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008B1 -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008B1
KR101121008B1 KR1020090085314A KR20090085314A KR101121008B1 KR 101121008 B1 KR101121008 B1 KR 101121008B1 KR 1020090085314 A KR1020090085314 A KR 1020090085314A KR 20090085314 A KR20090085314 A KR 20090085314A KR 101121008 B1 KR101121008 B1 KR 10112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293A (ko
Inventor
박유만
현준식
조문영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0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인도센나 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에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의 구성성분 및 조직을 강화하여 진피로부터 수분 손실을 억제하고 표피에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진피 강화와 동시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바오밥나무, 인도센나나무, 완두, 해바라기, 보습, 진피 강화

Description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und with excellent moisturizing and dermis strengthening effect}
본 발명은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진피의 구성성분 및 조직을 강화하여 진피로부터 수분 손실을 억제하고 표피에서의 수분 증발 억제함으로써 진피 강화와 동시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피부 내부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피부는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의 전달이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감각기관이며, 병원균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나아가 피부의 상태와 외관은 건강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표지(indicator)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피부는 다양 한 외부 요인들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상해를 직접 받는 신체 부위인 동시에 또한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조직으로써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조직이다. 그러나 피부는 각종 오염 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손상으로 피부의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피부는 더욱 더 큰 손상을 입게 되어 빠르게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수분이 상실되며 주름이 생성되게 된다.
한편,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 내의 콜라겐 (collagen),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이 증가한다. 이렇게 되면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는 거칠어지게 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이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력을 잃게 되어 결국 피부는 건조하게 되며 투명성(translucency)을 잃게 되어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되고 주름이 생성된다. 한편 피부의 보습 작용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피부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 노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의 역할에 대한 조직학적 또는 생화학적 연구는 표피의 각질층(Stratum corneum)에 대한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1은 피부의 단면을 도 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질층은 피부 기저층의 각질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가 분열 및 분화를 유도하면서 피부 표피층으로 이동하며 핵이 제거되고 각질 특이적 단백질이 축적되면서 표피의 주요 지질 성분을 생성한다. 이러한 최종 각질 세포를 코네오사이트 (corneocyte)라고 하며 코네오사이트는 지질 사이에 평평한 비늘 모양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구조는 아토피 혹은 노화된 피부에서 이러한 일련의 구조가 파괴되어 각질층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 피부 건조 및 감염에 노출되는 문제를 만든다. 이러한 각질층의 파괴는 질병 혹은 노화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흔히 노출될 수 있는 공해 혹은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으며, 과도한 세정제를 사용할 경우에도 쉽게 유발되어 보습이 스킨케어 제품의 기본적인 속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습 성분으로는 다가 알코올 혹은 다당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다가 알코올, 다당류의 보습 효능은 이에 포함된 수산화기가 친수성을 띠어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흡습하여 표피의 수분을 유지하는 기작으로 작용한다. 다만, 이러한 보습 성분들은 끈적이는 사용감과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제품에 다량으로 함유 시에 제형 혹은 안정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고가의 다당류의 경우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표피층의 아래쪽에 위치한 진피는 섬유아세포(Fibriblast) 및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피부의 탄력 및 유연성을 부여하여 피부의 주름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은 콜라겐,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들과 다당류의 일종인 글라이코스아미노글라이칸(GAG)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은 조직이 적절한 모양을 갖추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 세포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 물질로서의 역할,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진피에서 충분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수분 흡착제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노화된 피부가 쉽게 건조해 지고 탄력성을 잃게 되는 원인 중의 하나로 이러한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의 감소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은 피부 보습 효과, 진피 강화 효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이 첨가될 경우 독성, 피부 알레르기, 피부 트러블 등 피부에 유해한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진피의 구성 성분과 구조를 강화하여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표피에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은 바오밥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인도센나나무 및 완두 추출물은 종자로부터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은 해바라기 종자로부터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0.3 중량% 내지 10 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0.03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0.03 중량% 내지 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0.1 중량% 내지 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에멀젼(body emulsion), 바디 모이스춰라이저(body moisturizer), 핸드 크림, 발(foot) 크림, 선블록, 훼이셜폼클렌져(Facial Foam Cleanser) 또는 바디 워시(body wash)로 제형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의 구성성분 및 조직을 강화하여 진피로부터 수분 손실을 억제하고 표피에서의 수분 증발 억제 및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성분 을 이용하며 진피 강화와 동시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습 효과 및 진피 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오밥 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인도센나 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성분들을 각 성분별로 살펴본다.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는 열대 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하고 5,000 ~ 6,000년의 수령에 이르러 생명의 나무라고 불리며 건조한 기후에서 살아남기 위해 수분을 저장하는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특히 잎에서 분리한 점액 성분은 물과 강력하게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오밥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바오밥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하며, 바오밥 나무의 잎에서 추출 정제하여 점액 성분을 획득한다. 바오밥 나무의 잎은 피부에 유용한 미네랄, 비타민, 단백질, 및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 성분인 점액질은 보습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유연성과 부드러운 피부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바오밥나무 추출물은 가수분해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오밥나무 추출 과정에 베타-글루코시데이즈 형태의 당분해 효소를 처리할 경우 더 풍부한 양의 점액 성분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안정성을 월등히 증가 시킬 수 있다.
인도센나 나무(Cassia Angustifolia)는 콩과의 소관목으로 인도, 아라비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자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도센나 나무 추출물을 바람직하게는 인도센나 나무의 종자로부터 추출하며, 인도센나 나무의 종자 추출물은 식물성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heteropolysaccharide)를 주성분으로 하며, 하이알우론산(hyaluronic acid)과 유사한 사슬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친수성을 띠게 하며, 보호막 형성을 돕고, 스킨케어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보습 및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피부 윤기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유발한다.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특히 완두의 종자인 완두콩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식물성 펩타이드 활성 성분으로 진피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엘라스티나제(elastinase), 콜라제나제(collagenase) 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라디컬 소거능 (radical scavenger)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은 피부 조직의 단백질을 보호 및 복구할 뿐만 아 니라 피부의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항노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특히 해바라기 종자로부터 추출한 활성 성분은 피부 내부의 지질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성분은 피토세라마이드-6 (phytoceramide-6)와 베타 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등이다. 피부 장벽에 존재하는 지질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표피로부터 수분 증발을 억제해 주며, 망가진 피부 장벽을 신속히 복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바라기 종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증진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성분의 원재료를 획득하여 세척한 후 원재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함수글리세린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열탕 추출, 환류 순환 추출, 침지 추출 또는 압력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원심분리, 감압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의 추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도 2 내지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층 세포 사이의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 진피층의 주요 매트릭스 프로테오글라이칸인 GAG 등의 진피 구조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며, 콜라겐 매트릭스를 분해하는 주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세포 기질 단백질 분해 효소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진피 강화 효과를 갖는다.
피부에 존재하는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MMP-1)는 진피의 구조 단백질인 엘라스틴 또는 콜라겐 등을 분해하여 진피 구조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며, 표피층의 단백질 분해 효소는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 각질화 및 보습 등에 영향을 준다. 표피의 각질 세포의 분화 촉진은 피부의 보습 인자의 생성 촉진과 함께 피부의 수분 증발을 표피에서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건강한 표피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 분해 효소는 활성이 조절되어 조직 재생 및 성장 등에 영향을 미치며, 단백질 분해 효소는 각각에 대한 억제제가 세포 내에 존재하여 단백질 분해능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분해능의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부에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예가 노화와 함께 동반되는 피부 트러블, 탄력 감소 등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자외선, 화학물질 등이 야기하는 문제들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도 5는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유도 실험을 형태학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써 분화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는 미분화 된 경우에 비해 평편한 형태를 갖는 결과 미분화 케라티노사이트는 깊이 및 부피를 가지고 있어서 사진에서 세포 주변이 밝은 색으로 관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도 5(f)의 경우 분화된 세포들은 핵이 소실되며 평편한 형태를 가지므로 이들이 바닥에 평편하게 붙어서 세포 주변이 밝은색으로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유도 실험을 생화학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분화된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볼루크린을 사용하여 그 발현양을 관찰하였으며, 이때 액틴은 표피 각질 세포가 일정량 가지고 있는 세포 골격 단백질로서 상기 실험에서 동일량의 단백질로 보정하기 위해 액틴의 발현양을 같은 실험에서 정량하였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실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1 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성분들이 각각 기술된 함량의 하한 미만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각각 기술된 함량의 상한을 초과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제형에 따라 유효 성분 이외의 잔부의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바디 에멀젼(body emulsion), 바디 모이스춰라이저(body moisturizer), 핸드 크림, 발(foot) 크림, 선블록 등의 리브-온(leave-on)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훼이셜폼클렌져(Facial Foam Cleanser) 또는 바디 워시(body wash) 등의 린스-오프(rinse-off)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필요한 경우, 페녹시에탄올(phenoxyenthanol), 헤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ecellulose), 카보머(carbomer), 글리세린(glycerin),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클로르펜신(chlorphensin), 포타슘 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코코-글리세라이드(coco-glycerides), 부틸파라벤(butylparaben),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에멀젼(body emulsion)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1 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5 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2중량%, 및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3 중량%를 포함하고;
바디 모이스춰라이저(body moisturizer)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1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5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1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3 중량%를 포함하고;
핸드 크림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1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5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1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5 중량%를 포함하고;
발(foot) 크림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1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5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1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1 중량%를 포함하고;
선블록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0.3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03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03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14 중량%로 포함하고;
훼이셜폼클렌져(Facial Foam Cleanser)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0.3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03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03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14 중량%를 포함하고;
바디 워시(body wash)의 제형으로 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약 0.3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약 0.03중량%,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약 0.03중량%,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약 0.14 중량%로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효성분의 추출 과정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은 20 kg의 정제수를 70 ℃까지 가열한 후, 파쇄한 2.0 kg의 바오밥나무 잎을 첨가하여 다시 온도를 90 - 95℃까지 올려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상온까지 추출액을 식힌 후, 베타-글루코시데이즈 형태의 당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그 후 이로부터 획득된 조질의 추출물을 5,000g의 원심력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으로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가수분해 과정은 바오밥나무의 잎으로부터 보다 많은 양의 점액 성분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추출물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은 인도센나 나무의 종자를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 한 가루 1 kg을 물 5 L에 넣고 냉각 콘데서가 달린 추출기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끓여서 (90℃)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사용하였다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은 1 kg의 건조한 완두콩을 분말화한 가루를 물 5 L에 넣고 냉각 콘데서가 달린 추출기를 이용하여 60℃에서 하루 동안 추출하고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사용하였다.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은 채집한 해바라기 씨 건조한 후 분말화한 가루 1 kg을 5 L 옥틸도데카놀 (octyldodecanol)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이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2. 세포에서의 진피 강화 실험
(1) 콜라겐의 정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인 바오밥나무 추출물, 인도센나 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및 해바라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최종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추출물 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별도로 제조하여 여러 화장료 조성물에서 다양한 비율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페녹시에탄올 (phenoxyenthanol) 2 중량%, 카보머(carbomer) 0.3 중량% 및 잔부의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2.5 중량%,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2 중량%, 하드록시에틸셀루로스 (hydroxyethylecellulose) 0.45 중량%를 잔부의 정제수에 용해시켜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완두(Pisum Sativum) 추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세린 (glycerin) 42 중량%, 소디움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1중량%, 클로펜신 (chlorphensin) 0.3중량%, 포타시움 소베이트 (potassium sorbate) 0.5중량%, 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0,2 중량% 및 잔부의 정제된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을 함유하는 완두(Pisum Sativum)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씨 추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6 중량% 코코 글리세리드 (coco-glycerides), 12 중량% 해바라기 씨 추출물, 0.05 중량%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및 0.05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를 포함하는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씨 추출 조성물과 잔부의 옥틸도데카놀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인도센나 나무 추출 조성물 0.3 중량 %, 상기 바오밥 나무 추출 조성물 1 중량 %, 및 상기 완두 추출 조성물 0.2 중량 %만을 각각 포함하며 잔부의 세포 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3 개의 추출 조성물을 대조구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일간 사람의 진피로부터 유래된 섬유아세포를 배양 접시 면적의 약 80% 정도로 자라도록 배양한 배지에 처리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배양액의 콜라겐을 정량하기 위해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색 시약인 써콜(Sircol)로 각각 반응시켰다. 콜라겐과 염색 시약을 충분히 반응시킨 후 염색 시약과 결합한 콜라겐 결합체를 원심분리로 분리하고 콜라겐에 결합되어 있는 염색 시약을 녹일 수 있는 용해액으로써 알칼리 용액 0.5M NaOH에 녹여서 그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증가된 양의 콜라겐이 정량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 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현저하게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MMP-1의 정량
사람의 진피로부터 유래된 섬유아세포를 배양 접시에 넣고 배양 접시 면적의 약 80% 정도로 자라도록 배양하였다. 이후 유효성분으로서 인도센나나무 추출물 0.3 중량 %, 바오밥나무 추출물 1 중량 %, 및 완두 추출물 0.2 중량 %만을 각각 포함하며 잔부의 세포 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3 개의 조성물을 대조구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일간 처리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였다.
콜라겐 매트릭스를 분해하는 주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섬유아세포 콜라게나제(fibroblast collagenase)인 MMP-1(Matrix metalloprotease)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면역화학적 정량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MMP-1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anti-MMP-1, GE Healthcare)를 세포 배양액과 반응시킨 후, 항체와 결합된 MMP-1과 반응하는 2차 항체(무우로부터 정제한 퍼옥시데이즈가 결합한 anti-rabbit 항체, GE Healthcare)를 다시 반응시키고 2차 항체에 표지된 효소에 반응하는 발색 시약(TMB substrate, 3,3',5,5'-tetramethylbenzindine/hydrogen peroxide 용액, GE Healthcare)으로 반응하여 발색 정도로 MMP-1의 배양액 내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MMP-1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GAG)의 정량
사람의 진피로부터 유래된 섬유아세포를 배양 접시에 넣고 배양 접시 면적의 약 80% 정도로 자라도록 배양하였다. 이후 유효성분으로서 인도센나나무 추출물 0.3 중량 %, 바오밥나무 추출물 1 중량 %, 및 완두 추출물 0.2 중량 %만을 각각 포함하며 잔부의 세포 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3 개의 조성물을 대조구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일간 처리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배양액의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을 정량하기 위해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색 시약인 블라이칸(Blycan)으로 각각 반응시켰다.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과 염색 시약을 충분히 반응시킨 후 염색 시약과 결합한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 결합체를 원심분리로 분리하고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에 결합되어 있는 염색 시약을 녹일 수 있는 용해액(Dissociation reagent, Blycan assay kit의 구성품, Biocolor Ltd.)에 녹여서 그 흡광도를 656 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증가된 양의 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GAG)이 정량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의 합성을 현저하게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 내에 콜라겐 및 GAG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견고한 진피 구조를 형성을 도와 주고 차단막의 기능을 높여 진피 강화 효과를 나타내며, 그 결과 피부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의 강도를 높여주고 탄력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다.
3.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유도 실험
(1) 형태학적 분화 측정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각질 세포를 배양접시에 배양면적 대비 90% 정도 자라도록 배양하였다. 그 후 유효성분으로서 인도센나나무 추출물 0.5 중량 %(d), 바오밥나무 추출물 1 중량 %(c), 및 완두 추출물 0.2 중량 %(e)만을 각각 포함하며 잔부의 세포 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3 개의 조성물 및 미처리구(a)를 음성 대조구로 하고, 세포 분화가 정상적으로 유도됨을 확인하기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서 1.2 mM CaCl2(b)를 처리하였으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f)을 각각 2일간 처리한 후 세포 모양을 관찰하여 각질 세포의 분화 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Eclipse TS100 현미경, Digital Sight 사진기 Nikon).
상기 도 5에 나타난 세포 모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질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면 납작한 모양의 분화 특이적인 형태를 보이며,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c, d, e)에는 확인할 수 없는 정도의 분화가 일어난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f)에는 명백한 분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2) 생화학적 분화 측정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를 생화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각질 세포 분화의 바이오 마커가 되는 인볼루크린(involucrin)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법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a) 및 도 6(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에는 현저한 인볼루크린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각질 세포가 현저하게 분화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액틴은 표피 각질 세포가 일정량 가지고 있는 세포 골격 단백질로서 상기 실험에서 동일량의 단백질로 보정하기 위해 액틴의 발현양을 같은 실험에서 정량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표피의 각질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이는 피부의 보습 인자의 생성을 촉진함과 동시에 피부의 수분 증발을 표피에서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건강한 표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피 강화 효과 및 각질 세포 분화의 이중 효과는 표피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보다 향상된 보습 효과 및 탄력성 및 유연성의 이점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
4. 인공피부에서 표피 수분 증발양 측정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공 피부 (VitroSkin N-19, IMS inc)를 적절한 크기로 자른 후 일정양의 정제수가 담긴 용기 위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고정시켰다. 정제수가 담긴 반대쪽 인공피부 표면에 유효 성분으로서 인도센나 나무 추출물 0.5 중량 %, 바오밥나무 추출물 1중량 %, 완두 추출물 0.2중량 % 및 해바라기 추출물 0.3중량%만을 각각 포함하며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과 에탄올(ethanol)을 7:3의 비로 섞은 잔부의 혼합액에 녹인 4 개의 조성물 및 미처리구를 대조구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 도포한 후 27 ℃, 50% 습도에서 수분 증발을 유도하였다. 3일간 수분 증발을 유도한 후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정제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실험 전의 정제수 무게와 비교하여 표피 수분 증발 정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별적인 성분만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 및 표피에서 수분 손실을 억제하여 뛰어난 보습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바, 보습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도 1은 피부의 단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콜라겐 정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의 MMP-1 발현 저해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MMP-1 정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조성물의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GAG) 합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글라이코스아미노클라이칸(GAG) 정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유도 실험을 형태학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표피 각질 세포의 분화유도 실험을 생화학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실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 0.3 중량% 내지 10 중량%, 인도센나나무(Cassia Angustifolia) 추출물 0.03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완두(Pisum Sativum) 추출물 0.03 중량% 내지 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진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오밥나무(Adansonia Digitata) 추출물은 잎으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인도센나나무 및 완두 추출물은 종자로부터 추출한 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은 종자로부터 추출한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추출물 0.1 중량% 내지 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에멀젼(body emulsion), 바디 모이스춰라이저(body moisturizer), 핸드 크림, 발(foot) 크림, 선블록, 훼이셜폼클렌져(Facial Foam Cleanser) 또는 바디 워시(body wash)로 제형화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5314A 2009-09-10 2009-09-10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2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314A KR101121008B1 (ko) 2009-09-10 2009-09-10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314A KR101121008B1 (ko) 2009-09-10 2009-09-10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93A KR20110027293A (ko) 2011-03-16
KR101121008B1 true KR101121008B1 (ko) 2012-03-16

Family

ID=439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314A KR101121008B1 (ko) 2009-09-10 2009-09-10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200104999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6151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팜스킨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3B1 (ko) * 2015-06-26 2016-01-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센나 추출물, 티네블린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89206A1 (en) * 2016-11-09 2018-05-17 Elc Management Ll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ir-146a in skin cel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4123B1 (en) * 1997-01-20 2001-08-14 Laboratories Serobiologiques Use of an extract of the genus Adansonia
JP2002265343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20040021605A (ko) * 2001-06-0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발아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제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4123B1 (en) * 1997-01-20 2001-08-14 Laboratories Serobiologiques Use of an extract of the genus Adansonia
JP2002265343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20040021605A (ko) * 2001-06-0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발아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제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200104999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6151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팜스킨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93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121008B1 (ko)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ITRM20070441A1 (it) Composizioni dermocosmetiche a base di polisaccaride del seme di tamarindo ed estratti vegetali.
KR20150102360A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0794518B1 (ko)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2720B1 (ko) 각질 제거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45188B1 (ko) 효과적인 피부재생 및 안티에이징을 위한 미세침, 저분자 펩티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이크로 앤 리커버리 화장료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5757A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3245B1 (ko)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6094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