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421B1 -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421B1
KR102656421B1 KR1020230121601A KR20230121601A KR102656421B1 KR 102656421 B1 KR102656421 B1 KR 102656421B1 KR 1020230121601 A KR1020230121601 A KR 1020230121601A KR 20230121601 A KR20230121601 A KR 20230121601A KR 102656421 B1 KR102656421 B1 KR 10265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extract
weight
part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Priority to KR102023012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토사자 100 중량부, 고본 250-350 중량부, 곽향 250-350 중량부, 당귀 250-350 중량부 및 백작약 250-3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디올 350-450 중량부를 용매로 하여,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45℃ 내지 50℃ 온도에서 700khz 내지 1200khz의 저온 고주파를 가하여 고형물이 포함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케피라노파시엔스(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제1미세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1차로 여과된 여과물을 제2미세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상기 제1미세필터를 통해 여과되는 입자보다 더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1미세필터는 0.4㎛ 내지 0.8㎛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이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0.1㎛ 내지 0.3㎛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인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or skin soothing using a complex extract of herbal medicines, and a herbal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안전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단일공법으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여 대량 양산에 적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자외선 차단, 피부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해준 제품을 말한다.
기능성 화장품의 각 기능인 피부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시장에 기능별로 다양한 상품군이 출시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주로 인체에 직접 도포해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미백 등의 효능이 발휘되야 함은 물론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어야 하고, 인간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부작용의 최소화 등 그 화학성분의 요구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최근에는 인체에 안전하면서 자극이 적고, 각 효능을 발휘하는 천연성분을 활용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면서,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등의 동아시아권에서는 피부미백 등의 효능을 보이며, 인체에는 무해한 당귀, 토사자, 고본 등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한약재 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98980호(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는 작약 구근을 분쇄하여 에탄올을 가수하고 적외선을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분말화 단계를 거쳐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단일 한약재인 백작약 구근만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며,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피부미백의 효능만 발휘하여, 미백 이외의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43552호(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는 백작약 추출물을 비롯한 당귀, 인삼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트러블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등록특허는 복수개의 한약재를 혼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복합적 기능을 발휘하기는 하나, 당귀, 인삼 등을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용매추출방법)만을 개시하고 있고, 각 한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성질에 따라 적합한 추출방법이 상이한 바, 용매추출방법만으로는 각 한약재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한약재의 종류 및 조합에 따라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복수개의 한약재를 포함하는 경우, 한약재들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끓는점, 녹는점 등의 성질에 따라, 열수추출, 증류추출, 용매추출 등 추출조건 및 추출방법이 상이하여, 단일한 추출방법만으로는 추출율이 떨어지며, 각 한약재의 조건에 따라 추출방법 달리하게 되면, 추출효율은 높으나 공정이 지연되어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98980호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43552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7호. 2012.07 914 page - 920 p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양한 한약재 중에 피부미백을 비롯한 주름개선, 피부진정 효과의 복합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단일 추출공법으로 각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추출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토사자 100 중량부, 고본 250-350 중량부, 곽향 250-350 중량부, 당귀 250-350 중량부 및 백작약 250-3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디올 350-450 중량부를 용매로 하여,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45℃ 내지 50℃ 온도에서 700khz 내지 1200khz의 저온 고주파를 가하여 고형물이 포함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케피라노파시엔스(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제1미세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1차로 여과된 여과물을 제2미세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상기 제1미세필터를 통해 여과되는 입자보다 더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1미세필터는 0.4㎛ 내지 0.8㎛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이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0.1㎛ 내지 0.3㎛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인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추출조건이 상이한 한약재를 단일 추출공정법에 의해 유효성분의 균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추출효율을 높이고 생산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임상시험 결과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마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임상시험 결과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임상시험 결과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밑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임상시험 결과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임상시험 결과 이미지.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재료인 한약재 혼합물의 추출물로 제조된다.
혼합물에는 고본, 곽향, 당귀, 백작약, 토사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혼합물은 토사자 100 중량부, 고본 250-350 중량부, 곽향 250-350 중량부, 당귀 250-350 중량부 및 백작약 250-350 중량부를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혼합물에 사용되는 각각의 한약재는 잘게 부수어 칩(chip)의 형태 또는 분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칩으로 분쇄할 경우, 칩의 크기는 1mm 내지 10mm 범위일 수 있으며, 반드시 균일한 형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혼합물의 분말화 또는 칩의 형태를 통해 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고본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학명은 Angelica tenuissima이다.
고본에는 진정, 진통, 해열, 항염증의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 정유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염증의 약리효과로 인해 신경성 피부염, 가려움증, 피부발진을 소실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휘발성 정유성분에는 고본의 유효성분인 3-부틸 프탈라이드(3-butyl phthalide), 칸디데(candide)가 포함되어 있다.
고본의 정유성분은 휘발성인 바,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열추출법을 사용하는 경우, 유효 성분이 쉽게 파괴되거나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열추출법은 고본의 유효성분의 추출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곽향은 꿀풀과의 지상부이며,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이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Agastache rugosa이다.
 곽향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성분은 세균억제 작용에 효과가 있어서 피부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억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세균억제 효과로 인해 여드름 진정, 피부염증 완화 등 피부진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곽향의 유효성분은 물보다 끓는점이 낮아 열추출방법으로는 획득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만든 후, 수증기를 냉각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증기증류법이 통상 적용되고 있다.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참당귀의 뿌리를 건조시킨 약재로써 학명은 Angelica gigas Nakai이다.
당귀는 참당귀, 외당귀, 중국 당귀 등 종류가 다양하며, 생리 활성 성분으로 데커시놀이 함유되어 있어 변비, 탈모 및 혈액순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효능인 혈관확장에 따른 혈액순환은 당귀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에 의한 약리효과로 알려져 있다.
당귀는 일본당귀(Angelica acutiloba),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참당귀(Angelica gigas) 및 세발당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산지가 한국인 참당귀를 사용할 수 있다.
당귀의 유효성분인 데커신이나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물 또는 에탄올, 에테르, 헥산 등을 용매로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녹이고, 다시 용매를 분리하여 유효성분만을 얻는 용매추출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본과 마찬가지로 열추출법을 사용하는 경우, 열에 의해 유효성분이 변성되거나, 식물자체에 함유된 오일 성분이 너무 적어 추출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어 추출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백작약은 작약속의 꽃으로 산작야의 아종이며, 학명은 Paeonia obovata var. japonica이다.
백작약에 함유되어 있는 페오니플로린은,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궤양작용, 혈압강하작용, 관상혈관확장 작용에 효과가 있고, 페오놀 성분은 진정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소염작용, 지혈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페오니플로린은 멜라닌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오니플로린은 끓는점이 498℃로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물을 용매로 하여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에탄올추출법, 초음파추출, 환류추출방법 등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새삼덩굴, 갯실새삼 등으로 불리며, 학명은 Cuscuta japonica Choisy이다.
토사자의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중요 생활성 물질로, 플라보노이드계열의 Astragalin, Kaempferol, Hyperin, Quercetin 등이 유효성분으로,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에 효과가 있어, 주름개선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벤젠 고리(C6) 2개가 3개의 탄소(C3)에 의해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군을 지칭하며, 안토시아닌, 플라본, 플라보놀, 이소플라본 등의 다양한 종류의 색소들이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에 포함된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의 끓는점은 80℃ - 87℃ 범위에 해당하며, 물의 끓는점 100℃에 가까울수록 유효성분이 쉽게 파괴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토사자는 열추출법 또는 증기증류법을 시도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대부분이 손실되거나 수득율이 낮은 문제가 있어 열추출법 및 증기증류법은 추출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본, 곽향, 당귀 및 토사자는 열추출법이 부적법하고, 백작약은 열추출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곽향은 증기증류법의 적용이 가능한 반면, 토사자는 증기증류법의 적용이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복합적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선, 다수개의 한약재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해야 하는데, 각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은 각각의 성질(끓는점, 녹는점 등)에 따라, 적법한 추출방법이 상이한 바, 단일 추출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추출물에 일부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그 양이 미미하여, 각 한약재에 의한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5가지 천연재료인 한약재(고본, 곽향, 백쟉약, 당귀, 토사자)를 단일 추출공정에 의해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유효성분의 균일성 및 양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토사자 100 중량부, 고본 250-350 중량부, 곽향 250-350 중량부, 당귀 250-350 중량부 및 백작약 250-3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0)
2)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디올 350-450 중량부를 용매로 하여,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S200)
3) 상기 혼합용액을 45℃ 내지 5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고주파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
4)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S500)
5)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정제수로서 전체 화장료의 50~7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1)(S100)의 경우, 혼합물은 칩(chip) 또는 분말 형태로 잘게 부수어 형성될 수 있다.
칩으로 분쇄할 경우, 칩의 크기는 1mm 내지 10mm 범위일 수 있으며, 반드시 균일한 형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단계 2)(S200)는 혼합물에 보습제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로 보습제로는 펜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인체에 직접 도포되어 사용되는 화장품의 사용 특성상, 천연성분으로 분류되는 프로판디올 또는 부틸렌글라이콜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로판디올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350-450 중량부를 용매로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할 수 있다.
혼합용액이 생성된 다음, 45℃ 내지 5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고주파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혼합용액 내에서 혼합물은 입자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고본, 곽향 등의 유효성분과 같이 휘발성이거나 고온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유효성분이 쉽게 파괴되는 경우, 혼합용액의 온도는 유효성분이 휘발되거나 파괴되는 온도 보다 낮아야 한다.
또한 추출효율은 혼합용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한국식물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7호(2012.07)의 914 페이지 내지 920 페이지에는 대부분의 한약 재료의 유효성분 추출효율이 용액(또는 용매)의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식물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7호(2012.07)의 914 페이지 내지 920 페이지에는 한약 재료의 유효성분은 용액(또는 용매, 이하 생략함)을 가열하는 열추출법에 의해 유효성분이 최대로 추출됨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혼합용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유효성분의 수득율이 증가 하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미백, 주름개선 등 복합적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개의 한약재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 한약재인 고본, 곽향, 당귀, 백작약, 토사자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은 각각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열에 대한 저항력 등의 성질이 상이한 바, 수득율을 높이기 위해 논문에 기재된 대로 고온에 의한 열추출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휘발성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고본, 곽향 등의 경우 유효성분이 손실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온도의 범위를 휘발성 성분이 휘발되어 소멸되거나 손상되지 않게 최대 80℃로 설정하고, 그 이하의 온도로 혼합용액을 가온 한다.
더 나아가, 45℃ 내지 50℃의 온도로 혼합용액을 가온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혼합물에 포함된 모든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휘발되지 않으며, 상온(24℃) 대비 높은 추출효율을 얻을 수 있다.
45℃ 내지 50℃ 온도의 혼합용액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여기에서, 고주파의 주파수 대역은 아래에 기재된 바에 따른 범위를 가질 수 있다.
- 750khz 내지 1,150khz 이하,
- 800khz 내지 1,100khz 이하,
- 850khz 내지 1,050khz 이하,
- 900khz 내지 1,000khz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700khz 내지 1200khz의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조사하여, 혼합용액을 강하게 진동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이하 고주파를 이용한 추출원리를 설명한다.
가온 되어 45℃ 내지 50℃ 온도의 혼합용액에 높은 진동수의 고주파 또는 초음파를 가하게 되면, 고주파 또는 초음파는 심한 압축력과 감압력을 용액 중에서 교대로 영향을 미치며 직진하지만, 감압력이 작용할 때, 용액 중에 진공의 공동을 생성, 이것이 순간적으로 액 중에 용해하고 있는 기체에 의해 충만되어 기포로 변한다.
이 기포는 다음 압축력을 받아 단속적으로 압축되어 높은 에너지를 가지지만, 결국에는 눌려서 찌그러져 최후에는 소멸한다.
이 기포가 눌려 찌그러질 때, 국부적으로 극히 큰 충격력 발생하는데, 이 에너지는 수 백 기압이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주파 또는 초음파에 의한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물의 끓는점 보다 낮은 45℃ 내지 50℃ 온도(저온)에서도 높은 압력을 통해 유효성분의 추출율을 높일 수 있다.
고주파는 저온으로 가온 되는 혼합용액에 대해, 24시간 내지 72시간 정도가 진행될 수 있다.
혼합용액의 온도가 45℃ 내지 50℃인 경우 시간이 72시간에 가깝게 진행되고, 혼합용액의 온도가 50℃ 내지 80℃인 경우, 고주파 추출이 진행되는 시간은 감소하여 24시간 또는 그에 가까운 시간대로 추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주파가 가해지는 혼합용액의 온도는 아래에 기재된 바에 따른 온도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온도범위가 낮을수록 추출시간은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 감소할 수 있다.
- 41 ℃ 이상 79 ℃ 이하,
- 42 ℃ 이상 78 ℃ 이하,
- 43 ℃ 이상 77 ℃ 이하,
- 44 ℃ 이상 76 ℃ 이하,
- 45 ℃ 이상 75 ℃ 이하,
- 46 ℃ 이상 74 ℃ 이하,
- 47 ℃ 이상 73 ℃ 이하,
- 48 ℃ 이상 72℃ 이하,
- 49 ℃ 이상 71 ℃ 이하,
- 50 ℃ 이상 70 ℃ 이하,
- 51 ℃ 이상 69 ℃ 이하,
- 52 ℃ 이상 68 ℃ 이하,
- 53 ℃ 이상 67 ℃ 이하,
- 54 ℃ 이상 66 ℃ 이하,
- 55 ℃ 이상 6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45℃ 내지 50℃의 온도범위를 실시예로서 제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를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 이후, 상기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속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S400)가 추가될 수 있다.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방법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포함하여, 비피더스(Bifidus) 등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고주파를 통한 추출방법이 저온이기는 하나, 열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이용하여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은
-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Lactobacillus delbrueckii),
-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 락토바실러스 케피라노파시엔스(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추출물 발효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속균에 속하는 여러 종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출물에 접종시킨 후 45 ℃ 내지 50 ℃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켜 추출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점을 고려하여 장 건강은 물론,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 보습 등 피부 건강을 위한 균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생육적정 온도가 29 ℃ 내지 33 ℃ 인 점을 고려하여 발효 또한 29 ℃ 내지 33 ℃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이용한 발효과정을 통해 발효 중에 생산된 젖산이 천연방부제의 역할을 하며, 특정 영양소의 생체 이용율을 증가시켜 신체에 대한 영영소의 흡수력을 증가시키는 바, 발효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는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다(S500).
추출물을 여과하는 방법은 1차적으로 추출물을 제1미세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2차적으로 제1미세필터보다 더 미세한 입자를 여과시킬 수 있는 제2미세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미세필터는 0.4㎛ 내지 0.8㎛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2차로, 0.1㎛내지 0.3㎛의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1차로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형물은 추출과정에서 유효성분과 함께 추출되는 불순물이나 슬러지를 말한다.
추출물을 제1미세필터 및 제2미세필터를 이용하는 제1 및 2의 두번의 여과과정을 통해, 추출물에 존재하는 미세크기의 불순물 또는 잔류물을 제거함으로써 순도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후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정제수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의 50~7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데, 제형에 따라 추출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용액형, 유화형, 점성형 등 그 제형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성능시험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고본, 곽향, 백작약, 당귀, 토사자를 채취 또는 구입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모두 5mm의 크기로 잘게 부수어 칩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의 준비된 한약재의 고본 250g, 곽향 250g, 백작약 250g, 당귀 250g 및 토사자 100g의 혼합물에 프로판디올 4ℓ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만든 후, 45℃ 내지 50℃의 혼합용액에 700kHz 내지 1,200kHz의 범위의 고주파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제1 및 2 미세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고주파를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을 이용하여 29 ℃ 내지 33 ℃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켜 발효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이 고본, 곽향이 혼합되지 않고, 백작약, 당귀 및 토사자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용액에 고주파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고주파추출을 대신하여, 상기 혼합용액을 88
Figure 112023101205738-pat00001
의 온도로 2.5시간 열수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성능시험 1> DPPH 라디칼 소거능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을 50torr, 40
Figure 112023101205738-pat00002
에서 건조하여 분말을 얻은 다음, 상기 분말 1㎖에 0.2mM DPPH 0.5㎖을 가하여 혼합한 후 37
Figure 112023101205738-pat00003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D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거 환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DPPH 라디칼 소거능(%)=(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Х100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DPPH 라디컬 소거능 % 90 93 75 70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DPPH 라티컬 소거능은 실시예 2가 가장 높고, 비교예 2가 가장 낮게 나타나, 고본, 곽향, 백작약, 당귀, 토사자를 포함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 수 있으며, 고주파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추출효율이나 효능면에서 적법함을 알 수 있다.
<성능시험 2> 세포증식효과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피부 세포 증식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Х10
Figure 112023101205738-pat000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Dulbecco'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에 대하여 최종농도 50~500㎍/㎖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5㎍/㎖의 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MTT] 용액 10㎕을 첨가하여 4시간 정치 후 반응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고 하기식으로부터 세포증식효과를 하기 표 2로 나타내었다.
*세포증식효과(%)=(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Х100
세포증식효과 측정 결과
시료(㎍/㎖)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50 31.3 35.7 22.7 20.3
100 38.5 40.3 34.1 30.4
200 50.4 55.3 44.5 40.7
300 55.1 60.4 49.6 44.8
500 61.3 70.5 55.1 50.3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세포증식효과가 우수하여 고본, 곽향, 백작약, 당귀, 토사자를 모두 포함하되, 고주파 추출방법을 이용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피부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능시험 3>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정도에 근거하여 이들의 미백 효과를 판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평가 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6323)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Х106 cells/㎖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1.0%(wt/v)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37
Figure 112023101205738-pat00005
에서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서, 시료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 용매는 PBS을 이용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trypsin-EDTA 500㎕를 처리하여 떼어 낸 후 세포 수를 측정 한 다음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티드,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원심 분리(3,000rpm, 10분) 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 (10% DMSO)를 120㎕을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고 하기식으로부터 멜라닌 생성 저해율(%)를 구해, 그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 저해율(%)=[(A-B)/A]Х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결과
추출물 처리농도(wt/v %)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실시예 1 1.0 53 %
실시예 2 1.0 57 %
비교예 1 1.0 33 %
비교예 2 1.0 30 %
상기 표 3에 나타나듯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가 높게 측정되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이하 임상시험 결과와 도면을 통해 이를 설명한다.
<시험제품 제조방법>
고본, 곽향, 백작약, 당귀, 토사자를 채취 또는 구입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모두 5mm의 크기로 잘게 부수어 칩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의 준비된 한약재의 고본 250g, 곽향 250g, 백작약 250g, 당귀 250g 및 토사자 100g의 혼합물에 프로판디올 4ℓ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만든 후, 45℃ 내지 50℃의 혼합용액에 700kHz 내지 1,200kHz의 범위의 고주파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을 이용하여 29 ℃ 내지 33 ℃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켜 발효시킨 후, 상기 추출물을 제1 및 2 미세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임상시험 방법 및 결과>
시험제품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크림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시험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시험제품의 주름(이마/목/눈 밑), 피부 톤에 대한 인체효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안면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험제품을 4주간 1일 3회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 전, 사용 4주 후에 시험 대상자를 대상으로 기기측정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제품 사용 전 시험 대상자는 세안 후, 항온항습(20~24℃, 45~55% RH)조건에서 30분간 대기후 시험부위에 대해 기기 측정을 하였고, 시험제품 사용 4주후 방문하여 항온항습(20~24℃, 45~55% RH)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후 시험부위에 대해 기기측정을 하였다.
이하,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 별 실험방법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1) 피부 톤 측정
피부 톤 측정은 Visia-CR(Canfield Science CO. Ltd, USA)를 이용하여 안면부 정면을 Standard 2모드로 1회 측정하였다.
일정한 위치와 환경에서 고해상도 카메라(Canon 5D)와 6개 위치의 filter wheel을 사용하여 촬영되며, 촬영된 이미지(Standard2 모드)에서 I-Max pl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안면 볼 부위)을 지정하고 피부 톤(L-value)을 분석하여 평가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값(L-value)이 증가할수록 피부 톤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임상시험을 한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대상자 중 무작위로 선별한 3명(No.01 ~ No.03)의 안면부의 피부 톤이 밝은 색으로 변화(톤 업)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3명(No.01 ~ No.03)의 특정 영역(안면 볼 부위)을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톤(L-value)값을 측정 및 분석 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피부 톤 측정 결과

사용 전

사용 4주후


피부 톤 측정값
(L-Value)

평균

73.220

74.031

표준편차

2.769

2.727

변화율(%)

1.108
변화율: {(제품 사용 n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
표 4에 나타낸 결과 값을 살펴보면, 시험제품 사용 전 평균 피부 톤 측정값(L-Value)은 73.220이고 시험제품 사용 4주후 평균 피부 톤 측정값(L-Value)은 74.031으로 측정되어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피부 톤 측정값(L-Value)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변화율을 {(제품 사용 4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의 수식으로 계산한 결과, 1.108%로 도출되어, 변화율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이미지에서의 피부 톤의 변화를 비롯하여, 측정기기를 통해 도출된 피부 톤 측정값 및 변화율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톤을 밝게 해주는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주름(이마/목/눈 밑) 측정
주름 측정은 Antera 3D CS(Miravex, Ireland) 장비를 이용하여 시험부위(이마, 목, 눈 밑)를 1회 측정하여 이마, 목 주름은 Wrinkle-medium 분석 모드의 깊이(Depth)를, 눈 밑 부위는 Wrinkle-small 분석 모드의 깊이(Depth) 이미지를 평가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원리는 발광 다이오드(LED광원)를 사용하여 피부의 표면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서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시험부위의 주름이 개선될수록 깊이(Depth, mm)값이 감소한다.
상기와 같은 임상시험 결과,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대상자의 실험데이터 중 무작위로 선별된 3명(No.01 ~ No.03)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이마, 목, 눈 밑 주름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은 Antera 3D CS(Miravex, Ireland) 장비를 이용하여 이마 주름의 변화를 측정한 이미지이며, 주름의 깊이가 깊을 수록 붉은색으로 표현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띄는 부분이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줄어들거나, 붉은색이 옅어지는 변화를 보인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변화를 기초로 Wrinkle-medium 분석 모드를 통해 이마 주름의 깊이(mm)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5와 같다.
이마 주름 측정 결과

사용 전

사용 4주후


이마주름 측정값
(mm)

평균

0.081

0.075

표준편차

0.027

0.026

변화율(%)

-7.407
변화율: {(제품 사용 n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
시험대상자의 실험데이터 중 무작위로 선별된 3명(No.01 ~ No.03)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이마주름 평균 깊이는 0.081mm로 측정되었고, 시험제품 4주 사용 후의 이마주름 평균 깊이는 0.075mm로, 시험제품 사용 후에 이마주름의 평균 깊이가 약 0.006mm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 사용 4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의 수식에 의한 변화율을 계산한 결과, -7.407%의 값이 도출되었으며,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약 7%, 이마 주름의 깊이 값이 감소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4는 Antera 3D CS(Miravex, Ireland) 장비를 이용하여 목 주름의 변화를 측정한 이미지로서 전술한 이마 주름과 마찬가지로 주름의 깊이가 깊을수록 붉은색으로 표현된다.
도 4를 살펴보면, 도 3의 이마 주름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시험제품 4주 사용 후에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붉은색을 나타내는 부위가 줄어들거나 붉은색이 옅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변화를 기초로 Wrinkle-medium 분석 모드를 통해 목 주름의 깊이(mm)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6과 같다.
목 주름 측정 결과

사용 전

사용 4주후


목 주름 측정값
(mm)

평균

0.133

0.125

표준편차

0.057

0.054

변화율(%)

-6.015
변화율: {(제품 사용 n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
시험대상자의 실험데이터 중 무작위로 선별된 3명(No.01 ~ No.03)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 목 주름 평균 깊이는 0.133mm로 측정되었고, 시험제품 4주 사용 후의 목 주름 평균 깊이는 0.125mm로 측정되어, 시험제품 사용 후에 목 주름의 평균 깊이가 약 0.008mm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 사용 4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의 수식에 의한 변화율을 계산한 결과, -6.015%의 값이 도출되어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약 6%, 목 주름의 깊이 값이 감소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5는 Antera 3D CS(Miravex, Ireland) 장비를 이용하여 눈 밑 주름의 변화를 측정한 이미지로서 전술한 이마 주름과 마찬가지로 주름의 깊이가 깊을수록 붉은색으로 표현된다.
도 5를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의 이마 주름 및 목 주름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시험제품 4주 사용 후 측정된 이미지가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붉은색을 나타내는 부위가 줄어들거나 붉은색이 옅어지는 변화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변화를 기초로 Wrinkle-small 분석 모드로 눈 밑 주름의 깊이(mm)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7과 같다.
눈 밑 주름 측정 결과

사용 전

사용 4주후


눈 밑 주름 측정값
(mm)

평균

0.045

0.042

표준편차

0.013

0.012

변화율(%)

-6.667
변화율: {(제품 사용 n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
시험대상자의 실험데이터 중 무작위로 선별된 3명(No.01 ~ No.03)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시험제품 사용 전의 눈 밑 주름 평균 깊이는 0.045mm로 측정되었고, 시험제품 4주 사용 후의 눈 밑 주름 평균 깊이는 0.042mm로 측정되어, 시험제품 사용 후에 눈 밑 주름의 평균 깊이가 약 0.003mm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 사용 4주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 × 100}의 수식에 의한 변화율을 계산한 결과, -6.667%의 값이 도출되어 시험제품 사용 전 보다 약 6.6%, 눈 밑 주름의 깊이 값이 감소하여 주름개선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기기를 통해 이마, 목, 눈 밑 주름의 깊이 값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변화율을 산출한 결과, 이마 주름은 시험제품 사용 전 대비 7.407%, 목 주름의 경우 6.015%, 눈 밑 주름의 경우는 6.667%의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피부 진정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및 결과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임상시험은 시험대상자 20명을 모집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험대상자가 당사에 방문하여 미온수로 시험 부위를 세정 후 항온항습(22±2℃, 50±5℃) 조건에서 30분 이상 대기하여 충분히 피부안정을 취한 다음 시험에 참여하였다.
시험대상자 양쪽 전박 중 한쪽 전박은 시험제품을 사용하는 시험군, 나머지 한쪽 전박은 무도포 대조군으로 지정하여 물리적 자극 유발 전과 후, 시험제품 1회 사용 후에 양족 전박 부위의 피부색 붉은기(Redness average)를 비교 분석하여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된 피부 즉각적 진정 효과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피부색 붉은기(Redness averag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피부색 붉은기(Redness average)의 감소량이 유의하게 높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진정의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험데이터를 살펴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 뿐만 아니라 주름개선, 피부진정의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저온)고주파 추출방법을 통해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더라도, 각 한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이 소멸되거나 파괴되지 않아 복합적 기능이 발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등 복합적 효능이 있고, 고주파 추출방법을 포함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면, 각 한약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소멸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일 공정을 통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어, 추출효율 및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S100: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S200: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S300: 저온 고주파 추출단계 S400: 발효단계
S500: 고형물 제거단계

Claims (7)

  1. 토사자 100 중량부, 고본 250-350 중량부, 곽향 250-350 중량부, 당귀 250-350 중량부 및 백작약 250-3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디올 350-450 중량부를 용매로 하여,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45℃ 내지 50℃ 온도에서 700khz 내지 1200khz의 저온 고주파를 가하여 고형물이 포함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균은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케피라노파시엔스(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제1미세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1차로 여과된 여과물을 제2미세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상기 제1미세필터를 통해 여과되는 입자보다 더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1미세필터는 0.4㎛ 내지 0.8㎛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이며,
    상기 제2미세필터는 0.1㎛ 내지 0.3㎛ 범위의 입자 여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21601A 2023-09-13 2023-09-13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65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601A KR102656421B1 (ko) 2023-09-13 2023-09-13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601A KR102656421B1 (ko) 2023-09-13 2023-09-13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421B1 true KR102656421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601A KR102656421B1 (ko) 2023-09-13 2023-09-13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42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43A (ja) * 2002-02-12 2003-08-27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20080094457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38586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13755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34138A (ko) * 2018-09-21 2020-03-31 훠리스트 주식회사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4999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3045A (ko) * 2019-04-08 2021-12-16 상하이 호프-테크 바이오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손바닥난초의 추출 방법 및 관련 손바닥난초 추출물
KR102498980B1 (ko) 2022-03-02 2023-02-1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3552B1 (ko) 2016-06-03 2023-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43A (ja) * 2002-02-12 2003-08-27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20080094457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20038586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13755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2B1 (ko) 2016-06-03 2023-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34138A (ko) * 2018-09-21 2020-03-31 훠리스트 주식회사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4999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3045A (ko) * 2019-04-08 2021-12-16 상하이 호프-테크 바이오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손바닥난초의 추출 방법 및 관련 손바닥난초 추출물
KR102498980B1 (ko) 2022-03-02 2023-02-1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7호. 2012.07 914 page - 920 p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834B (zh) Abnormal protein removal composition
KR101041403B1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8369A (ko)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92176A1 (zh) 一种美白抗皱中药组合物及其混合提取物和应用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6270987A (zh) 具有美白、抗氧化、祛黄褐斑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557414B2 (ja) 保湿剤、細胞賦活剤、及び美白剤
KR101103589B1 (ko)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6309911B (zh) 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56421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429946B1 (ko) 브로콜리 추출수를 함유하는 천연비누 및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JP2021109869A (ja) Age産生抑制剤
KR2017005575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CN108066274B (zh) 黑发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N107157838B (zh) 一种含有核桃青皮提取物的抗氧化组合物
CN106176338B (zh) 一种抗衰老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840799A (zh) 一种美白保湿抑菌防蚊身体乳及其制备方法
CN106620295B (zh) 一种中草药组合物
JP2008056587A (ja) 皮膚外用剤
KR102621398B1 (ko) 콘민트, 유칼립투스, 레몬그라스 및 알로에베라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쿨링 및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