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45B1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845B1 KR101042845B1 KR1020110051224A KR20110051224A KR101042845B1 KR 101042845 B1 KR101042845 B1 KR 101042845B1 KR 1020110051224 A KR1020110051224 A KR 1020110051224A KR 20110051224 A KR20110051224 A KR 20110051224A KR 101042845 B1 KR101042845 B1 KR 101042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rice bran
- skin
- cosmetic composition
- ferment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괴화 및 미강으로부터 얻어지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지질의 증가, 특히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통해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건조 피부, 노화 피부의 기능을 정상화하여 노화를 방지하고 가려움, 악건성, 인설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에 의한 피부 지질의 증가,특히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통해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건조 피부, 노화 피부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가려움, 악건성, 인설(鱗屑) 등을 방지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강(米糠)은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쌀눈으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미강의 풍부한 성분은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인간본래의 자연 치유력을 활발하게 하고, 혈액을 적절한 알칼리성으로 보존하여, 체내의 노폐물이나 유해 금속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복용시 위장병, 간장병, 신장병, 감기, 고혈압, 저혈압이 호전되고, 식욕 부진, 두통, 산후 회복, 갱년기 장애, 숙취, 생리불순 등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미강은 영양공급, 미백효과, 생체유지 능력이 있어 기미, 주근깨, 노화 피부에 좋으며, 비타민 A, 비타민 B, 철분, 인,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입이나 눈 주위의 점막과 피부를 튼튼하게 해주는 비타민 B군, 피부를 곱게 가꿔주는 비타민 E가 많으며, 지방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사용할수록 피부가 윤이 나고 매끄러워지므로 화장품 원료로 인기가 있다.
미강에 9.5 ~ 14.5%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피틴산은 암세포의 이상 증식을 억제시켜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강 중에 함유된 주요 기능성 성분에는 감마아미노낙산(Gamma-Amino Butyric Acid, GABA), 이노시톨, 감마오리자놀, 나이아신(Niacin), 페룰라산(Ferulic acid), 세라마이드, 감마트리엔올 등이 있다.
괴화(槐花)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으로서, 꽃봉오리를 괴화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는데, 모두 약용으로 사용하고,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쓰고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 데도 쓴다. 또한 괴화는 꽃이 벌어지기 바로 전에 따서 말려 두었다가 약으로 쓰는데 혈압을 낮추는 것 말고도 지혈, 진정, 소염 등의 작용이 있어 토혈, 대하, 임파선염, 치질, 이질, 피부병의 치료약으로 사용하며, 루핀이라는 노란색 색소가 20~30% 들어 있어 이것으로 천이나 종이를 염색할 수 있다.
미강과 관련한 특허를 보면, 크게 미강이 가지는 생리활성을 이용하거나 생리활성을 향상시켜 기능성 식품이나 약품으로 이용하고자 한 경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2583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00177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71029호 등), 미강 자체의 가공방법 또는 미강을 식품 첨가제, 가공제로 이용하고자 한 경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8436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8436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73296호 등), 및 미강을 이용하여 타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조하거나 미강에서 특정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경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0196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0028114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0926047호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2191에서는 미강을 포함하는 4종의 추출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괴화와 관련된 선행특허로서,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한국등록특허 10-2006-0010231)은 지유 등 8종의 한방혼합물 추출물로서 아토피피부의 피부 건조, 습진 개선 및 미생물의 2차 감염방지가 목적이다. 괴화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한국등록특허 10-2003-257)에서는 알부틴과 혼합 사용에 의한 피부미백 효과에 관한 기술이다. 한국등록특허 특1995-0012443호는 괴화 등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화장료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장벽기능 강화 및 개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천연추출물인 난초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한국공개특허 10-2009-0083082, 녹차로부터 분리한 캄페롤 배당체를 이용한 한국등록특허 10-0727743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596595(국제공개번호 WO 2001/74327)는 최소 1종의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최소 1종의 세포분화 강화제를 이용하여 피부지질 장벽을 증강하는 기술이며, 스토론튬 양이온 (Sr2 +)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개선용 피부외용제에 관한 기술(한국공개특허 10-2007-000599)이 있다. 그러나 특허 10-583030에서는 70% 에탄올을 사용한 추출물로서 경구투여 의약품 또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용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10-2009-0083082에서는 멜라닌 합성저해에 의한 미백 효과, 콜라겐 합성 증가에 의한 노화방지 및 주름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하나 피부 장벽기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고, 한국등록특허 10-1000153호는 백강잠의 피부장벽에 대한 기술로서 본 발명과 유사하지만 피부장벽에만 국한된다.
그런데, 노인성 피부질환은 대부분 모든 노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병리학적 원인은 면역 저하 및 피부장벽의 트러블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 트러블의 원인은 피부 콜레스테롤의 함량 저하가 일어나면서 피부 장벽기능이 저하되어 피부 건조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노인성 피부 질환의 예로는 첫째 접촉피부염, 둘째 피부 건조증 및 인설(鱗屑), 소양증(搔痒症) 등이며, 셋째는 피부습진의 증가이다. 기존에는 이들 질환의 치료에 아토피 피부용 제품이 활용되거나 보습제가 다량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노화에 따른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증상의 개선은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소염제 등의 도포 또는 경구투여 등은 효과가 단기적이고 지속적인 치료시에는 부작용 발생 등 단점이 많았다.
따라서 피부에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피부 악화의 원인에 충실한 피부 외용제 및 그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투여하면서 피부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천연성분을 선발하고 이를 통하여 피부내 생리적으로 분비를 촉진시켜 피부의 지질을 개선하여 피부 장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 노화 방지에 효능이 있어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본 시험에서는 이 추출물을 사용한 제품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효능을 시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콜레스테롤 증가에 효과를 갖는 천연물의 개발을 위하여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rate-limiting step 평가법을 이용하여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내 유효성분을 높이고 효과적 피부전달을 위하여 이중 발효를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피부자극 시험 및 임상시험을 통하여 본 과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에 의한 피부 지질의 증가, 특히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통해 피부장벽을 강화함으로써 건조 피부, 노화 피부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가려움, 악건성, 인설(鱗屑) 등을 방지하는 백강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괴화 및 미강을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킨 후 이를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미생물이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정제수, 또는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화장료 전체 중량으로 0.01~50중량% 함유하여 피부 보호, 노인성 피부질환, 인설, 가려움 및 악건성의 개선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조성물이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엔트제,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조성물이 유액, 크림, 에센스,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팩,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외용제는 피부장벽강화 및 노화방지효과를 가지므로 노화시 나타나는 피부질환에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에 맞는 적절한 제형의 피부 외용제 개발을 통하여 현대인들의 피부고민을 해결하고 관련 산업의 기술 발전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먼저 괴화 및 미강을 구입하여 20L 추출기에 0.5kg을 분쇄하여 넣은 후 정제수, 또는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괴화 및 미강에 10배의 비율로 넣고 80℃에서 18~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든다. 이후 저온숙성 발효를 진행하기 위하여 500㎖ 플라스크에 상기 추출물 200㎖을 넣고 종균(S. cerevisiae + L. plantarum)을 105~107의 농도로 접종한 후에, 28℃에서 3일간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한다. 그 후 3일이 지나 꺼내어 Miracloth(Calbiochem사)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후에 0.2㎛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나온 여과액을 회수하여 발효추출물을 얻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원료를 상기와 동일 중량으로 혼합한 후에 1 : 10의 액비로 즉, 원료혼합물 500g에 정제수 5L를 첨가하여 80℃에서 18~24시간 교반하면서 정제수, 또는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105~107의 농도로 접종한 후 28에서 72시간 배양한 다음 80g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0.2㎛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나온 여과액을 회수하여 발효 추출물로 하였다.
상기 괴화 및 미강은 각각 4~7 : 6~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일 때 약재성분이 가지는 기능을 서로 보완하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의 0.01~50중량% 함유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괴화 및 미강 발효추출물의 유효성분을 높이기 위하여 효모 및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효능성분이 증량되거나 생성되도록 한다. 이 때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함유량이 0.01중량% 미만에서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0중량%를 초과하면 효과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피부 안전성 및 화장료로서 갈색이 진해지면서 외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 괴화 및 미강을 열수 또는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 2) 상기 열수 추출물에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과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접종하고 발효시킨 후 이를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 발효 추출물을 총콜레스테롤 합성측정법(HMG-CoA reductase 법)에 의해 콜레스테롤의 합성 효과를 확인한 후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괴화 및 미강 효모 및 유산균의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
괴화 0.4kg 및 미강 0.6kg을 각각 구입하여 분쇄한 다음 20L 추출기에 넣은 후 정제수를 1 : 10의 비율인 10L를 넣고 8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든다. 이후 저온숙성 발효를 진행하기 위하여 500㎖ 플라스크에 추출물 200㎖을 넣고 종균(S. cerevisiae + L. plantarum)을 106 농도로 접종한 후에, 28℃에서 3일간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후 3일이 지나 꺼내어 Miracloth(Calbiochem사)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다음에 0.2㎛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나온 여과액을 회수하여 발효추출물 160㎖를 얻었다.
괴화 및 미강 효모 발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종균(S. cerevisiae + L. plantarum) 대신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종균(S. cerevisiae + L. plantarum) 대신에 효모로서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첨가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종균(S. cerevisiae + L. plantarum)을 첨가하지 않고 발효를 하지 않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증량 효과
실험방법은 콜레스테롤 정량(Cholesterol/Cholesteryl Ester 정량 키트 이용)으로 하였고, 비색형 실험방법으로 콜레스테롤 반응 버퍼 180㎕에 cholesterol standard를 20㎕를 더하여 0.5㎍/㎕가 되도록 만들어서 잘 섞어준 후, 각 well당 0, 4, 8, 12, 16, 20㎕씩 넣어 0, 2, 4, 6, 8, 10㎍/well의 농도로 기준을 잡는다. 먼저 106개의 세포에 200㎕의 클로로폼-메탄올을 2:1의 비율로 섞은 용액을 처리한 후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진공 건조시켜 말린 후 20㎕의 2-프로판올에 잘 녹여 각각의 분석마다 1㎕씩 사용한다. 콜레스테롤 반응 버퍼와 cholesterol probe, 효소, cholesterol esterase를 섞은 반응액을 각각 50㎕씩 처리한 후 37℃에서 60분 동안 빛을 차단시키고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그 흡광도를 재어 앞서 만든 기준법에 대입하여 그 값을 계산하였다.
1 시간 | 2시간 | 3시간 | |
실시예 1 | 0.15 | 0.21 | 0.23 |
실시예 2 | 0.10 | 0.12 | 0.16 |
비교예 1 | 0.08 | 0.08 | 0.13 |
비교예 2 | 0.02 | 0.08 | 0.07 |
[표 1]로부터 실시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의 합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콜레스테롤의 합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실험예 2> 항산화효과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Kim 등 [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을 이용하였다. 0.2mM DPPH 용액 1㎕에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추출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활성산소 소거실험은 Noro 등 [Chem. Pharm. Bull., 31, 3984-3987, 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BT, nitroblue tetrazolim)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잔틴 0.1㎖,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0.1㎕, BSA (bovine serum albumin) 0.1㎕, NBT 0.1㎕ 및 시료 0.1㎕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잔틴옥시다제 0.1㎕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광파장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옥시다제 용액 대신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에서 IC50은 활성산소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구분 | DPPH Assay (IC50, μg/㎖) |
SOD-like Assay (IC50, ㎎/㎖) |
괴화, 미강 발효추출물 | 45.584 ±0.533 | 1.107 ±0.273 |
dl-a-tocopherol | 20.512 ±0.102 | 0.255 ±0.005 |
[실험예 3] 피부 장벽 회복 효능 테스트
50대 10명, 60대 12명, 70대 8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수분 증발량을 동일 습도 상에서 TEWL 측정장치로(Tewameter)(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측정하여 2주일간의 피부 장벽기능 회복효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 료 | 회복정도 | |
실시예 1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 추출물(0.5%) | 15% |
실시예 2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 추출물(5.0%) | 30% |
실시예 3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 추출물(20%) | 35% |
실시예 4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0.5%) | 5% |
실시예 5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5.0%) | 7% |
실시예 6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20%) | 15% |
비교예 1 | 괴화 및 미강 추출물(5%) | 3% |
비교예 2 | 괴화 및 미강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5.0% | 3% |
상기 도표에서 보듯이 괴화및 미강 효모 추출물과 효모, 유산균 추출물은 유효분의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피부장벽 회복효과가 매우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0.5%에서도 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발효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시험(closed patchtest)을 통하여 자극시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성인 30명을 선택하였고 시험 부위는 상박(fore arm)이다.
각 농도별 시료를 만든 후 핀챔버(Fin chamber)에 시료를 15㎕을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상박에 얹고 실험용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24시간 후에 테이프를 제거한 다음 시험부위표시를 4시간 후에 피부반응을 판정하였는데, 그 기준은 다음 [표 4]와 같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 | 특이현상없음 |
± | 미세 홍반 |
+ | 홍반 |
++ | 홍반 이상, 뾰루지등 |
또한 결과는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
자극도={(-x인원) + (±x인원) + (+x인원) + (++x인원)}/피험자수
시료 | - | ± | + | ++ | 자극도 |
콘트롤(증류수) | 28 | 1 | 1 | - | 0.1 |
괴화 및 미강 추출물 5% | 25 | 3 | - | 2 | 0.3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 0.5% | 30 | - | - | - | 0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 5% | 28 | 1 | - | 1 | 0.1 |
괴화 및 미강 효모추출물 20% | 25 | 3 | 1 | 1 | 0.4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추출물 0.5% | 29 | 1 | - | - | 0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추출물 5% | 29 | 1 | - | - | 0 |
괴화 및 미강 효모 유산균추출물 20% | 27 | 1 | 1 | 1 | 0.2 |
컨트롤보다 높아지고 함량이 많아질 수록자극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함량에서는 피부반응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외용제 원료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얻은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그 조성물이 유액, 크림, 에센스,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팩,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험예 5> 제조 실시예
<제조 실시예 1> 수렴화장수 제조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에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시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는데, 그 첨가제 및 조성비는 아래 [표 6]과 같다.
성분 | 함량(%) | 기능 |
1,3-부틸렌글리콜 | 2.0 | 보습제 |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 0.5 | 계면활성제 |
글리세린 | 2.0 | 보습제 |
보존제 | 0.15 | 보존제 |
향료 | 0.1 | 방향제 |
에탄올 | 4.0 | 장벽기능강화제 |
소튬 히아루로네이트 | 0.2 | 피부보호제 |
EDTA-2Na | 0.02 | 피부컨디셔닝제 |
알란토인 | 0.1 | 피부보호제 |
정제수 | 잔부 | 피부컨디셔닝제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 | 1.0 | 미백제 |
<제조실시예 2> 유연화장수
성분 | 함량(%) | 기능 |
1,3-부틸렌글리콜 | 4.0 | 보습제 |
세토스테아릴알콜 | 0.1 | 에몰리엔트제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 0.5 | 계면활성제 |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 1.5 | 계면활성제 |
글리세린 | 5.0 | 보습제 |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 1.5 | 에몰리엔트제 |
보존제 | 0.15 | 보존제 |
해바라기오일 | 8.0 | 에몰리엔트제 |
향료 | 0.1 | 방향제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 | 3.0 | 장벽기능강화제 |
콜레스테롤 | 0.5 | 피부보호제 |
세라마이드 | 0.2 | 피부보호제 |
스테아릭애씨드 | 0.8 | 피부컨디셔닝제 |
KOH | 0.05 | 중화제 |
카보머 | 0.1 | 점증제 |
정제수 | 잔부 | 피부컨디셔닝제 |
<제조실시예 3> 에센스
성분 | 함량(%) | 기능 |
1,3-부틸렌글리콜 | 4.0 | 보습제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 0.5 | 계면활성제 |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 1.5 | 계면활성제 |
글리세린 | 15.0 | 보습제 |
보존제 | 0.15 | 보존제 |
스쿠알란 | 3.0 | 에몰리엔트제 |
향료 | 0.1 | 방향제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 | 5.0 | 장벽기능강화제 |
세라마이드 | 0.2 | 피부보호제 |
베타글루칸 | 1.0 | 피부보호제 |
KOH | 0.2 | 중화제 |
카보머 | 0.2 | 점증제 |
히아루론산(1.0%) | 1.0 | 피부보호제 |
정제수 | 잔부 | 피부컨디셔닝제 |
<제조실시예 4> 크림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에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는데, 그 첨가제 및 조성비는 [표 9]와 같다.
성분 | 함량(%) | 기능 |
스쿠알란 | 5.0 | 에몰리언트제 |
바셀린 | 2.0 | 에몰리언트제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2.5 | 보조 계면활성제 |
글리세린 | 8.0 | 보습제 |
향료 | 적량 | 방향제 |
보존제 | 적량 | 보존제 |
유동파라핀 | 3.0 | 에몰리언트제 |
밀랍 | 1.0 | 에몰리언트제 |
마이크로스텔린왁스 | 1,0 | 피부보호제 |
세테아릴알콜 | 2.0 | 에몰리언트제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2.0 | 에몰리언트제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 | 2.0 | 장벽기능강화제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2.0 | 계면활성제 |
세라마이드 | 0.3 | 피부보호제 |
스테아릭애씨드 | 1.0 | 피부컨디셔닝제 |
수산화칼륨 | 0.3 | 중화제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 0.4 | 점증제 |
본 발명은 노인성 피부질환 치료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 개발에 중요한 기술을 제공하며, 따라서 산업적으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이고, 또한 시장에 제품화시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Claims (6)
- 괴화 및 미강을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킨 후 이를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 미생물은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또는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3에 따른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1~50중량% 함유하여 노화 방지, 피부 보호, 노인성 피부질환, 인설, 가려움 및 악건성의 개선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엔트제,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유액, 크림, 에센스,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팩,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224A KR101042845B1 (ko) | 2011-05-30 | 2011-05-30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224A KR101042845B1 (ko) | 2011-05-30 | 2011-05-30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2845B1 true KR101042845B1 (ko) | 2011-06-17 |
Family
ID=4440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1224A KR101042845B1 (ko) | 2011-05-30 | 2011-05-30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845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2266A2 (ko) * | 2011-10-25 | 2013-05-02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101289813B1 (ko) | 2011-08-29 | 2013-07-26 | (주) 젠셀 |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KR101359044B1 (ko) | 2011-11-17 | 2014-02-07 | (주)질경이 우리옷 |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
CN106420539A (zh) * | 2016-11-30 | 2017-02-22 |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含红茶发酵产物的组合物及其应用 |
US9913799B2 (en) | 2014-07-11 | 2018-03-13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KR20180064185A (ko) * | 2016-12-05 | 2018-06-14 | 유한회사 아이에스티케이3 | 미강발효된 유산균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WO2019132217A1 (ko) * | 2017-12-26 | 2019-07-04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CN114246208A (zh) * | 2021-12-29 | 2022-03-29 | 烟台百事特丽特种肥料有限公司 | 一种槐米发酵提取制备果蔬保鲜剂的方法 |
CN117598958A (zh) * | 2024-01-23 | 2024-02-27 | 佛山市汇腾生物技术有限公司 | 槐花发酵组合物、具有抗皱功效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2583A (ko) * | 2004-11-10 | 2006-05-15 | (주)바이오벤 | 쌀도정 부산물을 이용한 gaba의 제조방법 |
KR20070067549A (ko) * | 2005-12-23 | 2007-06-28 | 주식회사 두산 | 미강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조성물 |
KR20090123458A (ko) * | 2008-05-28 | 2009-12-02 |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KR20100119692A (ko) * | 2009-05-01 | 2010-11-10 | 광주시농업기술센터 | 브로멜린과 미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
2011
- 2011-05-30 KR KR1020110051224A patent/KR1010428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2583A (ko) * | 2004-11-10 | 2006-05-15 | (주)바이오벤 | 쌀도정 부산물을 이용한 gaba의 제조방법 |
KR20070067549A (ko) * | 2005-12-23 | 2007-06-28 | 주식회사 두산 | 미강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조성물 |
KR20090123458A (ko) * | 2008-05-28 | 2009-12-02 |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KR20100119692A (ko) * | 2009-05-01 | 2010-11-10 | 광주시농업기술센터 | 브로멜린과 미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813B1 (ko) | 2011-08-29 | 2013-07-26 | (주) 젠셀 |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WO2013062266A3 (ko) * | 2011-10-25 | 2013-06-20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JP2014530905A (ja) * | 2011-10-25 | 2014-11-20 |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
WO2013062266A2 (ko) * | 2011-10-25 | 2013-05-02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101359044B1 (ko) | 2011-11-17 | 2014-02-07 | (주)질경이 우리옷 |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
US10617633B2 (en) | 2014-07-11 | 2020-04-14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US9913799B2 (en) | 2014-07-11 | 2018-03-13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US10123968B2 (en) | 2014-07-11 | 2018-11-13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US10231922B2 (en) | 2014-07-11 | 2019-03-19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US11969498B2 (en) | 2014-07-11 | 2024-04-30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
CN106420539A (zh) * | 2016-11-30 | 2017-02-22 |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含红茶发酵产物的组合物及其应用 |
KR20180064185A (ko) * | 2016-12-05 | 2018-06-14 | 유한회사 아이에스티케이3 | 미강발효된 유산균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WO2019132217A1 (ko) * | 2017-12-26 | 2019-07-04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2121457B1 (ko) * | 2017-12-26 | 2020-06-10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CN111491615A (zh) * | 2017-12-26 | 2020-08-04 | 有限公司丹鼎生物 | 包含槐树果实发酵液或其提取液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
CN111491615B (zh) * | 2017-12-26 | 2022-10-18 | 有限公司丹鼎生物 | 含槐树果实发酵液或其提取液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及制备方法 |
KR20190077722A (ko) * | 2017-12-26 | 2019-07-04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CN114246208A (zh) * | 2021-12-29 | 2022-03-29 | 烟台百事特丽特种肥料有限公司 | 一种槐米发酵提取制备果蔬保鲜剂的方法 |
CN114246208B (zh) * | 2021-12-29 | 2024-04-19 | 烟台固特丽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槐米发酵提取制备果蔬保鲜剂的方法 |
CN117598958A (zh) * | 2024-01-23 | 2024-02-27 | 佛山市汇腾生物技术有限公司 | 槐花发酵组合物、具有抗皱功效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845B1 (ko) |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괴화 및 미강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악건성, 가려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56898B1 (ko) |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96256A (ko) | 발효 푸코잔틴 제조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102360A (ko) |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2004067590A (ja) |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 |
KR100994987B1 (ko) |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661545B1 (ko) |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187559B1 (ko) | 혼합 생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000153B1 (ko) | 백강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강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64915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
KR20140081138A (ko) |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20140025737A (ko) |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02193B1 (ko) |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371504B1 (ko) |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121775A (ko) |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238649B1 (ko) |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KR101775485B1 (ko) |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89471B1 (ko) |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80965B1 (ko) | 삼색도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삼색도장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삼색도장버섯 균사체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 |
KR102196414B1 (ko) | 지의류 유래 미네랄 및 갈락토미세스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34074B1 (ko) |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 |
KR20140081137A (ko) |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2098695B1 (ko) |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114499B1 (ko) |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42446B1 (ko) |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