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221A -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221A
KR20150081221A KR1020140038874A KR20140038874A KR20150081221A KR 20150081221 A KR20150081221 A KR 20150081221A KR 1020140038874 A KR1020140038874 A KR 1020140038874A KR 20140038874 A KR20140038874 A KR 20140038874A KR 20150081221 A KR20150081221 A KR 20150081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wrinkle
cosmetic composition
g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723B1 (ko
Inventor
배일한
Original Assignee
배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한 filed Critical 배일한
Publication of KR2015008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을 최적조건으로 추출하고 수율을 측정한 후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활성을 측정하고 크림 및 세럼형태로 화장품 조성물을 개발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을 최적조건으로 추출하여 제조한 화장품조성물은 주름개선 활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의 이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wrinkle containing the extract mori radicis cortex, Lindera obtusiloba and Lespedeza cuneata}
본 발명은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백피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뽕나무속 식물의 근피로, 예로부터 해열, 항경련, 항알러지, 항염증작용과 더불어 이뇨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Kim, A. K. et al., 1995, Liver protective effects of Mori Radicis Cortex in isolated hepatocytes, J. Korea Soc. Hygienic Sciences, 1, 16-20). 특히 상백피에 rutin과 같은 oxyresveratrol 이 있어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지면서 상백피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Jung, S. W. et al.,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항균 및 여드름 균억제 효과(Park, U. Y. et al., 1995,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or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J. Fd Hyg-Safety, 10, 225-230), 탈모증에 대한 모발 성장효과(Lee, H. S. et al., 2000, Hair growth effects of Mori Cortex Radicis mixture on the hair of rat, Korean J. Seric. Sci., 42, 83-86)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한반도와 일본, 중국 등의 숲속 그늘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녹나무과(Lauraceae)의 식물로 가지를 꺾으면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생강나무라고 한다. 생강나무의 줄기껍질, 잎, 가지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있어 활혈, 산어(散瘀), 소종(消腫), 서근(舒筋)의 효능이 있고, 타박상, 어혈종통을 치료한다 알려져 있다(Bang, C. Y. et al.,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Yakhak Hoeji, 52, 355).
야관문(夜關門, Lespedeza cuneata G. Don)은 콩과(Leguminosae) 싸리속(Lespedeza)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비수리, 삼엽초(三葉草)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도 불리우며 민간에서 기침, 천식, 양기부족 등의 치료에 쓰여 왔다. 야관문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pinitol, flavoid, phenol 성분이 있으며 자유라디칼(free radicals) 소거능과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H. J. et al.,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69).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 감소와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장시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인 피부 변화가 일어나는 외인성 노화인 광노화(photo aging)로 나눌 수 있으며(Seo, J. Y. et al., 2001, Skin aging from phenotype to mechanisms, Kor J Invest Dermatol, 8, 187-194) 내인성 노화의 피부는 미세한 주름이 늘어나며 부드러운 감촉을 보이는데 반해 광노화는 피부에 깊은 주름, 피부이완, 모세혈관 확장, 거칠음 등을 유발시킨다(Seite, S. et al., 2006, Elastin change during chronological and photo-ageing: the important role of lysozyme,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 980-987).
1990년대에 들어서는 근육 신경질환 치료에 사용된 보톡스가 눈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미용 목적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보톡스를 근육에 주사하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막아 근육마비를 일으키면서 근육의 위축을 가져옴으로써 안면 주름을 개선한다. 그러나, 영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4~6개월마다 약을 주입해야하는 단점이 있고, 알부민을 사용하는 액상제제의 보톡스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과민반응 또는 약물내성 등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과민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각종 식물과 한방 생약재의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나 그 효능 면에서 소비자가 크게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것은 드문 것이 현실이다.
생약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6835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20922호에 개시된 바 있다. 또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499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문헌 어디에도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혼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개선 활성이 있는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을 또한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인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미백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주름개선활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본 발명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을 최적조건으로 추출하여 화장품에 사용함으로써 주름개선 활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의 이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공정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세럼 조성물의 제조공정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농축액 및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분말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액제 및 고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일반적인 성분들, 예를 들면 항생제,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보존료, 또는 향료 등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 사용한 시료들은 (주)대신테크젠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추출조건은 온도 80℃, 6.6시간, 에탄올 농도 38 ~ 68%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은 국내에서 수확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적 추출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을 동결건조 한 뒤 분쇄한 동결건조 분쇄물 5 g에 추출용매 100 배(w/w)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추출시간, 에탄올 농도의 3가지 변수를 -1, 1의 2단계로 부호화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추출물은 와트먼 No.2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과된 용액은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냉동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SAS 9.1과 Design-Expert 8.0 program을 이용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은 모델에 대한 F-test를 통하여 유의성 검사를 하였다. 또한 이차 회귀식으로 설명되지 않는 실험결과는 실험군 간의 차이를 SAS를 이용하여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최적화는 수치 최적화(numerical optimization)와 혼합물 성분의 모형적 최적화(graphical optimization)를 선정하였고, 그 때의 점을 예측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 반응표면 분석법 실험계획 디자인
번호 추출온도 (℃) 추출시간 (h) 에탄올 농도(%)
1 -1(70) -1(5) -1(30)
2 -1(70) -1(5) +1(70)
3 -1(70) +1(7) -1(30)
4 -1(70) +1(7) +1(70)
5 +1(85) -1(5) -1(30)
6 +1(85) -1(5) +1(70)
7 +1(85) +1(7) -1(30)
8 +1(85) +1(7) +1(70)
<실험예 1>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의 수율측정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추출수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바람직한 추출조건은 온도 80℃, 6.6시간, 에탄올 농도 38 ~ 68%이었다.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의 수율
번호 상백피(고형분 %) 생강나무(고형분 %) 야관문(고형분 %)
1 0.34 0.20 0.30
2 0.32 0.20 0.33
3 0.36 0.21 0.33
4 0.38 0.22 0.32
5 0.40 0.33 0.46
6 0.41 0.32 0.47
7 0.43 0.37 0.53
8 0.45 0.36 0.57
<실험예 2>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상기 3가지 물질 혼합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 측정은 0.1 mM DPPH를 함유한 메탄올 용액 2 mL에 상기 추출물 0.1 mL를 가해 볼텍싱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DPPH의 환원에 의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이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Asample : 시료 첨가 well의 흡광도(515 nm)
Ablank : 증류수 첨가 well의 흡광도(515 nm)
실험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추출물의 IC50값이 상백피는 442.80 μg/mL로 높은 DPPH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강나무 IC50은 247.23 μg/mL, 야관문의 IC50은 520.45 μg/mL, 3가지 물질의 혼합물의 IC50은 221.19 μg/mL의 높은 DPPH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3개의 혼합물의 DPPH 저해활성
시료 저해율(IC 50 , μg/mL)
상백피 442.80
생강나무 247.23
야관문 520.45
혼합물(1:1:1) 221.19
<실험예 3>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상기 3가지 물질 혼합물의 미백 활성 측정
미백활성의 측정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500 μL(pH 6.8), 증류수 450 μL, 본 발명 추출물 50 μL, tyrosinase 50 μL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기질인 2.5 mM L-3,4 dihydroxyphenylalanin(L-DOPA) 50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분간 반응시키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tyrosinase 저해활성은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상백피 추출물의 IC50값이 412.70 μg/mL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강나무의 IC50은 625.52 μg/mL, 야관문은 512.40 μg/mL, 3가지 물질의 혼합물의 IC50은 433.46 μg/mL의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3개의 혼합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시료 저해율(IC 50 , μg/mL)
상백피 412.70
생강나무 625.52
야관문 512.40
혼합물(1:1:1) 433.46
<실험예 4>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상기 3가지 물질 혼합물의 주름개선 활성 측정
주름개선 활성은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확인하여 측정하였으며 본 발명 추출물 60 μL와 0.6 units/ml 엘라스타아제 효소(Sigma, 미합중국) 용액 100 ㎕를 30분간 37℃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4 mM sucAla3-PNA 용액(Sigma, 미합중국) 40 ㎕를 첨가하고 3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기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은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상백피 추출물의 IC50값이 212.70 μg/mL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강나무의 IC50은 325.52 μg/mL, 야관문은 228.40 μg/mL, 3가지 물질의 혼합물의 IC50은 182.46 μg/mL의 높은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 및 3개의 혼합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시료 저해율(IC 50 , μg/mL)
상백피 212.70
생강나무 325.52
야관문 228.40
혼합물(1:1:1) 182.46
<실시예 2>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 제조
(1)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 중 크림 제형은 일반 범용 제품으로 기본적인 형태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중량대비 배합군 A의 정제수 28 ~ 32중량%, 1,3-BUTYLENE GLYCOL 12 ~ 14중량%, GLYCERINE 2 ~ 3중량%, METHYL PARABEN 0.25 ~ 0.5중량%, Hyaluronic Acid (1%) 0.5 ~ 1중량%로 65℃에서 배합하고 배합군 B의 Emersol 7036 2 ~ 3중량%, CRODAMOL OP 6 ~ 7중량%, Macadamia Nut Oil 3 ~ 4중량%, O.D.O (TCG) 3 ~ 4중량%을 온도 80℃에서 배합하여 A군과 혼합한 다음 3500rpm, 65℃에서 1차 유화시켰다. 상기 유화물에 점증제 C군의 정제수 20 ~ 22중량%, Carbopol 940(2%) 6 ~ 7중량%를 투입하고 3500rpm, 70℃에서 혼합한 후 배합D군인 본 발명 야관문 추출물 0.5 ~ 1중량%, 상백피 추출물 0.15 ~ 0.3중량%, 생강나무 추출물 1.75 ~ 3중량%를 첨가하여 3500rpm, 60℃배합 및 냉각시켜 본 발명 크림 제형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
배합군 물질 배합비(중량%)
A 정제수 28 ~ 32
1,3-BUTYLENE GLYCOL 12 ~ 14
GLYCERINE 2 ~ 3
METHYL PARABEN 0.25 ~ 0.5
Hyaluronic Acid (1%) 0.5 ~ 1
B Emersol 7036 2 ~ 3
CRODAMOL OP 6 ~ 7
Macadamia Nut Oil 3 ~ 4
O.D.O (TCG) 3 ~ 4
C 정제수 20 ~ 22
Carbopol 940(2%) 6 ~ 7
D 야관문 추출물 0.5 ~ 1
상백피 추출물 0.15 ~ 0.3
생강나무 추출물 1.75 ~ 3
(2)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세럼 조성물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 중 세럼 제형은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주름개선의 효과를 강화한 형태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중량대비 배합군 A의 정제수 16 ~ 18중량%, glycerin 6 ~ 8중량%, hydroviton 24 2 ~ 3중량%, konjac mannan 4 ~ 5.5중량%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배합군 B의 Hyaluronic acid 10 ~ 12중량%, carbopol 940 20 ~ 24중량% 배합하였다. 상기 배합물에 배합군 C의 야관문 추출물 9 ~ 10중량%, 상백피 추출물 8.4 ~ 9.4중량% 생강나무 추출물 10.4 ~ 11.4중량%를 30분간 혼합 및 탈기시킨 다음 여과하여 본 발명 세럼 제형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세럼 조성물
배합군 물질 배합비(중량%)
A 정제수 16 ~ 18
glycerin 6 ~ 8
hydroviton 24 2 ~ 3
konjac mannan 4 ~ 5.5
B Hyaluronic acid 10 ~ 12
carbopol 940 20 ~ 24
C 야관문 추출물 9 ~ 10
상백피 추출물 8.4 ~ 9.4
생강나무 추출물 10.4 ~ 11.4
<실험예 5>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세럼 및 크림에 대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비지오미터(Visiometer)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와 넓이를 측정하였다. 1개월 동안 1일 2회에 걸쳐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1개월 후 비지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한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시험한 결과, 평균적으로 시험 대상자 20명 중 16명(80%)에게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화장품 조성물의 주름개선 효과
뚜렷한 효과(명) 효과 있음(명) 차이없음(명)
본 발명 크림 5 12 3
본 발명 세럼 8 11 1
본 발명은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유래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상백피, 생강나무, 야관문 식물의 각각 또는 중량비 1:1:1 혼합물을 30 ~ 75% 에탄올농도에서 70 ~ 85℃의 온도로 5 ~ 7시간 추출한 추출물.
  2. 제1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정제수, 1,3-BUTYLENE GLYCOL, GLYCERINE, METHYL PARABEN, Hyaluronic Acid(1%)를 배합하고 상기 배합물에 Emersol 7036, CRODAMOL OP, Macadamia Nut Oil, O.D.O (TCG)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1차 유화킨 후 상기 유화물에 정제수, Carbopol 940(2%)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 1항의 야관문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생강나무 추출물 첨가하여 배합 및 냉각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이 전체중량대비 정제수 48 ~ 54중량%, 1,3-BUTYLENE GLYCOL 12 ~ 14중량%, GLYCERINE 2 ~ 3중량%, METHYL PARABEN 0.25 ~ 0.5중량%, Hyaluronic Acid(1%) 0.5 ~ 1중량%, Emersol 7036 2 ~ 3중량%, CRODAMOL OP 6 ~ 7중량%, Macadamia Nut Oil 3 ~ 4중량%, O.D.O (TCG) 3 ~ 4중량%, Carbopol 940(2%) 6 ~ 7중량%, 야관문 추출물 0.5 ~ 1중량%, 상백피 추출물 0.15 ~ 0.3중량%, 생강나무 추출물 1.75 ~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특징인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크림 조성물.
  5. 정제수, glycerin, hydroviton 24, konjac mannan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Hyaluronic acid, carbopol 940을 첨가하여 배합하고 야관문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생강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후 30분간 혼합 및 탈기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세럼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의 주름개선 기능성 세럼 화장품은 전체중량대비 정제수 16 ~ 18중량%, glycerin 6 ~ 8중량%, hydroviton 24 2 ~ 3중량%, konjac mannan 4 ~ 5.5중량%, Hyaluronic acid 10 ~ 12중량%, carbopol 940 20 ~ 24중량%, 야관문 추출물 9 ~ 10중량%, 상백피 추출물 8.4 ~ 9.4중량%, 생강나무 추출물 10.4 ~ 11.4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특징인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용 세럼 조성물.
KR1020140038874A 2014-01-03 2014-04-01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3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933 2014-01-03
KR20140000933 2014-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221A true KR20150081221A (ko) 2015-07-13
KR102213723B1 KR102213723B1 (ko) 2021-02-08

Family

ID=5379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74A KR102213723B1 (ko) 2014-01-03 2014-04-01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1492A (zh) * 2017-09-13 2019-03-19 韩国百鸥思特公司 用于预防或者改善昼夜节律障碍的组合物
KR20210050724A (ko) 2019-10-29 2021-05-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백피 및 호장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20220015013A (ko) * 2020-07-30 2022-02-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98A (ko) * 2008-12-22 2010-07-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14499B1 (ko) * 2010-12-06 2012-02-2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98A (ko) * 2008-12-22 2010-07-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14499B1 (ko) * 2010-12-06 2012-02-2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1492A (zh) * 2017-09-13 2019-03-19 韩国百鸥思特公司 用于预防或者改善昼夜节律障碍的组合物
KR20210050724A (ko) 2019-10-29 2021-05-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백피 및 호장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20220015013A (ko) * 2020-07-30 2022-02-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723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81B1 (ko)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CN108498408B (zh) 一种美白精华液
KR20080079126A (ko) 알로에신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1221A (ko)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CN109568207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61235B1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6284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1184667B (zh) 一种具有滋润保湿、抗敏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81088A (zh) 胶原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包含该胶原酶抑制剂的透肌水
CN113116768A (zh) 水分露和胶原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873025B1 (ko) 한방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116765B (zh) 精华原液及其制备方法和胶原酶抑制剂
CN113116766B (zh) 胶原酶抑制剂,含该胶原酶抑制剂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