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192B1 -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192B1
KR102650192B1 KR1020210151616A KR20210151616A KR102650192B1 KR 102650192 B1 KR102650192 B1 KR 102650192B1 KR 1020210151616 A KR1020210151616 A KR 1020210151616A KR 20210151616 A KR20210151616 A KR 20210151616A KR 102650192 B1 KR102650192 B1 KR 10265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berry
pulp
skin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740A (ko
Inventor
이찬우
양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그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그림
Priority to KR102021015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1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 및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스노우베리 과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갈변하지 않으며, 무독성 및 무자극성이고, 스노우베리 과육 특유의 외관 및 촉감을 가지고, 피부 개선 기능성을 가지므로, 화장품 또는 식품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nowberry fles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 및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스노우베리(Snowberry)"는 심포리칼포스 속(Symphoricarpos sp.)의 식물로, 영문명으로는 Snowberry, waxberry, ghostberry라고도 한다. 특허문헌 1은 스노우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주름 개선, 항염증, 미백, 보습, 항산화, 노화 예방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노우베리는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 또는 식품으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스노우베리를 가공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스노우베리를 화장품 또는 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스노우베리 가공 연구가 필요하다.
KR 10-1601908 B1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제공한다.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스노우베리 열매를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세척된 스노우베리 열매를 식초에 침지시킨 후 박피하여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에 발효주정을 첨가하는 단계;
(4) 필터를 사용하여 스노우베리 껍질 잔여물을 제거하고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저온에서 교반하는 단계;
(6) 상기 단계 (5)에서 교반된 여과물을 스노우베리 과육과 씨앗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계 (6)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1) 스노우베리 열매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어 "스노우베리(Snowberry)"는 심포리칼포스 속(Symphoricarpos sp.)의 식물로, 영문명으로는 Snowberry, waxberry, ghostberry라고도 한다. 스노우베리 열매는 종류에 따라 흰색(예: 커먼 스노우베리), 분홍색(예: 리틀 리프 스노우베리), 붉은색(예: 코랄베리), 검은빛이 나는 자주색(예: 중국 코랄베리) 등 각기 다른 색깔을 나타낸다.
스노우베리의 예시적인 종류는 커먼 스노우베리(Common snowberry, Symphoricarpos albus), 멕시칸 스노우베리(Mexican snowberry, Symphoricarpos mexicanus), 리틀 리프 스노우베리(Little leaf snowberry, Symphoricarpos microphyllus), 크리핑 스노우베리(Creeping snowberry, Symphoricarpos mollis), 웨스턴 스노우베리 또는 울프베리(Western snowberry or Wolfberry, Symphoricarpos occidentalis), 코랄베리(Coralberry, Symphoricarpos orbiculatus), 마운틴 스노우베리(Mountain snowberry, Symphoricarpos oreophilus), 라운드리프 스노우베리(Roundleaf snowberry, Symphoricarpos rotundifolius), 중국 코랄베리(Chinese coralberry, Symphoricarpos sinensis) 등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스노우베리는 커먼 스노우베리, 멕시칸 스노우베리, 리틀 리프 스노우베리, 크리핑 스노우베리, 웨스턴 스노우베리, 코랄베리, 마운틴 스노우베리, 중국 코랄베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스노우베리는 커먼 스노우베리(Symphoricarpos albus)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세척은 통상적인 세척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세척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회 또는 수회, 예를 들어 2회 이상, 2회 내지 3회일 수 있다. 세척액은 스노우베리 열매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액은 물일 수 있다. 상기 세척액은 미온수일 수 있다. 상기 세척액은 15 내지 30℃의 물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 의해 스노우베리 열매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2) 상기 단계 (1)에서 세척된 스노우베리 열매를 식초에 침지시킨 후 박피하여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식초의 첨가에 의해 스노우베리의 박피 및 과육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초는 통상적인 식초일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에서, 식초의 첨가에 의해 스노우베리의 일부 독성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식초는 0.1 내지 10%(w/v), 0.1 내지 9%(w/v), 0.1 내지 8%(w/v), 0.1 내지 7%(w/v), 0.1 내지 6%(w/v), 1 내지 10%(w/v), 1 내지 9%(w/v), 1 내지 8%(w/v), 1 내지 7%(w/v), 1 내지 6%(w/v), 3 내지 10%(w/v), 3 내지 9%(w/v), 3 내지 8%(w/v), 3 내지 7%(w/v), 3 내지 6%(w/v), 4 내지 10%(w/v), 4 내지 9%(w/v), 4 내지 8%(w/v), 4 내지 7%(w/v) 또는 4 내지 6%(w/v)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초는 5%(w/v)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침지는 스노우베리의 껍질과 과육이 분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침지는 1초 내지 24시간, 1초 내지 12시간, 1초 내지 6시간, 1초 내지 1시간, 1초 내지 30분, 1분 내지 24시간, 1분 내지 12시간, 1분 내지 6시간, 1분 내지 1시간, 1분 내지 30분, 5분 내지 24시간, 5분 내지 12시간, 5분 내지 6시간, 5분 내지 1시간, 5분 내지 30분 또는 5분 내지 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 의해 스노우베리 껍질이 제거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 의해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그 내부에 씨앗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3) 상기 단계 (2)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에 발효주정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어 "주정"이란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는 에틸알코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전분 또는 당분이 포함된 재료를 발효시켜 알코올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 또는 알코올분이 포함된 재료를 알코올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주정으로는 증류로 얻은 모든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의미의 주정은 연속증류를 통해 얻은 순도 95%의 에탄올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정은 발효주정과 합성주정이 있다.
용어 "발효주정"은 전분질(예: 곡류, 고구마, 타피오카) 또는 당질(예: 사탕) 원료를 당화효소를 투입해 발효시킨 후, 연속식 증류방식으로 증류해서 제조되는 주정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3)에 의해 스노우베리 과육의 갈변이 방지될 수 있다. 스노우베리 과육은 박피에 의해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경우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 스노우베리 과육이 갈변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갈변된 부분의 성분 자체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발효주정의 첨가에 의해 스노우베리 과육 내 폴리페놀이 일부 제거됨으로써 스노우베리 과육의 갈변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 의해 스노우베리의 알칼로이드 성분 등 유기 성분이 제거되어 스노우베리의 독성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발효주정은 희석된 발효주정일 수 있다. 상기 희석된 발효주정은 1 내지 20%(v/v)로 희석된 발효주정일 수 있다. 상기 희석 용매는 물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순수 증류수 또는 초순수 증류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발효주정 또는 에탄올을 원액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 (3)에서는 원액이 아닌 희석된 발효주정을 사용함으로써 스노우베리에 함유된 미량의 폴리페놀, 알데히드, 알칼로이드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 이후에, (3') 스노우베리 과육 및 발효주정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온화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2 내지 200 rpm, 2 내지 150 rpm, 2 내지 100 rpm, 5 내지 200 rpm, 5 내지 150 rpm, 5 내지 100 rpm, 10 내지 200 rpm, 10 내지 150 rpm, 또는 10 내지 1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1분 내지 300분, 1분 내지 200분, 1분 내지 100분, 1분 내지 90분, 10분 내지 300분, 10분 내지 200분, 10분 내지 100분, 10분 내지 90분, 30분 내지 300분, 30분 내지 200분, 30분 내지 100분 또는 30분 내지 9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4) 필터를 사용하여 스노우베리 껍질 잔여물을 제거하고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필터의 크기는 스노우베리 껍질 잔여물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3 내지 5 메쉬(mesh) 필터일 수 있다. 상기 메쉬(mesh)는 한 변이 1인치(25.4 mm)인 정사각형 속에 포함되는 그물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 메쉬는 6730 μm의 입경, 4 메쉬는 5000 μm의 입경, 5 메쉬는 4000 μm의 입경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4)에 의해 스노우베리 껍질 잔여물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여과물은 스노우베리 과육 및 씨앗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저온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저온은 -20℃ 내지 10℃, -20℃ 내지 5℃, -20℃ 내지 0℃, -20℃ 내지 -5℃, 저온은 -15℃ 내지 10℃, -15℃ 내지 5℃, -15℃ 내지 0℃, -15℃ 내지 -5℃, 저온은 -10℃ 내지 10℃, -10℃ 내지 5℃, -10℃ 내지 0℃, 또는 -10℃ 내지 -5℃의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저온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여과물을 얼음물에 담글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5)에 의해 스노우베리 과육의 물러짐이 방지되고, 경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6) 상기 단계 (5)에서 교반된 여과물을 스노우베리 과육과 씨앗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분리는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에서, 스노우베리 과육보다 씨앗의 무게가 무거운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노우베리 씨앗의 크기가 대략 2 mm인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분리는 분액깔대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7) 상기 단계 (6)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원심분리는 약한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심분리는 2 내지 150 rpm, 2 내지 100 rpm, 5 내지 150 rpm, 5 내지 100 rpm, 10 내지 150 rpm, 10 내지 100 rpm, 50 내지 150 rpm, 50 내지 100 rpm, 또는 100 내지 150 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약한 rpm으로 수행되므로, 스노우베리 과육이 파괴되지 않고 그 경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를 150 rpm 초과로 수행할 경우 스노우베리 과육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 단계 (7)에 의해 스노우베리 과육과 액체를 분리함으로써 스노우베리 과육만을 수득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7)에서 수득된 물질은 스노우베리 유용성 추출물이 아니라 스노우베리 과육 자체이다. 상기 단계 (7)에서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피부에 녹아 스며드는 샤베트 질감을 가지므로, 자연주의 화장품 제형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7)에서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품 원료 또는 피부외용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노우베리는 인간이 섭취했을 때 약간의 구토 증상을 유발하는 성분이 있어서, 동물들만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통해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화장품 원료, 피부외용제 원료 또는 식품 원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7)에서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그 자체로 화장품, 피부외용제 또는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 식품 조성물의 일부 성분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일 양상에 따른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은 스노우베리 과육을 가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은 스노우베리 과육을 화장품 원료, 피부외용제 원료 또는 식품 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제공한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세포독성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5 mg/ml의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했을 때 피부에 무자극성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품 원료, 피부외용제 원료 또는 식품 원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샤베트 질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에 녹아 스며드는 샤베트 제형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스노우베리 과육 특유의 외관 및 촉감을 가지므로, 화장품 원료, 피부외용제 원료 또는 식품 원료로서 우수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항산화 효과, 피부 노화 방지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보습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상기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미용 개선용, 또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미백, 피부 보습,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항산화"란 산화의 억제를 의미한다.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free radical)는 체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세포의 산화, 즉, 세포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거나 활성산소를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바꿔주거나 활성산소의 증가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 장벽 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상기 조성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 노화 개선용, 또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한다. 상기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노화 현상, 즉, 연령에 의한 피부 노화를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처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 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ultraviolet, UV)에 의한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깊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용어 "피부 탄력 증진"은 노화 등의 원인에 의해 저하된 피부 탄력이 증가하거나 피부 탄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보습"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 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용어 "피부 질환"은 피부 노화, 피부 과색소 침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유사 활성 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표피수분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0 중량%, 0.0001 내지 90 중량%, 0.0001 내지 80 중량%, 0.0001 내지 70 중량%, 0.0001 내지 60 중량%, 0.0001 내지 50 중량%, 0.0001 내지 40 중량%, 0.0001 내지 30 중량%, 0.0001 내지 20 중량%, 0.0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100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70 중량%, 0.01 내지 6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1 내지 100 중량%, 1 내지 90 중량%, 1 내지 80 중량%, 1 내지 70 중량%, 1 내지 60 중량%, 1 내지 50 중량%, 1 내지 4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특정 함량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스노우베리 과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세포독성이 없고, 피부에 무자극일뿐만 아니라,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므로, 그 자체로 화장품, 피부외용제, 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앰플,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은 예를 들어, 마스크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노화는 광노화, 또는 연령에 의한 피부 노화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스노우베리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노우베리 오일은 스노우베리 씨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노우베리 오일은 스노우베리씨 오일 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스노우베리 과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갈변하지 않으며, 무독성 및 무자극성이고, 스노우베리 과육 특유의 외관 및 촉감을 가지고, 피부 개선 기능성을 가지므로, 화장품 또는 식품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노우베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최종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최종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제조예 1의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 2의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제조예 3의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스노우베리 과육의 세포독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이다.
도 9는 스노우베리 과육의 MMP-1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조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조예 2의 스노우베리 과육 5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조예 3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노우베리 과육의 분리
(1) 이물질 제거를 위해, 스노우베리(Symphoricarpos albus) 열매 원물을 미온수(15~30℃)를 이용하여 2~3회 세척하였다.
(2) 스노우베리의 박피 및 과육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세척된 스노우베리 100 g을 5%(w/v)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식초에 약 5~15분간 침지시켰다.
(3) 스노우베리 과육만을 분리한 후, 약 1~20%(v/v)로 희석된 발효주정(95% 에탄올) 500~1000 ml을 가하여 10~100 rpm으로 30~90분간 서서히 교반하였다. 발효주정의 첨가를 통해 스노우베리 과육의 갈변을 방지하고, 독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4) 3~5 메쉬(4000~6730 μm) 필터를 사용하여 스노우베리 껍질만을 제거하고, 필터를 통과한 여과물을 취하였다.
(5) 과육의 물러짐 방지 및 경도 유지를 위해, 상기 여과물을 얼음물에 담가 서서히 교반하였다.
(6) 분액깔대기를 사용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였다.
(7) 분리된 과육을 약한 rpm (150 rpm 이하)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과육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였다.
도 1은 스노우베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최종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최종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나타낸 사진이다.
제조예 1~2.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번 믹서조에 1~3번 성분을 투입 후 실온에서 30분간 분산시켰다. 2번 믹서조에 4~16번 성분을 투입 후 실온에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3번 믹서조에 17~19번 성분을 투입 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4번 믹서조에 20~22번 성분을 투입 후 40℃까지 가온하여 혼합 용해시킨 후, 23번 원료를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5번 메인믹서조에 1번 믹서조, 2번 믹서조 및 3번 믹서조 원료를 투입 후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교반한 후 24~25번 성분을 투입하였다. 그 후, 별도의 계량통에 상기 원료를 모두 옮긴 후 35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고, 탈포하여, 최종적으로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3 중량% 포함한다. 제조된 제조예 1의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5 중량% 포함한다. 제조된 제조예 2의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도 5에 나타내었다.
No.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1 정제수 25.00 25.00
2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제품명: Pemulen TR-2) 0.14 0.14
3 카보머 (제품명: Carbopol 940) 0.18 0.18
4 정제수 38.84 36.84
5 EDTA-3Na 0.02 0.02
6 베타인 (제품명: Aminocoat) 2.00 2.00
7 D-판테놀 1.00 1.00
8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3.00 5.00
9 하이드롤라이즈드아카시아 마크로스타키아씨추출물/말토덱스트린 (제품명: Aqualicia bio) 0.10 0.10
10 트레할로스 0.05 0.05
11 쇠비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0 1.00
12 삼백초추출물(Saururus Chinensis Extract) 1.00 1.00
13 오미자열매추출물/편백수/왜당귀뿌리추출물/녹차추출물/여주열매추출물 (제품명: Curerex SSC) 1.00 1.00
14 올리브나무캘러스배양용해물 (제품명: OLEA VITAE-C PLF 02) 0.10 0.10
15 인슐린/글리세린/페녹시에탄올/레시틴/잔탄검/물 (제품명: Polyfructol plus) 0.20 0.20
16 페루기네움철쭉추출물/글리세린/물 (제품명: Alpine Rose Active) 0.30 0.30
17 글리세린 98% 6.00 6.00
18 디프로필렌글리콜 (제품명: DPG-FC) 3.00 3.00
19 사이클로메티콘/다이메티콘올 (제품명: SILICONE Q2-1401) 2.00 2.00
20 에탄올 (제품명: S3ETOH) 3.00 3.00
21 항료 0.1 0.1
22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제품명: HCO-40) 0.05 0.05
23 실리카 (제품명: Sunsil-130) 0.50 0.50
24 팔미틱애씨드 (제품명: Unimell-MB) 0.20 0.20
25 정제수 11.22 11.22
합계 100.00 100.00
제조예 3.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계량통에 19번 성분을 넣은 후, 완전히 용해시켰다. 1번 믹서조에 6~8번 성분을 투입 후 실온에서 30분간 분산시켰다. 2번 믹서조에 9~15번 성분을 투입 후 40℃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3번 믹서조에 1~5번 성분을 투입 후 혼합 교반하여 40℃까지 가온하였다. 4번 믹서조에 16~17번 성분을 투입 후 40℃까지 가온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5번 메인믹서조에 2번 믹서조 원료를 투입 후 3번 믹서조 원료를 교반하며 투입하였다. 호모믹서 3000 rpm으로 40℃에서 3분간 1차 유화하였다. 여기에 4번 믹서조 원료를 투입하여 2차 유화하였다. 여기에 20~25번 원료를 투입 후 약 3분간 유화시키고, 탈포하여, 최종적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3 중량% 포함한다. 제조된 제조예 3의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도 6에 나타내었다.
No. 성분 제조예 3
1 디메티콘 (제품명: DC 200/6CS) 5.00
2 사이클로메티콘/다이메티콘올 (제품명: SILICONE Q2-1401) 5.00
3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제품명: WAGLINOL 3/920) 1.00
4 글리세린 98% 6.00
5 디프로필렌글리콜 (제품명: DPG-FC) 8.00
6 정제수 39.00
7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제품명: Pemulen TR-2) 0.10
8 카보머 (제품명: Carbopol 940) 0.48
9 정제수 9.77
10 EDTA 0.03
11 히알루론산 (제품명: HYASOL) 0.50
12 D-판테놀 1.00
13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3.00
14 하이드롤라이즈드아카시아 마크로스타키아씨추출물/말토덱스트린 (제품명: Aqualicia bio) 0.10
15 트레할로스 0.05
16 에탄올 (제품명: S3ETOH) 5.00
17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제품명: HCO-40) 0.50
18 정제수 11.27
19 쇠비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0
20 삼백초추출물(Saururus Chinensis Extract) 1.00
21 오미자열매추출물/편백수/왜당귀뿌리추출물/녹차추출물/여주열매추출물 (제품명: Curerex SSC) 1.50
22 페루기네움철쭉추출물/글리세린/물 (제품명: Alpine Rose Active) 0.30
23 인슐린/글리세린/페녹시에탄올/레시틴/잔탄검/물 (제품명: Polyfructol plus) 0.20
24 올리브나무캘러스배양용해물 (제품명: OLEA VITAE-C PLF 02) 0.10
25 향료 0.10
합계 100.00
실험예 1. 스노우베리 과육의 세포독성평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WST-1 assay를 수행하였다.
(1) WST-1 assay
먼저,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DMEM에 10% 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을 혼합한 배지에서 37℃,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매 2~3일마다 배양액을 교환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은 WST-1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1) assay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4 × 10³세포/웰 농도로 1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뒤, 12시간의 기아 상태를 유지시켰다. 웰에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각각 5 mg/ml, 3 mg/ml, 또는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후 WST-1 용액을 웰당 10 μM씩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7은 스노우베리 과육의 세포독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5 mg/ml의 고농도로 사용하여도 무처리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관 내(in vitro) SOD(Superoxide dismutase)-유사 활성 측정 실험 및 시험관 내(in vitro)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시험관 내( in vitro ) SOD-유사 활성 측정
SOD-유사 활성 평가는 SOD assay Kit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96-웰 플레이트에 20 ㎕씩 분주하고, WST(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를 모든 웰에 200 ㎕씩 첨가하였다. 그 후,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20 ㎕를 시료에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를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차이를 하기 식 1과 같이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산화 효능이 있다고 잘 알려진 BHT(Butyl hydroxy toluene)를 사용하였다.
[식 1]
SOD 활성 (억제율, %) =
(2) 시험관 내( in vitro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은 DPPH Blois 방법을 응용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70% 에탄올 용액에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시료를 각 농도별로 용해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시료를 분주하였다. DPPH를 0.2 mM로 메탄올에 용해하여 시료에 처리하였다. 교반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고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용액 첨가구와 시료 용액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 실험 결과
도 8은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5 mg/ml 또는 3 mg/ml의 각 농도에서 모두 SOD-유사 활성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노화 활성 측정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의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세포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 중 콜라겐은 피부 건조 중량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단백질이다. 따라서, 콜라겐의 분해는 결합 조직의 탄력 저하와 주름 생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체내에서 생성되는 여러 종의 MMP들 가운데 MMP-1은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프로테아제이다. MMP-1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감소시키면, 피부 조직의 탄력을 유지하고 주름 생성을 예방할 수 있다.
(1) MMP-1 측정
피부 섬유아세포를 2 × 106 개/2 ㎖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각 웰에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MMP-1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TNF-α를 10 ng/㎖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세포의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Gross B. E.(Proc Natl Acad Sci USA. 1962; 48:1014-1022)의 방법에 따라 MMP-1 Biotrack 활성 Assay Kit (Amersham Bioscience)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스노우베리 과육에 대해 MMP-1 활성을 측정하였으나, 그 중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장 적은 농도인 0.1 mg/ml (100 ppm)을 대표 시험군으로 선택하였다. 비교군으로 비타민 C를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0.1 ppm으로 처리한 군을 사용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9는 스노우베리 과육의 MMP-1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MMP-1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 TNF-α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은 MMP-1 수준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처리한 군에서는 MMP-1 수준이 TNF-α 단독 처리군보다 약 23% 이상 감소되었다. 즉, 100 ppm의 저농도에서도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이 MMP-1 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콜라겐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등의 효과가 증가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스노우베리 과육의 미백 효능 평가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의 미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 억제율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멜라닌 생성 억제율 확인
스노우베리 과육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흑색종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10% FBS가 함유된 DMEM을 배지로 사용하였다. 멜라닌 정량을 위해, 6-웰 플레이트에 B16/F10 흑색종 세포를 2 X 104 세포/웰(최종 부피 3 ml)로 넣었다. 또한, MTT assay를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B16/F10 흑색종 세포를 2 X 103 세포/웰(최종 부피 200μl)로 넣었다. 각각을 37℃, 5% CO2 인큐베이터(MCO-20AIC, Sanyo)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 2 μM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및 2 mM 테오필린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새로운 배지로 사용하였다. 배지에 시험 물질을 첨가하여 3일간 매일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을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코지산 또는 멜라솔브를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무첨가군을 사용하였다.
배양 5일째에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된 배지를 제거하고, 0.25% 트립신-EDTA(Sigma Chemical Co.) 용액을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 펠렛을 회수하고 1.5 ml 튜브로 옮겨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 1N NaOH 100 μl를 넣어 세포 내 멜라닌을 녹였다. 이 용액을 PBS로 희석시킨 다음 ELISA 판독기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식 2와 같이 시료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식 2]
멜라닌 생성 억제율(%) = 100 - {(각 시험 물질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 × 100}
(2) 실험 결과
표 3에 각 시료의 처리 농도(0.001%(w/w) 또는 0.01%(w/w))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0.001%(w/w) 0.01%(w/w)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19.8 23.6
코지산 33.0 50.1
멜라솔브 42.2 56.8
음성대조군 -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미백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스노우베리 과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1차 피부자극시험
제조예 1 내지 3의 스노우베리 과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1차 피부자극시험을 위해, 인체첩포시험을 수행하였다.
(1) 인체첩포시험(human patch test)
건강한 성인 남, 여 1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Finn chamber(SmartPractice, Denmark)에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를 장착하고 시험액을 충분히 적신 뒤 피부에 밀착시킨 후 Tape(Scanpor tape by Norgesplaster AS)로 고정하였다. 시험 물질을 적용한 Finn Chamber는 시험 부위에 24시간 동안 적용 하였다. 24시간 후 Finn Chamber를 제거하고 30분 뒤 피부 반응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The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기준에 따라 평균 점수(Mean score)로 표시하였다.
표시 평가 점수
- 음성 0
± 의심스럽거나 경미한 반응 및 홍반 0.5
+ 홍반 + 경화 1
++ 홍반 + 경화 + 수포 2
+++ 홍반 + 경화 + 대수포 3
평균 점수(Mean score) 분류
0.00~0.75 무자극
0.76~1.50 저자극
1.51~2.50 중자극
2.51~4.00 고자극
4.01~ 심한 고자극
(2) 실험 결과
표 6에 제조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1차 피부자극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군 평균 점수 판정 결과
제조예 1 0.065 무자극
제조예 2 0.08 무자극
제조예 3 0.035 무자극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3의 스노우베리 과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홍반, 짓무름, 각질 박리 등 어떠한 피부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했을 때 피부에 무자극성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스노우베리 과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 측정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내지 3의 스노우베리 과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전기적 성질을 이용한 피부 보습 효과 측정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피부의 수분 함량을 수치화하는 SKICON-200EX(YAYOI.CO., LTD, Japan)를 사용하였다. 평균나이 46.82±8.02세의 성인 남녀 총 22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하였다. 팔 하박부위 직경 20 mm x 20 mm 면적에 20 ㎕씩 각각의 제조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1회 2주간 도포하였다. 제품 사용 전과 사용 1일 후, 7일 후 및 14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에 탐침을 올려놓고 누르면 나타나는 수치를 면적 당 4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측정값을 하기 식 3의 변화율(%)로 표시하였다. 유의확률(p값)은 *: p<0.05 (Paired sample's T-test), **: p<0.05 (Independent T-test)로 표시하였다. 측정 시 평균 온도는 19.5℃(±1℃), 습도는 30.0%(±2.0%)였으며, 피시험자의 피부를 10분 이상 상기 조건에서 안정시킨 후 측정하였다.
[식 3]
변화율(%) = {(제품사용 후 측정값 - 제품사용 전 측정값)/제품사용 전 측정값}×100
(2) 실험 결과
표 7은 제조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제조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8은 제조예 2의 스노우베리 과육 5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제조예 2의 스노우베리 과육 5 중량% 함유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9는 제조예 3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이다.
도 12는 제조예 3의 스노우베리 과육 3 중량% 함유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경표피수분손실량 변화 (제조예 1)
시간 평균±표준편차(℃) 변화율(%) 유의확률(p값)
군내비교 군간 비교
제품 사용 전(-1일) 7.977±1.449 - - -
제품 사용 전(0일) 20.814±4.118 160.912 0.000* 0.495
제품 사용 전(1일) 18.755±4.460 135.100 0.000* 0.003**
제품 사용 전(7일) 12.068±2.421 51.282 0.000* 0.146
제품 사용 전(14일) 9.368±1.791 17.436 1.000 0.015**
경표피수분손실량 변화 (제조예 2)
시간 평균±표준편차(℃) 변화율(%) 유의확률(p값)
군내비교 군간 비교
제품 사용 전(-1일) 8.073±1.528 - - -
제품 사용 전(0일) 20.877±4.161 158.615 0.000* 0.483
제품 사용 전(1일) 18.923±4.458 134.403 0.000* 0.006**
제품 사용 전(7일) 11.918±2.142 47.635 0.001* 0.067
제품 사용 전(14일) 9.700±1.461 20.158 0.789 0.036**
경표피수분손실량 변화 (제조예 3)
시간 평균±표준편차(℃) 변화율(%) 유의확률(p값)
군내비교 군간 비교
제품 사용 전(-1일) 8.082±1.598 - - -
제품 사용 전(0일) 21.082±4.185 160.855 0.000* 0.510
제품 사용 전(1일) 19.105±4.535 136.389 0.000* 0.007**
제품 사용 전(7일) 11.736±2.210 45.219 0.002* 0.031
제품 사용 전(14일) 9.747±1.589 20.607 0.780 0.027**
상기 표 7 내지 표 9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사용한 결과, 모든 제품은 무도포 대조군에 비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했을 때 피부 보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1) 스노우베리 열매를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세척된 스노우베리 열매를 식초에 침지시킨 후 박피하여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에 발효주정을 첨가하는 단계;
    (4) 필터를 사용하여 스노우베리 껍질 잔여물을 제거하고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20℃ 내지 1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6) 상기 단계 (5)에서 교반된 여과물을 스노우베리 과육과 씨앗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계 (6)에서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노우베리 과육을 분리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식초는 0.1 내지 10%(w/v)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 의해 스노우베리 과육의 갈변이 방지되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발효주정은 1 내지 20%(v/v)로 희석된 발효주정인 것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필터는 3 내지 5 메쉬(mesh) 필터인 것인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원심분리는 100 내지 150 rpm으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7)에서 수득된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품 원료 또는 피부외용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인 방법.
  9. 청구항 1 내지 5, 7 및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분리된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베리 과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51616A 2021-11-05 2021-11-05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16A KR102650192B1 (ko) 2021-11-05 2021-11-05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16A KR102650192B1 (ko) 2021-11-05 2021-11-05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40A KR20230065740A (ko) 2023-05-12
KR102650192B1 true KR102650192B1 (ko) 2024-03-22

Family

ID=8638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16A KR102650192B1 (ko) 2021-11-05 2021-11-05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1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80A (ja) 2002-07-11 2004-02-12 Godo Shusei Co Ltd 果実の乾燥方法および果実における果肉と種子との分離処理方法
JP2010207093A (ja) 2009-03-06 2010-09-24 Tetsuya Nakamura ブルーベリーリキュールを生産する方法
KR102130988B1 (ko) 2019-11-21 2020-07-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꿀, 회화나무, 동아씨, 오미자, 괄루근, 상백피 및 인삼 저온숙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908B1 (ko) * 2009-05-07 2016-03-10 (주)아모레퍼시픽 스노우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50020B1 (ko) * 2009-07-14 2016-08-23 (주)아모레퍼시픽 스노우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80A (ja) 2002-07-11 2004-02-12 Godo Shusei Co Ltd 果実の乾燥方法および果実における果肉と種子との分離処理方法
JP2010207093A (ja) 2009-03-06 2010-09-24 Tetsuya Nakamura ブルーベリーリキュールを生産する方法
KR102130988B1 (ko) 2019-11-21 2020-07-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꿀, 회화나무, 동아씨, 오미자, 괄루근, 상백피 및 인삼 저온숙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40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131B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50095793A (ko) 시계꽃 종자들의 추출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미용적, 약제학적, 피부과학적 및 영양제학적 조성물들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1033057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dventitious root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s effective ingredient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0192B1 (ko)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1308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11916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148115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mmp阻害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細胞増殖促進剤、抗酸化剤、シワ改善剤、医薬品又は食品組成物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82927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불미나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230152257A (ko) 구기자 잎의 생물전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119520A (ko) 샤프란 꽃 추출물 및 단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026580A (ko) 천연물 유래 나노소포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