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499B1 -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499B1
KR101114499B1 KR1020100123768A KR20100123768A KR101114499B1 KR 101114499 B1 KR101114499 B1 KR 101114499B1 KR 1020100123768 A KR1020100123768 A KR 1020100123768A KR 20100123768 A KR20100123768 A KR 20100123768A KR 101114499 B1 KR101114499 B1 KR 10111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ging
extract
whitening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임경란
정택규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10012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추출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풍류과 및 야관문이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백효능을 가지며, 피부에서의 항산화효과,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주름생성 억제 및 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가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추출물의 단독 사용에 비해 상승 작용적으로 뛰어난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Mixed herb medicine extracts of Ficus stipulacea Thunb. and Lespedeza cuneata G. Don for skin-whitening and anti-aging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류과 및 아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류과 및 아관문을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하여 수득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인체는 외부 환경과 밀접하게 접하고 있고 환경오염, 유해 물질,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에 의해 쉽게 민감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환경에 노출된 피부는 활성산소, 즉,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발생되고, 발생된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은 정상적인 세포 조직이나 세포막을 공격하여 세포를 파괴시키고 피부는 결국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염증이 있는 조직은 피부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하여 피부 트러블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 피부노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피부가 자외선에 과다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의 작용으로 멜라노좀에서 멜라닌 합성이 촉진되어 피부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이때 생성된 자유라디칼이 세포나 세포소기관에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며 생체 내 여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핵산에도 손상을 주는데 핵산 염기의 변형, 핵산 염기의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 분해 등을 초래하여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엘라스타아제는 피부 탄력을 유지해주는 동물 결합조직의 불용성 탄성 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유일한 분해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외부에서 침입한 미생물을 파괴하거나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여 세포재생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엘라스타아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 피부자극에 의해 과잉 생성되어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시키고 콜라겐간 결합을 약화시켜서, 그 결과 진피 조직내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그물망 구조가 깨져서 피부 처짐 및 주름을 초래한다. 특히 40대 이후에서 엘라스타아제 작용에 의해 피부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엘라스타아제 작용이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또는 내부 기작에 의하여 피부손상이 발생됨으로 인해, 외견상 피부색소 이상침착 및 피부노화를 억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화장료 제조업계에서는 지대한 관심사항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천연물을 이용한 소정 물질의 추출물을 화장료의 성분으로 포함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되어온 바,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토대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중 하나인 풍류과는 이제까지 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사용된 예가 없으며, 이에 대한 선행 기술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생약재인 야관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41544호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사용가능한 약용식물로서 야관문이 기재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화장료 성분으로서 기재된 것이 아니며, 영국등록특허(BR) 0116098호(그의 일본대응특허 제2002179581호 및 미국대응특허 제2004028643호) ‘Compositions for retarding skin aging'에 야관문이 피부 노화 방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으나, 수많은 약용식물의 하나로서 예시되어 있을 뿐이다.
본 발명자들은 풍류과와 야관문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각각의 단일 약재 추출물에 비해 상승 작용적으로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활성을 가질 뿐 아니라, 항산화제 및 피부 미백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기존 성분보다 더욱 우수한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추출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인체 피부에서 진행되는 여러 요인에 의한 피부의 색소이상침착 또는 노화를 억제하고,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한편,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풍류과(Ficus stipulacea Thunb.) 및 야관문(Lespedeza cuneata G. Don)으로부터 수득되어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풍류과(Ficus stipulacea Thunb.)는 중국 티베트, 신강에서 자생하는 약재로, 3년에 한번 열리고 양이 매우 적으며 효능이 신비한 탓으로 약재시장에서 구하기 어려운 희귀약재이다. 독특한 생김새로 인하여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에서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르는데, 목련(木蓮), 벽려(), 목만두(木饅頭), 귀만두(鬼饅頭)라고 하며, 산해경(山海經)에서는 초려(草)라고 부른다. 또한, 풍류과는 생김새가 마치 남성의 성기 끝부분을 닮았다고 하여 귀두자(龜頭子)라고 부르며, 남성의 성기능을 강하게 한다고 하여 장양과(壯陽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풍류과는 사람의 정기를 크게 보양하며, 근골, 관절을 강하게 해주고, 진통, 안정, 신장, 골수, 체질 보양의 특효로 쓰인다. 또한, 티베트 노인들은 풍류과를 달여 복용하면 청춘을 돌려받아 20대처럼 정력이 왕성하고 힘든 노동에도 피로를 모르며 또한 엄동설한에 밖에서 밤을 지새워도 추위를 모른다고 한다.
야관문(Lespedeza cuneata G. Don)은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뿌리가 달린 전초로 8~9월 개화 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사용한다. 야관문은 대한민국 전역,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하고 자생력이 뛰어나며, 이것을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千里光), 큰 힘을 나게 한다 하여 대력왕(大力王), 뱀을 쫓는다고 하여 사퇴초(蛇退草), 또는 비수리, 노우근(老牛筋), 호지자, 산채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국본초도감에 야관문의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으며, 폐와 간,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예로부터 민간에서 발기부전,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2~3 일만 복용하여도 그 효과가 나타나므로 부작용이 전혀 없는 천연 비아그라로 불리며, 반드시 술로 우려내야만 그 진가가 나타난다고 기록되어 있다. 유효성분으로는 pinitol, flavonid, 페놀성 성분, tannin, β-sisterol이 밝혀져 있고, flavonoid에서는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등이 분리되어졌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분리 추출하기 위해서는 (a) 풍류과, 야관문을 정선, 정량하여 재료를 준비한 후, (b) 상기 준비된 각각에 소정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소정의 추출공정을 진행하여서 상기 풍류과, 야관문으로부터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추출하고, (c) 상기 추출용매로 추출된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정제 수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되는 풍류과 및 야관문은 풍류과 단일추출물 또는 풍류과 및 야관문이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서 가해지는 추출용매는 정제수,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을 비롯한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용매가 이용되며, 상기 약재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중량에 대하여 생약재 전체 중량이 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추출용매가 가해진 후 진행되는 추출공정은, 5 내지 37℃의 온도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 추출하는 방법인 침지법이나, 냉각콘덴서를 장착시킨 후 50 내지 95℃의 온도조건에서 4 내지 20시간동안 가열 추출하는 방법인 환류 냉각법이나, 30 내지 60℃의 온도조건에서 4 내지 20시간 동안 초음파 조사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인 초음파추출법을 사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실시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로부터 수득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피부 미백효과 및 노화방지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 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크림류, 팩류, 로션류, 에센스류, 화장수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상용화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노화방지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생약재 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천연추출물 등을 비롯하여,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를 배가시키기 위한 화학적 성분의 피부 노화 방지 성분을 당업계의 통상적인 사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백효능을 가지며, 피부에서의 항산화효과,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주름생성 억제 및 개선의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추출물의 단독 사용에 비해 상승작용적으로 증가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0>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정선된 풍류과 50g 및 야관문 50g을 각각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추출 용매 1 L을 넣고 환류 냉각 추출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rotary evaporator)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500 mL의 40% 부티렌글리콜로 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10은 풍류과 및 야관문 각각을 100g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구 분 추출시료 (중량기준) 추출용매 고형분 %
실시예 1 야관문 : 풍류과 = 1:1 100% 에탄올 0.1608 ± 0.0083
실시예 2 야관문 : 풍류과 = 1:1 75% 에탄올 수용액 0.3378 ± 0.0376
실시예 3 야관문 : 풍류과 = 1:1 50% 에탄올 수용액 0.4823 ± 0.0170
실시예 4 야관문 : 풍류과 = 1:1 25% 에탄올 수용액 0.4554 ± 0.0210
실시예 5 야관문 : 풍류과 = 1:1 100% 정제수 0.3570 ± 0.0190
비교예 1 풍류과 100% 에탄올 0.2270 ± 0.0296
비교예 2 풍류과 75% 에탄올 수용액 0.1523 ± 0.0344
비교예 3 풍류과 50% 에탄올 수용액 0.1676 ± 0.0001
비교예 4 풍류과 25% 에탄올 수용액 0.2449 ± 0.0508
비교예 5 풍류과 100% 정제수 0.2387 ± 0.0183
비교예 6 야관문 100% 에탄올 0.3359 ± 0.0351
비교예 7 야관문 75% 에탄올 수용액 0.5720 ± 0.0041
비교예 8 야관문 50% 에탄올 수용액 0.3631 ± 0.0299
비교예 9 야관문 25% 에탄올 수용액 0.5191 ± 0.0071
비교예 10 야관문 100% 정제수 0.5080 ± 0.0021
<실험예 1. 항산화효과>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풍류과 및 야관문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시험과 활성산소 소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Kim 등 [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을 이용하였다. 0.2 mM DPPH 용액 1 mL에 상기 실시예 6 내지 9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추출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활성산소 소거실험은 Noro 등 [Chem. Pharm. Bull., 31, 3984-3987, 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BT, nitroblue tetrazolim)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mL, 잔틴 0.1 mL,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0.1 mL, BSA (bovine serum albumin)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잔틴옥시다제 0.1 mL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광파장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옥시다제 용액 대신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에서 IC50은 활성산소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생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되는 토코페롤(dl-α-tocopherol)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0080302200-pat00001
Figure 112010080302200-pat00002
구 분 SC50 (μg/mL) IC50 (μg/mL)
실시예 1 9.390 ± 0.365 35.011 ± 5.187
실시예 2 7.195 ± 0.053 53.439 ± 6.276
실시예 3 3.260 ± 0.354 9.077 ± 8.412
실시예 4 5.386 ± 0.437 43.063 ± 2.653
실시예 5 6.016 ± 0.202 19.986 ± 1.179
비교예 1 42.090 ± 0.235 15196.145 ± 45.678
비교예 2 8.830 ± 0.221 7596.746 ± 46.059
비교예 3 7.045 ± 0.188 3142.270 ± 41.972
비교예 4 12.684 ± 0.218 6195.214 ± 98.667
비교예 5 24.160 ± 0.499 6634.151 ± 30.413
비교예 6 16.068 ± 0.301 45.800 ± 1.534
비교예 7 13.758 ± 0.281 98.053 ± 7.036
비교예 8 5.091 ± 0.051 11.136 ± 1.587
비교예 9 7.569 ± 0.266 201.792 ± 10.278
비교예 10 9.390 ± 0.365 288.011 ± 18.187
토코페롤 18.316 ± 0.030 225.327 ± 4.278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5의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풍류과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5와 야관문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6 내지 10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활성산소 소거 활성은 야관문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6 내지 10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풍류과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 소거효과는 토코페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풍류과 및 야관문의 혼합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단일추출물에 비해 상승작용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엘라스타아제 저해효과>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10의 생약재 추출물이 갖는 피부주름의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검정하고자 엘라스타아제 저해능 시험(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타아제 기질인 N-Succinyl-(Ala)3 ρ-nitroaniline을 이용하여 ρ- nitroaniline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변화를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완충액은 pH 8.0, 0.267 M Trizma-HCl (Sigma), 기질액은 8.8 mM N-Succinyl-(Ala)3 ρ-nitroaniline (Sigma),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타아제를 10 μg/mL (Sigma)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μL, 기질액 20 μL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0으로부터 얻은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정제수에 녹여 100 μL로 한 시료액을 섞은 후, 효소액 20 μL을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ρ-nitroaniline의 생성량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파장 405 nm에서 측정한다. 한편, 상기 엘라스타아제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80302200-pat00003
구 분 시료농도 저해율 %
μL/100 μL mg/mL
실시예 1 100 1.608 23.265 ± 1.443
실시예 2 100 3.378 27.143 ± 1.420
실시예 3 100 4.823 34.490 ± 2.886
실시예 4 100 4.554 45.837 ± 1.443
실시예 5 100 3.570 57.143 ± 2.886
비교예 1 100 2.270 21.196 ± 0.769
비교예 2 100 1.523 25.543 ± 2.306
비교예 3 100 1.676 22.283 ± 0.769
비교예 4 100 2.449 29.891 ± 5.380
비교예 5 100 2.387 48.913 ± 1.537
비교예 6 100 3.359 -
비교예 7 100 5.720 -
비교예 8 100 3.631 -
비교예 9 100 5.191 -
비교예 10 100 5.080 -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풍류과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5와 유사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야관문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6 내지 10은 엘타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 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풍류과 및 야관문의 혼합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풍류과 또는 야관문의 단일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생약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과 비교예 1 내지 10의 생약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생체 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티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 161-168, 1966]을 응용해 미백효과를 판정하였다.
각 시료들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0.9 mL, 0.1 M 인산완충액(pH 6.8) 1.0 mL, 1.5 mM L-티로신 용액 1.0 mL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warming up 시킨다. 머시룸 티로시나제(1,500 units/mL)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티로시나아제 저해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티로시나아제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당업계에서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는 알부틴(Arbutin)의 미백효과와 비교하였다. 하기 표 4의 IC50은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80302200-pat00004
구 분 IC50(mg/mL)
실시예 1 1.596 ± 0.158
실시예 2 0.792 ± 0.022
실시예 3 0.845 ± 0.013
실시예 4 0.773 ± 0.023
실시예 5 1.787 ± 0.069
비교예 1 5.730 ± 0.701
비교예 2 1.632 ± 1.727
비교예 3 1.894 ± 1.689
비교예 4 3.202 ± 1.954
비교예 5 10.190 ± 1.501
비교예 6 2.207 ± 0.126
비교예 7 2.307 ± 0.055
비교예 8 0.874 ± 0.020
비교예 9 1.139 ± 0.023
비교예 10 2.646 ± 0.156
알부틴 3.700 ± 0.268
상기 표 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5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가 풍류과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5와 야관문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6 내지 10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5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는 알부틴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풍류과 및 야관문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미백효과가 단일추출물에 비해 상승작용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알부틴보다도 3~4배 높은 효과로, 미백 화장료로서 매우 유용함을 볼 수 있었다.
<제형예 1>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5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5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1 0.1
3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 0.1
4 부틸렌글리콜 2.0 2.0
5 글리세린 1.0 1.0
6 피이지-1500 0.5 0.5
7 에탄올 8.0 8.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0.2
9 트리에탄올아민 0.1 0.1
10 방부제 미량 미량
11 실시예 4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2.0 -
<제형예 2>
상기 실시예 4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탄력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6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4.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글리세린 5.0 5.0
9 카보머 0.1 0.1
10 산탄검 0.03 0.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정제수 잔량 잔량
13 아르기닌 0.1 0.1
14 실시예 4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5.0 -
<제형예 3>
상기 실시예 4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7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2.0 2.0
9 글리세린 5.0 5.0
1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1 산탄검 0.03 0.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14 실시예 4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
<실험예 4. 피부의 안전성 실험>
상기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5와 이들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제형예 1 내지 3의 피부 안전성, 즉 피부반응의 관찰을 통해서 자극 혹은 알레르기성 반응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로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을 선정하였고, 첩포시험은 대상자 상박 내측에 첩포를 부착하였으며 48시간이 지난 후 첩포를 제거하였다. 약 60분간 안정을 취하도록 한 후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첩포 부착 후 96시간이 경과한 후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판정기준은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반응 가중치 판정의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수포
+++ 3 대수포
첩포 부착 후 48시간과 96시간에 판독한 결과를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시료에 대한 피부 반응도를 산출하였다.
Figure 112010080302200-pat00005
첩포시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계산된 양성 반응을 보인 시료의 피부 자극도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료 48시간 96시간 반응도(%)
+ ++ + ++ 48시간 96시간 평균
실시예 1 - - 2 - 0.00 1.12 0.56
실시예 2 - - 1 - 0.00 0.56 0.28
실시예 3 - - 1 - 0.00 0.56 0.28
실시예 4 - - - - 0.00 0.00 0.00
실시예 5 - - - - 0.00 0.00 0.00
제형예 1 - - - - 0.00 0.00 0.00
제형예 2 - - - - 0.00 0.00 0.00
제형예 3 - - - - 0.00 0.00 0.00
상기한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5와 이들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제형예 1 내지 3에 대한 인체첩포시험에서 하기 표 10에 따른 피부 반응도 판정 기준에 의하면 무자극으로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성분으로 나타났다.
피부의 평균 반응도 판정 기준
0.0 ~ 0.9 무자극
1.0 ~ 2.9 경자극
3.0 ~ 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Claims (6)

  1.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화장료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류과 및 야관문을 중량비 3:1 내지 1:3로 혼합하여 용매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화장료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류과 및 야관문이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되고, 이 때 추출용매의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의 혼합 생약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화장료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 화장료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5.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 0.01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수, 로션 및 크림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3768A 2010-12-06 2010-12-06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68A KR101114499B1 (ko) 2010-12-06 2010-12-06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68A KR101114499B1 (ko) 2010-12-06 2010-12-06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499B1 true KR101114499B1 (ko) 2012-02-24

Family

ID=4584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768A KR101114499B1 (ko) 2010-12-06 2010-12-06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221A (ko) * 2014-01-03 2015-07-13 배일한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9845B1 (ko) 2014-06-30 2015-12-23 이경수 남성호르몬 증가, 지구력 및 근력 증가, 체지방 및 혈중지질 감소,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증가를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인 무기력증과 활력저하, 근력저하, 체지방량 증가, 피로감 및 스트레스 증가를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 호로파 또는 호로파를 함유하는 복합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81A (ja)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4359732A (ja) 2003-06-02 2004-12-24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抗酸化剤
US20080096825A1 (en) 2006-04-21 2008-04-24 Ehrenkranz Joel R L Preparation and Use of Phlorizin Compositions
JP2009215269A (ja) 2008-03-13 2009-09-24 Okinawa Pref Gov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81A (ja)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4359732A (ja) 2003-06-02 2004-12-24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抗酸化剤
US20080096825A1 (en) 2006-04-21 2008-04-24 Ehrenkranz Joel R L Preparation and Use of Phlorizin Compositions
JP2009215269A (ja) 2008-03-13 2009-09-24 Okinawa Pref Gov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221A (ko) * 2014-01-03 2015-07-13 배일한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3723B1 (ko) 2014-01-03 2021-02-08 배일한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9845B1 (ko) 2014-06-30 2015-12-23 이경수 남성호르몬 증가, 지구력 및 근력 증가, 체지방 및 혈중지질 감소,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증가를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인 무기력증과 활력저하, 근력저하, 체지방량 증가, 피로감 및 스트레스 증가를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 호로파 또는 호로파를 함유하는 복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7999B1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20120121738A1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101229748B1 (ko) 비타민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466686B (zh) Whitening agents, anti-aging agents and antioxidants, and whitening endermic agents, anti-aging and anti-skin external oxid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kin external preparation of
KR101682123B1 (ko)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8904A (ko) 코스투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6137875B (zh) 一种组合物及面膜
KR101114499B1 (ko)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515418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5404B1 (ko)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1889471B1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7785A (ko) 연교를 이용한 피부 질환 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773A (ko) 연교 또는 작약 오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