비교예 3 100 107.6 ± 6.5 110.7 ± 1.6 101.3 ± 2.5
비교예 4 100 99.5 ± 2.0 82.7 ± 4.3 78.6 ± 2.7
비교예 5 100 100.7 ± 4.9 99.4 ± 5.6 109.3 ± 1.7
그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3 및 5는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 및 4 대비 실시예 1~2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나타나 미백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보습 효능 시험 :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배양된 HaCaT 세포를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웰당 1x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각 추출물이 농도별로 희석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히알루론산 측정 키트(Hyaluronan ELISA Kit, echelon, USA)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구분 Hyaluronic acid (%)
0 μg/mL 20 μg/mL 50 μg/mL 100 μg/mL
실시예 1 100 96.7 ± 7.1 111.8 ± 4.0 125.0 ± 3.9
실시예 2 100 102.9 ± 2.7 126.9 ± 7.9 137.7 ± 7.6
비교예 1 100 102.5 ± 5.9 104.8 ± 2.1 108.9 ± 7.8
비교예 2 100 101.0 ± 3.9 100.9 ± 5.6 110.1 ± 8.0
비교예 3 100 99.2 ± 1.5 100.0 ± 4.9 110.5 ± 6.3
비교예 4 100 101.6 ± 3.3 106.4 ± 4.0 116.0 ± 5.8
비교예 5 100 98.7 ± 8.4 109.6 ± 3.3 124.5 ± 5.0
그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4~5 및 실시예 1~2에서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비교예 4~5 대비 실시예 1~2이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히알루론산 생성 저해 효과가 나타나 보습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항염 효능 시험 :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식세포를 이용한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웰당 1.8X105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각 추출물과 LPS (lipopolysaccharide, 1 μg/mL)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은 Griess 시약 [1% (w/v) Sulfanilamide, 0.1% (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μL와 Griess 시약 100μL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구분 Nitric oxide (%)
0 μg/mL 10 μg/mL 50 μg/mL 100 μg/mL
실시예 1 100 99.0 ± 3.2 72.0 ± 2.8 51.6 ± 2.2
실시예 2 100 91.0 ± 2.9 57.1 ± 3.0 34.1 ± 1.5
비교예 1 100 103.7 ± 4.4 70.1 ± 4.0 65.4 ± 2.0
비교예 2 100 96.6 ± 5.6 79.0 ± 3.2 62.3 ± 2.8
비교예 3 100 104.7 ± 2.5 81.0 ± 3.6 60.1 ± 4.0
비교예 4 100 103.8 ± 3.8 76.4 ± 2.3 62.7 ± 2.0
비교예 5 100 98.4 ± 2.4 85.8 ± 2.1 63.4 ± 4.0
그 결과,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모두 NO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비교예 1~5 대비 실시예 1~2이 NO 생성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2에서 보다 우수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 항염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피부 자극 평가
피부 자극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험예들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효능이 우수한 실시예 1~2의 식물 복합 추출물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아래의 표 7과 같이 크림 유형의 조성물로 통상적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성 분 비교제형예
(중량%)
제형예
(중량%)
1 2
1 실시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 - 5.0 -
2 실시예 2의 식물 복합 추출물 - - 5.0
3 세테아릴알코올 1.0 1.0 1.0
4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1.0
5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6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0.3
7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0
8 스쿠알란 8.0 8.0 8.0
9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4.0
10 디메치콘 2.0 2.0 2.0
11 글리세린 5.0 5.0 5.0
1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0.4
13 산탄검 0.03 0.03 0.03
14 방부제 0.5 0.5 0.5
15 0.2 0.2 0.2
16 정제수(to 100) 잔량 잔량 잔량
먼저, 피험자로 20세 이상의 여성 20명에게 안면 왼쪽 부분에는 조성물을 포함한 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크림(대조군)을 1일 2회 12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피부 자극에 대한 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번호 비교제형예 제형예
1 2
1 5 4 5
2 4 4 5
3 4 4 4
4 5 5 5
5 4 4 4
6 4 5 5
7 4 5 5
8 4 4 4
9 4 4 5
10 4 4 4
11 5 5 5
12 4 5 5
13 5 5 5
14 5 5 5
15 4 4 5
16 5 5 5
17 4 4 4
18 5 5 5
19 4 4 4
20 4 5 5
평균 4.35 4.50 4.70
그 결과,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형예 1~2는 비교제형예 대비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였으며, 제형예 1 대비 제형예 2가 피부자극 정도가 더 낮아 우수한 피부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한 후, 1차 증류된 증류액을 제거하고,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을 수득한 후, 수득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다음, 50 내지 60℃ 이하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콜라겐 생성,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능,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 및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고삼(Sophora flavescens), 복령(Poria cocos), 복분자(Rubus chingii), 율피(Castanea savita) 및 토사자(Cuscuta japonica)의 식물 복합물을 증기 추출장치에 첨가한 다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찜 처리를 하는 단계; 및
    찜 처리된 식물 복합물에 용매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50 내지 60℃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23537A 2019-02-28 2019-02-28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37A KR102226179B1 (ko) 2019-02-28 2019-02-28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37A KR102226179B1 (ko) 2019-02-28 2019-02-28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999A true KR20200104999A (ko) 2020-09-07
KR102226179B1 KR102226179B1 (ko) 2021-03-10

Family

ID=7247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37A KR102226179B1 (ko) 2019-02-28 2019-02-28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658158B1 (ko) * 2023-08-02 2024-04-17 박온서 항염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44B1 (ko) * 2003-06-27 2006-06-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80104671A (ko) * 2007-05-28 2008-12-03 최찬기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894714B1 (ko) 2007-11-09 2009-04-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1121008B1 (ko) 2009-09-10 2012-03-1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46857B1 (ko) 2013-07-12 2015-08-25 민중기 금은화, 유근피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150118293A (ko) * 2014-04-14 2015-10-22 양승인 천연한방약재 감초, 당귀, 고삼 혼합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억제, 주름억제, 미백 효과를 갖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101562560B1 (ko) 2015-04-29 2015-10-30 임정하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55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44B1 (ko) * 2003-06-27 2006-06-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80104671A (ko) * 2007-05-28 2008-12-03 최찬기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894714B1 (ko) 2007-11-09 2009-04-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1121008B1 (ko) 2009-09-10 2012-03-1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46857B1 (ko) 2013-07-12 2015-08-25 민중기 금은화, 유근피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150118293A (ko) * 2014-04-14 2015-10-22 양승인 천연한방약재 감초, 당귀, 고삼 혼합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억제, 주름억제, 미백 효과를 갖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101562560B1 (ko) 2015-04-29 2015-10-30 임정하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55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158B1 (ko) * 2023-08-02 2024-04-17 박온서 항염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179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1682A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58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101844980B1 (ko) 제주산버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6777A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안정화 제형
KR100760585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카네이션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