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186B1 -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186B1
KR970007186B1 KR1019890012435A KR890012435A KR970007186B1 KR 970007186 B1 KR970007186 B1 KR 970007186B1 KR 1019890012435 A KR1019890012435 A KR 1019890012435A KR 890012435 A KR890012435 A KR 890012435A KR 970007186 B1 KR970007186 B1 KR 97000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radicals
activity
extract
cosmetic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02A (ko
Inventor
박수남
부용출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89001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186B1/ko
Priority to FR909000935A priority patent/FR2651132B1/fr
Priority to JP2016320A priority patent/JPH07103025B2/ja
Publication of KR91000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생체에서 생성되는 유기 자유 라디칼로는 ROO·, RO·등이 있고 활성산소류로는1O2, ·OH, O
Figure kpo00001
, H2O2등이 있으며, 이들은 생체 내의 각종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생리 활성물질의 생합성, 면역기능, 약물의 대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반응성이 매우 커서 이들이 과잉 생성될 경우에는 오히려 생체내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생체는 그 대책으로 SOD(Superoxide disumutase) 카탈라아제 등의 효소를 구비하고 있다.
유기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류는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 물질을 변질시켜 돌연변이, 발암, 노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Leibovitz, B.E. and Siegel, B.W. (1980). J. Geontel.,35 : 45), 유해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갖고 활성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유기 자유라디칼과 활성 산소류는 빛과 광감작 작용을 갖는 각종 약물로 인해서도 생성될 수 있는데, 현대 사회에서 각종 약물에 대한 접촉이 많아지면서 유기 자유 라디칼과 활성 산소류에 의한 생체 폐해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특히 생체가 노화되기 시작하면 SOD, 카탈라아제들의 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되기 때문에 유기 자유라디칼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룰 보호하는 세포 보호제는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세포 보호제가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며, 산화 방지제인 알파-토코페롤이 세포 보호제로서 쓰이고 있는 예가 있기는 하지만 그 효능이 만족스럽지는 않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세포 보호제의 필요성을 절실히 파악하게 된 본 발명자들은 1차적으로 세포 보호제를 검색할 목적으로 유기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정립한 바 있으며, 2차적으로 각종 식물의 유용 성분, 특히 강력한 항산화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중심으로 하여 검색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갖는 특성 식물을 검색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과 발견을 토대로 하여, 녹차, 아카시아잎, 황금 및 상백피의 혼합 추출물로 이루어진 화장료용 세포보호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그외 다른 목적, 그리고 특징을 설명한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성분으로서 흔히 배당체로 존재하며 그 아글리콘은 벤젠 고리와 2번 위치에 페닐기를 갖는 감마-피론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식물들은 예로부터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각종 생체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과 황산화 효과등이 밝혀짐에 따라 재차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각종 플라보노이드가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이 유기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류를 제거하는 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각종 식물로부터 다수의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여 독자적으로 정립시킨 방법에 의해 각각의 유기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녹차의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와 생약재인 고량강의 성분인 갈랑긴(galangin)등 다수의 플라보노이드가 기존의 세포보호제라 할 수 있는 알파-토코페롤보다 월등히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을 발견해내었으며, 나아가 구조-활성 관계를 검토하여 (-)-에피갈로케테킨 갈레이트의 경우에는 갈로일(galloyl)기가, 그리고 갈랑긴의 경우에는 페닐기가 중요함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용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물 특히 녹차, 은행잎, 감나무잎, 아카시아잎과 생약재인 황금, 물금, 고량강, 상백피, 진피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2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용 세포보호제를 제공한다.
특히, 녹차, 아카시아잎, 황금 및 상백피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유기 라디칼 소거능 및 유해 활성 산소류로부터의 피부보호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세포보호제는 빛에 노출이 많아서 특히 유기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피해를 입기 쉬운 피부세포를 보호하는 보호제로서 보다 큰 가치를 가질 수 있으며, 화장료의 윈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특히 용액상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화장료에 적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원액을 사용하여도 좋은 실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세포보호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피부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는데 유효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양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0-10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그 제형에 적합한 다른 주지의 성분들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포보호능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물로서 녹차, 은행잎, 감나무잎, 아카시아잎과 생약재로서 황금, 물금, 고량강, 상백피, 진피 등을 선정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이들 윈료를 물,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함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고, 그 추출액에 물, 부틸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 글리세린에서 선택된 1종을 첨가한 후에 실온 또는 냉소에서 숙성시킴으로써 화장료 원료를 사용될 수 있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녹차, 은행잎, 감나무잎, 아카시아잎에서 선정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식물과 황금, 물금, 고량강, 상백피, 진피 중에서 선정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약재의 혼합재료 1.0kg에 대해 20-80중량% 함수 에탄올 또는 30-70중량% 부틸렌글리콜 10kg을 가하여 실온에서 약 7일간 침적하여 추출을 행한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이어, 추출액에 50-80중량% 함수 부틸렌글리콜 또는 20-40중량% 함수 글리세린 5-5k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7일간 숙성시켜 최종 추출액울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세포보호능을 갖는 추출액은 하기 실험예에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강력한 유기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유해 활성산소류로부터 세포 보호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그에 따른 우수한 피부보호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믿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녹차, 아카시아잎, 황금, 상백피를 같은 중량씩 합한 식물 재료 1.0kg에 대해 5중량% 함수 에탄올 10kg을 가하고, 실온에서 약 7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 8.0kg에 50중량%함수 부틸렌 글리콜 8.0kg을 가하고 실온에서 약 7일간 숙성한 후 여과하여 세포보호 활성을 갖는 추출액 16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식물 재료로서 녹차, 은행잎, 감나무잎, 아카시아잎을 같은 중량씩 합한식물 재료 1.0kg으로부터 추출액 16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식물 재료로서 황금, 물금, 고량강, 상백피, 진피를 같은 중량씩 합한 식물 재료 1.0kg으로부터 추출액 16k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파-토코페롤 20g을 50중량% 함수 부틸렌글리콜 1.0kg에 녹여 비교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기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의 측정
시험관에 각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액의 에탄올 희석액 1.0ml와 유기 자유라디칼의 메탄올 용액(0.2mM 1,1-디페닐피크릴히드라질) 0.5ml을 넣어 섞고 20분 후에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기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은, 이 시험조건에서 첨가된 유기 자유라디칼의 50%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추출액의 첨가능도(ppm)로 정의하였다
시험예 2
활성산소류에 대한 세포보호 활성의 측정
생후 6개월된 토끼로부터 채취된 형액을 윈심분리(3000rpm, 5분)하고 세척하여 얻은 적혈구를 생리 식염수에 희석하여 적혈구 현탁액(적혈구 1500만개/ml)을 조제하였다. 직경 1.0cm의 10m1들이 파이렉스 시험과 6개를 준비하고, 각각에 적혈구 현탄액 3.5ml씩을 넣었다. 6개와 시험관중 3개는 대조군으로서 에탄올 50㎕색을 첨가하고, 나머지 3개는 처리군으로서 각 추출액의 에탄올 10배 희석액을 50㎕씩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융화시켰다. 융화가 끝난 후 광증감제로써 로즈뱅갈(rose-bengal) 수용액(12μM) 0.5m1를 첨가하고 입구릍 파라필름으로 봉한 후, 내부를 검게 칠한 50×20×25cm의 직육면에 상자 안에 20W의 형광등을 장치하고, 형광등으로부터 5cm거리에 시험관을 배열시키고 15분간 조사하였다.
광조사가 끝난 후, 그 시험관들을 암소에 두면서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의 투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파장에서 적혈구 현탁액의 투광도의 증가는 적혈구 용혈에 비례한다.
이상의 모든 실험은 27℃ 항온실에서 실시하였다. 각 활성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각 추출액의 활성은 이상의 측정 조건에서 첨가된 적혈구의 50%가 광용혈되는데 소요되는데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시험예 1 및 2의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Figure kpo0000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액들이 모두 알파-토크페롤보다 강력한 유기 자유라디칼 제거활성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추출액은 특히 유기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이 강력하였고, 실시예 3의 추출액은 특히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강력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추출액은 유기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과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모두 강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보호제는, 피부에 유해한 유기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능력 및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보호활성을 갖는 식물추출액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보노이드(Flavonodids)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물에서 얻은 추출물로 이루어지지며, 유기 자유 라디칼(organic free fadicals) 소거능이 우수하며 유해한 활성산소류(Activated oxygen species)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세포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녹차, 아카시아잎, 황금 및 상팩피로 이루어진 식물재료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화장료에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기에 유효한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보호제.
KR1019890012435A 1989-08-30 1989-08-30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KR97000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435A KR970007186B1 (ko) 1989-08-30 1989-08-30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FR909000935A FR2651132B1 (fr) 1989-08-30 1990-01-26 Agents de protection des cellules contre les especes chimiques a oxygene actif et leur preparation.
JP2016320A JPH07103025B2 (ja) 1989-08-30 1990-01-29 活性酸素類から細胞を保護する細胞保護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435A KR970007186B1 (ko) 1989-08-30 1989-08-30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02A KR910004202A (ko) 1991-03-28
KR970007186B1 true KR970007186B1 (ko) 1997-05-07

Family

ID=1928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435A KR970007186B1 (ko) 1989-08-30 1989-08-30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95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유니베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827A (ko) * 1996-11-08 1998-08-05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367563B1 (ko) * 1998-12-16 2003-02-19 주식회사 참 존 감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30004726A (ko) * 2001-07-06 2003-01-15 허문영 양강의 활성 성분의 분리방법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노화 방지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95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유니베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02A (ko)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rueksanan et al. Protection of Clitoria ternatea flower petal extract against free radical-induced hemolysis and oxidative damage in canine erythrocytes
Gangwar et al. Antioxidant capacit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polyphenol rich Mallotus philippenensis fruit extract on human erythrocytes: an in vitro study
Dureja et al.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and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of Ziziphus mauritiana and Ziziphus nummularia fruit extracts
JPH0393782A (ja) 活性酸素類から細胞を保護する細胞保護剤
Ali et al.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of Urena lobata (L) Leaves
KR970007186B1 (ko) 화장료용 세포보호제
Kherbachi et al. Antihemolytic activity of hydroalcoholic leaves and bark extracts from Rhamnus alaternus against AAPH induced hemolysis on human erythrocytes
JP2651191B2 (ja) 日焼け止め組成物とその調製方法
Yaseen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the leaf and stem of Achillea millefolium
Nikkhah et al. In vitro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cancer suppressive effect of blackberry (Morus nigra)
OJATULA et al. In-vitro evaluation of potential antioxidant properties of Eleusine indica and in-vivo visceral organ protective effect of higher-dose of the phytoextract in normotensive rats
Letha et al. Studies on phytochemical screening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iopian indigenous medicinal Plants, Artemisia abyssinica Sch. Bip. ex A
Sikder et al. In vitro antioxidant, reducing power, free radical scavenging and membrane stabilizing activities of Spilanthes calva
Ahmed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soberlinia doka leaves
Elizabeth et al. In Vitro antioxidant efficacy of Terminalia Bellirica seed extract against free radicals
Akoro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of Lannea egregia Engl. & K. Krause stem bark extracts
KR1007825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Taha Mohammed Study of some Miswak (Salvadora persica L) components and effect of their aqueous extract on antioxidant
KR940006066B1 (ko) 피부화장료
KR940001005B1 (ko) 피부화장료 조성물
Mani et al. Quantitative Study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in-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Extracts of Plantago major L.
KR100800432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나문재 추출물
Mohammedi et al. HPLC-UV Analysi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henolic compounds from endemic shrub of arid environment Tamarix pauciovulata J. Gay
KR102333688B1 (ko)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5868B1 (ko)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