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996B1 -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996B1
KR101531996B1 KR1020140148119A KR20140148119A KR101531996B1 KR 101531996 B1 KR101531996 B1 KR 101531996B1 KR 1020140148119 A KR1020140148119 A KR 1020140148119A KR 20140148119 A KR20140148119 A KR 20140148119A KR 101531996 B1 KR101531996 B1 KR 10153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fermented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미례
김도연
김영수
최재호
박종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금산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금산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4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마치현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 황국균(黃麴菌/Aspergillus oryzae),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 메주균(황곡균/황균/Nattobacillus), 고초균(枯草菌/Bacillus), 젖산균(乳酸菌/Lactic Acid Bacteria), 효모균(酵母菌/Yeast) 및 방선균(放線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로 1차 발효 및 2차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COSMETICS COMPRISING FERMENTED MATERIALS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마치현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 황국균(黃麴菌/Aspergillus oryzae),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 메주균(황곡균/황균/Nattobacillus), 고초균(枯草菌/Bacillus), 젖산균(乳酸菌/Lactic Acid Bacteria), 효모균(酵母菌/Yeast) 및 방선균(放線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로 1차 발효 및 2차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대기가 오염되고, 오존층이 심하게 파괴됨에 따라 지표면에 강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현대인들의 피부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작되어 피부가 검게 변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유발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색소 침작의 예방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피부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피부의 자극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종 천연 식물 또는 한약재들을 소재로 한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멜라닌 색소 침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인 멜라닌은 인체 표피층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는 색소 세포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을 시발 물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의해 산화된 후 비효소적 반응 및 자동 산화 과정을 거쳐 단백질 또는 그 구성 아미노산과 중합 반응으로 멜라닌이 합성된다.
이때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의 색을 검게 하는 것이다.
미백 효과를 찾아내는 방안으로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란,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거나,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말한다.
현재는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한 화장품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화장품의 성분은 크게 물,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색소, 효능원료, 착향제, 보존제, 점증제 또는 보습제 등의 9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물은 보통 화장품 성분 표시의 '정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품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유성원료는 피부의 수분손실을 조절하며 흡수력을 좋게 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오일류, 왁스류, 고급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실리콘류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는 두 물질의 경계면에 흡착해 성질을 변화시키는 물질로,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제와 소량의 기름을 물에 잘 녹게 하는 가용화제, 고체 입자를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제, 그 외 습윤제, 기포제, 소포제, 세정제 등이 있다.
보습제는 건조하고 각질이 일어난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성분으로 흡수성이 높은 수용성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솔비톨, 히알론산나트륨 등이 있다.
점증제는 점도를 유지하거나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며, 보습제, 계면활성제로서 일부 이용한다. 대표성분으로 구아검,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벤토나이트 등이 있다.
색소는 파운데이션이나 아이섀도처럼 제품의 색깔을 내는 성분으로 타르색소, 천연색소, 무기안료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보존제는 화장품을 개봉한 후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보존제는 총 60종으로 사용한도가 정해져 있다. 대표성분으로는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페노닙 등이 있다.
착향제는 향을 내는 성분으로, 무향료란 제품에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원료 자체의 향이 날 수 있다.
효능원료는 미백, 주름개선, 탄력감을 올리는 등의 특정 기능을 하는 효능성분이다.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최대한 효능을 낼 수 있는 적정량을 사용하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감독하고 있다.
위와 같이 화장품에는 다양한 화학성분들이 함유되므로, 화학성분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화장품에 함유된 일부 계면활성제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여러 보고서를 통해 제기되었으며, 실제로 일부 성분이 피부염을 포함한 피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파라벤은 피부 자극과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물실험에서 약한 에스트로겐 유사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합성향료는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포함되어 있음이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화장품은 식품과 같이 직접적으로 몸에 들어가서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와 호흡을 통해 흡수되므로 건강상에 심각한 위해를 일으키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최근 화장품의 사용연령이 낮아지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반복적인 노출과 많은 사용으로 인해 화장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천연 소재는 기능성을 보유하면서도 기존의 화학성분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서 천연 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발효 소재를 함유한 발효 화장품은 천연 소재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물질에서 착안해 개발된 것으로, 소재가 발효되어 새로운 유효성분이 생성됨과 동시에, 분자구조가 작아져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한다.
각종 화장품 성분에 발효기법을 도입해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음은 물론 발효 화장품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동향에 따라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건강을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재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뽕잎은 뽕나무(Morus alba L.)의 잎으로, 뽕잎을 말린 약재를 상엽(桑葉)이라고 한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뽕잎에는 글루타민,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티로신, 세린, 글루타치온, 미네랄, 식이섬유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효능으로는 혈관을 강화시켜주고 혈압을 안정시켜주며, 혈액 정화 작용, 중금속 제거 및 노화 억제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열, 두통, 안구충혈, 해수, 구갈, 피부 두드러기 등에 쓰이며, 약리작용으로 항당뇨 작용이 보고되었다.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은, 쌍떡잎식물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1m 내외이고, 꽃 색깔에 따라 백작약 또는 적작약으로 나누기도 한다.
작약에는 아스파라긴산과 안식향산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두통이나 치통을 가라앉혀준다. 또한 체내의 어혈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를 맑게 해주고 여성질환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작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면서 위장을 이완시켜 위경련이나 위궤양을 완화하고, 신경통 또는 복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두충(杜仲)은, 두충나무과의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의 나무껍질을 말린 약재이다.
다른 명칭으로는, 두중(杜仲), 사중(思仲), 사선(思仙), 목면(木棉), 석사선(石思仙), 사운피(絲運皮)등이 있으며, 맛은 달고 매우며, 따듯한 성질이 있다.
간신(肝腎)기능 부족으로 인한 요통, 무릎통, 몸이 차서 생기는 양위(陽萎), 하복냉감, 소변 자주 보는 증, 태동불안, 자궁출혈 등을 치료하고,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하, 항노화, 콜레스테롤강하, 항염, 진정, 진통, 면역 조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연잎은, 쌍떡잎식물의 미나리아재비목 연(Nelumbo nucifera)의 잎을 말하며, 하엽(荷葉)이라고도 한다.
연잎에는 비타민, 식이섬유소, 미네랄,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물질인 퀘르세틴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연잎은, 혈압강하, 항산화 작용으로 인한 노화 억제 또는 성인병 예방, 어지럼증 완화 또는 피부 미용 등에 효능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7614호 '제비꽃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비꽃을 설탕으로 6개월 정도 발효숙성시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과는 달리 설탕으로 발효시키며, 발효 과정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없어 발효물의 안전성에 대해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579호에는 탱자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는 반으로 자른 탱자와 물엿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물 중 맑은 액만을 걸러낸 후 미세한 황토분말과 혼합하여 제조한 피부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한 소재만을 사용하여, 효력이 한정되어 있으며, 독성물질 제거 작업을 1~2년간 실시해야 하므로 제작 기간이 비교적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효를 통해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면서도, 미백 효능을 보유하는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7614호 (2012.01.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579호 (2011.06.2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마치현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 황국균(黃麴菌/Aspergillus oryzae),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 메주균(황곡균/황균/Nattobacillus), 고초균(枯草菌/Bacillus), 젖산균(乳酸菌/Lactic Acid Bacteria), 효모균(酵母菌/Yeast) 및 방선균(放線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로 1차 발효 및 2차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마치현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 황국균(黃麴菌/Aspergillus oryzae),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 메주균(황곡균/황균/Nattobacillus), 고초균(枯草菌/Bacillus), 젖산균(乳酸菌/Lactic Acid Bacteria), 효모균(酵母菌/Yeast) 및 방선균(放線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로 1차 발효 및 2차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적은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피부 미백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1차 발효 및 2차 발효 과정을 통해 천연물 성분이 분해되어, 피부에 유효성분의 흡수가 용이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천연물 추출물 처리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소재별 발효에 따른 조성물의 티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와 참고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치현 추출물, 홍삼 추출물 및 허브 추추물이 포함되며, 그밖에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습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및 향료 등이 사용되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화장용물티슈,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물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성분 및 제조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에 함유되는 발효 조성물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발효 조성물은 참조예 1 또는 참조예 2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참조예 1.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1) 멸균단계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을 세척한 후 멸균한다.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은 어떠한 전처리를 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 또는 분쇄 등의 전처리를 가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절단 또는 분쇄 등의 전처리 방법 또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어떠한 전처리도 가하지 않은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을 사용할 수 있다.
멸균 방법으로는 크게 열, 자외선, 방사선 또는 고주파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과 약액 또는 가스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있으며,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멸균하는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2) 1차 발효단계
상기 멸균 단계를 거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에 발효 균주를 첨가하고 1차 발효시킨다. 발효 균주에 의해 발효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은 약용성분의 추출률이 증가하며, 피부에 흡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발효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복잡한 유기화합물이 분해되어 간단한 유기물로 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이때 사용되는 균주로, 누룩균(Aspergillus, Rhizopus),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 메주균(황곡균/황균/Nattobacillus), 고초균(Bacillus),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 효모균(Yeast) 또는 방선균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누룩균(Aspergillus, Rhizopus) 또는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을 각각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효는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이 각각 수행될 수 있으며,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을 혼합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을 각각 발효시킬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과 발효 균주의 중량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발효 균주의 첨가량은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1차 발효 시 온도 및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20 ~ 70℃에서 1 ~ 10일 동안 1차 발효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균주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효 균주의 배양에 적합한 조건이면 충분하다.
(3) 2차 발효단계
1차 발효 단계를 거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을 2차 발효시킨다.
2차 발효 시 사용되는 발효 균주, 온도 및 기간은 상기 1차 발효 단계의 설계 조건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1차 발효 시 백국균을 사용하고, 2차 발효 시 누룩균을 사용할 수 있다.
(4) 추출단계
1차 및 2차 발효 단계를 거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을 건조하고 혼합하여 열수 추출시킨다.
건조 방법에는 자연 건조, 열풍 건조, 저온 건조, 동결 건조, 원적외선 건조, 일광 건조, 진공 건조, 폴리에틸렌 하우스(polyethylene (PE) house)건조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연 건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수분이 제거될 정도면 충분하다.
이때, 건조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은 분말기 (powder machine)를 이용하여 분말화된 후, 사용될 수도 있다.
건조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을 혼합하여 열수 추출시켜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중량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이 0.5~1.5 : 0.5~1.5 : 0.5~1.5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에는 열수 추출법,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수 추출의 온도 및 시간은 상기 발효물의 상태에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12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열수 추출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 발효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 유효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열수 추출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발효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파괴되어 그 효능들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5) 여과 및 농축단계
상기 혼합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시킨다.
여과 방법에는 상압 여과, 흡인 여과, 감압 여과, 한외 여과, 정밀 여과 및 역삼투압 여과 등이 있으며,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과 시간, 온도 및 횟수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과는 상기 나열한 방법 또는 그 외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도 있다.
정밀 여과 또는 한외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할 시 바람직하게는 여과막 구멍 크기가 3 u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농축 방법에는 냉동 농축, 감압 농축, 막 농축, 진공 농축, 가열 농축 및 증발 농축 등이 있으며,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압 농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농축 방법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농축 온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50℃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농축 시간 및 횟수 역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참조예 2.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1) 발효소재 멸균 단계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2) 1차 발효 단계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3) 숙성 단계
1차 발효 단계를 거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을 각각 숙성시킨다.
설계 조건에 따라 숙성 시 온도 및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15 ~ 35℃에서 10 ~ 90일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숙성 단계는 1차 발효 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차 발효 및 2차 발효 단계를 모두 거친 후에 숙성 단계가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4) 2차 발효 단계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5) 초음파 파쇄 및 추출 단계
2차 발효 단계를 거친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을 초음파 파쇄한다.
초음파 파쇄 시간은 15 ~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초음파 파쇄기는 초음파 특유의 공동 효과(cavitation)로 인하여 분자운동을 유발시키며, 상기 분자 운동이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하여 추출, 농축 등의 공정 수행시 반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단백질 생산 공정에도 도입되어 온 기기로써, 초음파파쇄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파쇄하면 시료 내에 함유된 단백질의 생성률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 파쇄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뽕잎, 작약, 두충 및 연잎의 발효물에 초음파 파쇄를 수행한다.
초음파 파쇄 후 추출은,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6) 여과 및 농축 단계
참조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참조예 3. 발효 조성물의 기능성 효과
3-1. 세포 생존율 측정
1) 실험 과정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함으로써, 천연물 추출물의 독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MTT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함유된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에 의해 MTT가 포르마잔(formazan)으로 전환되는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구할 수 있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RAW 264.7 cell이며, 10 % FBS, penicillin (100 U/ml) 및 streptomycin (100 ug/ml)을 첨가한 DMEM (high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① 96-well plate를 6개 준비하여 각 plate에 상기 배지를 주입하고 RAW 264.7 cell을 5×104 cell/well이 되도록 100 uL 접종한 후, 5% CO2 ,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개의 plate 중 1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다른 plate와 분리하였다.
② 배양된 배지 plate 중에서 대조군으로 설정된 plate를 제외한 5개의 plate에 천연물 추출물(200 ㎍/㎖)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③ MTT solution을 모든 well에 15 μL씩 첨가하고 37℃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④ 4시간 후 solubilizing solution 을 넣고,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밀봉하여 37℃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570 nm와 630 nm를 각각 test, reference wavelength로 하여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ynamics, 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⑤ 대조군과 실험군의 O.D.를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112014103980921-pat00001
2) 실험 결과
도 1은 천연물 추출물 처리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천연물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비슷하거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임으로써,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 미백 효능
tyrosinase는 tyrosine 같은 페놀의 산화를 촉매 하는 효소이다. 아미노산인 tyrosine은 tyrosinase에 의하여 산화되어 3-4-dioxyphenylalanine(DOPA)를 거쳐 L-DOPA-quinone이 된다. L-DOPA-quinone은 5, 6-quinone-indole-2-carboxylic acid를 형성하며, 이것이 다시 산화 중합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피부 세포 등에서 흑갈색의 melanin을 형성한다.
본 실험예에서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티로시네이즈(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발효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다.
1) 실험 과정
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은 dopachrome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되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well plate를 33개 준비하여 각 plate에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100 uL을 주입하고, 여기에서 1개의 plate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분리하였다.
나머지 32개의 plate에, 1 mg/ml로 희석한 각 소재의 천연물추출액, 백국으로 발효시킨 발효물추출액, 누룩으로 발효시킨 발효물추출액 및 백국과 누룩의 복합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추출액을 각각 20 ㎕씩 첨가하였다.
②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 에 녹인 1.5 mM L-DOPA 40 ul를 첨가하여 37 ℃에서 3분간 전반응시켰다.
③ 110 unit/ml tyrosinase 40 ㎕와 혼합하여 37 ℃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반응물은 490 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대조군 plate와 실험군 plate의 O.D.를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112014103980921-pat00002
여기서, AA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물의 흡광도이며, AB는 추출물과 tyrosinase 반응물의 흡광도이고, AC는 추출물과 tyrosinase, L-DOPA 혼합 반응물의 흡광도이며, AD는 tyrosinase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물의 흡광도이다.
2) 실험 결과
도 2는 소재별 발효에 따른 조성물의 티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 결과, 발효하지 않은 군(RAW)에 비해 백국, 누룩 또는 백국+누룩의 복합발효군에서 대체로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뽕잎과 연잎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충에서는 백국+누룩의 복합발효군이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하지 않은 군(RAW)에 비해 발효소재가 대체로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이므로, 발효하지 않은 소재보다 발효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피부에서의 미백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3-3. 추출물의 수율 측정
참조예 1 및 2에 따른 발효 조성물의 수율을 계산함으로써, 제조 방법에 따른 추출 효율을 알아보았다.
1) 실험 준비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참조예 1 및 2에 따른 추출물 및 비교예로써 발효하지 않고 식물소재를 바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2) 실험 과정
각 추출물을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건조한 뒤에 분말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율을 계산하였다.
수율은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112014103980921-pat00003
3) 실험 결과
표 1은 제조 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참조예 1 참조예 2 비교예
수율(%. w/w) 11.34 17.81 7.07
실험 결과, 참조예 1에 따른 추출물은 수율이 11.34%, 참조예 2에 따른 추출물은 17.81%, 비교예로 실시한 추출물은 7.0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즉, 1차 발효와 2차 발효 사이에 숙성단계를 거치고, 초음파 파쇄 후 추출함으로써, 소재의 추출 수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정리하여 보면,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이 미백 효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역시 상기 효능을 보유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화장용물티슈,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의 제조예를 들어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성분 및 제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예 1.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로션
1) 정제수(Water aqua) 60~70 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04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05~0.15 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4~0.06 중량부, 아데노신(Adenosine) 0.03~0.0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5~2.5 중량부,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1.5~2.5 중량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2~4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e) 0.1~7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시킨다.
2) 상기 용해된 1) 용액에 카보머(Carbomer) 0.01~0.15 중량부 및 잔탄검(Xanthan Gum)이 0.01~0.1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 후 분산시킨다.
카보머는 유화안정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며, 첨가되는 양에 따라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세토스테아릴 알콜(Cetostearyl Alcohol) 0.60~1.00 중량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rarate SE) 1.00~1.40 중량부, 글레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rarate) 0.5~1.5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0.5~1.0 중량부, 비즈왁스(Beeswax) 0.3~0.7 중량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3~0.7 중량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5~7 중량부, 마카다미아씨 오일(Macadamia Integrifolis Seed) 2~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ic Triglyceride) 1~3 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3~0.07 중량부 및 디메틸 실리콘 오일(Dimethyl Silicone Oil) 0.20~0.60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 후 상기 2)에 투입한다.
4) 투입 후 호모믹서로 3,000 rpm으로 5~20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킨다.
5) 정제수(Water aqua) 3~7 중량부 및 트리에탄올아마이드(Triethanolamide) 0.10~0.15 중량부를 투입한다.
6) 혼합물을 35~45℃까지 냉각한 후,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20~0.60 중량부 투입한다.
7) 30~40℃에서 발효 조성물 0.1~5 중량, 허브 추출물 0.01~0.05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0.001~0.02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1 중량부, 향료 0.03~0.07 중량부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0.5~1.5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화장품을 완성한다.
이때 허브 추출물은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스위스 알파인 허브 추출물(Swiss Alpine Herb Extract)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화장품은 냉각, 숙성 후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2.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토너
1) 정제수(Water aqua) 70~80 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04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05~0.15 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4~0.06 중량부, 아데노신(Adenosine) 0.03~0.0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5~2.5 중량부,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1.5~2.5 중량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2~4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e) 0.1~7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시킨다.
2) 상기 용해된 1) 용액에 카보머(Carbomer) 0.01~0.1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 후 분산시킨다.
카보머는 유화안정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며, 첨가되는 양에 따라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상기 2)에 정제수(Water aqua) 3~7 중량부 및 트리에탄올아마이드(Triethanolamide) 0.10~0.1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다.
4) 상기 3)에 메틸페닐 폴리시록산(Methyl Phenyl Polisiloxane) 0.30~0.70 중량부 및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0.1~0.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다.
5) 상기 4)에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20~0.60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한다.
6) 상기 5)에 발효 조성물 0.1~5 중량, 허브 추출물 0.01~0.05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0.001~0.02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1 중량부, 향료 0.01~0.05 중량부 및 에탄올(Ethanol) 5~7 중량부를 투입한 후, 혼합하여 화장품을 완성한다.
이때 허브 추출물은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스위스 알파인 허브 추출물(Swiss Alpine Herb Extract)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화장품은 냉각, 숙성 후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3.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1) 정제수(Water aqua) 60~70 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04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05~0.15 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4~0.06 중량부, 아데노신(Adenosine) 0.03~0.0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5~2.5 중량부,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1.5~2.5 중량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1~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 5~7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2~4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시킨다.
2) 상기 용해된 1) 용액에 카보머(Carbomer) 0.01~0.10 중량부 및 잔탄검(Xanthan Gum)이 0.10~0.1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 후 분산시킨다.
카보머는 유화안정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며, 첨가되는 양에 따라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상기 2)에 마카다미아씨 오일(Macadamia Integrifolis Seed) 0.1~1.0 중량부 및 메틸페닐 폴리시록산(Methyl Phenyl Polisiloxane) 0.05~0.1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다.
4) 상기 혼합물을 35~45℃로 냉각한 후,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20~0.60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한다.
5) 상기 4)에 정제수(Water aqua) 3~7 중량부 및 트리에탄올아마이드(Triethanolamide) 0.10~0.30 중량부를 투입한다.
6) 상기 5)에 발효 조성물 0.1~5 중량, 허브 추출물 0.01~0.05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0.001~0.02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1 중량부, 향료 0.03~0.07 중량부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0.5~1.5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화장품을 완성한다.
이때 허브 추출물은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스위스 알파인 허브 추출물(Swiss Alpine Herb Extract)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화장품은 냉각, 숙성 후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4.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
1) 정제수(Water aqua) 60~70 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04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05~0.15 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4~0.06 중량부, 아데노신(Adenosine) 0.03~0.0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5~2.5 중량부,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1.5~2.5 중량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3~5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e) 2~4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시킨다.
2) 상기 용해된 1) 용액에 카보머(Carbomer) 0.05~0.15 중량부 및 잔탄검(Xanthan Gum)이 0.01~0.05 중량부를 계량하여 투입한 후 분산시킨다.
카보머는 유화안정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며, 첨가되는 양에 따라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상기 2)에 세토스테아릴 알콜(Cetostearyl Alcohol) 3~4 중량부, 글레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rarate) 1~3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1~2 중량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3~0.7 중량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5~7 중량부, 마카다미아씨 오일(Macadamia Integrifolis Seed) 2~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ic Triglyceride) 1~3 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3~0.07 중량부, 디메틸 실리콘 오일(Dimethyl Silicone Oil) 0.20~0.60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0.1~1.0 중량부, 스테아릭 애씨드(Stearic Acid) 1~2 중량부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Cyclopentasiloxa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0.5~1.5 중량부를 계량하여 70~90℃에서 가온 용해 후 상기 2)에 투입한다.
4) 투입 후 호모믹서로 3,000 rpm으로 5~20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킨다.
5) 정제수(Water aqua) 3~7 중량부 및 트리에탄올아마이드(Triethanolamide) 0.10~0.20 중량부를 투입한다.
6) 혼합물을 35~45℃까지 냉각한 후,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을 0.20~0.60 중량부 투입한다.
7) 30~40℃에서 발효 조성물 0.1~5 중량, 허브 추출물 0.01~0.05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0.001~0.02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1 중량부, 향료 0.03~0.07 중량부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0.5~1.5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화장품을 완성한다.
이때 허브 추출물은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스위스 알파인 허브 추출물(Swiss Alpine Herb Extract)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화장품은 냉각, 숙성 후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 따른 화장품에 대하여 안전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하기 표 2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로션 제조예 2. 토너 제조예 3. 에센스 제조예 4. 크림
외관 및 성상 백색의 로션상 유백색의 액상
(관능평가)
불투명한 점성이 있는 액상 백색의 크림상
점도 6,000~8,000 2,500~3,500 15,000~20,000
pH 5.5~6.5 5.5~6.5 6.0~7.0 5.5~6.5
미생물 일반세균 0CFU/ml(불검출)
병원성균 0CFU/ml(불검출)
일반세균 0CFU/ml(불검출)
병원성균 0CFU/ml(불검출)
일반세균 0CFU/ml(불검출)
병원성균 0CFU/ml(불검출)
일반세균
0CFU/ml(불검출)
병원성균
0CFU/ml(불검출)

Claims (5)

  1.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을 발효시킨 발효 조성물, 마치현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상기 발효 조성물은,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을 사용하여 20~70 ℃에서 1~10일 동안 1차 발효되며, 1차 발효 후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을 사용하여 20~70 ℃에서 1~10일 동안 2차 발효되고,
    상기 백국균(白麴菌/Aspergillus kawachii) 또는 누룩균(麵菌/Aspergillus, Rhizopus)은, 뽕잎, 연잎, 두충 및 작약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며,
    상기 화장품은 발효 조성물 0.1 내지 5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0.001 내지 0.02 중량부, 허브 추출물 0.01 내지 0.05 중량부 및 홍삼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화장용물티슈,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20140148119A 2014-10-29 2014-10-29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153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19A KR101531996B1 (ko) 2014-10-29 2014-10-29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19A KR101531996B1 (ko) 2014-10-29 2014-10-29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996B1 true KR101531996B1 (ko) 2015-06-26

Family

ID=5351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119A KR101531996B1 (ko) 2014-10-29 2014-10-29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9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5733A (zh) * 2017-09-08 2018-01-19 房小华 一种黄褐斑全息平衡疗法用化妆品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20180083981A (ko) 2017-01-13 2018-07-24 코스맥스 주식회사 연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190004918A (ko) 2017-07-05 2019-01-15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항고혈압 및 미백활성을 갖는 오메기곡 발효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70130A (zh) * 2021-03-30 2021-06-0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杜仲花粉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49A (ko) * 2006-09-01 2008-03-06 제노마인(주)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10112231A (ko) * 2010-04-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49A (ko) * 2006-09-01 2008-03-06 제노마인(주)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10112231A (ko) * 2010-04-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81A (ko) 2017-01-13 2018-07-24 코스맥스 주식회사 연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190004918A (ko) 2017-07-05 2019-01-15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항고혈압 및 미백활성을 갖는 오메기곡 발효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95733A (zh) * 2017-09-08 2018-01-19 房小华 一种黄褐斑全息平衡疗法用化妆品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12870130A (zh) * 2021-03-30 2021-06-0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杜仲花粉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化妆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3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KR101802963B1 (ko)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1053716B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CN106821948B (zh)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101531996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2239784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9701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333919B1 (ko) 토란과 쥐눈이콩의 나노발효산물을 이용한 천연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121457B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