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012B1 -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012B1
KR101002012B1 KR1020100030062A KR20100030062A KR101002012B1 KR 101002012 B1 KR101002012 B1 KR 101002012B1 KR 1020100030062 A KR1020100030062 A KR 1020100030062A KR 20100030062 A KR20100030062 A KR 20100030062A KR 101002012 B1 KR101002012 B1 KR 10100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mixture
water
sieb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김성용
이현일
곽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앤뉴
Priority to KR102010003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를 혼합한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죽절초의 일정한 혼합비로 혼합한 후, 추출용매에 침적시켜 추출한 식물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 탄력 효과 및 항염증 작용 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Cornus kousa, Rosa multiflora, Torreya nucifera, Musa basjoo and Chloranthus glaber(Thunb.) Makino}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딸나무(Cornus kousa Burger et Hance),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erg),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bold et Zucc.), 파초(Musa basjoo Siebold) 및 죽절초(Glaber Chloranthus)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선에 노출된 피부는 가벼운 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가 망상 조직에 작용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엘라스틴과 콜라겐 섬유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가 늘어지는 노화현상으로 진행된다(Motoyoshi, K., Takenouch, M., Proceedings of the 19 th IFSCC congress Sydney 22~25, October 1996). 40대 이후 엘라스타제의 작용으로 피부 탄력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는데, 이는 나이를 먹음에 따라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매우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의 소멸이 일어나기 때문이다(Bissett, D. L., Photochem . Photobiol., 1987, 46, 367~368).
피부에서 엘라스틴 조직은 콜라겐 조직과 함께 망상구조로 피하조직을 이루고 있다. 엘라스타제는 이러한 엘라스틴을 가수 분해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골격과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엘라스틴,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케라틴 등을 비선택적으로 가수분해시킨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 Chem ., 265(25), 14791(1990)).
최근 상기의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찾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항산화력이 있는 식물 추출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응용해 피부 노화 또는 주름을 예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Bizot-Foulon V., Godeat G., W. Int J. Cos . Sci. 17, 255~264(1995)).
한편, 천연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시킬 경우, 화장료의 색이나 냄새가 심각하게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최소한의 양이 적용되면서도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 염증 억제, 피부 자극 완화 효능의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딸나무(Cornus kousa Burger et Hance),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erg),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bold et Zucc.), 파초(Musa basjoo Siebold) 및 죽절초(Glaber Chloranthus)를 혼합한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산딸나무(Cornus kousa Burger et Hance)는 쌍떡잎 식물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 이명으로는 준딸나무, 미영꽃나무라고도 불리우고,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고,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한방에서는 꽃과 잎을 야여지(野여枝)라고 하며 수렴, 지혈의 효능이 있고, 잎에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갈릭산(gallic acid)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erg)는 장미과에 속하며 일본 및 우리나라 각지의 산기슭 양지 등에 흔히 자생한다. 찔레나무의 열매를 영실이라고 하는데 생약에선 여문 열매를 따서 말려 약재로 사용하고, 불면증, 건망증, 성기능 감퇴, 부종에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bold et Zucc.)는 우리나라 남부와 제주도에 나는 상록수로, 전세계적으로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제한되어 분포한다. 비자나무는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이고, 종자는 먹거나 기름을 짜내서 이용한다. 또한, 한방과 민간에서는 과실을 구충, 발모, 건위, 조경, 장출혈 등에 약재로 이용하고,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용재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파초(Musa basjoo Siebold)는 쌍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에서 재배한다. 잎, 잎자루, 뿌리를 삶거나 즙을 짜서 마시면 이뇨, 해열, 진통, 진해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죽절초(Glaber Chloranthus)는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쌍떡잎 식물 후추목 홀아비꽃대과의 상록아관목이다. 죽절초의 생약명은 급기(及己)이고, 한방에서는 뿌리를 이뇨 작용과 월경 촉진을 돕기 위하여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되며, 타박상을 입었을 때 환부에 붙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죽절초 각각의 추출물에서 발휘되는 엘라스타제 저해효과, 항염증 효과, 자극 완화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를 혼합한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
상기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은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죽절초 각각을 추출한 추출물보다 엘라스타제 저해효과, 항염증 효과, 자극완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시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된 것이 좋은데, 이때 추출용매는 더욱 바람직하게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를 혼합한 혼합물에 건조 중량 대비 8~20배만큼 첨가되는 것이 좋으며, 추출은 15~40℃에서 7~15일 동안 침적시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에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1~20%(w/v)만큼 함유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중량 기준으로0.1~5%(w/v)만큼 함유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예로,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항염증용,피부자극 완화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일예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를 혼합한 후,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데,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 탄력 효과 및 항염증 작용 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85g, 고형분 1.18%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30%(v/v) 함수에탄올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25g, 고형분 1.06%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70%(v/v) 함수부틸렌글리콜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64g, 고형분 1.18%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30%(v/v) 함수부틸렌글리콜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75g, 고형분 1.56%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70%(v/v) 함수프로필렌글리콜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36g, 고형분 1.17%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30%(v/v) 함수프로필렌글리콜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48g, 고형분 7.88%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혼합한 혼합물에 정제수 1k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하였다. 14일 후 수득한 추출물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72g, 고형분 0.92%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산딸나무 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100g을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한하였다. 14일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93g, 고형분 1.36%의 산딸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찔레나무 추출물 제조
찔레나무 100g을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한하였다. 14일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89g, 고형분 0.84%의 찔레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비자나무 추출물 제조
비자나무 100g을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한하였다. 14일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76, 고형분 1.26%의 비자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파초 추출물 제조
파초 100g을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한하였다. 14일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64g, 고형분 1.19%의 파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죽절초 추출물 제조
죽절초 100g을 70%(v/v) 함수에탄올 1k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4일간 추출 및 침적한하였다. 14일 후,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81g, 고형분 1.22%의 죽절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6: 가온 추출을 통해 식물 혼합추출물 제조
산딸나무 20g, 찔레나무 20g, 비자나무 20g, 파초 20g, 죽절초 20g을 30%(v/v) 함수부틸렌글리콜 1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3시간 끓인 뒤, 실온에서 5일간 침적하였다. 이를 400 메쉬포로 여과 후, 0.3㎛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 878g, 고형분 1.56%의 가온 추출-식물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실험
피부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엘라스틴의 생성저하 및 파괴에 의해 피부의 탄력 저하를 유발한다.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대한 엘라스틴의 분해효소인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완충액(0.267 M Tris 액을 pH 8.0이 되도록 0.267 M 염산(HCl)액으로 조정함) 60 ㎕에 기질액(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품'을 8.8mM로 함) 20 ㎕, 시료 100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 각각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제조)를 넣어 섞고, 효소액(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을 10 ㎍/㎖가 되도록 제조) 20㎕를 넣어 흔들어 섞어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파라-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생성량을 파장 410 nm에서 흡광도 B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 60 ㎕에 기질액 20 ㎕, 정제수 20 ㎕, 시료 100 ㎕를 넣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 C를 측정하였다. 따로 시료 대신 정제수 100 ㎕를 가지고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A를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및 검액 대신 정제수 120 ㎕를 넣어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색 보정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D를 측정하고 수학식 1에 따라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구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IC50 은 엘라스타제의 기질을 50% 저해하는데 요구되는 추출물의 농도(㎍/㎖)이다.
Figure 112010020985492-pat00001
시료 IC50(㎍/㎖)
비교예 1 470
비교예 2 550
비교예 3 600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실시예 1 260
실시예 2 180
실시예 3 150
실시예 4 150
실시예 5 210
실시예 6 253
실시예 7 250
측정결과(표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 엘라스타제의 저해효과가 나타났고,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은 엘라스타제의 저해효과가 미미하였다.
실험예 2: 항염증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였다.
0.1 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0)에 용해한 1 mM 리놀레닉산 1.0 mL 용액에 60,000 units/mL의 리폭시게나제 용액 0.95 mL 와 시료를 50 ㎕, 100 ㎕를 각각 넣고 25℃, 10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의 용매를 사용하였고, 공시험액은 리폭시게나제 용액 대신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0.95 mL 넣어 사용하였다.
그 후에 20% 삼염화 초산 0.5 mL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0.6% 티오바비튜릭산(thiobarbituric acid) 1.0 mL를 가한 후, 95℃ 수욕조에서 10분간 가열 발색시키고 얼음물에 냉침하였다. 부틸알코올 2.0 mL 를 투입하여 혼합교반 후, 원심 분리한 다음, 상층인 부틸알코올을 53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에 대한 리폭시게나제 저해활성 IC50은 리놀레닉산을 50% 저해하는데 요구되는 추출물의 농도(㎍/㎖)이다.
Figure 112010020985492-pat00002
시료 IC50(㎍/㎖)
비교예 1 280
비교예 2 370
비교예 3 380
비교예 4 170
비교예 5 190
비교예 6 390
실시예 1 140
실시예 2 140
실시예 3 120
실시예 4 110
실시예 5 120
실시예 6 136
실시예 7 120
측정결과(표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보다 낮은 농도에서 리놀레닉산의 저해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단층 세포배양에서 세포 자극 완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 자극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사람 섬유 아세포(ATCC, CRL-2310)을 1x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웰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를 사용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소혈청 2%를 함유한 DME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 1 ㎖로 교체하고, 시험 시료를 100 ㎎/㎖, 200 ㎎/㎖의 농도로 제조하여 10 ㎕ 첨가한 후, 4시간 뒤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 SDS)를 0.01%, 0.025%의 농도로 10 ㎕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여기에 2.5 ㎎/㎖의 황색 테트라졸리움염(MTT) 용액을 웰(well)당 200 ㎕씩 가한 다음, 4시간 후에 황색 테트라졸리움염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칠설폭시드(DMSO)를 웰(well)당 1.0 ㎖씩 가하였다. 그 후, 10분간 용해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식물 혼합추출물의 용매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SDS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0.001%에서는 90%, 0.0025%일 경우 72%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시료 SDS 처리농도(%) 세포 생존률(%)
식물 추출물 100㎍/㎖ 식물 추출물 200㎍/㎖
비교예 1 0.001 85 71
0.0025 93 76
비교예 2 0.001 87 75
0.0025 95 83
비교예 3 0.001 83 74
0.0025 92 81
비교예 4 0.001 85 72
0.0025 94 79
비교예 5
0.001 87 91
0.0025 96 96
비교예 6
0.001 92 95
0.0025 103 99
실시예 1 0.001 98 93
0.0025 112 98
실시예 2 0.001 95 95
0.0025 108 97
실시예 3 0.001 93 91
0.0025 102 99
실시예 4 0.001 96 92
0.0025 109 100
실시예 5 0.001 97 94
0.0025 110 97
실시예 6 0.001 96 93
0.0025 100 97
실시예 7 0.001 104 91
0.0025 109 100
측정결과(표 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비해 세포 생존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및 비교예 7: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식물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을 제조하고, 실시예 2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수로 비교예 7을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8은 하기 표 4의 11,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제조부 1을 제조한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 2를 제조한 다음, 제조부 1에 제조부 2를 투입하고,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7은 11,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켜 제조부 1을 제조한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 2를 제조한 다음, 제조부 1에 제조부 2를 투입하고,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중량%
번 호 원 료 실시예 8 비교예 7
1 식물 혼합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글리콜 2.0 2.0
4 디프로필렌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0.5 1.0
6 에탄올 6.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실시예 9 및 비교예 8: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식물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9를 제조하고, 실시예 2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로션으로 비교예 8을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실시예 9는 하기 표 5의 10, 11,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에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 다음,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후,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후,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8은 10, 11,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에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85℃에서 가열하여 투입한 후, 유화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후,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후, 14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후,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중량%
번 호 원 료 실시예 9 비교예 8
1 식물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1.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해바라기씨오일 10.0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카보머 0.15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15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실시예 10 및 비교예 9: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식물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을 제조하고, 실시예 2의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크림으로 비교예 9를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실시예 10은 하기 표 6의 10, 12, 15를 교반, 혼합하면서 80~85℃에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을 80~85℃에서 가열하여 투입한 후 유화시킨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후,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후, 13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후, 1번을 투입한 다음, 25℃까지 냉각한 후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9는 10, 12, 15를 교반, 혼합하면서 80~85℃에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을 80~85℃에서 가열하여 투입한 후, 유화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후, 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후, 13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후,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번 호 원 료 실시예 10 비교예 9
1 식물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8.0 8.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해바라기씨오일 20.0 2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부틸렌글리콜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Claims (10)

  1. 산딸나무(Cornus kousa Burger et Hance),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erg),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bold et Zucc.), 파초(Musa basjoo Siebold) 및 죽절초(Glaber Chloranthus)를 혼합한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이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혼합물 건조 중량 대비 8~20배 만큼 혼합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추출은,
    혼합물을 15~40℃에서 7~15일 동안 추출용매에 침적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1~20%(w/v)만큼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건조중량 기준으로 0.1~5%(w/v)만큼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탄력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염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기초화장료 제형, 유중수(W/O)형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30062A 2010-04-01 2010-04-01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62A KR101002012B1 (ko) 2010-04-01 2010-04-01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62A KR101002012B1 (ko) 2010-04-01 2010-04-01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012B1 true KR101002012B1 (ko) 2010-12-16

Family

ID=4351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062A KR101002012B1 (ko) 2010-04-01 2010-04-01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0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633A (zh) * 2012-11-30 2013-05-29 桑布医学株式会社 一种洗发水
KR101284656B1 (ko) 2010-12-02 2013-07-10 김미량 화장료 조성물
WO2014088135A1 (ko) * 2012-12-06 2014-06-12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 및 육모성 기능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
US20170191010A1 (en) * 2016-01-06 2017-07-06 Nanjing Inst Of Compreh Utilization Of Wild Plants Bactericidal, Fungicidal and Anti-Allergenic Zanthoxylum Schinifolium Skin Care Soap and Method of Preparation
CN109771350A (zh) * 2019-03-19 2019-05-21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屏障修复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56B1 (ko) 2010-12-02 2013-07-10 김미량 화장료 조성물
CN103120633A (zh) * 2012-11-30 2013-05-29 桑布医学株式会社 一种洗发水
WO2014088135A1 (ko) * 2012-12-06 2014-06-12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 및 육모성 기능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
US20170191010A1 (en) * 2016-01-06 2017-07-06 Nanjing Inst Of Compreh Utilization Of Wild Plants Bactericidal, Fungicidal and Anti-Allergenic Zanthoxylum Schinifolium Skin Care Soap and Method of Preparation
US10640739B2 (en) * 2016-01-06 2020-05-05 Nanjing Inst Of Compreh Utilization Of Wild Plants Bactericidal, fungicidal and anti-allergenic Zanthoxylum schinifolium skin care soap and method of preparation
CN109771350A (zh) * 2019-03-19 2019-05-21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屏障修复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9771350B (zh) * 2019-03-19 2021-09-28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屏障修复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6437B1 (ko)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748B1 (ko) 비타민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012B1 (ko)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37B1 (ko)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7A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9301A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20137907A (ko) 삼붕냐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