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138A -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138A
KR20200034138A KR1020180113465A KR20180113465A KR20200034138A KR 20200034138 A KR20200034138 A KR 20200034138A KR 1020180113465 A KR1020180113465 A KR 1020180113465A KR 20180113465 A KR20180113465 A KR 20180113465A KR 20200034138 A KR20200034138 A KR 2020003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fermentation
cosmetic composition
skin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351B1 (ko
Inventor
윤종성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훠리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한방 복합발효물을 포함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에 포함되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특정한 GCFL 2594138 균주와 발효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한방 복합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목적으로 하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와, 멜라닌 생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여 미백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17 Materials Of Oriental Medicine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동의보감 처방의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에 포함되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의 천연재료를 특정 발효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후 화장품에 첨가하여 조성됨으로써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기능성 화장품 산업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피부 노화 방지와 주름개선, 미백 효능이라 할 수 있다. 피부가 노화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을 꼽을 수 있는데, 자외선으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ROS란 큰 산화력을 갖는 산소종으로서 superoxide anionic radical(O2·-), hydroxyl radical(·OH)과 같은 산소 중심의 라디칼뿐만 아니라 hydrogen peroxide(H2O2), singlet oxygen(1O2)와 같은 비라디칼 종 그리고 이들이 생체 성분과 반응하여 생성된 peroxyl radical(ROO·), alkoxyl radical(RO·)등을 들 수 있다. ROS는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세포막을 이루고 있는 인지질을 산화시켜 세포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MMPs(Matrix Metalloprotease)의 발현을 촉진시켜 콜라젠(collagen, 교원섬유) 및 엘라스틴(elastic fiber, 탄력섬유)등을 분해시킨다. (Blokhina O et al,. Antioxidants, oxidative damage and oxygen deprivation stress. A review. Ann Bot., 91: p179-194, 2003., Chait A et al,. Diabetes, lipids, and atherosclerosis., p467-469, 1996., Chang C et al,. The many faces of metalloproteases: cell prowith, invation, angiogenesis. Trens Cell Biol., 11: p37-42, 2001).
콜라젠 및 엘라스틴 섬유가 분해되어 물리적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면 피부는 탄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자외선 및 ROS는 DNA 염기의 산화 및 사슬 절단 등을 통하여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또한 ROS는 피부에서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를 통하여 멜라닌 세포 증식과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고(Hearing VJ et al,. Mammalian tyrosinase. A comparison of tyrosine hydroxylation and melanin formation. Biochem. J., p157: 549-557, 1976), 합성된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로서 동식물계에 존재하는 생체 고분자물질로써 피부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에 의해 생합성 되고 수지상 돌기를 통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수송되어 melanin cap으로써 각질형성세포의 핵을 보호하고 각화과정에 의해 피부 바깥층으로 이동하여 떨어져 나간다.
멜라닌은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TRP-2) 등의 일련의 효소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며, 이 중에서 멜라닌 생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는 tyrosinase이다. 이는 멜라닌 생합성에서 초기단계를 촉매하는 속도조절 인자로서, 이 효소에 의해 tyrosine이 3,4-dihydroxy-phenylalanine(DOPA), DOPA quinone으로 변환되어 붉은 계열의 eumelanin과 갈색계열의 pheomelanin이 합성된다. 멜라닌은 각질형성세포로 이동되어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의 노화나 일광각화증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병변은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된다. (Birlea SA et al,.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action of vitamin D analogs targeting vitiligo depigmentation. Curr. Drug Targets, 9: p345-359, 2008., Briganti S et al,. Chem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es to treat hyper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6: p101-110, 2003., Brown DA. Skin pigmentation enhancers. J. Photobiol. Biol., 63: p148-161, 2001).
또한, 피부 노화의 원인 중 환경적 요인은 주로 진피층에 포함된 콜라겐(Collagen) 단백질, 엘라스틴(Elastin) 단백질 등을 파괴하거나 변성을 일으켜 주름을 유발한다. 콜라겐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전구체인 프로콜라겐(Procollagen)을 거쳐 합성되는데 진피 기질 내에는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I)이 8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이 콜라겐 타입 I은 광노화 피부에서 함량이 감소되고 피부 노화과정에서 관찰되는 가장 중요한 콜라겐 타입이다.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과정은 피부의 주름과 연관이 있으며 이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불균형을 이룰 경우 주름이 증가하여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자외선은 피부세포(섬유아세포)를 산화시키고 엘라스틴의 생성저하 및 파괴를 일으키는데, 자외선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피부 내에 엘라스틴 분해효소(Elastase)가 발현되며 이 효소가 피부 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 저하를 가져 온다(Duval C et al,. Human skin model containing melanocytes: essential role of keratinocyte growth factor for constitutive pigmentation-functional response to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forskolin. Tissue Eng. Part C. Methods, 18: p947-957, 2012).
한편, 피부의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외관상의 피부색이 결정된다. 피부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생성반응 과정(melanogenesis)을 거쳐 멜라닌이 생성되고 이 멜라닌에 의해 피부색이 검게 변화하여 색소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가 자극을 받고,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됨으로써 티로시나제 효소가 작용하여 피부에 색소 침착 생긴다. 이 멜라노사이트의 활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효소 및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착색이나 얼룩 등의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기존의 멜라닌 생성 억제제는 멜라닌 생성의 주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들이 미백제로서 활발히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제의 예로, 코지산 (kojic acid), 알부틴 (arbutin),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감초 추출물 등이 있다. 미백 화장료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영향을 주는 신호전달과정을 조절하는 미백 원료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Burke KE. Interaction of vitamins C and E as better cosmeceuticals. Dermatol. Ther., 20: p314-321, 2007., Busca R et al,.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p60-69, 2000., Di Nuzzo S et al,. Depigmentation therapy in vitiligo universalis with cryotherapy and 4-hydroxyanisole. Clin. Exp. Dermatol., 35: p215-216, 2010).
이러한 피부 노화 및 주름개선, 미백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천연 식물소재의 제품화가 용이한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어 왔고, 기능성식품 및 예방의학, 치료의학의 분야에서도 동양의 식물성 약재 (Herbal medicine)가 미국 및 유럽에서까지 허가 및 제품화되기 시작하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인체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 등이 지은 한의학에 대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서,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년)에 완성된 의학서로 당시의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국보 319호와 319-2호로 지정되었고 자랑스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어 현재까지 그 임상학적인 연구는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효과, 보습효과 등 임상효과가 보고된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과 온청음(溫淸?)을 선택하였고, 청상방풍탕은 상초(上焦), 즉 인체의 상부에 열증(熱證)이 나타날 때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이며 형개(荊芥), 황련(黃連), 박하(薄荷), 치자(梔子), 지실(枳實), 감초(甘草), 천궁(川芎), 황금(黃芩), 연교(連翹), 백지(白芷), 길경(桔梗), 방풍(防風)의 12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는 탕약을 의미한다. 온청음은 피부의 색과 윤기가 좋지 않고 상기(기혈이 머리쪽으로 치밀어 오름)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이며 월경불순, 월경곤란, 갱년기 장애, 신경과민 증상이 나타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당귀(當歸), 작약(芍藥), 지황(地黃), 천궁(川芎), 인삼(人蔘),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백(黃柏)의 8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의 추출물은 최근 연구를 통해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효과, 보습효과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Atsushi Kaneko et al, 新藥と臨床, 63, 9, p1436, 2014., Nobukazu Hayashi et al, 日本皮膚科學會誌, 118, 10, p1893, 2008., Akiyo Gushi et al. Kampo Med, 67, 2, 123~130, 2016).
그러나 이러한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노화,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이지만, 추출된 이후에는 불안정하고 때론 자극적이어서, 인체에 독성을 띄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안정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안정한 유도체로 전환시켜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생물변환(Bioconversion)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변환의 대표적인 방법인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고 천연물이 가지고 있는 성분이나 소재의 활용성을 증진시켜준다. 이러한 유용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의 방법은 화장품이나 의약품, 식음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연구 및 적용되어 왔다. 발효에 이용되는 발효균의 종류로는 누룩곰팡이(Aspergillus spp), 간균 및 고초균(Bacillus spp), 유산균(Lactobacillus spp), 효모 및 방선균(Antinomycetes spp) 등이 있으며 특히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발효공정 개발에 자주 사용되고 있고 항산화 및 미백 효과,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 등에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한약재 또는 한약재 추출물, 특히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의 추출물들을 특정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변환 공정으로 그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새로운 효능을 도출할 수 있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0525994호(2005.11.08. 공고)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1430591호(2014.08.18. 공고)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의 17가지 한방 복합 추출물을 자연 숙성된 포도 등 과일에서 분리한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 발효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후 화장품에 첨가하여 조성함으로써 피부에 부작용 및 자극성이 없으며, 보다 우수한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한방 복합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은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클렌징로션, 바디 로션,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 클렌저, 피부외용연고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추출하는 S10단계;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을 여과포, 여과지,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농축하는 S20단계; 상기 농축된 결과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한방 복합발효물을 얻는 S30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0단계에서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은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10단계에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중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 방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50℃∼100℃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중탕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S30단계 이후에는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을 여과지 및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동결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동결 및 건조는 -20℃부터 단계적으로 30℃까지 36시간∼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에 포함되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특정한 GCFL 2594138 균주와 발효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한방 복합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목적으로 하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와, 멜라닌 생성 억제 능력이 우수하여 미백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세포 독성평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Procollagen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멜라닌 생성량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발효물을 함유한 화장품-크림 제형의 미백효과에 관련한 임상시험을 나타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복합발효물을 함유한 화장품-크림 제형의 항노화 효과 및 주름개선에 관련한 임상시험을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방 발효 화장품 제형 제조 과정 모식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은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에 포함되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한방 복합발효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방 복합추출물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이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되고,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여기서, 한방 복합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의 17가지 한약소재는 품종 및 부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건조물 기준으로 각각 상기한 동일 중량비일 경우에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한방 복합추출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프로판올, 메탄올, n-부탄올, 아세톤, 1,3-부틸렌글라이콜,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콩기름 및 참기름 중 1종 이상의 추출용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용매를 사용할 경우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어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의 함량은 상기하는 17가지 한약소재의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의 1배 내지 50배, 1.5배 내지 30배, 보다 구체적으로 5배 내지 20배 또는 5배 내지 15배 일 수 있다.
또한, 한방 복합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하는 17가지 한약소재를 혼합한 다음 추출용매를 가한 후, 중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7가지 한약소재와 추출용매를 추출기에 투입한 후, 50℃∼100℃에서 24시간∼7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는 것이 좋고, 추출 횟수는 구체적으로 1회∼3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방 복합발효물은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이하 GCFL 2594138로 약칭함)를 한방 복합추출물에 접종한 후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이다.
이때, 한방 복합 발효뮬은 GCFL 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발효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발효균주의 배양조건이 맞지 않아 균주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충분한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추출하는 S10단계; 한방 복합추출물을 여과포, 여과지,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농축하는 S20단계; 농축된 결과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한방 복합발효물을 얻는 S30단계;를 포함한다.
S10단계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50℃∼100℃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중탕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추출한다.
그리고, S20단계는 여과포, 여과지,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한방 복합추출물을 여과하여 농축한다.
그리고, S30단계는 여과 및 농축된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시켜 한방 복합발효물을 획득한다.
이에 더하여, S30단계 이후에는 한방 발효물을 여과지 및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동결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결 및 건조는 -20℃부터 단계적으로 30℃까지 36시간∼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발효된 한방 복합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한방 복합발효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효된 한방 복합발효물은 미백,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클렌징로션, 바디 로션,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 클렌저, 피부외용연고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함량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 실시예 1> 한방 복합추출물로부터 한방 복합발효물의 제조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청상방풍탕과 온청음에 포함되는 17가지 한약소재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은 한약제를 판매하는 약령시장에서 완전 건조된 국내산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한약소재들을 각각 10g씩 혼합해 총 160g을 준비하였다. 상기 원료 총 160g에 70% 에탄올을 1,600mL을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은 한방 복합추출물은 와트만 (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은 50℃ 이하에서 회전증발농축기(Rotavapor R-100, BUCHI Labortechnik GmbH, Germany)로 농축 후 동결건조기(FD 8508, 일신바이오베이스)에서 동결 건조시켜 보관하였다. 한방 복합발효물을 얻기 위해서 상기의 과정으로 얻어진 동결건조 된 한방 복합추출물을 10~15% 함유하는 배지를 제조 후 121℃, 1.5 기압조건에서 15~20분 동안 고압멸균하고 상온까지 냉각시켜 한방 복합추출물 배지를 제조하였다.
한방 복합발효물을 얻기 위해서는 GCFL 2594138 균주를 MRS broth(BD Difco, USA)로 계대 배양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 복합추출물 배지에 GCFL 2594138 균주 배양액을 1.0~1.5%(v/v) 농도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 ℃의 자동발효기(Biotron GX, 한일과학)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을 고속 원심분리기(Component WR, 한일과학)로 3000rpm 10분 이상 회전하여 균체 및 잔유물을 제거하였고, Syringe filter 0.2μm(Whatman GD/X, Merck KGaA, Germany)로 여과 과정을 거쳐 제균 후 최종 한방 복합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시료)과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 시료)은 동결건조 시료화하여 발효 전후의 성분 및 효능 변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세포독성 시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과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을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자극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RAW 264.7 cell 및 HFF cell을 대상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 및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oreskin fibroblast)인 HFF cell은 한국 세포주은행(KCLB, Korea)에서 분양받았으며, 각각의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와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RAW 264.7 cell은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X104 cells/mL로 조절한 후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접종하고 5% CO2 Incubator(Heracell 240i,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에서 24시간 동안 전 배양하였다. 세포에 1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s, Sigma-Aldrich, USA)를 처리하고 24시간 뒤에 시료(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를 농도별(0, 3.125, 6.25, 12.5, 25, 50, 100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후 Ez-Cytox 시약(Biomax, Korea)이 든 배지로 교체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multi-plate reader(Cytation 5 Cell Imaging Multi-Mode Reader, 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FF cell은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0X104 cells/mL로 9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접종하고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전 배양하였으며, 세포에 FBS를 무첨가한 DMEM과 일정 농도의 시료를 섞어 well 당 100μL씩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후 WST 시약이 든 배지로 교체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아래의 계산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대한 세포생존율의 경우,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은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98.51±0.15%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세포 생존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105.82±0.12%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세포 생존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람의 섬유아세포인 HFF cell에 대한 세포생존율의 경우,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은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106.18±0.13%%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세포 생존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125.73%±0.15%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세포생존율이 오히려 증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이 100μg/mL의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없으며 발효 과정을 거쳐 세포 생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정 물질이 생성 또는 증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항노화 효과측정
실시예 1에서 얻은 한방 복합발효물의 항노화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BHT를 비교시료로 사용하였고, 항산화 측정은 DPPH법을 이용하였다.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측정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 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0.1% 농도의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과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 그리고 BHT를 준비한 후, 각각의 시료를 96-웰 프레이트에 넣었다. 여기에 100㎛ 메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첨가하여 용액의 총 부피가 200㎕ 되도록 하여 이것을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60nm에서 흡광도(St)를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다음의 계산식 2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2
DPPH 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 2와 같이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88.73±0.16%으로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의 라디칼 소거율 50.21±0.13%와 BHT의 라디칼 소거율 78.02±0.17%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한방 복합발효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17가지 한약소재를 함유한 한방 복합발효물의 우수한 항노화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한방 복합추출물의 발효 전후의 주름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및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을 이용하여Procollagen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oreskin fibroblast)인 HFF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에서 분양 받았다. HFF cell을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0 ㎜ 세포배양접시에 1.5X104 cells/well로 세포를 분주해 배양하여 부착 및 안정화시킨 후, 배지를 제거해 PBS로 2회 세척하고 농도별(0, 25, 50, 100μg/mL)로 준비한 시료(한방 복합추출물 및 한방 복합발효물)를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Total RNA는 TRI reagent(Sigma-Aldrich,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RNA는 multi-plate reader(Cytation 5 Cell Imaging Multi-Mode Reader, 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해 정량하여 1㎍의 RNA를 이용하였고, cDNA 합성 및 RT-PCR은 real-time system(CFX96 Touch, BIO-RAD,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95℃ 3분, 58℃ 30초, 72℃ 30초씩 40cycles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RT-PCR에 사용된 primer는 하기 표 1과 같고, 대조군으로는 TGF-β를 사용하였다.
RT-PCR에 사용된 Primer
Name Primer Expected Size(bp)

β-actin
서열번호 1: 5'-CATGAAGTGTGACGTGGACA-3' (Forward) 70~77
서열번호 2: 5'-CAGGGCAGTGATCTCCTTCT-3' (Reverse)
COL1A1
(procollagen)
서열번호 3: 5'-GACCTCAAGATGTGCCACTC-3' (Forward) 92~110
서열번호 4: 5'-CCAGTCTCCATGTTGCAGAA-3' (Reverse)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및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 모두 procollagen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은 농도의존적으로 procollagen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대조군 대비 1.73배 증가하였다. 반면,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농도 의존적으로 Procollagen의 mRNA 발현량 이 증가하였고, 최고 처리농도 100μg/mL에서 Control 대비 3.21배 증가하였다. 즉,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대비 procollagen의 mRNA 발현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 하였고,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TGF-β보다 더 높은 procollagen의 mRNA 발현량을 보였다.
< 실시예 5> 멜라닌 생성량 측정을 통한 미백 효과 시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및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을 이용하여 피부의 미백과 관련이 있는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흑색종 세포인 B16F10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에서 분양 받았으며, 각각의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마우스 흑색종 세포인 B16F10 cell에 60mm 세포배양접시에 1X104 cells/well로 세포를 분주해 24시간 배양하여부착 및 안정화시킨 후, 농도별(0, 3.125, 6.25, 12.5, 25, 50, 100μg/mL)로 희석한 시료(한방 혼합물 및 한방 혼합 발효물)와 α-MSH(Sigma, USA)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한 뒤 원심분리기로 세포를 모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세포는 10% Dimethyl sulfoxide(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을 처리하여 6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멜라닌 양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료액 대신 PBS를 사용한 Blank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산출하였고, 대조군으로는 Arbutin를 사용하여 한방 혼합물의 발효 전후 시료와 비교하였다. 멜라닌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계산식 3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한방 혼합물 발효 전후의 멜라닌 생성량 측정
시료 IC50(μg/mL)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 N/D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 8.21 ± 0.32
Arbutin 67.34 ± 0.41
그 결과, 표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은 최고 처리 농도 100μg/mL에서 50.12±0.12%의 멜라닌 생성량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45.04±0.15%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의 경우 최저 처리 농도 3.017μg/mL에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량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최고 처리 농도 100μg/mL에서 12.57±0.13%의 멜라닌 생성량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90.72±0.15%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방 복합추출물(발효 전)은 100μg/mL 이상의 농도에서 IC50 값을 나타낸 반면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은 8.21±0.32μg/mL의 농도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최소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조군으로 사용된 Arbutin보다도 한방 복합발효물(발효 후)이 멜라닌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6> 한방 복합발효뮬 함유 화장품 제형 제조
제형예 1- 에센스 제형
Figure pat00004
상기 표 3과 같이 A상과 B상을 각각 일정한 온도에서 제조한 후에 B상을 A상으로 혼합하고 50∼60℃로 가온하면서 균질화시킨다. 그 후 C상과 D상을 첨가한 후 냉각시켜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 로션 제형
Figure pat00005
상기 표 4와 같이 A상과 B상을 각각 일정한 온도에서 제조한 후에 B상을 A상으로 혼합하고 50∼60℃로 가온하면서 균질화시킨다. 그 후 C상과 D상을 첨가한 후 냉각시켜 로션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 크림 제형
Figure pat00006
상기 표 5와 같이 A상과 B상을 각각 일정한 온도에서 제조한 후에 B상을 A상으로 혼합하고 50∼60℃로 가온하면서 균질화시킨다. 그 후 C상과 D상을 첨가한 후 냉각시켜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한방 복합발효물 함유 화장품 제형 임상시험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 함유 화장품 제형 예시 중 하나를 실험에 참가한 피실험자는 총 20명으로 20∼30대 여성에게 실시하였다. 피부굴곡도(항노화 효과 및 주름 상태), 색소침착상태(미백 효과), 각질상태와 모공크기 변화 지수의 개선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피실험자별 실험처치 적용 기간은 12주를 적용하였다. 측정값의 산출은 1주(실험 시작시점), 12주(실험 종료시점)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실험대상자의 피부굴곡 및 색소침착 증상 정도가 비교적 심한 얼굴의 눈 주변과 및 볼 주변에 실험용-크림 제형을 적용 후 개선 상태 비교결과는 도 5와 도 6과 같다. 1주에서 12주를 살펴본바 상당히 호전된 증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대상자들의 실험 시작 전의 피부굴곡도(항노화 효과 및 주름상태), 색소침착상태(미백 효과), 각질상태와 모공크기변화의 지수를 살펴보았다.
Figure pat00007
피실험자 표본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표 6과 같다. 굴곡도의 평균을 살펴보면 실험 전 8.23이고 실험후의 굴곡도는 4.17로 실험 후 절반이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면 실험 전은 1.356이고 실험 후는 1.253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 색소침착의 평균 측정값을 살펴보면 실험 전 9.87이고 실험 후 5.13으로 실험 후 거의 절반 정도 감소함을 보였다.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면 실험 전은 0.157이고 실험 후는 1.539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 피부 각질의 경우 평균을 살펴보면 실험 전은 3.65 이고 실험 후는 1.57로 실험 후 절반 이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면 실험 전은 1.376이고 실험 후는 1.145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 피부 모공의 경우 평균을 살펴보면 실험 전은 7.39이고 실험 후는 3.58로 실험 후 절반 이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면 실험 전은 1.328이고 실험 후는 1.583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 모든 측정값에서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서 측정값의 변화가 있었으며 거의 절반 정도 내지 절반 이상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한편, 표 3의 에센스 제형, 표 4의 로션 제형, 표 5의 크림 제형의 성분에 도시된 콜레스테롤 및 레시틴은 경피 투과율이 우수하고, 피부탄력 개선 능력, 피부 두께 증가 능력, 피부 치밀도 개선 능력이 우수한 모델 담즙산 마이셀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모델 담즙산 마이셀 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7-0143761호에 제시된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방 발효 화장품 제형 제조 과정을 보면, 유화단계에서 모델 담즙산 마이셀 및 유용성분이 투입되어 혼합되는데, 이러한 모델 담즙산 마이셀은 피부전달체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경피 투과 및 흡수가 용이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한방 복합발효물을 포함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인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은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클렌징로션, 바디 로션,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 클렌저, 피부외용연고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6.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추출하는 S10단계;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을 여과포, 여과지,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농축하는 S20단계;
    상기 농축된 결과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한방 복합발효물을 얻는 S30단계;
    를 포함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에서 길경, 천궁, 방풍, 형개, 감초, 황금, 백지, 황련, 지실, 치자, 박하, 인삼, 연교, 당귀, 작약, 지황, 황백은 1:1:1:1:1:1:1: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에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를 투입한 후, 중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 방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50℃∼100℃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중탕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은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에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덤(Galactomyces candidum) FL 2594138(Forest Lab-2594138) 균주를 접종한 후 25℃∼40℃에서 2일∼7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 이후에는 상기 한방 복합발효물을 여과지 및 감압여과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여과하고 동결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및 건조는 -20℃부터 단계적으로 30℃까지 36시간∼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80113465A 2018-09-21 2018-09-21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3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65A KR102123351B1 (ko) 2018-09-21 2018-09-21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65A KR102123351B1 (ko) 2018-09-21 2018-09-21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38A true KR20200034138A (ko) 2020-03-31
KR102123351B1 KR102123351B1 (ko) 2020-06-16

Family

ID=7000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65A KR102123351B1 (ko) 2018-09-21 2018-09-21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20A (ko) * 2021-02-16 2022-08-23 태남메디코스 주식회사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831A (ko) 2022-02-25 2023-09-01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와 한약재를 함유한 천연비누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994B1 (ko) 2003-05-12 2005-11-0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0591B1 (ko) 2014-01-08 2014-08-18 최낙문 발효 화장품
KR20170143053A (ko) * 2016-06-17 2017-12-29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994B1 (ko) 2003-05-12 2005-11-0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0591B1 (ko) 2014-01-08 2014-08-18 최낙문 발효 화장품
KR20170143053A (ko) * 2016-06-17 2017-12-29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엘에스 화장품 ‘에스미라클 갈락토미세스 리얼 화이트닝 세럼’. [online], (2016.08.19. 공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제29권, 제1호, 14-34쪽, 2016년 공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제30권, 제2호, 49-70쪽, 2017년 공개* *
삭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20A (ko) * 2021-02-16 2022-08-23 태남메디코스 주식회사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351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3081B1 (ko) 모란뿌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2123351B1 (ko)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369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8293A (ko) 천연한방약재 감초, 당귀, 고삼 혼합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억제, 주름억제, 미백 효과를 갖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386A (ko)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685579B1 (ko) 측백엽을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1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1308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8649A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20081638A (ko) 용머리 꽃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