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84B1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284B1
KR101616284B1 KR1020080017403A KR20080017403A KR101616284B1 KR 101616284 B1 KR101616284 B1 KR 101616284B1 KR 1020080017403 A KR1020080017403 A KR 1020080017403A KR 20080017403 A KR20080017403 A KR 20080017403A KR 101616284 B1 KR101616284 B1 KR 10161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acacia
cosmetic compositio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095A (ko
Inventor
장혜인
김진완
최윤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to KR102008001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세염증억제작용, 항산화작용 및 주름완화작용을 갖는, 황금추출물 및 아카시아추출물, 또는 굴피나무열매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금, 아카시아, 굴피나무, 화장료, 피부 노화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skin aging or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피부노화방지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세염증억제작용, 항산화작용 및 주름완화작용을 갖는,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또는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생명체 내외의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 스트레스를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따라서 세포내의 항상성을 잃게 된다. 노화의 원인과 발생에 대한 연구는 수세기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에서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 결정적인 원인을 100% 단정 지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다양한 피부노화 원인이 알려져 있다.
노화 가설들 중 프리 래디칼(free radical) 가설 또는 산화적 손상가설로 이 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현상이 가장 잘 설명되고 있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노화현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Harman 1978 AGE 1, 143-150, 1978; Yu et al. 1996, Free Radic. Biol. Med. 21, 651-668).
특히, 최근에는 미세염증반응이 노화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 종 또는 활성질소 종의 생성을 야기하여 노화제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분자염증(Molecular inflammation) 가설이 대두되고 있다 (Chung et al. 2001, Ann. NY Acad. Sci. 928, 327-335).
피부는 신체의 가장 겉면에 존재하며, 상층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이 독특한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는 가장 크고, 변화하기 쉬운 기관으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의 내부환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피부의 각 층이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할 때 생리적 또는 미용적인 측면에서 최상의 피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의 노화과정은 노화의 원인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즉, 가령에 의해서 나타나는 노화(chronological aging)인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와 자외선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서 일어나는 외인성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 (Oikarinen, 1990, Photodermatol. Photoimmuno. Photomed. 7, 3-4).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수록 기능 저하와 피부 위축성 변화로 세포수의 감소, 피부 두께 감소 등의 변화를 보인다. 즉, 육안적인 형태학적 변화 보다는 기능적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외인성 노화는 주로 자외선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변화로 두꺼운 피부 두께, 변성된 세포 변화 등의 변화를 보이며 즉, 구조적, 생리적 변화를 야기하여 피부의 미용에 큰 악영향을 미쳐 피부건강 및 미용에 악영향을 준다. 외인성 노화는 내인성 노화 현상과 자외선 등의 환경에 의한 노화 현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rch. Dermatol. 130:28;1994, Ph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7:3;1990, Dermatol. 21:610;1989, K. Am. Acad. Dermatol. 21:614; 1989, J. Cutan. Aging. Cosmet. Dermatol. 1:5;1988).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현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자외선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생성량이 증가되는 활성산소종과 자유라디칼의 작용 및 이에 의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활성의 증가가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진피층은 90%가 콜라겐(collagen)으로 구성되어 있고,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노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활성의 증가는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는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등에서 분비되어 세포외 기질과 기저막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성분을 분해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이 파괴되어 주름과 탄력저하, 피부 처짐의 원인이 된다 (J. Biol. Chem, 277:45154;2002).
피시어(Fisher)등은 1회의 자외선(UV)조사에도 피부 내의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활성이 증가되며 피부 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가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영향을 미치며, 광노 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Photochem. Photobiol. 69:154;1999, J. Photochem. Photobio. B. 63:41;2001).
이러한 연쇄반응의 초기 단계에 프리 라디칼의 주된 생성원으로서 염증과 관련된 미세염증반응(분자염증)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서는 프리 라디칼 뿐만 아니라 COX-2(cyclooxygenase-2),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XOD(Xanthin Oxidase), NADPH 산화효소(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oxidase)와 같은 활성종을 생성하는 효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보고 되었다.
이러한 분자염증반응은 NF-κB의 활성화를 초래하는 활성산소종과 활성질소종 반응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NF-κB는 염증과정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핵심이다. 피부노화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산화 스트레스는 조직들의 손상을 초래하며, 염증세포들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도 및 활성화를 가져와 염증반응을 지속적으로 증폭시켜 피부의 노화를 더욱 가속화 시킨다.
그리고, 염증반응에서 유래되는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일중항 상소(singlet oxygen) 및 과산화수소(H2O2) 등의 활성산소에 의해 야기되는 프리 라디칼 반응은 지질을 포함한 세포의 주요 거대 분자를 파괴시키며, 이들은 반응성이 강하고 세포 구성물질이나 세포막과 항산화의 불균형을 야기해 과산화나 생체내 방어기구의 무기력화를 일으키고 단백질의 산화 및 변성 등을 초래하며 세포의 기능을 손상시키고, 결국 탄 력 감소, 주름 기미 및 주근깨 생성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최근 규명된 염증관련 지표들이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염증반응과 같이 변화함이 보고 된바 있어 노화의 과정에서 분자염증과정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피부 항노화 소재들은 피부세포의 분화 재생 조절, 세포외 기질 성분 조절, 활성산소(ROS) 소거의 3가지 카테고리로 집중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분자염증반응의 열쇠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NF-κB의 조절을 통한 노화의 억제 물질의 개발의 중요성이 인식하고, 분자염증억제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한 피부노화 방지 억제, 세포외 기질 성분 조절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추출물에 콜라겐분해효소저해 효과, NF-κB의 조절을 통한 항노화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을 발견하고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또는 추가로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성분인 황금 추출물의 원료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소서근풀이라고 하며 뿌리를 황금이라 일컫는다.
주요성분으로는 뿌리에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우고노사이드(Wogonoside), 네오바이칼레인(Neobaicalein) 등이 있고 그 외 베타-시토스테롤, 아미노산 등이 있으며, 항균, 해독, 항자극, 항알레르기작용, 항염증 작용 및 진정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성분인 아카시아는 콩과 나무 및 관목의 속이다. 아카시아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타닌, 고무, 목재, 연료 및 사료의 공급원을 공한다. 주로 수피로부터 단리되는 타닌은 가죽 및 모피를 무두질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부 아카시아 수피는 또한 지역 특유의 주정에 향을 더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아카시아 시누아타 (A. sinuata)와 같은 일부 자생종은 또한, 물과 혼합하고 교반시켰을 때 비누 거품을 형성시키는 다양한 식물 글루코사이드 중 어느 하나인 사포닌을 생성시킨다. 사포닌은 청정제, 발포제 및 유화제에 사용된다. 일부 아카시아 종의 꽃은 방향성이며, 향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피부 진정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약 330가지 화합물이 다양한 아카시아 종으로부터 단리되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아카시아로부터 단리된 주된 부류의 화합물이며, 약 180 가지의 상이한 플라보노이드가 확인되었고, 이 중 약 110여가지는 플라반(flavan)이다. 테르페노이드(terpenoid)가 아카시아 속의 종으로부터 단리된 2번째로 많은 부류의 화합물이며, 48 가지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아카시아로부터 단리되는 다른 부류의 화합물로는 알칼로이드(28가지), 아미노산/펩티드(20가지), 타닌(16가지), 탄수화물(15가지), 산소 헤테로고리 화합물(15가지) 및 지방족 화합물(10가지)이 있다 (Buckingham, The Combined Chemical Dictionary, Chapman & Hall CRC, version 5:2 Dec. 200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성분인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는 꾸정나무라고도 불리며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굴피나무 열매껍질에는 유글론이 있고, 열매에는 탄닌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열매를 화향수과라하며 진통, 소종, 거풍 등의 효능이 있다 하여 근육통, 복통, 치통, 습진종창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왔다. 잎은 살충 및 살균작용이 강하여 피부의 급성 화농증이나 머리의 부스럼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보고된 바에 의하 면, 굴피나무 추출물이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생리활성을 가지며 (한국특허등록 제 10-0453290호), 굴피나무에서 분리된 유효성분으로 엘라그산(ellagic acid) 유도체와 디아릴 헵타노이드(diaryl heptanoid) 물질이 알려져 있다(Phytochemistry. 47(5):851-854;1998).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물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하는 추출물은 황금의 뿌리, 아카시아의 심재 및 잎, 또는 굴피나무열매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통상적인 건조 방법, 바람직하게는 자연 건조시키고, 상기 건조물을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준비한 다음 통상적인 추출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금, 아카시아, 굴피나무 추출물은 상기에서와 같이 세절 또는 분말화된 황금, 아카시아 또는 굴피나무 건조물 무게(g)의 약 1배 내지 20배 부피(ml)의 물,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실온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5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해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추출물 중의 용매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3-부틸렌글리콜 등), 탄소수 1-4개 의 저급케톤 (예. 아세톤 등), 탄소수 1-4개의 저급 에스테르 (예.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할 예일 뿐이고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와 저급 알콜이 2: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0:1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 또는 저급 에스테르, 저급 알코올 및 물이 20:1:0 내지 6:4:2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화방지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추가로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화방지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중에는 상기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이 0.1~10 : 0.1~10의 중량비율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추가로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과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의 중량비는 각각 0.1~10 : 0.1~10 :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식물 추출물은 각각의 식물에서 추출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혼합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외용의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고제, 팅크제, 비누 및 통상적인 화장품, 예컨대, 크림,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백분, 세안크림, 세안젤, 세안폼, 바디샴푸, 바디젤, 바디크림, 핸드크림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을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외용 의약품, 비누기제 및 화장품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부형제, 예를 들면 유화제, 보존제, 윤활제, 희석제, 점증제, 보습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사용하여 화장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 라겐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보습성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는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수소화 캐스터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는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메틸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금, 아카시아,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은 통상 항산화목적으로 사용되는 양에 비하여 훨씬 소량을 사용하더라도 각 성분들의 상승적 효과에 의해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주름 개선에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바, 노화방지 또는 주름 개선 목적의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노화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식물 추출물들은 모두 이미 그들의 안정성이 확립되어 있어 부작용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금 추출물의 제조
황금의 뿌리를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완전히 자연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여기에 황금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10배의 에탄올을 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3일 동안 15-45℃에서 7일간 추출하였다. 그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증류장치로 45-50℃에서 감압농축하여 황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카시아 추출물의 제조
아카시아의 심재와 잎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완전히 자연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여기에 아카시아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10배의 에탄올을 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3일 동안 15-45℃에서 7일간 추출하였다. 그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와트만 2번 내지 5번의 여과지 중 한가지로 여과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증류장치로 45-50℃에서 감압농축하여 아카시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굴피나무 열매를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완전히 자연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여기에 굴피나무 열매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10배의 에탄올을 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3일 동안 15-45℃에서 7일간 추출하였다. 그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증류장치로 45-50℃에서 감압농축하여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9 :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또는 추가로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카시아 추출물이 배합물 전체 부피(ml)에 대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함유되도록 혼합하여 실시예 4 내지 9를 제조하였다.
[표 1] 조성물 중의 각 식물 추출물의 양 (단위: ㎍/㎖)
실시예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
4 4 16
5 10 10
6 16 4
7 8 2 5
8 8 2 10
9 8 2 20
실시예 10 내지 12
시토스테롤 4중량부, 폴리글리세린 2-올레이트 3중량부, 세라마이드 0.7중량부, 세테아레스-4 2중량부, 콜레스테롤 3중량부를 균질화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금 추출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카시아 추출물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이 배합물 전체 부피(ml)에 대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함유되도록 혼합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에 상기 조성물의 분말 3중량부와 디세틸포스페이트 0.4중량부, 농글리세린 5.0중량부, 선플라워 오일 22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중량부 및 방부제를 가하여 가열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정제수 56.4중량부를 가한 후, 균질화기에서 유화시키고 나서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0 내지 12를 제조하였다.
[표 2] 조성물 중의 각 식물 추출물의 양 (단위:%(w/v))
실시예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굴피나무열매 추출물
10 1.60 0.40
11 2.00
12 0.80 0.20 1.00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금 추출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카시아 추출물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이 추출물 전체 부피(ml)에 대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함유되도록 하여 비교예 1 내지 9를 제조하였다.
[표 3] 조성물 중의 각 식물 추출물의 양 (단위: ㎍/㎖)
비교예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굴피나무열매 추출물
1 10
2 20
3 50
4 10
5 20
6 50
7 10
8 20
9 50
비교예 10
본원발명에 따른 배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 내지 1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영양크림을 제조하여 비교예 10으로 하였다.
실험예
[ 실험예 1 : 항산화활성 검정 시험]
상기 실시예 4 내지 6에서 얻은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배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의 DPPH 라디칼을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여 검정하였다.
DPPH 일정량 (0.0039mg)을 에탄올(50ml)로 녹여서 0.2mM의 DPPH용액을 만들고, 시료 일정량을 취해 70% 에탄올에 녹여서 3.0mg/ml 농도의 시료용액을 만든 후, 시험관에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배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6 각각 1ml에 0.2mM DPPH용액 0.5ml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랭크(blank)는 에탄올 0.5ml에 각 농도별 시료용액 1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시험관에 70% 에탄올 1ml와 0.2mM DPPH용액 0.5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공식으로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7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1-(시료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음성대조군 흡광도] X 100
[표 4]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배합물의 항산화 활성
DPPH 라디칼 소거능 (%)
비교예 1 32.82
비교예 2 71.32
비교예 3 92.72
비교예 4 13.2
비교예 5 22.5
비교예 6 35.5
실시예 4 70.78
실시예 5 92.28
실시예 6 99.24
상기 표 4 및 도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황금 및 아카시아 추출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함을 예상할 수 있다.
[ 실험예 2 : NF -κB의 활성화 억제 검정 시험]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DPK-SKDF-H; Dominion Pharmakine (Bizkaia, Spain))를 10% FBS, L-glutamine (2.0 mM), 그리고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 100 μg/ml))을 포함한 DMEM 배지 15 ml가 포함된 75 cm2 플라스틱 플라스크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3 X 105 세포/웰 이 되도록 분주하고 같은 조건으로 1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세포의 배지를 교체하고 여기에 실시예 4 내지 7을 각각 100㎕ 씩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 황화철(FeSO4) 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각각 0.5μM과 0.25mM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여 유해산소의 생성을 유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케미콘 인터내셔날사(Chemicon International)의 NF-κB 분석 키트(NF-κB p50/65 Transcription Factor Assay Colorimetric)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매뉴얼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5]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 배합물의 NF-κB 활성화 억제 정도
NF -κB 활성화 정도 ( OD 450nm / mg 단백질)
비처리군 0.23
대조군 1.82
실시예 4 1.26
실시예 5 0.84
실시예 6 0.73
상기의 표5와 도2와 같이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의 배합물은 NF-κB 의 활성화 억제 효과에 있어 대조군에 비하여 약 2.5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MMP -1 mRNA 발현 저해 효과 측정]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1은 피부 노화 및 주름 생성에 관계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세포외 기질과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해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을 파괴시켜 주름 생성, 피부 탄력의 저하를 야기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를 촉진하며, 광노화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MMP-1은 UVA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며,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를 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였다.
섬유아세포를 60 mm 디쉬에 1 X 106의 밀도로 분주한 후 24시간 37℃에서 배양하였다. UVA를 6J 조사한 후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7 내지 9를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트리졸 (Trizol, invitrogen, USA) 1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클로르폼(chloroform) 200㎕를 첨가 후 실온 5분 방치한 후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조심스레 새 튜브에 옮긴 뒤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500㎕ 첨가하였다. 실온에 5분간 방치 후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여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제거 한 후, 75% 에탄올 1㎖ 첨가 후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펠렛을 완전히 건조한 후, 멸균 정제수 20㎕을 첨가하여 녹였다.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260nm에서 RNA 양을 정량한 후, 역전사 중합 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역전사 중합 반응은 올인원 역전사 중합 반응 키트 (All-in-one RT-PCR kit, SuperBio, Korea)를 사용하였고, 프라이머와 반응 조건은 하기의 표 6 및 7과 같고, 올인원 역전사 중합 반응 키트에서 제공되는 메뉴얼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6] MMP-1 프라이머
MMP-1 프라이머
센스 5'-TGGGAGCAAACACATCTGA-3'
안티센스 5'-ATCACTTCTCCCCGAATCGT-3'
반응조건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6℃에서 3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94℃1분, 48℃1분, 72℃1분간 25 사이클로 중합 반응
[표 7] 액틴 프라이머
액틴(Actin) 프라이머
센스 5'-GAGACCTTCAACACCCCAGCC-3'
안티센스 5'-GGCCATCTCTTGCTCGAAGTC-3'
반응조건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6℃에서 3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94℃ 1분, 48℃1분, 72℃1분간 25 사이클로 중합 반응
MMP-1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액틴에 대해 보정을 하여 나타내었다.
MMP-1 발현 정도(액틴에 대해 보정한 값, %) = [(실험군의 액틴발현양/대조군의 액틴발현양) X (실험군의 MMP-1 발현양)]/대조군의 MMP-1 발현양)] X 100
하기 표 8 및 도3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된 MMP-1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굴피나무열매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의 배합물은 UVA에 의해 유도 된 MMP-1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MMP-1 mRNA 발현 저해 효과
MMP-1 발현정도 (% 액틴에 대해 보정한 값)
대조군 100
비교예 7 75.5
비교예 8 36.1
비교예 9 27.5
실시예 7 46.3
실시예 8 22.7
실시예 9 20.1
[ 실험예 4 :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 시험]
피험자로서 건강한 30세 이상의 여성 중 피부과 전문의의 문진과 이학적 검사상 눈가에 주름이 있는 사람을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의 눈가 주름부위를 시험부위로 결정하였다.
모집된 피험자를 각각 24명씩 4개군의 군(시험군 1, 시험군 2, 시험군 3, 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피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비교예 10의 영양크림 및 상기 실시예 10 내지 12에서 제조한 영양크림을 시험부위인 눈가 주름부위에 적당량을 취해 잘 스며들도록 1일 2회(아침, 저녁), 12주 도안 도포하도록 하여 각각 대조군 및 시험군 1 내지 3으로 하였다.
피부 주름 개선효과의 측정은 제품사용 전(0주), 6주, 12주에 항온항습조건 (22℃±2℃, 40 ~ 60%) 에서 30분간 피부안정을 취한 후, 얼굴 눈가 주름 시험부위에 대한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고 비져미터(Visiometer, Skin-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주름 모사판(Replica)에 대한 화상분석(Imag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주름분석은 모사판 주름에 일정한 각도의 빛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그림자의 명암에 의해 주름의 깊이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피 부주름 깊이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9 및 도 4에 나타냈다.
주름의 깊이는 작아질수록 피부주름이 개선되어 주름의 깊이가 낮아짐을 의미하며 단위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다.
[표9] :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 시험
주름깊이 (임의의 단위)
0주 6주 12주
대조군(비교예 10) 0.56±0.14 0.59±0.16 0.58±0.10
시험군(실시예 10) 0.57±0.11 0.56±0.10 0.56±0.10
시험군(실시예 11) 0.56±0.10 0.55±0.10 0.52±0.08
시험군(실시예 12) 0.57±0.13 0.53±0.11 0.48±0.10
주) 상기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9 및 도 4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및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의 배합물은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화장수
정제수에 글리세린 3중량부, 부틸렌글리콜 2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2중량부, 방부제를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트윈20 (Tween 20) 1중량부를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향료를 투입 교반하여 정제수 80중량부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알로에신 및 감초 추출물의 배합물 분말 2중량부 및 에탄올 10중량부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2. 밀크로션
시토스테롤 1.5중량부, 폴리글리세린 2-올레이트 1.5중량부, 세라마이드 1중 량부, 세테아레스-4(ceteareth-4) 1중량부, 콜레스테롤 1.5중량부를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고 알로에신, 감초 추출물 및 유채꽃 추출물의 배합물 분말 2중량부와 디세틸포스페이트 0.4중량부, 농글리세린 4.0중량부, 선플라워 오일 10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중량부, 산탄검 0.3중량부 및 방부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정제수 76.5중량부를 가한 후 균질화기에서 유화시키고 나서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3. 영양에센스
시토스테롤 1.7중량부, 폴리글리세린 2-올레이트 1.5중량부, 세라마이드 0.7중량부, 세테아레스-4(ceteareth-4) 1.2중량부, 콜레스테롤 1.5중량부를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고 알로에신, 감초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의 배합물 분말 5중량부와 디세틸포스페이트 0.4중량부, 농글리세린 5.0중량부, 선플라워 오일 15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중량부, 산탄검 0.2중량부 및 방부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정제수 67.6중량부를 가한 후 균질화기에서 유화시키고 나서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6 및 실시예 4 내지 6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4 내지 6 추출물의 NF-κB에 대한 활성화 억제 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7 내지 9 및 실시예 7 내지 9 추출물의 MMP-1 발현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0의 영양크림 및 실시예 10 내지 12에서 제조한 영양크림의 눈가 주름에 대한 개선효과를 측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황금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이 1-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추가로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및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이 1-4:1:5-10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방지용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총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9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총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0.5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황금의 뿌리, 아카시아의 심재와 잎, 및 굴피나무 열매를 각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이를 여과하는 단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황금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및 굴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4:1:5-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항의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017403A 2008-02-26 2008-02-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61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03A KR101616284B1 (ko) 2008-02-26 2008-02-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03A KR101616284B1 (ko) 2008-02-26 2008-02-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95A KR20090092095A (ko) 2009-08-31
KR101616284B1 true KR101616284B1 (ko) 2016-04-29

Family

ID=4120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403A KR101616284B1 (ko) 2008-02-26 2008-02-2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6801B2 (ja) * 2009-11-13 2015-02-12 日油株式会社 皮膚外用剤
DE202012012873U1 (de) 2011-03-28 2014-02-03 Mary Kay Inc. Topische Hautpflegeformulierungen, die Pflanzenextrakte umfassen
KR101789518B1 (ko) * 2015-11-30 2017-10-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황금 및 나복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0404B1 (ko) *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86B1 (ko) * 1989-08-30 1997-05-07 이능희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smetic Mania News, "천연약용식물 주름개선 효과 ‘눈길’ 리니시에, 에이지 디파잉 인텐시브 에센스 출시"(2007.12.11.)
유니베라 보도자료, "리니시에 안티에이징 솔루션, ‘에이지 디파잉 라인’ 출시", URL: http://kr.univera.com/pr/report_view.html?Board_Seq=10&BBSBoard_Seq=59(2007.1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95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6284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0732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30277A (ko)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6272A (ko) 아이스플랜트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7299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0825B1 (ko) 굴거리나무 잎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8465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6515A (ko) 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주름개선,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6292A (ko) 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주름개선,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