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589B1 -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589B1
KR101103589B1 KR1020090082753A KR20090082753A KR101103589B1 KR 101103589 B1 KR101103589 B1 KR 101103589B1 KR 1020090082753 A KR1020090082753 A KR 1020090082753A KR 20090082753 A KR20090082753 A KR 20090082753A KR 101103589 B1 KR101103589 B1 KR 10110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xtract
seedling
methanol
poly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658A (ko
Inventor
김명환
김애정
한명륜
김희선
태기환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5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2Adenoph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원적외선 처리하고, 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 및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식품(inner beauty food)에 관한 것이다.
모시대, 원적외선, 열수, 에탄올, 메탄올, 추출, 파이토케미컬, 항산화능, 미용식품

Description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denophora remotilfora extract with increased phytochemical contents and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원적외선 처리하고, 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 및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식품(inner beauty food)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찾는 연구는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질병에 대한 치료제 및 예방책 또는 건강보조제로써 식물자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각종 성인병이 증가 추세에 있어 예방의학기능을 가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 2007년 건강기능식품의 시장규모는 3조원을 예측하 고 있으며 2001년도 1조1천억 원에 비하면 약 2.7배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반면 식품시장은 최근 포화상태로 연 1%의 성장 대를 이루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중 최근 들어 건강한 아름다움은 내부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inner beauty food(미용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영역에서 작은 일부였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매우 큰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웰빙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Inner beauty food라 하면 피부에 좋은 보조식품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inner beauty의 개념으로 섭취를 통하여 인체 안에서 피부를 가꾸어주는 효능을 나타내는 식품군을 의미한다.
지속적으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르는 화장품 외에도 인체 내부에서 피부에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을 공급하여야 한다는 "inner beauty"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경구 섭취를 통해 식품 성분이 피부의 상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결과들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최근 이러한 기능성 성분을 공급함으로써 최적의 피부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beauty food(미용기능식품) 분야가 피부미용에 있어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건강한 아름다움은 내부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inner beauty food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너뷰티 트랜드가 건강 관련 시장영역에서 작은 일부였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mass category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Frost & Sullovan에 의한 조사에서도 향후 식품과 음료시장이 점차 성숙화 되면서 nutraceutical 제품인 inner beauty food가 기존 제품과 차별화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Nutriceuticals, Beauty Supplements, Nutricosmetics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미용기능식품(beauty food) 산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Datamonitor와 Business Insight에 의하면 2003년 미국에서 피부미용을 위항 섭취하는 식품, 음료, 식이보충제 등의 시장은 약 5억 달러, 2005년에는 약 7억 달러였으며, 2010년까지 약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도 미국과 유사하여 시장의 규모가 2005년 약 7억 달러로, 2010년까지 약 9%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5년도 건강식품시장 매출규모는 약 1조 3000억 엔 정도이며 이 중 inner beauty food는 10%로서 약 1300억 엔 정도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한 예로서 단일제품으로서 시세이도 화장품회사의 미백을 위한 inner beauty food로 '베네픽 화이트 플러스' 와 보습효과가 뛰어난 히알루론산(hylulonic acid) 함유제품이 각각 1200억 원과 650억 원의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다. 일본의 inner beauty food는 시세이도, 팡겔, DHC 등의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국내의 inner beauty food(미용식품)의 경우는 유명화장품회사, 식품, 제약회사, 외국유통회사 등이 이 분야에 뛰어들어 시장형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미용은 바르는 것이라는 인식을 바꿔놓고 있다. 그러나 아직 태동기를 지나는 단계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inner beauty food에 대한 통계자료는 나와 있지 않고, 2004년 기준으로 400-500억 원 정도로 추론하고 있다. 2006년 LG건강식품에서 국내최초로 개별인정형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L-스킨케어'를 개발하여 식약청에서 승 인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 태평양 등의 화장품산업체, CJ, LG, 롯데 등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업체 등에서 inner beauty food에 대한 연구와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inner beauty food 시장의 팽창은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소득증대와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년층의 소비증가를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inner beauty food에서 현재 산업적으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피부노화방지와 피부미백기능관련 inner beauty food 개발이라 할 수 있다. 품질향상과 기술개발은 첨단기술을 앞세운 선진국과 경쟁하기보다는 선진국에서 아직 발견하지 못한 식물 원료나 천연성분을 사용한 제품개발이 보다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Biomedical science 분야에서 노화 및 다양한 질병에 유리 자유기(free radical)들의 관련성이 인정되고 있다. 유리 자유기들은 생체막에 존재하는 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시켜 막의 유동성을 저하하고 효소와 receptor의 활성을 손상시키며 막 단백질에 상해를 입혀 결국에는 세포의 불활성화를 일으키는 작용을 통하여 노화 및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자유기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들에 의한 산화작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대기오염, 자외선, 물리적 손상 등의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주름, 어두운 피부색, 색소침착, 피부 건조 및 탄력저하 등 피부손상 및 노화의 주요원인은 인체 내 항산화제 고갈 및 free radical 형성에서 기인되기 때문이다.
기존의 항산화제로 BHA, BHT, PG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토코페롤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합성 항산화제인 BHA, BHT는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독성이 문제가 되어 사용이 기피되고 있으며 토코페롤은 가격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안정성을 지닌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의하여 국내에서는 대통령령에 의한 천연물 신약연구 개발촉진법 시행령공포(대통령령 제 16952호, 2000)로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천연 항산화제 탐색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국내에서만 1700여 편의 학술회의 및 학술논문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토코페롤에 대응할만한 천연 항산화제의 산업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용기능식품에는 영양보조제와 nutraceutical의 두 가지 영역이 존재하는데 연구개발에 있어서 초기에는 대개 항산화 비타민 및 micro-nutrients를 이용한 피부 외관, 모발, 손톱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피부주름, 항노화, 자외선에 대한 광 보호와 관련된 특화된 기능 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에서 과잉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유리기 소거활성을 갖는 항산화제의 체내 흡수방식이 중요한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재료인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식물로서 잎은 연하고 맛이 특이해 식욕을 돋우며 최근 일부 농가에서 밭 재배에 성공하여 쌈 채소로 각광받고 있는 산채이다. 뿌리는 거담제, 해독제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모시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향기패턴분석, 떡에 첨가 시 품질특성, 혈당강하효과 등 지금까지 국내발표논문은 4편 정도에 불과하다.
모시대와 같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식물 원료나 천연성분을 사용한 제품개발과 아울러 식물체 또는 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능 향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원적외선은 약 3-1,000 micron의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의 중심까지 고르게 열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품의 숙성, 품질향상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원적외선 처리에 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 중합체인 폴리페놀, 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들이 저분자로 유리되면서 항산화능이 증가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본 연구재료인 모시대에 대한 식물생리활성 영양소(phytochemical) 함량 증가방법과 항산화능 향상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한국특허등록 제0489564호에는 모시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2003-74978호에는 모시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모시대 추출물의 파이토케미컬 함량을 증가시키고, 항산화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하던 중, 특정조건의 원적외선 처리 및 특정조건의 용매 추출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원적외선 처리하고, 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식품(inner beauty food)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 등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되었으므로, 미용식품소재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 식물을 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시대 식물은 3개월 이상 재배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4개월 재배한 것이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3~1,000 micron의 파장으로 70~100℃에서 30~5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에서 35분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 식물을 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수 추출은 30~60℃에서 3~5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19~23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에서 4.4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23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에탄올 추출은 60~80%의 에탄올 농도에서 24~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15~19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7.8%의 에탄올 농도에서 29.9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16.2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메탄올 추출은 80~100%의 메탄올 농도에서 24~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7~11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4.8%의 메탄올 농도에서 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8.8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모시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탄올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추출된 모시대를 40℃에서 wet basis로 50%까지 감압농축을 행한 후 추출물을 개발하였으며, 추출물을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dry basis로 6%까지 건조시킨 다음 40mesh 이하로 분쇄하여 inner beauty food의 중간소재로서 분말제품을 개발하였다. 여기에서 동결건조는 당업자에게는 상용화된 동결건조기를 구입하여, 그 사용 절차에 따라 통상의 식품 제조에서 널리 알려진바 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3개월 이상 재배한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70~100℃에서 30~50분간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 식물을 80~100%의 메탄올 농도에서 24~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7~11mL의 용매 비율에서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식품(inner beauty food)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시료
재배시기별 1, 2, 3개월간 재배한 모시대를 시료로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설계
실험설계로 원적외선 처리는 요인실험법(full factorial design)을 이용하여 재배시기별 2가지 요인은 조사온도(X1), 조사시간(X2)에 대하여 수준을 조절하여 phytochemical 생성량과 항산화능을 분석한 후 최적처리조건을 설정하였다. 추출은 열수, 에탄올,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였으며 이때는 추출온도 또는 용매농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을 3가지 요인을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최적화를 위하여 분산분석, 이차다항회귀곡선식 및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은 SAS를 이용하였다.
원적외선 처리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조사온도로 40℃, 70℃, 100℃에서 각각 조사시간은 20, 40, 60분 동안 처리하였다.
추출
추출은 열수, 에탄올, 메탄올 등을 용매로 이용하여 행하였으며 이때는 추출온도 또는 용매농도, 추출시간 및 용매비율을 변화시켜 최적추출조건을 개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2ml에 2% Na2CO3 용액 2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다음 50% Folin-ciocalteu 용액 0.4ml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페놀함량을 구하기 위한 표준물질로는 탄닌산을 이용하여 작성 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액 0.5ml에 10% Al(NO3)3 용액 1ml와 1M potassium acetate 용액 0.1ml를 첨가하고, 증류수 4.3ml를 더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을 구하기 위한 표준물질로는 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모시대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리 라디칼인 DPPH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Kw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각 조건에서의 시료 1ml를 시험관에 넣고 4.0ml의 95%(v/v)의 에틸 알콜을 가하여 실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0.2mM DPPH 용액 1.0ml을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 visible spectrophotometer(UV-1601, Shimadzu, Tokyo, Japan)을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각 시료에 대한 자유 라디칼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54221063-pat00001
A : Absorbance of sample, B : Absorbance of blank
실시예 1: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의 추출 조건 확립
아래의 4단계의 실험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inner beauty food의 중간소재로서 분말제품을 개발하였다.
1) 1단계
모시대의 재배기간(1, 2, 3개월) 간의 phytochemical 함량과 DPPH 소거능을 비교분석하였다. 1개월 된 모시대의 경우는 phytocemical 함량 분석으로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으로서 DPPH 소거능은 각각 81.82 mg/g, 62.77 mg/g 및 88.49%로 나타났다. 2개월 된 모시대의 경우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DPPH 소거능은 각각 40.81 mg/g, 60.35 mg/g 및 81.94%로 나타났다. 3개월 된 모시대의 경우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DPPH 소거능은 각각 88.68 mg/g, 77.48 mg/g 및 83.73%로 나타났다 (도 1).
따라서 3개월 된 모시대를 inner beauty food 소재로서의 최적 재배기간으로 설정하였다.
2) 2단계
3개월 재배한 모시대를 시료로 이용하여 추출 전의 공정으로서 원적외선 처 리공정인 조사온도(X1), 조사시간(X2)에 따른 수준(X1; 40-100℃, X2; 20-60분)을 조절하여 phytochemical 함량 및 항산화 능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때 사용된 실험법은 요인실험법(full factorial design)이었다.
조사온도와 조사시간이 총 폴리페놀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0.001 과 0.0016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0.014 과 0.0388이었다. DPPH 소거능은 0.043 과 0.001이었다. 따라서, phytochemical 함량에서는 조사온도의 영향력이 컸으며 항산화능에서는 조사시간이 영향력이 컸다. 이차다항회귀곡선식에 대한 total regress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소거능은 각각 0.0003, 0.0114, 0.0002로 매우 높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최적화 공정설계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주요반응변수(측정값)의 목적 값이 최소값, 최대값, 특정목적 값인 경우에 따라서 최적조건을 찾을 수 있는 데링거-스위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가중치는 각각 1.0으로 설정하였다. 최적조건은 원적외선 처리 온도는 80℃이었으며 처리시간은 35분이었다.
표 1.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Temperature
(℃)
Time
(min)
Total polyphenol contents(mg/g) Total flavonoid
contents(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40) -1(20) 32.257±1.233 35.624±0.375 77.98±3.09
-1(40) 0(40) 55.830±1.572 41.163±2.991 87.30±1.12
-1(40) 1(60) 54.246±0.411 31.385±2.123 87.10±3.09
0(70) -1(20) 35.303±0.550 42.923±0.376 79.76±0.00
0(70) 0(40) 64.305±1.711 54.732±2.994 86.31±0.28
0(70) 1(60) 63.390±0.955 42.959±0.249 87.50±0.28
1(100) -1(20) 68.593±1.374 55.925±5.637 81.75±2.81
1(100) 0(40) 63.478±1.510 40.561±0.501 87.50±0.28
1(100) 1(60) 70.907±0.274 37.831±1.249 82.54±0.00
표 2.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분산분석 결과
Factor
Polyphenol Flavonoid DPPH
F value Pr > F F value Pr > F F value Pr > F
Temperature 10.77 0.0010 5.37 0.0141 3.69 0.0433
Time 9.65 0.0016 3.84 0.0388 21.76 <.0001
표 3.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결과
Parameter
Estimate
Polyphenol Flavonoid DPPH
Intercept 59.057778 50.234111 87.368333
X1 1 ) 10.107500 4.190833 -0.100000
X2 2 ) 8.731417 -3.882833 2.944167
X1*X1 3.219333 -6.623167 -0.495000
X2*X1 -4.918875 -3.463750 -2.083750
X2*X2 -7.087917 -4.544167 -4.267500
1)Temperature
2)Time
표 4.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적합도 결과
Regression
Polyphenol Flavonoid DPPH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Linear 0.6823 23.67 <.0001 0.3522 6.42 0.0127 0.4139 16.06 0.0004
Quadratic 0.0777 2.68 0.1091 0.2321 4.23 0.0408 0.2934 11.39 0.0017
Cross product 0.0621 4.28 0.0608 0.0863 3.14 0.1015 0.1381 10.72 0.0067
Total regress 0.8261 11.40 0.0003 0.6706 4.89 0.0114 0.8454 13.12 0.0002
3) 3단계
3개월 재배한 모시대를 80℃에서 35분간 원적외선 처리한 후 각각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은 중심합성설계법(central composite design)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열수 추출공정은 3가지 처리 요인으로서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대하여 수준(X1; 20-100℃, X2; 1-9시간, X3 ; 7-23(v/w))을 조절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측정치)로서 phytochemical 함량, 항산화활성, elast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열수 추출의 최적조건은 데링거-스위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중치는 각각 1.0으로 설정하였다. 열수 추출의 최적조건은 23 ml/g의 용매비율로서 31.5℃의 온도에서 4.4시간 추출하는 공정이었다.
표 5. 열수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대한 변수변환
Independent variables
Symbol Levels
-2 -1 0 1 2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X1 30 45 60 75 90
Water extraction time(hr) X2 1 3 5 7 9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X3 7 11 15 19 23
표 6. 열수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Experiment
number
X1 X2 X3 Total
polyphenol
contents(mg/g)
Total flavonoid
contents(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 -1 -1 -1 9.85±0.80 0.78±0.36 49.30±3.37
2 1 -1 -1 9.56±0.43 0.94±0.06 47.71±2.53
3 -1 1 -1 9.95±0.33 0.63±0.11 90.16±2.11
4 1 1 -1 7.31±1.18 0.98±0.08 89.76±2.95
5 -1 -1 1 13.24±3.35 1.51±0.50 92.84±0.84
6 1 -1 1 13.77±3.52 0.38±0.48 92.35±1.55
7 -1 1 1 13.35±3.41 1.61±0.74 88.07±4.78
8 1 1 1 14.08±2.96 0.19±0.12 93.94±0.14
9 -2 0 0 13.49±0.04 0.23±0.17 89.96±0.14
10 2 0 0 12.20±1.39 1.07±0.56 91.65±3.09
11 0 -2 0 11.93±2.56 0.88±0.38 89.17±1.55
12 0 2 0 12.56±1.57 0.60±0.43 92.05±0.56
13 0 0 -2 5.96±0.84 1.39±0.05 85.69±0.56
14 0 0 2 14.85±4.56 1.23±0.06 93.54±0.70
15 0 0 0 13.20±0.02 1.07±0.68 92.05±0.28
16 0 0 0 12.78±1.22 0.95±0.70 92.74±1.55
표 7. 열수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분산분석 결과
Factor
polyphenol flavonoid DPPH
F value Pr > F F value Pr > F F value Pr > F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102.91 0.2582 0.89 0.4872 0.09 0.984
Water
extraction time(hr)
53.54 0.5732 0.11 0.9785 6.63 0.0012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3817.22 <.0001 19.65 <.0001 7.81 0.0004
표 8. 열수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 율(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결과
Parameter
Estimate
Polyphenol Flavonoid DPPH
Intercept 55.588469 3.591250 87.228125
X1 1 ) -2.015844 0.287344 0.422187
X2 2 ) -0.686906 -0.230469 5.343438
X3 3 ) -21.214969 -4.349344 6.623437
X1*X1 -0.158250 -0.399375 -0.398125
X2*X1 -2.352313 0.102563 0.945625
X2*X2 -0.827500 -0.295875 -0.447500
X3*X1 3.466563 -1.406063 0.920625
X3*X2 2.353438 0.091813 -10.760625
X3*X3 4.277875 2.724938 -0.696250
1)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2) Water extraction time
3) Ratio of solvent of sample
표 9. 열수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적합도 결과
Regression Polyphenol Flavonoid DPPH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Linear 0.8291 67.25 <.0001 0.4649 18.26 <.0001 0.3556 7.36 0.0014
Quadratic 0.0595 4.82 0.0099 0.3241 12.74 <.0001 0.0024 0.05 0.9846
Cross product 0.0211 1.71 0.1946 0.0243 0.96 0.4306 0.2878 5.96 0.0039
Total regress 0.9096 24.59 <.0001 0.8134 10.65 <.0001 0.6459 4.46 0.002
에탄올 추출공정은 상온(25℃)에서의 3가지 처리 요인으로서 용매농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대하여 수준(X1; 20-100%, X2; 3-30시간, X3 ; 7-23(v/w))을 조절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설계 및 분석방법은 열수 추출방법과 동일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최적조건은 에탄올(용매)농도는 77.8%, 용매비율은 16.2 ml/g, 추출시간은 29.9시간이었다.
표 10. 에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대한 변수변환
Independent variables
Symbol
Levels
-2 -1 0 1 2
Etanol concentration(%) X1 20 40 60 80 100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X2 7 11 15 19 23
Etanol extraction time(hr) X3 6 12 18 24 30
표 11. 에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Experiment number X1 X2 X3 Total polyphenol contents(mg/g) Total flavonoid contents(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 -1 -1 -1 10.47±0.03 1.51±0.14 87.38±6.61
2 1 -1 -1 7.18±1.16 3.31±0.01 93.84±1.97
3 -1 1 -1 16.17±0.05 1.07±0.83 93.24±0.84
4 1 1 -1 12.41±1.07 2.99±0.31 97.12±0.42
5 -1 -1 1 10.01±0.04 1.38±0.04 88.77±2.67
6 1 -1 1 8.42±1.96 3.47±0.10 90.85±3.94
7 -1 1 1 13.47±2.42 0.19±0.12 91.45±2.81
8 1 1 1 12.49±0.90 3.35±0.72 94.43±2.81
9 -2 0 0 12.94±0.91 0.43±0.23 90.85±2.53
10 2 0 0 3.66±0.01 2.67±0.30 66.60±0.56
11 0 -2 0 6.01±1.16 2.05±0.28 87.48±4.78
12 0 2 0 16.40±4.73 1.58±0.72 94.04±1.97
13 0 0 -2 11.54±3.70 1.75±0.09 89.76±0.14
14 0 0 2 15.74±0.02 2.64±0.72 92.45±4.22
15 0 0 0 13.51±6.03 2.36±0.28 92.84±1.69
16 0 0 0 13.00±3.92 2.81±0.88 92.25±3.66
표 12. 에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분산분석 결과
Factor
Polyphenol Flavonoid DPPH
F value Pr > F F value Pr > F F value Pr > F
Ethanol concentration(%) 6.87 0.0010 16.72 <.0001 3.6 0.021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27.83 <.0001 65.32 <.0001 0.76 0.5634
Ethanol extraction time(hr) 0.65 0.65 0.51 0.7292 0.09 0.9844
표 13. 에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결과
Parameter
Estimate
Polyphenol Flavonoid DPPH
Intercept 27.830281 11.489938 94.471563
X1 1 ) -8.494938 4.133313 -2.068438
X2 2 ) -20.642938 -8.542625 1.782813
X3 3 ) 2.286000 0.420125 -0.043437
X1*X1 -5.504500 -1.153813 -3.454375
X2*X1 3.399500 -2.266625 -0.210625
X2*X2 4.475313 2.734000 -0.447500
X3*X1 2.725250 0.718750 -0.659375
X3*X2 -1.705125 -0.211250 -0.360625
X3*X3 0.430000 -0.436438 -0.360625
1) Ethanol concent ration
2) Ratio of solvent of sample
2) Ratio of solvent of sample
표 14. 에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적합도 결과
Regression
Polyphenol Flavonoid DPPH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Linear 0.7143 41.21 <.0001 0.7685 94.7 <.0001 0.1543 2.18 0.1196
Quadratic 0.1431 8.25 0.0007 0.1477 18.2 <.0001 0.3194 4.51 0.0131
Cross product 0.0155 0.9 0.459 0.0243 2.99 0.0529 0.0063 0.09 0.9654
Total regress 0.8729 16.79 <.0001 0.9405 38.63 <.0001 0.48 2.26 0.0577
메탄올 추출공정은 에탄올 추출공정과 같은 조건인 상온(25℃)에서의 3가지 처리 요인으로서 용매농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대하여 수준(X1; 20-100%, X2; 3-30시간, X3 ; 7-23(v/w))을 조절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설계 및 분석방법은 열수나 에탄올 추출방법과 동일하였다. 메탄올 추출의 최적조건은 메탄올(용매) 농도는 94.8%, 용매비율은 8.8 ml/g, 추출시간은 30시간이었다.
표 15. 메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대한 변수변환
Independent variables
Symbol
Levels
-2 -1 0 1 2
Metanol concentration(%) X1 20 40 60 80 100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X2 7 11 15 19 23
Metanol extraction time(hr) X3 6 12 18 24 30
표 16. 메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Experiment number X1 X2 X3 Total
polyphenol
contents(mg/g)
Total
flavonoid
contents(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 -1 -1 -1 11.62±0.33 1.22±0.01 86.08±5.90
2 1 -1 -1 11.92±0.65 2.44±0.06 93.04±1.69
3 -1 1 -1 19.44±0.08 1.00±0.02 93.74±0.70
4 1 1 -1 16.42±0.04 1.51±0.21 94.63±4.50
5 -1 -1 1 10.15±3.23 1.46±0.40 90.16±0.70
6 1 -1 1 11.86±0.01 2.43±0.29 96.62±0.84
7 -1 1 1 15.04±4.68 1.31±0.07 91.15±4.36
8 1 1 1 15.81±0.81 1.46±0.72 93.24±3.94
9 -2 0 0 11.81±4.10 0.22±0.11 88.77±3.23
10 2 0 0 11.46±0.72 3.56±0.21 88.97±1.83
11 0 -2 0 8.13±0.03 3.54±0.01 87.08±1.12
12 0 2 0 20.20±0.38 1.21±0.14 93.74±0.70
13 0 0 -2 16.16±0.69 0.98±0.47 94.73±1.83
14 0 0 2 14.27±2.53 0.91±0.53 95.33±1.55
15 0 0 0 16.12±0.33 0.74±0.02 92.05±0.56
16 0 0 0 16.01±0.46 1.87±0.56 92.64±0.56
표 17. 메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분산분석 결과
Factor
Polyphenol Flavonoid DPPH
F value Pr > F F value Pr > F F value Pr > F
Methanol concentration(%) 2.81 0.0506 1.68 0.1901 3.01 0.0401
Ratio of solvent of
sample(mL/g)
73.13 <.0001 27.73 <.0001 4.14 0.0119
Methanol extraction time(hr) 1.05 0.4064 0.04 0.9975 1.78 0.1694
표 18. 메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용매농도(X1), 용매비율(X2) 및 추출시간(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결과
Parameter
Estimate
polyphenol flavonoid DPPH
Intercept 69.878844 3.657969 92.683125
X1 1 ) 0.460156 3.104781 1.050000
X2 2 ) -27.951281 -11.730906 1.260625
X3 3 ) -2.703781 0.122781 0.304375
X1*X1 -4.924437 0.650750 -0.870625
X2*X1 -2.857938 -2.041438 -1.303750
X2*X2 7.668500 7.862375 -0.485625
X3*X1 2.776437 -0.374813 0.087500
X3*X2 -0.150562 -0.144437 -1.453750
X3*X3 -0.945188 -0.399375 0.670000
1) Methanol concent ration
2) Ratio of solvent of sample
3) Methanol extraction time
표 19. 메탄올추출공정에서의 모시대 추출온도(X1), 추출시간(X2) 및 용매비율(X3)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의 이차다항회귀곡선식 적합도 결과
Regression
Polyphenol Flavonoid DPPH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R2 F value Pr > F
Linear 0.7684 91.11 <.0001 0.5236 27.02 <.0001 0.2263 4.12 0.0184
Quadratic 0.162 19.21 <.0001 0.3267 16.86 <.0001 0.2154 3.92 0.0221
Cross product 0.0077 0.92 0.1946 0.0077 0.4 0.7563 0.1553 2.83 0.0622
Total regress 0.9382 37.08 0.4483 0.8579 14.76 <.0001 0.597 3.62 0.0066
모시대 최적 추출조건에서의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방법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메탄올 추출이 가장 높은 phytochemical 함량과 활성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에탄올 추출, 열수 추출 순이었다.
4) 4단계
메탄올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추출된 모시대를 40℃에서 wet basis로 50%까지 감압농축을 행한 후 추출물을 개발하였으며 추출물을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dry basis로 6%까지 건조시킨 다음 40mesh 이하로 분쇄하여 inner beauty food의 중간소재로서 분말제품을 개발하였다.
도 1은 모시대의 재배 기간(1, 2, 3개월)에 따른 폴리페놀(a), 플라보노이드(b) 함량 및 DPPH 소거능(c)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도 2.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의 반응표면분석도 결과를 보여준다.
도 3.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반응표면분석도 결과를 보여준다.
도 4. 원적외선 조사온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DPPH 소거능의 반응표면분석도 결과를 보여준다.

Claims (11)

  1. 3개월 이상 재배한 모시대(Adenophora remotilfora) 식물을 70~100℃에서 30~50분간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 식물을 80~100%의 메탄올 농도에서 24~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7~11 mL의 용매 비율에서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모시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7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모시대 추출물.
  11. 제10항의 모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식품(inner beauty food).
KR1020090082753A 2009-09-03 2009-09-03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03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53A KR101103589B1 (ko) 2009-09-03 2009-09-03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53A KR101103589B1 (ko) 2009-09-03 2009-09-03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58A KR20110024658A (ko) 2011-03-09
KR101103589B1 true KR101103589B1 (ko) 2012-01-09

Family

ID=4393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753A KR101103589B1 (ko) 2009-09-03 2009-09-03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14A (ko) * 2000-10-20 2001-01-05 윤용길 해소 및 기관지 천식 치료포(布)
KR101209369B1 (ko) 2010-09-01 2012-12-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9200B (zh) * 2014-06-02 2021-03-12 托马斯·纳达可·托马斯 植物化学物质强化的水
KR102625897B1 (ko) * 2021-09-14 2024-01-17 대한민국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층층잔대 꽃의 추출방법
KR102565532B1 (ko) * 2023-01-31 2023-08-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토케미컬 추출방법 및 피토케미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37B1 (ko) 2006-04-27 2008-01-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37B1 (ko) 2006-04-27 2008-01-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약학회지, 제43권 제1호, 1~4쪽 (199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14A (ko) * 2000-10-20 2001-01-05 윤용길 해소 및 기관지 천식 치료포(布)
KR101209369B1 (ko) 2010-09-01 2012-12-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58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523B1 (ko)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966835B1 (ko)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7284B1 (ko)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3589B1 (ko)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6348A (ko) 식물유래 피부미용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천연화장품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25757A (ko) 포포나무 유효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5029A (ko)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8153A (ko)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80695B1 (ko)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226022A1 (ja) 育毛・発毛用外用剤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101984781B1 (ko) 효소분해 및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감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330B1 (ko) 목이버섯이 배양된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629375B1 (ko) 누에고치 유래 세리신과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9369B1 (ko)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