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153A -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153A
KR20200098153A KR1020190015907A KR20190015907A KR20200098153A KR 20200098153 A KR20200098153 A KR 20200098153A KR 1020190015907 A KR1020190015907 A KR 1020190015907A KR 20190015907 A KR20190015907 A KR 20190015907A KR 20200098153 A KR20200098153 A KR 2020009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urple sweet
group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범
박주현
조춘호
김윤성
박미현
나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트론바이오텍
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트론바이오텍, 박주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트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1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153A/ko
Publication of KR2020009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1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13
    • A23Y2220/6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f skin wrinkle or skin photo-aging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purple sweet potato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주름, 기미, 주근깨 등이 생성되며,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피부 노화의 원인은 섬유아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그 작용이 저하되어 섬유성분(콜라겐)의 합성량이 줄어들고, 피부 내 수분이 손실됨에 따라 유발되는 내인성 노화(자연노화)와 외적으로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에 의한 유해 작용에 의한 광노화로 나누어진다.
피부는 외측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외부 자극이나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온, 수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진피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으로 구성되며, 아교섬유(collagenous fibers)와 일부 탄력 섬유(elastic fibers)로 인해 피부를 탱탱하고 탄력있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피하조직은 결체 조직으로 이루어진 층으로 여기에 존재하는 지방 세포들은 열을 보존하고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연 노화와 광노화된 피부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광에 의한 노화가 피부 노화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광노화의 경우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굵고 깊은 주름은 물론 잔주름도 많이 발생하고 일찍부터 관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인 콜라겐이 피부 주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며,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광노화는 태양광 중의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체내에서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가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 멜라닌 생성 증가, 표피의 각질화 등을 유발한다. 각질층이 손상을 입으면서 각질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자외선에 의해 진피층의 콜라겐 생성능이 감소하게 되면서 그 결과 진피층이 얇아져 굵고 깊은 주름이 생성된다.
최근 피부 주름 생성 원인 및 개선 방안으로 화장료와 같은 외용적 방법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법이 있으며 식품이나 특정 식품성분으로 장내 건강을 향상시키면서 피부 손상이나 노화의 원인을 감소시켜 피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식품소재를 찾아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황칠나무는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그 약리학적 효능이 매우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과거에는 천연도료로 쓰였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암, 항산화 효과, 간세포 재생, 당뇨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황칠의 다양한 유용성에 의해 식품으로 섭취하고자 하는 시도가 연구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황칠원액이 첨가된 오리고기 양념 염지액(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4472호)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자색고구마는 전분과 단백질 이외에도 비타민과 무기질 및 식이 섬유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수용성 안토시안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자색고구마는 항종양, 항고혈당, 항염증, 항돌연변이, ATP 생산촉진, 신경세포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오일퀸산(caffeoylquinic acid)이 함유되어 있어, 천연색소 추출용뿐만 아니라 기능성 음료, 면류, 제빵 등 가공식품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고품질의 생리 기능성 식품이나 건강보조제품의 원료로서 활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44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66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6316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황칠나무와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1 : 2 내지 2 : 1 중량비의 혼합재료에 5 내지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5 내지 39℃에서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1 : 2 내지 2 : 1 중량비의 혼합재료에 5 내지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5 내지 39℃에서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자외선 조사 및 시험물질 적용 부위, 피부두겹두께 측정위치, 육안소견 관찰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인한 1, 3, 4, 6, 8주의 등 피부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스코어링에 의한 피부 광조사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인한 1, 3, 4, 6, 8주의 등 피부 표피두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인한 4주 및 8주 후에 쥐의 등 피부의 조직학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a), 각질유리과립(keratohyaline granule, 검정색 화살표); (b), 사멸성 케라틴세포.
도 6은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인한 4주 및 8주 후에 쥐의 등 피부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에 대한 조직학적 평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a), UV 자외선 조사 후 4주; (b), UV 자외선 조사 후 8주; *, Compared to normal control; #,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 p<0.05; **, p<0.01.
도 7은 실험 동물 모델인 무모쥐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로 인한 8주 후에 쥐의 등 피부의 조직 절편 이미지(a) 및 아닐린블루염색의 상대 광학 밀도(b)를 나타낸 것이다. *, Compared to normal control; #,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 p<0.05; **, p<0.01.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칠나무는 수피, 잎, 가지 및 줄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잎과 줄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색고구마는 통상적인 식용부위인 덩이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에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1 : 2 ~ 2 : 1 중량비의 혼합재료에 혼합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5 ~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50 ~ 100℃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는 분쇄물의 형태로 추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비율은 2 : 3 ~ 3 : 2 중량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물의 첨가량은 상기 혼합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8 ~ 12배의 중량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온도는 80 ~ 10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시간은 12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 ~ 36시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수추출 후 여과하여 건더기를 제거한 다음 농축과정을 거쳐 발효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은 고형물의 함량이 1 내지 4브릭스(Brix)가 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추출물은 발효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잡균의 증식으로 인한 잘못된 발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효균을 접종하기 전에 멸균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멸균은 미세공 필터를 사용한 여과방법, 고온고압 가열 방법 등 통상적인 액체의 멸균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를 사용하는데, 이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로 KCCM 12116, ATCC 14917, IFO 15891 또는 DSM 2017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KCCM 35464, ATCC 8287, IFO 3345 또는 DSM 2055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종은 상기 발효균의 액체배양액을 상기 열수추출물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효균의 액체배양액은 각 발효균이 생장할 수 있는 액체배지에 각 발효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배양은 MRS 액체배지에서 35 내지 39℃,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발효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를 각각 별도로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액을 열수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두 균주를 함께 배양하더라도 서로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하나의 액체배지에 두 균주를 함께 배양하고 수득한 배양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균주를 별도로 배양한 배양액을 이용할 경우 각각 1 내지 3%(v/v)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균주를 함께 배양한 배양액을 이용할 경우 2 내지 6%(v/v)로 첨가하는 것이 발효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상기 발효균이 접종된 열수추출물을 발효균의 생장 및 발효가 가능한 온도를 적절한 시간동안 유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9℃,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하여 발효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상기 열수추출물에 당과 질소원을 첨가하고 발효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은 포도당과 같이 상기 발효균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질소원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와 같이 상기 발효균이 질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포도당을 사용할 경우, 상기 열수추출물에 0.1 내지 1%(w/v)로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바람직하며, 효모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열수추출물에 0.05 내지 0.4%(w/v)로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발효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나,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식품 또는 화장료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상기 발효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발효물의 첨가량은 식품 또는 화장료의 종류, 형태, 목적, 제조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종 식품 또는 화장료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0중량%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발효물 제조
1-1. 열수추출물 제조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의 분쇄물 및 자색고구마의 분쇄물을 1 : 1 중량비로 하여 추출재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재료에 약 10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약 95℃에서 24시간 열수추출하였다. 열수추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depth filter와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다음 진공막 여과기(0.45㎛)로 2차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60℃ 이하)하여 고형물 함량이 1 내지 4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한 후, 121℃에서 15분간 살균하여 이후 발효에 사용하였다.
1-2. 발효미생물 준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KCCM 12116, ATCC 14917)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KCCM 35464, ATCC 8287)를 각각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배양액을 이후 발효에 사용하였다.
1-3. 발효물 제조
상기 1-1의 열수추출물에 상기 1-2의 균주 배양액을 각 균주 배양액 당 최종 2%(v/v)가 되도록 첨가하고, 포도당을 0.4%(w/v)가 되도록, 효모추출물을 0.2%(w/v)가 되도록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진탕발효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발효물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과정을 거치고 분말화하여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2. 항산화력
상기 1의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항산화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력은 프리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시료의 환원력으로 측정하였다. 농도별 시료 1㎖에 500μM DPPH 용액 1㎖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37℃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용액은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계산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1-A/B) x 100
A : 시료첨가 흡광도, B : 시료무첨가 흡광도
시료 농도(㎎/㎖) 항산화력
DPPH radical 소거능(%) IC50 (㎎/㎖)
실시예 1의 발효물 0.5 6.88 7.17
1.0 10.80
5.0 39.26
10.0 66.47
비타민 C 1.0 21.63 -
10.0 100
표 1과 같이,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력을 통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발효물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3. 세포 독성 실험
상기 1의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효과를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MTT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MTT dye(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blue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이 청색량이 미토콘드리아의 양이나 대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96-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1x104 cells/well로 넣고 부착시킨 상태에서 준비된 시료를 0 ~ 500㎍/㎖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PBS에 용해한 MTT 용액(5㎍/㎖)을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한 뒤 DMSO : EtOH (1:1 v/v)를 well 당 100㎕ 씩 넣고 20분간 shaking한 다음, ELISA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별도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본 발명의 발효물 처리군(실험군)을 비교하였으며, 이의 결과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발효물 처리군(~500㎍/㎖)의 세포 증식율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증식효과(%) = [(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료농도(㎍/㎖) 세포증식효과 (%)
대조군 93.4



실시예 1의 발효물
10 92.3
50 93.5
100 94.9
200 95.8
300 96.5
500 89.8
4. 섬유아세포 콜라제나제(MMP-1)에 대한 억제 효과
상기 1의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콜라게나아제 생성 억제능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혹은 카테킨은 녹차엽의 추출물인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60㎜ cell culture dish에 섬유아세포를 2x105 cells/dish의 농도로 분주하고 37℃, 5% CO₂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IMDM(no phenol red)에 희석된 시료를 각각 12.5㎍/㎖, 25㎍/㎖, 50㎍/㎖, 100㎍/㎖, 200㎍/㎖, 400㎍/㎖ 농도로 3㎖ 씩 첨가하여 37℃, 5% CO₂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Human MMP-1 ELISA kit assay(LSBio, LS-F4960)에 사용하였다.
Kit의 96-well plate에 시료, standard, blank에 해당하는 샘플을 100㎕씩 처리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etection reagent A를 100㎕ 씩 처리한 후 3회 세척하고 Detection reagent B를 100㎕ 씩 처리하였다. 이후 5회 세척하고, TMB substrate solution을 90㎕ 씩 20분 동안 처리한 후 stop solution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콜라게나아제 발현정도(%)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 비처리군의 흡광도) x 100
시료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EGCG 12.5㎍/㎖ 88
EGCG 25㎍/㎖ 80
EGCG 50㎍/㎖ 70
EGCG 100㎍/㎖ 60
EGCG 200㎍/㎖ 56
실시예 1의 발효물 12.5㎍/㎖ 70
실시예 1의 발효물 25㎍/㎖ 58
실시예 1의 발효물 50㎍/㎖ 30
실시예 1의 발효물 100㎍/㎖ 20
실시예 1의 발효물 200㎍/㎖ 10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시료의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 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피부 탄력 감소가 저해되며,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진다.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발효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보다도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콜라겐 생합성 효과
상기 1의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콜라겐 생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indirect ELISA 방법을 사용하고 세포주로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를 1x104 cells/㎖ 농도로 96 well plate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고, 시료를 희석한 무혈청 배지를 배양배지와 교환한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의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고 회수된 배양 상등액 50㎕를 maxisorb 96 well plate에 각각 분주하고 carbonate-bicarbonate coating buffer(pH 9.6)를 100㎕ 씩 첨가한 후 4℃에서 overnight하여 단백질을 coating하였다. Phosphate buffer saline(pH 7.4, PBS-T)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blocking을 위하여 PBS에 녹인 4% skim milk 용액을 100㎕ 씩 분주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PBS-T로 5회 세척하고 secondary antibody로 alkaline phosphatase가 conjugated된 anti-rabbit IgG antibody, anti-mouse IgG antibody를 4% skim milk 용액에 희석하여 100μM 씩 분주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PBS-T로 5회 세척하였다. 효소반응은 diethnolamine buffer에 0.1%의 p-nitrophenyl phosphate를 녹인 기질용액을 200㎕ 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성률(%) = (시료 처리군의 콜라겐 생성량 / 대조군의 콜라겐 생성량) x 100
시료 콜라겐 생성율(%)
대조군 100
실시예 1의 발효물 10㎍/㎖ 106
실시예 1의 발효물 50㎍/㎖ 115
실시예 1의 발효물 100㎍/㎖ 134
실시예 1의 발효물 200㎍/㎖ 176
실시예 1의 발효물 200㎍/㎖ 174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물을 사용하였을 때 콜라겐 생합성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동물실험
상기 1의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동물 모델에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6-1. 실험동물
동물시험 종 및 계통은 수컷 BALB/c nude 특정병원체부재(SPF) 마우스 (n=60)로 영바이오(주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79, 201)에서 구매하였다.
6-2. 시험계의 선택 이유
본 시험에 사용된 BALB/c nude 마우스의 경우 광노화를 포함한 피부 및 피부 노화 연구에 관하여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기 보고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피부 질환의 병리기전이 잘 알려져 있고, 피부 노화 평가 기준이 확립되어 있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 연구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6-3. 검역 및 순화
동물 입수 후 동물실에서 7일간 검역 및 순화를 시켰으며, 순화기간 중 일반증상을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6-4. 사육환경
6-4-1. 환경조건
본 시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조명시간 12시간(08:00 점등 ~ 20:00 소등), 환기횟수 10 ~ 20회/hr 및 조도 150 ~ 300Lux로 설정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실험동물실에서 각각 순화 및 사육되었다. 본 시험의 모든 시험방법은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로부터 승인을 받았다(KU18171).
6-4-2. 사육상자, 사육밀도 및 사육상자의 식별
순화, 검역 및 투여, 관찰기간동안 폴리카보네이트제 사육상자(240W×390L×175H mm)에 마우스를 6마리 이하씩 수용하였으며, 개체식별은 ear punch를 이용한 표식법과 사육상자별 개체식별카드표시법을 이용하였다.
6-5. 시험기기 및 시험물질
시험물질인 본 발명의 발효물은 propylene glycol과 ethanol을 혼합한 용액(propylene glycol : ethanol = 7:3(v/v))을 부형제로 사용하여 10㎍/㎖, 500㎍/㎖의 두 가지 농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액은 마우스 당 200㎕를 피부 표면에 주 6회, 8주간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장치는 마취기와 연결이 가능한 캐비넷 내에 280-320nm(peak 313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를 설치하고 캐비넷 바닥에 위치한 자외선의 강도는 UV meter를 통해 측정하여 1 MED(1, 2주차) 및 2 MED(3 ~ 8주차) 강도로 적용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주 3회 실시하였으며, 시험물질 적용 2시간 후에 실시하고 마우스의 등 피부와 자외선램프의 거리는 30cm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6-6. 동물실험 방법
6-6-1. 동물 마취
동물을 induction chamber에 위치시킨 후 oxygen flowmeter를 0.9L/min으로 설정하고 isoflurane 농도를 3.5%로 하여 마취를 유도하였다. 마취 유도 후 mask를 이용하여 oxygen flowmeter를 4 ~ 0.8L/min 유지하고 isoflurane 농도를 1.5%로 하여 마취를 유지하였다. 마취 중에는 warming mat를 이용하여 중심체온을 37 ~ 38℃로 유지하였다.
6-6-2. 시험물질 도포 및 자외선 조사
동물의 등 피부에 각각의 시험물질을 마우스 당 200㎕를 주 6회, 총 8주간 도포하였다. 저농도적용군(Low)과 선행적용군(Early) 경우 10㎍/㎖를 적용하였고, 고농도적용군(High)의 경우 500㎍/㎖를 적용하였다. 선행적용군의 경우 자외선 조사 시작 일주일 전부터 시험물질을 적용하였고, 부형제적용군(Vehicle control)과 저농도와 고농도의 시험물질 적용군은 시험물질 적용 시작일에 자외선 조사를 시작하였다. 자외선은 동물 마취하에 조사하였고 눈을 포함한 머리는 자외선을 차단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실험군 마우스 피부도포 시험 동물수
Normal control 자외선 조사 없음, 치료 없음 6
Negative control 자외선 조사 없음, 치료 없음 8
Vehicle control 자외선 조사,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v/v, 200㎕)의 국소 적용 10
Low dose 자외선 조사, 실시예 1의 발효물 10㎍/㎖를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v/v, 200㎕)에 녹인 후 국소 적용 12
High dose 자외선 조사, 실시예 1의 발효물 500㎍/㎖를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v/v, 200㎕)에 녹인 후 국소 적용 12
Early treatment 자외선 조사, 자외선 조사 일주일 전에 실시예 1의 발효물 10㎍/㎖을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v/v, 200㎕)에 녹인 후 국소 적용 12
6-7. 관찰 및 검사항목
6-7-1. 육안관찰
육안관찰은 1주, 3주, 4주, 6주, 8주차에 관찰한 결과를 실체현미경을 통해 피부 소견을 촬영하였으며, 해당일의 각 시험물질 및 자외선 조사에 앞서 진행하였다. 피부두겹두께(skinfold thickness)의 경우 caliper를 이용하여 등 피부의 일정 부위를 선정해(도 1 참조) 피부를 들어 올려 피부 두께를 측정하였다.
6-7-2. 조직학적 관찰
시험물질 적용 및 자외선 조사 시작 4주차와 8주차로 나누어 샘플을 제작하였으며, tribromoethanol(Avertin, 250㎎/㎏) 과용량 마취 후 경추탈골로 안락사 후, 도 1에서 표시한 도포 부위 중 2곳을 절제하여 포르말린 고정 후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hematoxlyin-esoin(HE) 염색 및 Masson's trichrome 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각질의 형성, 표피 및 진피의 두께 변화, 진피 콜라겐 층의 변화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6-7-3. 통계학적 방법
얻어진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일방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과 Bonferroni의 post hoc test를 실시하였다. 검정의 위험율은 5% 및 1%로 정하였다.
6-8. 결과
6-8-1. 육안관찰 결과
피부 상태의 육안 관찰 소견에서 시험물질 적용 및 자외선 조사 1주차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군(Neg. Con, Veh. Con, Low, High, Early)에서 각질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시험물질 적용군(Low, High, Early)의 경우 평균 0.25의 score를 나타내는 반면,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는 각각 0.5, 0.75의 score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주차에서 음성대조군(Neg. Con)과 부형제대조군(Veh. Con)의 경우 각질 형성(각각 1, 1)과 피부 발적(각각 2, 1.25)이 증가한 반면, 시험물질 적용군(Low, High, Early)에서는 증상이 완화된 것(각질 형성 score: 0.5, 피부 발적 score: 1, 0.5, 0.25)을 확인하였다. 특히, 선행적용군(Early)의 경우 정상대조군(Nor. Con)과 유사하게 관찰되며 피부 상태가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3 참조).
6주차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모든 군에서 피부 발적 및 잔주름의 형성이 확인되며, 음성대조군에서는 피부 과각화(score: 3)와 피부 발적(score: 2.5)이 두드러지는 반면, 시험물질 적용군에서는 증상이 완화되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8주차에는 부형제대조군에서도 음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심한 과각화(score: 3) 및 발적(score: 2.5)이 관찰되었다. 시험물질 적용군에서는 음성대조군 및 부형제대조군에 비해 잔주름의 형성이 완화된 것(Neg. Con: 3, Veh. Con: 3, Low: 2.5, High: 1.5, Early: 1.5)으로 관찰되었다(도 2 및 3 참조).
피부두겹두께(skinfold thickness) 측정 결과, 1주차에는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 피부 두께의 증가가 두드러지며(각각 0.82㎜(118%), 0.78㎜(113% 증가)) 고농도적용군에서는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두께(High: 0.65㎜, Nor. Con: 0.69㎜)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주차에는 고농도적용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며, 6주차에는 고농도적용군, 선행적용군 순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8주차에는 선행적용군 > 저농도적용군 > 음성대조군 > 고농도적용군 > 부형제대조군 > 정상대조군 순으로 수치가 감소하며, 시험물질 적용군의 수치는 유사한 수준(Low: 0.65, High: 0.62, Early: 0.66)으로 관찰되었다(도 4 참조).
6-8-2. 조직학적 관찰
4주차의 피부 조직학적 소견상, 음성대조군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따라 과각화 및 표피층의 증식이 관찰되고 과립층(granular layer)의 각질유리과립(keratohyaline granule, 검정색 화살표)의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부형제대조군의 경우에도 표피층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두껍게 증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저농도와 고농도의 시험물질 적용군 및 선행적용군의 경우 표피층의 과각화와 증식이 음성대조군 및 부형제대조군에 비해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4주차의 표피층 및 진피층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 표피층의 두께 증가(Neg. Con: 58.9±10.9㎛(286%), Veh. Con: 44.7±10.3㎛(217%))가 두드러지는 것(p<0.01)을 확인하였다. 시험물질 적용군에서는 표피층의 증식이 완화되었으며, 특히 고농도적용군에서 정상대조군과 가장 유사한 두께를 보이는 것(High: 27.3±6.6㎛(95%), Nor. Con: 20.6±1.8㎛(94%))을 확인하였다. 진피층의 두께의 경우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 두께가 감소되어 나타나며 시험물질 적용군의 경우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두께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6 참조).
8주차의 조직학적 소견상 음성대조군에서 표피층의 증식이 두드러지고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 진피층의 두께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며,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세포사멸(apoptosis) 소견(검정색 화살표 머리)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물질 적용군의 경우 서로 유사한 소견을 나타내나 고농도적용군과 선행적용군에 비해 저농도적용군에서 각질 형성과 표피층의 두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8주차의 표피층 및 진피층 두께 측정 결과, 시험물질 적용 시에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 비해 표피층 증식의 억제가 두드러지는 것(p<0.01)으로 확인되고 고농도적용군과 선행적용군에서 가장 효과가 우수하며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것(High: 22.0±4.3㎛, Early: 21.6±4.0㎛)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음성대조군과 부형제대조군에서 진피층 두께 감소(Neg. Con: 169.8±27.9㎛(78%), Veh. Con: 158.9±16.7㎛(73%))가 두드러지는 반면, 시험물질 적용 시 진피층의 두께가 유지되며 선행적용군(219.7±30.1㎛) > 고농도적용군(213.1±20.1㎛) > 저농도적용군(208.5±28.6㎛) 순서로 두께가 두꺼운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진피층 내 콜라겐 형성 및 배열을 비교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실시하여 염색성을 비교한 결과, 음성대조군 및 부형제대조군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콜라겐의 염색성이 감소한 것(각각 정상대조군 대비 83.5%, 83.7%)을 확인하였다. 반면, 고농도적용군과 선행적용군의 경우 정상과 유사한 수치를 보이며(각각 정상대조군 대비 97.5%, 98.8%), 저농도적용군에서도 음성대조군 및 부형제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정상 대조군 대비 92.2%)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본 동물실험 결과 본 발명 발효물의 피부 도포는 UVB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육안소견에서 저농도 및 고농도의 시험물질 적용 시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발적, 각질 형성, 주름 형성 등의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두겹두께 측정은 피부의 광노화와 염증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지표이지만 표피와 진피층 및 근육, 피하지방층까지 모두 포함하는 두께이기 때문에 피부 부종 또는 체지방량 증가 등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실험에서 피부두겹두께 측정 결과, 고농도의 시험물질 적용 시에 시험 기간 내 피부 두께가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자외선 조사에도 불구하고 피부 상태의 항상성 유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조직병리학적 분석에서 시험물질 적용 시에 자외선 조사에 따른 과각화, 표피층의 증식, 진피층의 손상 등이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농도의 시험물질 적용 시와 저농도의 시험물질을 자외선 조사에 앞서 적용하였을 때 표피층의 증식 억제(음성대조군 대비 33.5%, 32.9% 수준) 및 진피층 두께 감소 억제(정상대조군 대비 99.0%, 102.0% 수준, 음성대조군 대비 125.5%, 129.4% 수준)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피층 내 콜라겐 형성을 비교한 결과 시험물질 적용 시에 콜라겐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행적용군(정상대조군 대비 98.8%) > 고농도적용군(97.5%) > 저농도적용군(92.2%) 순서로 콜라겐 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물 적용군은 자외선으로 인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나타내며, 저농도 적용 시보다 고농도 적용 시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농도의 시험물질을 자외선 조사에 앞서 적용하였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 발효물의 광노화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1 : 2 내지 2 : 1 중량비의 혼합재료에 5 내지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5 내지 39℃에서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고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의 1 : 2 내지 2 : 1 중량비의 혼합재료에 5 내지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5 내지 39℃에서 50 내지 200rpm으로 12 내지 36시간 진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15907A 2019-02-12 2019-02-12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07A KR20200098153A (ko) 2019-02-12 2019-02-12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07A KR20200098153A (ko) 2019-02-12 2019-02-12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53A true KR20200098153A (ko) 2020-08-20

Family

ID=7224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907A KR20200098153A (ko) 2019-02-12 2019-02-12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129A (zh) * 2021-03-05 2022-09-09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KR20230016981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로크 홍차추출물, 고구마발효물 및 커피식초를 이용한 크림타입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316B1 (ko) 2004-11-03 2006-07-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20090014472A (ko) 2007-08-06 2009-02-11 김미숙 황칠원액이 첨가된 오리고기 양념 염지액 및 이를 이용한오리 가공육 및 오리고기 훈제방법
KR101066676B1 (ko) 2005-05-20 2011-09-21 (주)아모레퍼시픽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316B1 (ko) 2004-11-03 2006-07-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101066676B1 (ko) 2005-05-20 2011-09-21 (주)아모레퍼시픽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090014472A (ko) 2007-08-06 2009-02-11 김미숙 황칠원액이 첨가된 오리고기 양념 염지액 및 이를 이용한오리 가공육 및 오리고기 훈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129A (zh) * 2021-03-05 2022-09-09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CN115025129B (zh) * 2021-03-05 2024-04-19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KR20230016981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로크 홍차추출물, 고구마발효물 및 커피식초를 이용한 크림타입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4673A (ko) 미백 화장품 소재용 알로에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품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0150A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8153A (ko)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30072706A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02012B1 (ko)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11035A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437871B1 (ko) 볶음 처리한 무말랭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노화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2891B1 (ko) 삼색도장버섯 추출물 및 삼색도장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770B1 (ko) 연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9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04

Effective date: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