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319B1 -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19B1
KR102358319B1 KR1020190165684A KR20190165684A KR102358319B1 KR 102358319 B1 KR102358319 B1 KR 102358319B1 KR 1020190165684 A KR1020190165684 A KR 1020190165684A KR 20190165684 A KR20190165684 A KR 20190165684A KR 102358319 B1 KR102358319 B1 KR 10235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ulpi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699A (ko
Inventor
김진우
김송이
홍지우
김혜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어 자외선 차단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hestnut inner skin ex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중 대기 오염 등에 의해 오존층의 파괴가 심각해져 인체가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될 위험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장파장 자외선(320∼400 nm, 이하 UVA), 중파장 자외선(280∼320 nm, 이하 UVB), 단파장 자외선(200∼280nm, 이하 UVC)으로 분류된다. 이중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은 UVB는 진피의 상부층까지 도달해 화상이나 홍반을 일으키며, 더 진행되면 멜라닌 색소 형성과 함께 색소 침착을 일으킨다. 손상된 피부 표피의 각질형성세포는 수복되어 각화이상을 일으키고, 각질층 중의 수분감소와 함께 피부가 거칠어지게 되며, 만성적인 UVB 노출은 피부주름 및 피부암을 유발한다. 또한, UVA 역시 색소를 침착시키고 장시간 노출 시 광노화 및 암을 유발시키고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피부조직을 손상시킨다. UVB는 UVA에 비해 태양광의 적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UVA에 비해 1000배 이상의 일광화상을 일으키고, 유전독성이 강하다.
이러한 자외선에 피부가 과량 노출되는 경우, 활성산소의 생성이 촉진되어 체내 항산화물질이 고갈되고, 멜라닌 생성의 자동산화 반응이 가속화된다. 즉, 과량의 활성산소는 각질형성세포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을 분비시키고 신호전달 경로에서 DNA 손상 및 활성화에 관련하여 멜라닌 세포에 직ㅇ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멜라닌 세포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기능저하를 야기하며, 특히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은 피부 흑화, 흑피증 등의 피부질환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 보호 제품 시장에서 일반 대중의 관심은 상당히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UVB 자외선 차단지수) 및 PA(UVA 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전 세계 밤(chestnut) 생산량의 약 22%를 생산하는 최대 생산국이지만, 산림청(Korea forest service, 2014)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밤 생산은 농촌 인구감소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2013년 64,184톤으로 최대 생산을 보인 이후, 2017년 53,042 톤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충남의 밤 생산비율은 전국의 40.9%이며 전년 대비 16.6%가 증가하여 전국의 밤 생산 감소에도 충남의 밤 생산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상기 밤은 조단백질 6.6%, 조섬유 2.3%, 조회분 1.7%, 조지방 0.9% 및 여러 가지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밤의 부산물인 율피는 버려지지 않고 현재 차, 화장품, 사료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율피는 중금속 흡착률이 높아 생물흡착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염료, 반추가축용 사료 등 율피의 기능성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율피를 이용하여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화장품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12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2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율피 추출물은 율피와 추출용매를 1 : 10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5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20 내지 80분 동안 처리되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에테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 시 추출온도는 50 내지 9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A 및 UVB에 대한 흡수율이 높아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며, 이에 따라 티로시나제 저해능 및 콜라게나제 저해능이 우수하고 항산화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율피는 밤의 과육으로부터 외피를 제거하여 과육의 표면에 보존된 것으로서 밤의 속껍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율피는 다수의 페놀성 수산기를 지닌 축합형 탄닌이 25%의 함유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율피 추출물은 추출용매 하에서 초음파처리를 통해 추출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율피와 추출용매가 1 :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20 내지 50 kHz,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5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하에서 20 내지 80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분 동안 처리된다.
상기 율피를 추출 시 초음파 추출이 아니라 열수 추출 또는 마이크로파 추출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율피와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율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기의 진동수 및 파워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율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을 유발하여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에테르를 들 수 있지만,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아세톤,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메탄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외에 건강기능식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율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율피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율피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율피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율피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율피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사용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율피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안료 및 천연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미스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자외선 차단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마스크팩,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아세톤 추출
율피는 충남 부여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율피를 60 ℃의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된 율피와 아세톤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초음파기(JAC Ultrasinic, Hwaseng, Korea)에 투입 후 초음파(40 kHz, 200 W)를 이용하여 70 ℃에서 60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시 튜브의 바닥면이 초음파 수조바닥에 닿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랙(stainless rack)에 튜브를 고정시켜 추출을 진행하였다.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율피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메탄올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율피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메탄올을 사용하여 율피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에탄올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율피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율피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증류수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율피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중류수를 사용하여 율피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세포독성 측정
세포독성은 Moseman의 방법(Moseman T., J. Immuno. Methods, 65, 55 (1983)) 및 Skaper 등의 방법(Skaper S.D., et al., Cell Culture, 2, 17-33 (1990))을 이용한 MTT((3-4,5-디메틸티아졸-2릴)-2,5-디페닐-2H-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 HS68를 96 웰 플레이트에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지 12시간 후, MTT 5 mg/mL 용액을 각 웰에 처리한 후에 37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DMSO를 넣어 형성된 포마르잔 크리스탈을 녹여서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측정하였다. 세포에 대한 독성은 대조구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섬유아세포에서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 20, 50 μg/mL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인 DMSO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세포증식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여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구분 농도(㎍/㎖)
0 1 20 50
실시예 1 93.1 93.0 92.1 90.5
실시예 2 93.0 93.1 91.8 90.8
실시예 3 93.4 93.2 92.1 91.4
비교예 1 94.5 94.6 92.8 92.5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율피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율피 추출물 모두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자외선 흡수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UV-A, UV-B, UV-C 파장을 모두 포함하는 180 내지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1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2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3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4
아세톤 흡광도 무수 메탄올 흡광도 무수 에탄올 흡광도 증류수 흡광도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5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6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7
Figure 112019128575440-pat00008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율피 추출물은 자외선 흡수능이 비교예 1의 율피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추출물이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에 비해서도 자외선 흡수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UVA 보다는 UVB의 흡수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콜라게나제(Collagenase) 억제 효과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억제 효과 측정
3-1. 콜라게나제 저해능(%): 자외선에 의해 콜라겐(교원질)분해효소와 같은 MMP의 발현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면서 콜라겐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 피부의 탄력감소와 주름이 나타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콜라게나제 저해활성 실험은 피부의 지지역할을 하는 콜라겐을 가수분해하는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피부노화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에 필요한 buffer는 1 M Tris (hydroxylmetyl)Aminomethane와 4 mM CaCl2 (Calcium chloride), 1 M HCl을 이용하여 PH 7.5로 제조하였고 buffer로 4-phenyl 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와 collagenase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료 0.05 mL에 4-phenyl 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를 첨가한 후 collagenase와 혼합하여 water bath에서 37 ℃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는 20% citric acid 0.25 mL을 넣어 collagenase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 acetate 1.2 mL을 첨가하여 shaker에 1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에는 상등액만 32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를 이용하였다.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저해활성(%)=[1-(A/B)ㅧ100]
A : Collagenase activity with sample, B : Collagenase activity without sample
3-2. 티로시나제 저해능(%): Tyrosinase는 피부의 표피 기저층에서 tyrosine을 산화시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소로서 피부 미백과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tyrosinase의 활성 억제가 요구된다. 실험을 위해 sodium phosphate monobasic anhydrous와 sod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을 이용하여 PH 6.8의 67 mM sodium phosphate buffer를 제조하였고 10 mM 3,4-dihydroxy phenylanin(I-dopa)과 mushroom tyrosinase(125 unit)는 buffer에 녹여 제조하였다. 최종 용액의 양이 1 mL가 되도록 시료용액 0.2 mL에 67 mM sodium phosphate buffer와 10 mM 3,4-dihydroxy phenylanin(I-dopa), mushroom tyrosinase를 혼합하여 water bath에 25 ℃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는 dopachrome를 475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kojic acid를 사용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저해활성(%)=[1-(A/B)ㅧ100]
A : Tyrosinase activity with sample, B : Tyrosinase activity without sample
구분 타로시나제 억제능(%) 콜라게나제 억제능(%)
실시예 1 74.1±2.06 87.4±2.01
실시예 2 71.5±1.37 83.6±1.88
실시예 3 70.6±1.77 82.2±1.97
비교예 1 60.1±1.64 71.3±1.71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율피 추출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 및 콜라게나제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율피 추출물은 다른 군에 비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 및 콜라게나제 저해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Aldric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는 Lee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라디칼이 항산화 물질로 인하여 환원되면 고유의 보라색을 잃고 노란색으로 변색되는데 이를 흡광도로 계산하여 라디칼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 시약을 MtOH로 희석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517 nm에서 O.D 값을 1.0로 맞춰 DPPH 희석액을 준비한다. 준비한 시료 0.25 ml에 희석한 DPPH 시약 1.25 ml를 가하여 암실에서 20분간 정치반응 후 원심분리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CAS 50-81-7, Sigma, USA)를 이용하였다.
[수학식 3]
라디칼 소거활성(%)={1-(Abs(test)-Abs(color))/Abs(control)}X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항산화능
(%)
78.3±1.69 74.1±1.48 72.9±1.54 69.4±1.10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율피 추출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율피 추출물은 다른 군에 비하여 항산화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를 제시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화장수
실시예 1의 로스팅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화장수의 제조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5.0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라이콜 3.0
피이지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폴리소르베이트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2: 로션
실시예 1의 로스팅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로션의 제조예는 하기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너트오일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3: 영양 크림
실시예 1의 로스팅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조예는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세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4: 에센스
실시예 1의 로스팅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조예는 하기 표 8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5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5: 마스크 팩용 유액
실시예 1의 로스팅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마스크 팩용 유액의 제조예는 하기 표 9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마이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5)

  1. 율피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율피 추출물은 율피와 아세톤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70 ℃ 하에서 40 kHz의 진동수 및 2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60분 동안 처리되어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5684A 2019-12-12 2019-12-12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84A KR102358319B1 (ko) 2019-12-12 2019-12-12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84A KR102358319B1 (ko) 2019-12-12 2019-12-12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99A KR20210074699A (ko) 2021-06-22
KR102358319B1 true KR102358319B1 (ko) 2022-02-04

Family

ID=7660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84A KR102358319B1 (ko) 2019-12-12 2019-12-12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63B1 (ko) * 2021-10-13 2024-01-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율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주름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476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 サティス製薬 栗皮抽出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03B1 (ko) 2014-09-11 2016-09-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말채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2018-10-08 2019-05-1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476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 サティス製薬 栗皮抽出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99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892057A (ja)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58319B1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8758B1 (ko) 미백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9204B1 (ko) 흑마늘대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058059A (ko)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20220018309A (ko) 괭생이모자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9963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율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주름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101894433B1 (ko)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