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35B1 -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35B1
KR100966835B1 KR1020080014848A KR20080014848A KR100966835B1 KR 100966835 B1 KR100966835 B1 KR 100966835B1 KR 1020080014848 A KR1020080014848 A KR 1020080014848A KR 20080014848 A KR20080014848 A KR 20080014848A KR 100966835 B1 KR100966835 B1 KR 100966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sewage
extract
black sesam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597A (ko
Inventor
장문식
강환열
김동원
문종국
조은주
전옥선
유근실
박송아
Original Assignee
장문식
강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식, 강환열 filed Critical 장문식
Priority to KR102008001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32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을 고체 발효 공정을 거치어 저온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생리활성 성분이 선택적으로 풍부하도록 하여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두피를 비롯한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깨끗하게 가꾸어주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감초, 승마, 상황버섯, 초음파, 화장료

Description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with the effect of whitening, anti-wrinkling and skin protection by ultraviolet ray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을 고체 발효하여 일반 열수 추출방법이 아닌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므로 추출 공정을 개선하여, 생리활성 성분이 일반 열수 추출에 의해 추출된 생리활성 성분보다 생리활성 물질이 선택적으로 풍부하여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며,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깨끗하게 가꾸어주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중의 단파장 자외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주로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이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 침착, 광독성, 광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은 홍반, 수포 유발을 비롯한 화상, 피부암, 색소 침착 및 피부 노화 현상 등을 일으키므로 이들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종래로부터 자외선을 막 아주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질이 있고,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는데,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중파장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자체가 화학합성물질이라 피부에 다른 부작용, 즉 자극,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도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 불투명하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쁘다고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극이 적고,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 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시 되어 왔으며,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또한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탐색과 효능 평가와 별도로 제조공정에 대한 검토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고함유 추출물을 생산하고자 하는 공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찾아볼 수가 없는 실정이다.
현재 천연물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추출 및 분리 공정으로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 효소적 방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추출 방법 중에서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법은 생 산성 및 품질 관리 측면에서 화학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화학적 추출 방법은 대부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특히 수 시간에서 수일이 소요되는 추출 조건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환경, 안전성, 시간 등의 측면에서 새로운 대체 공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천연물로부터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 내지 용매 추출방법에 의한 추출로부터 제한되어진 추출 효율 및 용매 사용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파 추출방법을 활용한 것이며, 이는 생약 추출물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상황버섯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의해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저온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므로 추출 공정을 개선하여 추출된 초음파 추출방법에 의한 추출물이 열수 추출방법 및 용매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과 비교시 탁월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며, 비흡광도가 크고,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으며,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을 제공하며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깨끗하게 가꾸어주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이루어진 식물 혼합물을 건조 과정을 거치거나 수분 5 중량% 이하의 생물로서의 혼합물을 80 내지 100℃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미생물 오염을 제거하는 단계와 각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용출되어 이용되기 쉽도록 화학적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후 섭씨 30 내지 60℃ 온도와 pH 5.5 내지 8.5에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을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여 고분자 물질을 생산한 후 살균 단계를 거치어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1차 정제한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섭씨 4도에서 분자량 10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물의 점도를 낮춘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결정한다.
이렇게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의 고체 발효에 사용된 바실러스속 균주의 특성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균주로서 카탈라아제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진다.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다. 또한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발효 추출물을 0.1 내지 2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고체 발효하여 추출 단계에서는 침지에 의한 추출이 가진 추출 효율을 개선한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어진 초음파 추출 방법은 분쇄, 혼합 및 추출 공정 등에서 빠른 반응 시간에 좋은 효율을 얻기 위하여 적용된 방법으로, 기존의 전통 추출 방법인 열수 추출 방법은 본 발명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 방법에 비해 추출 효율이 낮으며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한 많은 유용성분의 파괴와 손실, 단백질의 변이, 열에 대한 불안정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초음파 추출 방법은 추출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허브나 천연 한방원료에 적용시 많은 생리 활성 물질을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초음파 추출 방법에서 초음파는 소리(음파)이면서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말하며, 여기서 저온이라 함은 60℃ 이하를 나타내며, 또한 이 때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고온 또는 극저온 수준의 추출 온도를 회피 설계하여 불필요한 성분의 선택적 제거 및 유효 성분의 선택적 강화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용매의 부적절한 선택성에 따른 단점을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극복하였다. 즉, 추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조성 변화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초음파 추출 방법은 각종 유용성분의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에 의하여 식물 원료에 깊게 침투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 방법의 장점은 추출하고자 하는 원료에 따라 초음파 에너지 변화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하여 원료에 따라 추출 효율이 매우 높으며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변성 및 파괴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며, 생산 속도가 기존의 전통적 열수 추출 방법보다 빠르므로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하여 저비용 저에너지 사용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에 사용된 종류는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진흙버섯(Phellinus Ferruginosus),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vus),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가지진흙버섯(Phellinus Laevigatus), Phellinus Baumi 등이 있으며, 단일 원료로 사용하거나 이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원료는 각각 1 내지 20 중량%로 구성되어지며, 고체 발효 단계를 거치어 얻어진 고형분 기준 1 내지 10 중량%를 정제수 이외에 폴리올 또는 에탄올을 비롯한 각종 유기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용매 1 내지 50%에 1일 내지 5일간 바람직하게는 3일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저온의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폴리올, 에탄올 각각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10 내지 70 중량%, 정제수 10 내지 4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하여 상기 원료의 성질에 의해 구분되어 초음파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때 폴리올로서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에 1 내지 5배의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또는 정제수를 가하여 화장료 제조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상기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와 관련하여 기능이 미흡하게 나타나며, 5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최종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제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피 보호 및 피부 보호용으로서 유연화장수, 페이셜에센스(마스크), 영양로션, 영양크림, 선블록크림, 바디로션,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페이셜 에센스와 두피 보호용 영양 크림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혼합물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에 대해 각각의 식물 원료가 각각 중량 10%로 균일하게 구성되도록 혼합하여 80 내지 100도씨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위해 미생물 오염을 제어하여 각 식물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용출되어 이용되기 쉽도록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다음 단계로서 30 내지 60도씨 온도와 pH 5.5 내지 8.5에서 열처리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혼합물을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여 고분자 물질을 생산한 후 살균 단계를 거치어 유기용매로서 에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3시간 동안 25도씨에서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1차 정제한다. 이때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4도씨에서 분자량 10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물의 점도를 낮춘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혼합물의 고체 발효 후의 초음파추출 단계에서 초음파 발생기는 20 kHz에서 작동하는 고출력용을 사용하였으며, 고출력용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400, 1200, 2400, 4000 W/L의 출력을 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저출력용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시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약리 활성 성분의 추출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고출력용의 2400W/L의 출력을 적용하였다. 그 이유로서는 상기 3시간의 고출력 초음파를 처리하였을 때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수율이 1200 ~ 2400W/L의 출력에서는 순도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2400 W/L의 출력 이상에서는 추출 수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시간의 고출력 초음파를 처리하여 1200 ~ 2400W/L의 출력에서 가장 좋은 유효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효 수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할 때 적정 범위는 예비 실험의 범위 10, 20, 30, 50, 70, 100g/L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의 식물 혼합물/정제수 비율)에서 50g/L 범위가 넘어가면 유효 수율은 20g/L의 60% 수준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시 유효 범위는 20 내지 50g/L 가 가장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20g/L 미만으로 정제수를 사용시 추출 용매의 단위 부피당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혼합물 시료의 양을 너무 과다하게 첨가하는 형태가 되어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농축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의 혼합물 원료를 저온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2g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추출 전 무게(g) 추출 후 무게(g)
10.0 2.0
본 발명에 따르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황버섯과 같은 천연물에서 생리 활성 물질을 추출하고자 할 때 약간의 초음파를 가하게 되면 실온에서 수분간만 반응시키더라도 유기용매만을 이용하여 60에서 30분간 추출한 경우보다 추출 효과가 우수한 예비 결과를 얻은 바 있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보호 및 탄력 효과가 있는 페이셜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페이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으로는 60℃의 정제수에 정제수 부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와 40℃에서 용해한 보습탄력 성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와 30℃로 냉각해 기능성 미용성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를 최종적으로 여과 및 숙성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과 혼합하여 페이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부분 정제수 65.53
글리세린 7.0
디포타시움글리시리네이트 0.1
디소디움이디티에이 0.05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5
디프로필렌글리콜 3.0
보습탄력부분 메칠파라벤 0.1
에칠파라벤 0.1
초산토코페롤 0.02
스쿠알란 0.05
폴리옥시에칠렌 히드록시카스터오일 1.1
소디움피이에이 1.0
기능성소재부분 윗치하젤 엑기스 1.0
소디움 히아루로네이트 0.5
콜라겐 0.2
알로에 엑기스 0.2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20.0
합계 100.00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보호효과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영양 크림의 제조
정제수 부분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80℃로 가온 용해한 유상부분을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는 단계와 60℃에서 가온 용해한 증점제를 첨가 혼합하는 단계와 냉각하여 미용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30℃까지 냉각하여 탈포, 여과하는 단계와 50℃에서 숙성 제조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10 중량%가 되게 함유하도록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부분 정제수 52.36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6.0
산탄검 0.1
트리에탄올아민 0.7
메칠파라벤 0.2
페녹시에탄올 0.1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10.0
유상 성분 스쿠알란 8.0
세틸알콜 2.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스테아린산 1.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0.6
피이지-100 0.3
초산토코페롤 1.0
쉬이버터 1.0
프로필파라벤 0.1
오리자놀 0.1
비사보롤 0.2
디메치콘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8
증점제 카보머 0.24
정제수 2.4
미용 성분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1
인지질 1.0
프라센타엑기스 0.5
알로에엑기스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
사과 추출물 1.0
합계 100.00
상기 사용량과 관련하여 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항주름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5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최종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제한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의 피부 자극성 및 피부 보호 및 탄력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를 일정량(10m/5cm2)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cm2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한 성인 남녀 60명(남자 30명, 여자 3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를 일정량(10m/5cm2)씩 도포한 실험군과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고 실시예 2를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후 피부 탄력성을 지름 10mm 테두리로 구성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약 5뉴튼의 힘을 주어 자국이 사라지는 시간을 재어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간별로 약 20% 수준으로 실험군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의 사용에 의해 피부 탄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cm2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영양 크림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한 성인 남녀 60명(남자 30명, 여자 3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한 실험군과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고 실시예 3를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후 피부 탄력성을 지름 10mm 테두리로 구성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약 5뉴튼의 힘을 주어 자국이 사라지는 시간을 재어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간별로 약 17% 수준으로 실험군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사용에 의해 피부 탄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의 피부 안정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24시간 후(n=30) 48시간 후(n=30) 비고
페이셜 에센스 0/30 0/3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영양 크림 0/30 0/30
실험예 4 :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노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No.J.K., et al.;Life Science, 65, p241-246, 1999).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0.3 mg/㎖ 티로신 용액을 1 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6.8) 1㎖ 및 추출물의 농도별 시료(0.06, 0.13, 0.25, 0.5, 1.0, 2.0(%, V/V)) 0.9㎖ 을 넣은 뒤, 25℃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때 대조군으로 각 시료 대신 용매만을 0.9㎖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 Unit/의 티로시나제 효소 0.1㎖씩을 넣고 다시 25℃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 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시료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효과
활성 산소에 의한 피부 노화 과정은 지질 과산화, DNA 산화, 멜라닌 생성, 결합조직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 결합들을 포함한다. 이들 반응들은 거의 대부분 라디칼 반응으로서 자동산화반응 과정이 포함된다. 생체 내에서 자동산화반응을 차단시키는 역할은 항산화제가 담당하고 있다. 전자를 주는 능력으로서 환원력이 클수록 강한 항산화제가 된다.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시약으로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가 있다.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안정화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한다. 517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며 환원되면 517nm에서 흡수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 SC50)으로 표시하며 SC50은 DPPH의 농도가 50% 감소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추출물의 DPPH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를 각각 0.2, 0.4, 0.8, 1.7, 3.3, 6.7(%, V/V)에서 테스트하였을 때 농도에 비례하게 DPPH 소거능력이 증가하는 형태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은 잔틴/잔틴 옥시다아제 (xa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발생계를 이용한 Nor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잔틴/잔틴 옥시다아제(xa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으로 인한 NBT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0.05 M 탄산나트륨(Na2CO3), 3 mM 잔틴(xanthine), 3 mM EDTA, 0.15% BSA, 0.75 M NBT 및 시료를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한 후, 잔틴 옥시다아제(xanthine oxidase)를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6 mM 염화구리(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슈퍼록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소거활성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 [1-(A-B)/(C-B)] × 100
A : Absorbance of sample at 560 nm
B : Absorbance of blank at 560 nm
C : Absorbance of control at 560 nm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2, 0.3, 1.7, 3.3(%, V/V)에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이 비례하게 증가하였다.
실험예 7 :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에 의한 항주름 효과
피부 주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 즉 콜라겐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은 감소되며, 분해도는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MMP (matrix metalloproteinase)가 발현되고, 이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이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반응구로서 0.05M tricine buffer(pH7.5) 0.8㎕에, 0.2mM 농도의 FALGPA을 녹인 기질액 0.05㎕ 및 시료용액을 농도별로 0.05㎕ 첨가하고, 여기에 콜라게나아제(3mg/ml) 0.05㎖을 첨가하여 20 ℃ 에서 18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1N 아세테이트 10㎕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흡광도324nm에서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고체 발효를 통하여 저온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 초음파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 및 용매 추출과 비교시 탁월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며, 비흡광도가 크며,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고,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5)

  1.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된 식물 추출물에서, 각각의 원료는 1 내지 20 중량%로 구성되어지어 식물 추출물을 구성하며, 건조 과정을 거치거나 수분 5 중량% 이하의 생물로서의 혼합물을 80 내지 100℃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미생물 오염을 제거하는 단계와 섭씨 30 내지 60℃ 온도와 pH 5.5 내지 8.5에서 상기 열처리된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고체 발효하여 고분자 물질을 생산한 후 제균 단계를 거치어 유기용매로서 에탄올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3시간 동안 25도씨에서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된 고체 발효에 사용된 바실러스속 균주의 특성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균주로서 카탈라아제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지며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며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이 20 kHz에서 1200 ~ 2400W/L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2 내지 10 중량%가 되게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4848A 2008-02-19 2008-02-19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6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848A KR100966835B1 (ko) 2008-02-19 2008-02-19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848A KR100966835B1 (ko) 2008-02-19 2008-02-19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97A KR20090089597A (ko) 2009-08-24
KR100966835B1 true KR100966835B1 (ko) 2010-06-29

Family

ID=4120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848A KR100966835B1 (ko) 2008-02-19 2008-02-19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3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56B1 (ko) 2011-04-18 2013-03-26 상황미인(주)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375137B1 (ko) 2012-07-05 2014-03-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1671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콧데 항염 활성이 향상한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38550A (ko) * 2019-05-31 2020-12-10 (주)에코파낙스 고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58B1 (ko) 2020-05-12 2021-01-08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6901A (ko) * 2020-10-08 2022-04-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9550B1 (ko) 2022-09-22 2022-11-22 주식회사 올바른 자외선 차단과 미백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359B1 (ko) * 2010-11-23 2013-06-20 서범구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KR101437059B1 (ko) * 2014-02-20 2014-09-02 박양수 피부 미백효과가 있는 상황버섯과 천연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43552B1 (ko) 2016-06-03 2023-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9B1 (ko) 2016-06-03 2023-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9980050697A (ko) * 1996-12-21 1998-09-15 임병철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030039389A (ko) * 2001-11-12 2003-05-22 정춘자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제조방법
KR20070036224A (ko) * 2005-09-29 2007-04-03 에스피엘메디코스(주)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9980050697A (ko) * 1996-12-21 1998-09-15 임병철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030039389A (ko) * 2001-11-12 2003-05-22 정춘자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제조방법
KR20070036224A (ko) * 2005-09-29 2007-04-03 에스피엘메디코스(주)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56B1 (ko) 2011-04-18 2013-03-26 상황미인(주)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375137B1 (ko) 2012-07-05 2014-03-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1671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콧데 항염 활성이 향상한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38550A (ko) * 2019-05-31 2020-12-10 (주)에코파낙스 고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021B1 (ko) 2019-05-31 2021-03-08 (주)에코파낙스 고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58B1 (ko) 2020-05-12 2021-01-08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6901A (ko) * 2020-10-08 2022-04-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1490B1 (ko) 2020-10-08 2022-05-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9550B1 (ko) 2022-09-22 2022-11-22 주식회사 올바른 자외선 차단과 미백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6421B1 (ko) * 2023-09-13 2024-04-11 주식회사 크리네이처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97A (ko) 200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835B1 (ko)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1001B1 (ko)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컴플렉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31996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4156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77126B1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55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2358319B1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JP2001181129A (ja)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KR100580858B1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월귤나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20032690A (ko) 면역 효과에 의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