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457B1 -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457B1
KR102121457B1 KR1020170179148A KR20170179148A KR102121457B1 KR 102121457 B1 KR102121457 B1 KR 102121457B1 KR 1020170179148 A KR1020170179148 A KR 1020170179148A KR 20170179148 A KR20170179148 A KR 20170179148A KR 102121457 B1 KR102121457 B1 KR 10212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uit
fermented
skin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722A (ko
Inventor
정의수
이종섭
박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17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457B1/ko
Priority to CN201880082923.2A priority patent/CN111491615B/zh
Priority to PCT/KR2018/012963 priority patent/WO201913221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7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을 수득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물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화나무열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와, 상기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락토바실러스를 접종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서 배양균을 제거한 후 중탕 추출법을 이용하여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상기 단계(S3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에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를 더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ermented Sophora Japonica Fruits for skin anti-wrinkle effec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을 수득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기능은 청결과 미적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공해 물질과 스트레스, 자외선 등의 외적인 요인과 면역세포의 기능저하, 세포 활성의 저하 등의 내적 요인에 기인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활성산소, 과산화물 등에 의한 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파괴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고기능 화장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미백, 피부주름 개선 및 억제, 그리고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품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름 개선 및 억제 제품은 피부를 젊게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많은 관심을 받는 대상이다.
사람의 피부는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 외적인 환경에 의하여 수분, 탄력성, 색 및 윤기를 잃고 거칠어진다. 이것을 피부 노화라고 하며, 기미, 주름, 주근깨 등이 많아지는 과정이다.
아이 때는 체내에 콜라겐(collagen)이 많아서 온몸이 매끌매끌하지만, 나이가 들면 콜라겐이 부족하거나 질이 저하되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의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과 콜라겐의 함유량 그리고 면역 기능 등의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콜라겐의 함유량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전체 피부 건조중량의 약 70 %를 차지한다. 피부의 탄력은 이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 탄력섬유)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 분자는 파이브로블라스트(Fibroblast) 내에서 만들어지며, 이들이 세포 밖으로 분비된 후에 3중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인 견고성 유지, 결합 조직의 저항력 및 조직의 결합력 강화,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 및 분화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등, 1990).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연 노화에 의한 세포 활성의 감소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활성으로 인한 내적 요인 및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활성산소 및 자유 라디칼의 증가로 인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Ingrid Emerit 등, Free radical and aging, 1992).
기질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MP)는 자연 노화와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생체 내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제로 세포외기질(ECM, Extra Cellular Matrix)내의 결합조직(Collagen, Elastin, Glycosamino-glycans 등)을 분해하는 효소(Enzyme) 이다. 기질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MP)는 다형 핵성 호중구 (Polymorphonuclearneutrophil), 대식 세포(Macrophage), 섬유아세포(Fibroblast), 골세포(Born cell)와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써 여러가지 세포외기질을 이용한다. 그 종류는 MMP 1~16까지 존재한다. 이중 collagen 분해와 관련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되는 기질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MP)는 MMP 1, MMP 9이다.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해 65%의 콜라겐이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등,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는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촉진, MMP 1, MMP 9 등과 같은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억제를 통하여 진피 기질의 성분이 증가됨으로 이로부터 항산화,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 치유와 같은 항노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콜라겐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제품화 하였다. 그러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그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근래에는 피부의 진피에 직접 콜라겐을 주입하지만, 이 방법 역시 부작용으로 인해 올바른 피부 주름의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익 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특허 특개평 8-231370)등이 알려졌다.
그러나, 레티노익 산은 불안정하여 제형 기술이 복잡하며, 피부에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사용에 한계가 있고,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은 광우병에 의한 소 적출물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인 피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사용의 간편성이 있으며 또한 제형상 안정성이 높고 우수하며,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갖는 새로운 콜라겐 생성 촉진, MMP 1, MMP 9 등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개발과 이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콩과 식물에 속하는 활엽교목으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일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나무의 높이는 15 내지 25m 가량 자라고 잔가지는 털이없고 풀색을 나타낸다. 잎은 타원형 또는 들잎모양 으로 9 내지 15개의 어긋나는 형태의 쪽잎으로 되어있다.
7~8월에는 가지 끝에 연한 황색 꽃이 피며 한방에서는 괴화라 불리며 꽃봉오리는 괴미, 열매를 괴실 또는 괴각이라 한다.
상기의 회화나무의 꽃과 열매는 한방에서 한약재로 사용되며, 콩잎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apigenin과 isoflavone류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염, 지혈, 고혈압, 치질, 습진 치료 등에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장출혈, 자궁출혈, 잇몸염증과 피부 화장 등에도 사용된다고 보고 되었다(송행선 등, 대한화장품학회, 2016, 42(4), p351-358).
한편, 꿀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회화나무의 괴화(Sophprae Flos)에는 주요성분으로 루틴 10 ~28%, 적은 양의 켐페롤, 쿠에르세틴, 소포로시드와 게니스테인 배당체가 있으며, 최근에는 소포린 A, 소포린 B, 소포린 C가 분리되었다. 상기 괴화는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가 뛰어나 미백용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등록특허 제 10-1289813호)
또한, 종래에는 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효능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탄올이나 에탄올 환류 추출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메탄올 회화나무 꽃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38.9 mg/g임에 비해 75% 에탄올 환류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회화나무 꽃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261.38 ± 7.02 mg/g으로 보다 좋은 결과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용매와 추출법 등에 성분의 효과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저자 송행선,장혜인. 대한화장품학회 2016년 11월 10일)
그리고 전통적으로 회화나무의 열매는 꼬투리로 원기둥 또는 염주모양이며, 과실은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쓰이기도 하며, 정원수나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회화나무, 특히 회화나무의 열매가 에스트로겐 중 가장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에스트라디올보다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분비 활성이 더욱 좋은 것이 밝혀지면서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공개특허 제 10-2011-0004603 호)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항노화, 피부주름개선에 효과있는 회화나무 추출물은 아스코르브산, 레티놀 및 콜라게나제활성을 단순히 억제하는 물질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주름 개선 및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배합 시 안정성이 좋지 못하거나 피부 흡수가 용이하지 않아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을 수득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물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열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와, 상기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락토바실러스를 접종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서 배양균을 제거한 후 중탕 추출법을 이용하여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상기 단계(S3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에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으로 수득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와 유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발효기술을 기초로 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이 현저하게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회화나무 꽃, 회화나무 잎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피부주름 개선 효과와 유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회화나무 열매만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유효성분의 피부흡수 효율을 높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회화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시킨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여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억제하여 피부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상기 회화나무열매의 바람직한 건조 중량비는 회화나무열매 10 내지 40 중량%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화나무열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화나무열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이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회화나무열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거나 회화나무열매를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알코올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좋은데, 에탄올은 더욱 바람직하게 60 ~ 80% 에탄올인 것이 좋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첨가량은 회화나무열매 건조 중량의 1 내지 20배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배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에 포함된다고 해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은 발효액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된 것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은 상기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으로써,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안전 제제에 해당하며, 생산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에서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은 농축된 액상일 수도 있고, 건조된 분말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인간의 대변으로부터 동정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sus) vitaP1(수탁번호:KACC92054P) 균주로 ㈜단정바이오에서 보유하고 있는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며, 적용 제품들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 억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또는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은 화장료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0.01 내지 2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중량%이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분자내 Collagen, TIMP-1,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 초과인 경우 건조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피부 가려움과 따끔거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발효액을 추출한 추출액은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며, 건조 피부를 가진 사람을 제외하고는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20중량%를 초과하여 100 중량%까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회화나무열매를 락토바실러스로 발효한 발효액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팩,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글리세롤,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퀴오레이드, 파라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폴리머, 시토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스-4, 디세틸포스페이트, 마카다미아 오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스테아린산, 세틸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왁스, 파리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아가 또는 트라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와, 상기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락토바실러스를 접종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서 배양균을 제거한 후 중탕 추출법을 이용하여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상기 단계(S3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에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회화나무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50 내지 200 메시(mesh)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쇄물을 얻는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분쇄물에 100 내지 300 g/L의 증류수를 가하고 중탕 조건에서 3 내지 7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을 한다. 그 후, 3 내지 8 ㎛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여 발효 과정의 추출액으로 사용한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락토바실러스를 접종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락토바실러스와 LB Broth 배지를 넣어 25 내지 35 호기적 조건에서 40 내지 120 시간 발효를 진행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0.2 ㎛ 까지 여과한 후 더 이상 배양되지 않도록 멸균 처리를 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0 중량%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중량% 미만인 경우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억제 및 자유라디칼의 소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 초과인 경우 건조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피부 가려움과 따끔거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서 배양균을 제거한 후 중탕 추출법을 이용하여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멸균 및 방부제를 투여한 후, 중탕 추출법으로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배양균을 제거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3 내지 7시간씩 3회 환류중탕추출하고 냉침한 후, 3 내지 8 ㎛ 여과지로 여과한다. 여과가 완료 후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단계(S3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0 중량%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중량% 미만인 경우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억제 및 자유라디칼의 소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 초과인 경우 건조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피부 가려움과 따끔거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상기 단계(S3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에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제조예 ] 회화나무열매 추출액 제조방법
회화나무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 메시(mesh)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쇄물을 얻었다. 회화나무열매 분쇄물을 100 g/L가 되도록 1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중탕 조건에서 5 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하였다. 그 후, 6 ㎛의 여과지(와트만(whatman) #3)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여 발효 과정의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의 추출액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효능 평가 시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및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균주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수탁번호:KACC92054P)과 LB Broth 배지를 넣어 30 호기적 조건에서 96 시간 발효를 진행한다. 발효 후 발효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0.2 ㎛ 까지 여과한 후 더 이상 배양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멸균하여 얻은 회화나무열매 발효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중탕추출하고 냉침한 후, 6 ㎛의 여과지(와트만(whatman) #3)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한 후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예]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제조방법의 비교예
본 비교예에서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발효균주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 KACC92054P)을 LB broth 배지에 30 호기적 조건에서 96 시간 배양을 진행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0.2 ㎛ 까지 여과한 후 더 이상 배양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배양균을 제거한 배양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세포 증식 및 독성 확인
< 세포 배양 >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건조분말 및 제조예에서 제조한 건조분말의 항노화에 작용하는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Collagen)와 Timp-1는 HaCaT(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을 사용하고, MMP-1와 트로포엘라스틴(Tropoelastin)은 CCD-986Sk(Human fibroblast cell line)을 사용하였다. HaCaT, CCD-986Sk 세포는 10 %(v/v)의 FBS(fetal bovine serum, Gibco, USA), 100 U/mL의 streptomycin, 100 U/mL의 penicillin 항생제(Gibco, USA)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배지를 사용하여 5 % CO2 및 37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 세포 생존율 측정 실험(MTT assay) >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건조분말 및 제조예에서 제조한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 및 독성 확인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 세포/웰로 분주(分株)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1, 0.05, 0.1, 0.5(%, 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 %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 효과는 계산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112017128779815-pat00001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세포 증식 및 독성 완화 효과
구분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농도 (㎍/㎖)
대조군 0 10 50 100 1,000
증식율(%) 실시예 100 0.00 106.31 115.28 122.84 128.25
비교예 100 0.00 100.14 100.37 100.20 100.23
제조예 100 0.00 104.10 110.22 116.76 121.1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 %로 하였을 때,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건조분말 및 제조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추출액 건조분말 모두 세포 독성이 없었다.
특히, 실시예와 제조예에서는 세포 증식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실시예는 제조예보다 월등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세포독성은 없었으나 세포증식효과 또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시험예 2] 세포내 collagen , Timp -1 및 Tropoelastin의 유전자 발현과 MMP -1의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HaCaT와 CCD-986Sk 세포는 세포의 수를 5?105 cells/㎖로 조제한 후에 페트리디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페트리디쉬에서 80% 이상 자란 다음, 추출물 세포 생존률 100% 이상으로 나타난 농도로 첨가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건조분말 및 제조예에서 제조된 회화나무열매 추출액 건조분말을 처리한 후 DMED/10 FBS에서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서 RNA 분리, cDNA 합성 및 RT-PCR은 Komoroski 등(Drug Metab. Dispos. 32:512-518, 2004)이 기술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RT-PCR에서 측정한 유전자는 COL1A1, TIMP-1 및 Tropoelastin의 발현과 MMP-1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house keeping gene으로 GAPDH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의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에 나타냈다.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올리고 dT-어댑터 프라이머(Oligo dT-adaptor primer)와 DEPC water를 이용하여 총량 15 ㎕로 하고 70 5분 변성후, M-MLV(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RNA의 역전사를 수행하여 42 60분, 94 5분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였으며, 총 반응액은 25 ㎕로 하였다. 각 반응물의 최종 농도는 프라이머 100 p㏖, 1.0 ?M, dNTP 혼합액 0.2 mM, 5x green or colorless GoTaq Reaction buffer 1?1.5 mM, MgCl2(PCR 완충액) 및 GoTaq DNA 폴리머라제 1.25 units 이었다.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익스텐션(extension)에 대한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95 2분, 95 30초, 60 30초, 72 1분, 72 5분, 30~40 사이클로 수행하였다. PCR 반응 후 생성물의 10 ㎕를 2% 아가로즈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Gel Documentation system(코리아랩텍, Cat. No DGS-200D)을 이용하여 발현양을 확인했다.
유전자의 프라이머 염기서열
프라이머 이름 염기서열
GAPDH Forward : GGCATTGCTCTCAATGACAA
Reverse : TGTGAGGGAGATGCTCAGTG
MITF Forward : AACCGACAGAAGAAGCTGGA
Reverse : ACAAGTTCCTGGCTGCAGTT
Tyrosinase Forward : TTATGCGATGGAACACCTGA
Reverse : ACTGGCAAATCCTTCCAGTG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Collagen expression
구분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농도(㎍/㎖)
0 10 50 100 1,000
Collagen expression
(%)
실시예 100.00 108.23 116.71 125.91 141.02
비교예 100.00 99.98 100.02 100.11 100.31
제조예 100.00 104.96 107.76 118.68 127.8
아데노신 138.98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TIMP-1expression
구분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농도(㎍/㎖)
0 10 50 100 1,000
TIMP-1
expression
(%)
실시예 100.00 105.29 111.98 118.38 126.9
비교예 100.00 100.21 100.10 100.06 100.14
제조예 100.00 100.64 103.91 109.53 115.06
아데노신 121.88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Tropoelastin expression
구분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농도(㎍/㎖)
0 10 50 100 1,000
Tropoelastin
expression
(%)
실시예 100.00 118.28 128.18 131.88 137.55
비교예 100.00 99.96 100.12 100.17 100.15
제조예 100.00 108.23 112.56 120.59 126.35
아데노신 135.03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에 의한 MMP-1 expression
구분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농도(㎍/㎖)
0 10 50 100 1,000
MMP-1
expression
(%)
실시예 100.00 94.23 90.07 82.61 77.1
비교예 100.00 99.92 100.07 100.11 100.09
제조예 100.00 96.16 95.27 91.01 88.92
아데노신 78.26
상기 표 3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PT-PCR 수행 후 관찰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락토바실러스 배양액 건조분말 및 제조예에서 제조한 회화나무열매 추출액 건조분말 보다 collagen 및 TIMP-1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MMP-1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인 아데노신(Adenosine)과 비교했을 때 우수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트로포엘라스틴(Tropoelastin)은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탄력 섬유 중심의 엘라스틴을 형성하고 있는 인자로 실시예 1에서 대조군 Adenosine과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실시예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제형예는 표 7과 같다.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구성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 (실시예)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올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상기 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7에 기재된 11번에 2, 3, 4 및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및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켰다.
[제형예 1]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실시예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제형예는 표 8과 같다.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구성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 (실시예) 2.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영양로션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 8에 기재된 10, 11, 13 및 16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및 12번을 80 ~ 85 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제형예 3]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표 9와 같다.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구성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 (실시예) 3.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상기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 9에 기재된 12, 13, 14 및 16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및 11번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번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 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제형예 4 ] 본 발명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표 10과 같다.
회화나무열매 3차 발효액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구성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건조분말 (실시예) 3.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에센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10에 기재된 2, 3, 4, 5 및 6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번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접종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리고 10, 11, 12 및 13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켰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9)

  1. 회화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KACC92054P) 균주로 발효시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0 중량% 함유하여 Collagen, TIMP 및 Tropoelastin 유전자를 발현하고 MMP-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며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화나무열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회화나무 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분쇄한 후 50 내지 200 메시(mesh)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쇄물을 얻으며, 상기 회화나무열매 분쇄물 100 내지 300g 당 1L의 증류수를 가하고 중탕 조건에서 3 내지 7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을 한 후, 3 내지 8 ㎛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회화나무열매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KACC92054P) 균주와 LB Broth 배지를 넣어 25 내지 35℃의 호기적 조건에서 40 내지 120 시간 발효를 진행하며,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여 얻은 여과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0.2 ㎛ 까지 여과한 후 멸균 처리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멸균하고 방부제를 투여한 후, 중탕 추출법으로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고, 상기 배양균을 제거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을 3 내지 7시간씩 3회 환류중탕추출하고 냉침한 후, 3 내지 8 ㎛ 여과지로 여과하며, 여과 완료 후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S2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상기 단계(S30)의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에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를 더 포함하여 Collagen, TIMP 및 Tropoelastin 유전자를 발현하고 MMP-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단계(S30)에서 수득한 회화나무열매 발효 추출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79148A 2017-12-26 2017-12-26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48A KR102121457B1 (ko) 2017-12-26 2017-12-26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880082923.2A CN111491615B (zh) 2017-12-26 2018-10-30 含槐树果实发酵液或其提取液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及制备方法
PCT/KR2018/012963 WO2019132217A1 (ko) 2017-12-26 2018-10-30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48A KR102121457B1 (ko) 2017-12-26 2017-12-26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22A KR20190077722A (ko) 2019-07-04
KR102121457B1 true KR102121457B1 (ko) 2020-06-10

Family

ID=6706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48A KR102121457B1 (ko) 2017-12-26 2017-12-26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21457B1 (ko)
CN (1) CN111491615B (ko)
WO (1) WO2019132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69035A (zh) * 2023-03-21 2023-04-18 广东金骏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含酶解槐米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美容抗衰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343A (ja)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1042845B1 (ko) * 2011-05-30 2011-06-17 이노스킨 주식회사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10004603A (ko) * 2009-07-08 2011-01-14 (주)노바셀테크놀로지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CN101708210B (zh) * 2009-12-04 2011-10-05 广东工业大学 槐花总黄酮提取物在制备抑制皮肤色素沉着药物中的应用
KR101315265B1 (ko) * 2010-10-14 2013-10-08 소셜테크 주식회사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289813B1 (ko) * 2011-08-29 2013-07-26 (주) 젠셀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343A (ja)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1042845B1 (ko) * 2011-05-30 2011-06-17 이노스킨 주식회사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기대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송행선, 2014.0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91615A (zh) 2020-08-04
KR20190077722A (ko) 2019-07-04
CN111491615B (zh) 2022-10-18
WO2019132217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8408A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1531996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19524B1 (ko)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457B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132B1 (ko) 실론시나몬나무껍질 및 구릿대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19344A (ko) 발효균을 이용한 참당귀 추출물 제조방법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46B1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30101539A (ko) 솔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7040A (ko) 백굴채 추출물 및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0169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탄력증가활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