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827A -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827A
KR19980034827A KR1019960052997A KR19960052997A KR19980034827A KR 19980034827 A KR19980034827 A KR 19980034827A KR 1019960052997 A KR1019960052997 A KR 1019960052997A KR 19960052997 A KR19960052997 A KR 19960052997A KR 19980034827 A KR19980034827 A KR 1998003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oh
tannin
fraction
composition
sepha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구
이상화
이용규
강세훈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827A/ko
Publication of KR1998003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827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에 의거하여 탁월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탄닌계 물질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러한 멜라닌의 농도 및 분포는 주로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이로신(Tyrosine)에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통해 생체내에서 제조된다. 이렇듯 타이로시네이즈가 피부흑색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글루타치온 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내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방지하거나 치료하는데 이용함으로써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에 부응하여 왔다. 그러나, 이 물질들은 피부에 자극성을 유발하거나 제품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그 효과도 미약한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미백효과가 뛰어난 물질을 개발하고자 이미 그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는 천연물중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집중적으로 탐색한 결과 탄닌계 물질, 특히 상기 구체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은 탄닌계 물질이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배양된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억제실험 및 사람에 대한 시험을 통해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닌계 물질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닌계 물질로는 코릴라긴(Corilagin), 푸니카폴린(Punicafolin), 테르카타인(Tercatain), 게라닌(Geraniin), 말로투시닌(Mallotusinin), 엘라오카르푸신(Elaeocarpusin), 빅사닌(Bixanin), 푸트란지바인(Putranjivain) A, 비스코피닌(Bischofinin), 레판더신산 A 모노칼륨염(Repandusinic acid A monopotassium salt), 아세토닐게라닌(Acetonylgeraniin), 카르피누신(Carpinusin), 아세토닐카르피누신(Acetonylcarpinusin), 아세토닐헬리오스코피닌(Acetonylhelioscopinin) A, 2,3-(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D-글루코오스(2,3-(S)-hexahydroxyldiphenoyl-D- glucose), 히포마닌(Hippomanin) A, 상귄(Sanguiin) H-5, 게민(Gemin) D, 페던쿨라긴(Pedunculagin), 유게닌(Eugeniin), 카수아린(Casuariin), 5-데스갈로일스타키우린(5-Desgalloylstachyurin), 루고신(Rugosin) D, 루고신(Rugosin) E, 엑스코카리아닌(Excoecarianin), 유포빈(Euphorbin) D,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B,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A, 유포르스코핀(Euphorscop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A, 졸키아닌(Jolkianin), 졸키닌(Jolkinin), 테르케빈(Terchebin), 푸로신(Furosin), 루고신(Rugosin) B, 유포르빈(Euphorbin) A, 유포르빈(Euphorbin) B, 이소말로틴산(lsomallotinic acid), 수피나닌(Supinan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B 및 유포르헬린(Euphorhelin)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탄닌계 물질을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데, 이때 탄닌계 물질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w/w) 범위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w/w) 범위로 사용한다. 0.001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사용하면 실질적인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도록 사용하면 제형상 및 제품안정성 면에서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탄닌계 물질을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 예를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중 어느 제형이 선택되든, 유효성분인 탄닌계 물질은 각 제형의 제조시 통상 이용될 수 있는 성분들과 배합되며, 여기서 통상의 성분이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범용성 있는 것으로서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신선한 택칠 전초(全草) 48.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840g 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 H2O-아세톤으로 용출) 5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 3(335g)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4 개의 분획을 얻고, 그 중 3 번째 분획을 본다팩 C18/Porasil B(H2O---MeOH) 및 Prep-pak 500/C18(H2O---MeOH)에 적용하여 18g의 카르피누신(Carpinusin)을 분리한 다음, 4 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H2O---MeOH), 셀룰로오스 칼럼(2% AcOH)에 적용하여 640㎎의 엘라오카르푸신(Elaeocarpusin)을 분리하였다. 이중 2 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H2O---MeOH), MCl-gel CHP 20P(H2O---MeOH), 세파덱스 LH-20(EtOH)에 적용하여 170㎎의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B 및 3.4g의 유포르스코핀(Euphorscopin)을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중 분획 2(70g)를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 개의 분획을 얻은 다음, 그 중 세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에 적용하여 8.4g의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A 를 분리하는 한편, 두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에 적용하여 2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첫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H2O---MeOH)에 적용하여 200mg의 히포마닌(Hippomanin) A를 분리하고 두번째 분획을 본다팩 C18/Porasil B(H2O---MeOH)에 적용하여 660mg의 코릴라긴(Corilagin)를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분획중 분획 4 (200g)를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 개의 분획을 얻은 다음, 그 중 첫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 및 본다팩 C18/Porasil B(H2O---MeOH)에 적용하여 69g의 게라닌(Geraniin)을 얻고, 세번째 분획을 본다팩 C18/Porasil B(H2O--- MeOH) 및 세파덱스 LH-20(EtOH)에 차례로 적용하여 170mg의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A를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분획중 분획 5 (32g)를 MCl-gel CHP 20P(H2O---MeOH), 본다팩 C18/Porasil B(H2O---MeOH), 세파덱스 LH-20(EtOH), 세파덱스 LH-20(60% MeOH)에 적용하여 120mg의 푸니카폴린(Punicafolin)과 52mg의 말로투시닌(Mallotusinin)을 분리하였다.
제조예 2
잘 건조된 낭독대극의 뿌리 3.9㎏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4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0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 H2O-아세톤)하여 3 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들 분획중 분획 2(18g)를 MCl-gel CHP 20P(H2O---MeOH), Fuji-gel ODS G3(H2O---MeOH) 및 세파덱스 LH-20(H2O--- MeOH)에 적용하여 210mg의 상귄(Sanguiin) H-5를 분리하였고, 분획 3(60g)을 MCl-gel CHP 20P(H2O---MeOH), Fuji-gel ODS G3(H2O---MeOH), 세파덱스 LH-20(EtOH) 및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38mg의 졸키아닌(Jolkianin)을 분리하였다.
제조예 3
신선한 반지금 전초(全草) 13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13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5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H2O-아세톤) 3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 3 (8g)을 MCl-gel CHP 20P (H2O---MeOH)에 적용하여 2 개의 분획으로 나눈다음, 그중 첫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 Fuji-gel ODS G3(H2O---MeOH), 세파덱스 LH-20(EtOH) 및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340mg의 루고신(Rugosin) D를 분리하고, 두 번째 분획을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 셀룰로오스 칼럼(2% AcOH) 및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98mg의 루고신(Rugosin) E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4
신선한 유포비아 마큘라타(Euphorbia maculata)의 전초 23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23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30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H2O-아세톤) 3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2(210g)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2 개의 분획으로 나눈다음, 그중 첫번째 분획을 Fuji-gel ODS G3(H2O---MeOH), MCl-gel CHP 20P(H2O---MeOH) 및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310mg의 테르카타인(Tercatain)을 분리하였다. 또한, 두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에 적용하여 2 개의 분획으로 나눈 후, 그중 첫번째 분획을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40mg의 1,4-디-O-갈로일-2,3-(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β-D-글루코오스를 분리하였고, 두번째 분획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2mg의 아세토닐게라닌(Acetonylgeraniin)을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중 분획 3 (60g)을 MCl-gel CHP 20P(H2O---MeOH), Fuji-gel ODS G3(H2O---MeOH), 세파덱스 LH-20(EtOH) 및 본다팩 C18/poracil B (H2O---MeOH)에 적용하여 14.5g의 유포르빈(Euphorbin) D 및2.4g의 엑스코카리아닌(Excoecarianin)을 분리하였다.
제조예 5
잘 건조된 소비양초 전초(全草) 2.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2.5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2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H2O-아세톤) 4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 2 (18g)을 MCl-gel CHP 20P(H2O---MeOH), Fuji-gel ODS G3(H2O---MeOH), 본다팩 C18/ Poracil B(H2O---MeOH) 및 Prep-pak 500/C18(H2O---MeOH)에 적용하여 16mg의 2,3-(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D-글루코오스를 분리하였다. 또한, 분획 3 (20g)을 Fuji-gel ODS G3(H2O---MeOH) 및 셀룰로오스 칼럼(2% AcOH)에 적용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눈 후, 그중 첫번째 분획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48mg의 게민(Gemin) D 및 480mg의 페던쿨라긴(Pedunculagin)을 분리하였으며, 세 번째 분획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15mg 의 유게닌(Eugeniin)을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분획중 분획 4(60g)를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눈다음, 그중 세번째 분획을 Prep-pak 500/C18(H2O---MeOH), Fuji-gel ODS G3(H2O---MeOH) 및 본다팩 C18/ 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28mg의 빅사닌(Bixanin), 190mg의 카수아린(Casuariin) 및 30mg의 5-데스갈로일스타키우린(5-Desgalloylstachyurin)을 분리 하였다.
제조예 6
신선한 암대극의 전초 53kg 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44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H2O-아세톤) 3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 1 (140g)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 개의 분획으로 나눈 다음, 이중 세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 및 Fuji-gel ODS G3(H2O---MeOH)에 적용하여 83mg의 레판더신산 A 모노칼륨염(Repandusinic acid A monopotassium salt) 및 14mg의 2,5-(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3,6-안하이드로만노푸라노오스를 분리하였다.
한편,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분획중 분획 2 (280g)를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3 개의 분획으로 나눈 후, 그중 첫번째 분획을 Fuji-gel ODS G3(H2O---MeOH) 및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28mg의 비스코피닌(Bischofinin)을 분리하였고, 두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60% MeOH)와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1.4g의 졸키닌(Jolkinin)을 분리하였으며, 세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EtOH),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 및 세파덱스 LH-20(60% MeOH)에 적용하여 40mg의 푸트란지바인(Putranjivain) A 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7
신선한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adenochlora)의 전초 62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6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52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H2O-MeOH---H2O-아세톤) 4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중 분획 3 (140g)을 MCl-gel CHP 20P(H2O---MeOH)에 적용하여 2 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이중 두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H2O---MeOH), 세파덱스 LH-20(EtOH) 및 본다팩 C18/Poracil B(H2O---MeOH)에 적용하여 1.8g의 아세토닐카르피누신(Acetonyl carpinusin)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1: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
상기 제조예에 따라 수득된 탄닌계 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효소 타이로시네이즈는 버섯류(Mushroom)로 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타이로신을 1.5mM의 농도로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0.05mol 농도,pH 6.8)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3ml 용량의 분광 광도계 큐벧(cuvette)에 0.1ml씩 가하였다. 여기에 코팩터(Cofactor)인 도파를 0.6mM 농도로 만들어 0.01ml씩 첨가한 다음, 탄닌계 물질을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하고 첨가된 탄닌계 물질의 부피가 0.1㎖가 되도록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사용하여 60 U/ml 농도로 제조된 타이로시네이즈를 0.1ml씩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대조군(Blank)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액만을 0.1ml씩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고, 반응은 37℃에서 진행시키며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5분간 흡광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로부터 얻어진 반응속도(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율, dA/dmin)의 차이로 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율을 구하였다.
탄닌계 물질이 첨가된 것의 반응속도
저해율 = (1 - ----------------------------------------- ) × 100
탄닌계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것의 반응속도
한편, 상기 저해율이 50%가 될 때의 각 탄닌계물질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현하였으며 각 탄닌계 물질에 대하여 구한 IC50수치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각 탄닌계 물질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IC50)
유효물질 IC50(w/w %)
테르카타인엘라오카르푸신빅사닌푸트란지바인 A유포르스코핀수피나닌헬리오스코핀 B 0.0030.0050.0050.0040.0050.005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은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문헌(참조: Lotan R.,Lotan D. Cancer Res.40:3345-3350, 198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 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를 배지에 가하고 탄닌계 물질을 하기 표 2 에 나타낸 농도로 상기 배지에 첨가하여 3 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고 원심분리한 다음 멜라닌을 추출해내었다. 여기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ml를 가하고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단위 세포수 당(106cell) 흡광도로서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최종농도 멜라닌 양 저해율(%)
대조군 0.045±0.002 -
테르카타인엘라오카르푸신빅사닌푸트란지바인 A유포르스코핀수피나닌헬리오스코핀 B 0.05%0.05%0.05%0.05%0.05%0.05%0.05% 0.016±0.0020.018±0.0010.020±0.0030.016±0.0030.021±0.0020.019±0.0030.015±0.003 64605664535867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은 강력하고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탄닌계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한편, 이와같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탁월한 상기 탄닌계 물질을 함유하는 여러 제형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중 몇가지 예를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피부외용연고
(단위: %, w/w)
테르카타인(Tercatain)5
디에틸세바케이트8
경납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 4)6
벤조산 나트륨적량
바셀린잔량
계 100
실시예 2: 유연화장수
(단위:%, w/w)
빅사닌(Bixanin)0.05
부틸렌 글리콜6.0
글리세린2.0
히알우론산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EO 20)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 40)0.1
에탄올10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 100
실시예 3: 엣센스
(단위:%, w/w)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B 2
농글리세린 10
프로필렌 글리콜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 40) 1.0
히알우론산나트륨수용액(1%) 5.0
에탄올 5.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4: 영양화장수
(단위:%, w/w)
푸트란지바인(Putranjivain) A0.1
세탄올1.0
밀납0.5
바셀린2.0
스쿠알란6.0
디메틸 폴리 실록산2.0
에탄올3.0
농글리세린4.0
1,3-부틸렌 글리콜4.0
폴리솔베이트 601.0
솔비탄 세스퀴 올레이트0.3
카르복시 폴리머0.3
트리에탄올아민0.3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100
실시예 5: 영양크림
(단위:%, w/w)
수피나닌(Supinanin)0.5
스테아릴알콜6.0
스테아린산2.0
농글리세린1.0
스쿠알란9.0
1,3-부틸렌 글리콜6.0
폴리솔베이트 601.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4.0
경화 라놀린4.0
옥틸 도데칸올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0.8
트리에탄올아민0.5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100
실험예 3: 색소침착 저해효과
건강한 남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험자의 한쪽 팔 상박부에 2cm×2cm 크기로 3개씩 2줄의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 호일을 덮었다.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한 후 일광조사기(ORIEL Solar simulater 1000W)를 이용하여 50cm거리에서 120mJ/㎠ 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후 조사부위 한쪽 줄 세곳에는 실시예 1, 3 및 5의 조성물을, 다른 줄 세곳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3 및 5 조성물과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는 각각의 기제를 1일 2회, 4주간 도포하였다. 4주후에 육안으로 색소침착의 정도를 대조군(기제도포)과 비교하여 판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현저한 저해효과, 약간의 저해효과, 저해효과 없음의 3단계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조성물의 색소침착 저해효과(단위:명)
현저한 저해효과 약간의 저해효과 저해효과 없음
실시예 1실시예 3실시예 5 9 6 56 8 68 5 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3 및 5 의 조성물은 모두 최소한 13명 이상이 현저한 색소침착 저해효과 또는 약간의 저해효과를 나타낸다고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조성물의 우수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탄닌계 물질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연고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탄닌계 물질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에 의거하여 탁월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미백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탄닌계 물질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탄닌계 물질로는 코릴라긴(Corilagin), 푸니카폴린(Punicafolin), 테르카타인(Tercatain), 게라닌(Geraniin), 말로투시닌(Mallotusinin), 엘라오카르푸신(Elaeocarpusin), 빅사닌(Bixanin), 푸트란지바인(Putranjivain) A, 비스코피닌(Bischofinin), 레판더신산 A 모노칼륨염(Repandusinic acid A monopotassium salt), 아세토닐게라닌(Acetonylgeraniin), 카르피누신(Carpinusin), 아세토닐카르피누신(Acetonylcarpinusin), 아세토닐헬리오스코피닌(Acetonylhelioscopinin) A, 2,3-(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D-글루코오스(2,3-(S)-hexahydroxyldiphenoyl-D- glucose), 히포마닌(Hippomanin) A, 상귄(Sanguiin) H-5, 게민(Gemin) D, 페던쿨라긴(Pedunculagin), 유게닌(Eugeniin), 카수아린(Casuariin), 5-데스갈로일스타키우린(5-Desgalloylstachyurin), 루고신(Rugosin) D, 루고신(Rugosin) E, 엑스코카리아닌(Excoecarianin), 유포빈(Euphorbin) D,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B,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A, 유포르스코핀(Euphorscop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A, 졸키아닌(Jolkianin), 졸키닌(Jolkinin), 테르케빈(Terchebin), 푸로신(Furosin), 루고신(Rugosin) B, 유포르빈(Euphorbin) A, 유포르빈(Euphorbin) B, 이소말로틴산(lsomallotinic acid), 수피나닌(Supinan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B 및 유포르헬린(Euphorhelin)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언급할 수 있다.

Claims (5)

  1. 탄닌계 물질을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 (w/w)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탄닌계 물질을 0.01 내지 10 % (w/w)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탄닌계 물질이 코릴라긴(Corilagin), 푸니카폴린(Punicafolin), 테르카타인(Tercatain), 게라닌(Geraniin), 말로투시닌(Mallotusinin), 엘라오카르푸신(Elaeocarpusin), 빅사닌(Bixanin), 푸트란지바인(Putranjivain) A, 비스코피닌(Bischofinin), 레판더신산 A 모노칼륨염(Repandusinic acid A monopotassium salt), 아세토닐게라닌(Acetonylgeraniin), 카르피누신(Carpinusin), 아세토닐카르피누신(Acetonylcarpinusin), 아세토닐헬리오스코피닌(Acetonylhelioscopinin) A, 2,3-(S)-헥사하이드록실디페노일-D-글루코오스(2,3-(S)-hexahydroxyldiphenoyl-D- glucose), 히포마닌(Hippomanin) A, 상귄(Sanguiin) H-5, 게민(Gemin) D, 페던쿨라긴(Pedunculagin), 유게닌(Eugeniin), 카수아린(Casuariin), 5-데스갈로일스타키우린(5-Desgalloylstachyurin), 루고신(Rugosin) D, 루고신(Rugosin) E, 엑스코카리아닌(Excoecarianin), 유포빈(Euphorbin) D,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B, 헬리오스코피닌(Helioscopinin) A, 유포르스코핀(Euphorscop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A, 졸키아닌(Jolkianin), 졸키닌(Jolkinin), 테르케빈(Terchebin), 푸로신(Furosin), 루고신(Rugosin) B, 유포르빈(Euphorbin) A, 유포르빈(Euphorbin) B, 이소말로틴산(lsomallotinic acid), 수피나닌(Supinanin), 헬리오스코핀(Helioscopin) B 및 유포르헬린(Euphorhelin)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이 피부 외용연고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된 1 종인 조성물.
KR1019960052997A 1996-11-08 1996-11-08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80034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97A KR19980034827A (ko) 1996-11-08 1996-11-08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97A KR19980034827A (ko) 1996-11-08 1996-11-08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827A true KR19980034827A (ko) 1998-08-05

Family

ID=6652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997A KR19980034827A (ko) 1996-11-08 1996-11-08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8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0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708A (ja) * 1984-10-31 1986-05-28 Kobayashi Kooc:Kk 化粧料
KR910004202A (ko) * 1989-08-30 1991-03-28 김만경 동물의 세포보호제 및 그 제조방법
JPH03193713A (ja) * 1989-12-25 1991-08-23 Maremitsu Izumitani タンニン含有組成物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100309401B1 (ko) * 1993-10-28 2002-02-19 진나이 스네요 피부외용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708A (ja) * 1984-10-31 1986-05-28 Kobayashi Kooc:Kk 化粧料
KR910004202A (ko) * 1989-08-30 1991-03-28 김만경 동물의 세포보호제 및 그 제조방법
JPH03193713A (ja) * 1989-12-25 1991-08-23 Maremitsu Izumitani タンニン含有組成物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100309401B1 (ko) * 1993-10-28 2002-02-19 진나이 스네요 피부외용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0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314B1 (ko) 피부 질감 개선제
KR102304419B1 (ko)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US5869031A (en) Depigmenting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206538B1 (ko)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2614B1 (ko)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한 배지에 흰목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96850B1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20200098153A (ko)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998003482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13371A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9980027092A (ko)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9990030419A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화장품 제조방법
JP3885243B2 (ja) 皮膚化粧料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9990081226A (ko) 자연산 상황버섯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KR100629065B1 (ko)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7439A (ko) 피뿌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695996B1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345382B1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화장료
KR20150057737A (ko) 피부 미백,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