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08A -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08A
KR20110101308A KR1020100020234A KR20100020234A KR20110101308A KR 20110101308 A KR20110101308 A KR 20110101308A KR 1020100020234 A KR1020100020234 A KR 1020100020234A KR 20100020234 A KR20100020234 A KR 20100020234A KR 20110101308 A KR20110101308 A KR 2011010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elan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민
이세미
Original Assignee
(주)코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비전 filed Critical (주)코스비전
Priority to KR102010002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308A/ko
Publication of KR2011010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61K8/9749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색소인 멜라닌의 형성단계 중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에 관여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Dryopteris crassirhizoma extracts}
본 발명은 피부색소인 멜라닌의 형성단계 중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에 관여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소침착은 피부세포 내에 있는 멜라닌색소생성세포(melanocyte)에서, 어떤 요인에 의해 멜라닌 생성활동이 증가되고, 이로 말미암아 만들어진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달되어, 피부 표피층(epidermis)에 축적된 결과이다.
인체 피부에서 색소 침착이 발생되는 과정을 보면, 멜라닌색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색소생성세포에서 만들어지는데, 타이로신으로부터 타이로시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멜라닌은 주변의 각질형성세포로 전달되고 각질형성세포의 피부 턴오버에 의해 각질층으로 전달되며 마침내 때와 함께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피부색을 나타내려면 일정한 양의 멜라닌이 만들어지고 일정량이 피부 각질을 통해 없어져야 한다. 반면 색소 침착은 멜라닌이 너무 많이 만들어지거나, 피부 각질로 잘 떨어져 나가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에서 기인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멜라닌색소생성세포에서 멜라닌 합성과정은 멜라닌 합성 전, 멜라닌 합성 및 멜라닌 합성 후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멜라닌 합성 전 단계에서는 멜라닌색소생성세포내 멜라노좀이 멜라닌을 합성할 수 있도록 변형되며, 타이로시나아제 전구체의 당기를 트리밍하는 반응을 통해 성숙된 타이로시나아제가 멜라닌을 합성 및 분비한다. 즉, 상기 타이로시나아제 전구체는 여러개의 만노오스와 글루코오스가 글라이코실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타이로시나아제 전구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효소가 글라이코실화되어 있는 당기를 제거함으로써 타이로시나아제 자체의 활성을 갖게 되고 멜라닌 색소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 억제물질은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및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을 단당류인 D-글루코오스(D-glucose), D-갈락토오스(D-galactose) 및 D-프럭토오스(D-fructose)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탄수화물의 가장 최종적인 소화단계에서 글루코오스로 전환되는 것을 막고 특히 식후에 급격한 혈당의 상승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자외선 등에 의한 기미, 주근깨, 피부염증후의 피부흑화 및 노인성 색소반점 등으로 인한 피부의 과색소침착은, 당사자에게 미용상의 불편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회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90년대 이후, 미백제로는 알부틴(arbutin), 코지산(kojic acid),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함유한 미백화장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임상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며, 지속적으로 개선된 원료개발과 색소침착의 기전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타이로시나아제 전구체에 있는 당기의 제거를 막아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을 저해하기 위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의 효소 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관중 추출물이 α-글루코시다아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로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 및 활성화를 막고 결과적으로 멜라닌 색소 형성을 막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양성대조군인 DNJ(Deoxynojirimycin) 및 알부틴 보다 우수한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및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1은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시험물질 처리 후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멜라닌 합성 단계 중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체를 합성하기 전 단계에 작용할 수 있는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비만과 혈당강하제로 쓰이고 있는 관중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관중은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뿌리줄기는 지름 8∼10 mm의 굵은 덩어리 모양이고 비스듬히 서며 길이가 25 cm 정도이고 잎이 돌려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0∼25 cm이고 잎몸보다 훨씬 짧으며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다. 비늘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10∼25 mm이며 광택이 있고 황색을 띤 갈색 또는 검은빛이 도는 갈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긴 돌기가 있다. 잎몸은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잎조각은 20∼30쌍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자루가 없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곱슬털 같은 비늘조각이 있다. 잎몸 중간 부분에 있는 잎조각이 가장 크고, 밑 부분으로 갈수록 잎조각의 크기가 작고 달리는 간격이 넓다. 잎조각의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중앙맥에서 나온 잎맥은 보통 Y자 모양으로 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잎몸 윗부분 잎조각의 중앙맥 가까이 2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기생충의 제거하고 해열·해독 작용이 있으며 지혈 효과도 있다. 양방에서는 성분을 추출하여 면마정(綿馬精) 등의 약품을 만든다. 한국·일본·사할린·쿠릴열도·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관중은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9∼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도 1은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로서, 타이로시나제의 초기 N-글루칸(Glc3Man9NAc2)은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I과 II, a-만노시다아제에 의해 글루코오스와 만노오스가 절단된다. 이러한 당기의 절단과정을 통해 타이로시나제는 성숙되고 골지체에서 최종적인 활성체(complex type)가 되어 활성을 갖는 타이로시나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로시나아제의 성숙과정 중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시험을 통하여 관중 추출물의 유효 농도를 결정하였고, 이후 각질형성세포/멜라닌형성세포 배양을 통해 관중 추출물의 멜라닌 색소 형성의 억제 유효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인공피부(Reconstructed epidermis)를 통해 자외선 또는 α-MSH에 의한 색소침착(pigmentation)을 억제할 수 있는 관중 추출물의 유효농도를 찾았고, 마지막으로 유효농도를 갖는 미백화장료의 미백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관중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가물 등을 더 첨가하여 스킨, 스킨토너, 스킨소프트너, 스킨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세럼, 컨센트레이트, 팩, 마스크,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바디오일, 샴푸, 린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팩트, 루스파우더, 프레스드 파우더, 콤팩트,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또는 립스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관중 추출물 제조
관중 건조물 10 g에 수용액 1,000 ml로 채운 후 80℃로 3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부착되어 있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2] 관중 추출물 제조
관중 건조물 10 g에 70% 에탄올 수용액 1,000 ml 로 채운 후 80℃로 3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부착되어있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시험예 1]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
관중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PNP-Gluc(p-Nitrophenyl α-glucosid solution)을 이용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관중 추출물(실시예 1, 실시예 2)을 인산칼륨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용해하여 만든 50,100,200 ㎍/㎖ 용액 50 ㎕, 효모 α-글루코시다아제(3untits/ml) 2 ㎕ 및 10 mM PNP-Gluc(p-Nitrophenyl α-D-glucoside solution) 5 ㎕ 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모두 넣어준 뒤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반응이 끝나면 탄산나트륨 용액 200 ㎕를 넣어주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리고 분광광도계(spectrometer)로 파장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들의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관중 추출물과 동일한 농도의 DNJ (Deoxynojirimycin)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a: (-) 대조군의 흡광도,
b: 추출물의 흡광도,
a', b': α-글루코시다아제 대신 H2O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율(%)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DNJ
0 0 0 0.0
50 71.8 75.8 17.3
100 72.2 82.5 68.2
200 78.5 89.2 95.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실시예 1,2의 관중 추출물은 50, 100 및 200 ㎍/㎖ 농도에서 높은 글라이코실화(Glycosylation) 반응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100 ㎍/㎖에서는 DNJ의 17.3% 억제율보다 더 높은 72.2% 및 82.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면서 적은 농도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관중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의 성숙 과정을 억제하는 물질임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미백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중 추출물은 50 ㎍/㎖에서부터 그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으므로 1%의 관중 추출물을 20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2] 멜라닌-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
<세포주 및 세포배양>
멜라노사이트는 ATCC(CRL-6323)에서 분양한 B16F1을 사용하였고, 세포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10% FBS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사. 미국)이었으며, 1일 1회 배지를 교환하였다. FBS는 잔존하는 보체성분을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실온에서 녹인 후 56℃ 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사용하였으며 세포에 각 조건 별로 48웰 플레이트의 웰 당 500 ㎕로 배지를 넣어 주었고, 세포를 회수할 때는 트립신-EDTA 1 ml를 가하여 37℃에서 1분간 반응시킴으로써 부착된 세포를 분리한 다음 배지 4 ml를 넣고 1,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척한 후 실험에 사용하거나 필요 시 액체질소에서 냉동보관하였다. 세포는 37℃, 5% CO2를 사용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의 관중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호세이 등의 방법(Hosoi J, et al.,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25-dehydroxyvit 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pp.1474-78, 1985)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에서 배양한 B16F1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2x104 세포/ml의 농도로 48웰 플레이트에 넣고 24시간 배양하여 플레이트에 부착한 다음, 관중 추출물을 0, 25, 50, 100, 200 및 400 ㎍/ml의 농도 및 α-MSH 1 μM를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로 2회 씻은 후 1N 수산화나트륨 100 ㎕를 넣어 60℃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이것을 식힌 후, 475 및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세포 내 생성된 멜라닌은 합성 멜라닌을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결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현재 미백물질로 사용되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도 2의 결과에서, 멜라노마(melanoma)는 α-MSH(1 μM)를 처리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중 추출물을 72시간 처리한 후 측정한 멜라닌 생성량은 알부틴보다 크게 적고,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4 및 비교제형예 1] 스킨 로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예 1∼4 및 비교제형예 1의 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비교제형예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베타인(ICID), 트리메틸글리신(JSQI) 2 2 2 2 2
글리세린(농글리세린) 2 2 2 2 2
피이지/피피지-17/6 코폴리머 1 1 1 1 1
피이지-8 2 2 2 2 2
실시예 1의 관중 추출물 - - - 10 -
실시예 2의 관중 추출물 0.001 1 10 - -
에탄올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KP:파라옥시벤조산메틸(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0.3 0.3 0.3 0.3
옥틸도데세스-16 0.1 0.1 0.1 0.1 0.1
0.05 0.05 0.05 0.05 0.05
[제형예 5∼8 및 비교제형예 2] 로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예 5∼8 및 비교제형예 2의 로션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5 제형예 6 제형예 7 제형예 8 비교제형예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0.8
스테아르산 0.5 0.5 0.5 0.5 0.5
세테아릴알코올 0.8 0.8 0.8 0.8 0.8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C12-16알코올*팔미트산 0.6 0.6 0.6 0.6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3 3 3 3 3
세틸옥타노에이트 4 4 4 4 4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0.05
디메치콘 1.5 1.5 1.5 1.5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 0.05 0.05 0.05 0.05 0.05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3 3 3 3 3
부틸렌글라이콜 2 2 2 2 2
실시예 1의 관중 추출물 - - - 10 -
실시예 2의 관중 추출물 0.001 1 10 - -
트리에탄올아민 0.13 0.13 0.13 0.13 0.13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정제수 13 13 13 13 13
카보머 0.13 0.13 0.13 0.13 0.13
0.13 0.13 0.13 0.13 0.13
[제형예 9∼12 및 비교제형예 3] 크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예 9∼12 및 비교제형예 3의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9 제형예 10 제형예 11 제형예 12 비교제형예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7 7 7 7 7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2 2 2 2 2
2-옥틸도데칸올 1 1 1 1 1
식물성 스쿠알란 4.50 4.5 4.5 4.5 4.5
림난테스알바씨드오일 1 1 1 1 1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 3 3 3 3
아라키딜알코올*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 1 1 1 1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세테아릴알코올 0.5 0.5 0.5 0.5 0.5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쉐어버터 3 3 3 3 3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3 3 3 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농글리세린 6 6 6 6 6
부틸렌글라이콜 6 6 6 6 6
실시예 1의 관중 추출물 - - - 10 -
실시예 2의 관중 추출물 0.001 1 10 -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0.5 0.5 0.5 0.5 0.5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트리에탄올아민 0.06 0.06 0.06 0.06 0.06
0.23 0.23 0.23 0.23 0.23
정제수 10 10 10 10 10
카보머 0.1 0.1 0.1 0.1 0.1
[시험예 3] 임상실험
검사 받을 각 스킨로션, 로션, 크림의 미백효과를 아래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1. 시험 대상자 : 기미 주근깨 검은 반점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30세 이상(평균 41.6±4.5세)의 여성 피험자 10명/시료
2. 시험 기간 : 12주
3. 시험 제품명 : 제형예 1∼12 및 비교제형예 1∼3의 스킨로션, 로션, 크림
4. 평가 방법 : 본 시험 목적에 적합한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12주간 시험제품 및 플라세보(placebo)를 얼굴 좌측 또는 우측에 무작위로 할당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제품 사용 전과 사용 4주, 8주, 12주 후 각 평가 시점에서 육안 평가한 다음, DSMⅡ 색차계(ColorMeter)를 이용하여 멜라닌 인덱스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품사용 후 각 평가시점에서 피부 안전성 평가 및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표 8에 나타내었다.
<임상시험의 설계>
시료 종류 1군 2군 비고
얼굴 부위 좌(우) 우(좌) 좌(우) 우(좌) 무작위
도포 시료 비교제형예 1∼3 제형예 3, 7 및 11 비교제형예 1∼3 제형예 4, 8 및 12
측정 사용 전 0 0 0 0
4주 후 0 0 0 0
8주 후 0 0 0 0
12주 후 0 0 0 0
상기에서, 피시험자 1,2군 모두 얼굴의 한쪽 부위에 대조군으로서 비교제형예 1∼3의 스킨로션, 로션 및 크림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였으며, 나머지 다른 부위에 1군은 제형예 3, 7 및 11의 스킨로션, 로션 및 크림을, 2군은 비교제형예 4, 8 및 12의 스킨로션, 로션 및 크림을 각각 순차적으로 도포하였다.
<평가 항목>
●전문가 관찰 평가: 피부의 검은 정도(0∼9)
●기기 평가: DSMⅡ ColorMeter Melanin index
●설문: 피부의 검은 정도(0∼5), 피부 부작용(유, 무)
<임상 결과>
1) 전문가 관찰 평가
시료 종류 1군 2군
도포 시료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측정 사용 전 0.01 0.11 0.24 0.13
4주 후 -0.25 0.10 0.12 0.15
8주 후 -0.43* 0.09 * -0.35 0.10
12주 후 -0.78* 0.14 * -0.44* 0.09 *
평균: 시료 처치부위 값에서 대조군(비교제형예 1∼3) 처치부위 값을 뺀 값의 평균, '-' 값은 피부색이 희어진 것을 나타냄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05)가 있음.
2) 기기 평가: DSMⅡ ColorMeter Melanin index
시료 종류 1군 2군
도포 시료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측정 사용 전 035 0.15 0.55 0.11
4주 후 -0.89* 0.18* 0.02 0.42
8주 후 -1.03* 0.21* -0.64* 0.13*
12주 후 -2.06* 0.37* -1.30* 0.21*
평균: 시료 처치부위 값에서 대조군(비교제형예 1∼3) 처치부위 값을 뺀 값의 평균, '-' 값은 피부색이 희어진 것을 나타냄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05)가 있음.
3) 설문: 피부의 검은 부위 개선 정도(0∼5), 피부 부작용(유,무)
시료 종류 1군 2군
도포 시료 평균 ± 표준편차 평균 ± 표준편차
검은정도개선(8주 후) 2.10 ± 0.55 1.12 ± 0.39
부작용(12주 후) 없음 없음
상기 표 6 내지 8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문가 관찰 평가, 기기 평가, 설문 평가 모두에서 에탄올에서 추출한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처방이 비교 처방보다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보였으며, 피부에 대하여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

  1.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20234A 2010-03-08 2010-03-08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1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34A KR20110101308A (ko) 2010-03-08 2010-03-08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34A KR20110101308A (ko) 2010-03-08 2010-03-08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08A true KR20110101308A (ko) 2011-09-16

Family

ID=4495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234A KR20110101308A (ko) 2010-03-08 2010-03-08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3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263A (zh) * 2012-07-24 2012-10-31 启东市通洋机电有限公司 一种化妆水
KR101895202B1 (ko) 2017-04-20 2018-09-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42932A (ko) 2018-06-19 2019-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KR102067639B1 (ko) 2018-11-16 2020-01-17 한국수목원관리원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효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263A (zh) * 2012-07-24 2012-10-31 启东市通洋机电有限公司 一种化妆水
KR101895202B1 (ko) 2017-04-20 2018-09-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42932A (ko) 2018-06-19 2019-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KR102067639B1 (ko) 2018-11-16 2020-01-17 한국수목원관리원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효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836B2 (ja)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KR102207364B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1308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80085292A (ko) 덩굴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발모제 조성물
KR101149711B1 (ko) 저분자 후코이단,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가 함유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359B1 (ko) 허브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90111679A (ko) 황기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02341B1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305A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50192B1 (ko)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102140076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효과를 갖는 백양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9990026091A (ko)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645B1 (ko) 글라디올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9712B1 (ko) 카스카타 시낸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조성물
KR102152932B1 (ko) 카테킨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078766B1 (ko) 파이커스 노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