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941A -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941A
KR19990085941A KR1019980018656A KR19980018656A KR19990085941A KR 19990085941 A KR19990085941 A KR 19990085941A KR 1019980018656 A KR1019980018656 A KR 1019980018656A KR 19980018656 A KR19980018656 A KR 19980018656A KR 19990085941 A KR19990085941 A KR 1999008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e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suitabl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연
김정연
윤은숙
김동욱
안수미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8001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941A/ko
Publication of KR1999008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41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의 껍질, 과육 또는 씨를 분쇄하여 얻은 포도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에 포도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미백효능이 우수하고 제품으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과(Vitaceae) 식물인 포도(Vitis viniferaL.)의 껍질, 과육 또는 씨의 추출물이 갖는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에 의해 멜라닌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미백효능을 갖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흑화는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세포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요인이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됨으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을 받게되면 티로시나아제가 활성화되는데, 이것이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를 생성시키고 다시 도파퀴논을 생성시키는 산화과정을 통해 멜라닌이라는 중합체를 과량으로 만들어, 피부에 멜라닌을 축적시킴으로써 흑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피부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또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흑화 및 기미, 주근깨 등을 방지하여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미백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이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글루타치온(Glutathion), 히드로퀴논 등이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들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에 의한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제품으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미백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하던 중, 포도(Vitis ViniferaL.)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물질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는 포도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8∼101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도(Vitis ViniferaL.)는 포도과(Vitaceae)에 속하는 덩굴 나무로 예로부터 이담작용, 강장작용, 물질대사 촉진작용 등이 있어 여러 한방처방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의 연구를 통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유발되는 각종의 질병에 대한 효능 등이 보고되고 있다. 포도의 주성분으로는 탄닌(tannin),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이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약리적 효능을 지닌 포도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으로, 포도추출물은 포도의 껍질, 과육 또는 씨의 추출물을 말하는 것으로, 포도의 껍질, 과육 또는 씨 분쇄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부피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100℃ 온도로 1∼2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상기 분쇄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부피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4∼25℃ 온도로 1∼20일간 침적시켜 얻어진다. 이러한 포도추출물은 강한 티로시나제 저해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품으로서의 안정성 및 피부에서의 안전성 또한 우수하다. 한편, 상기한 방법에 의해 추출한 포도추출물은 추출여액을 헥산으로 탈지한 후, 감압농축하여 화장료에 배합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포도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8∼101중량%, 바람직하게는 10-5∼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제형의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포도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포도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건조된 포도씨 1㎏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에 50% 에탄올 10ℓ를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100℃온도로 3시간동안 가열한 후, 와트만 2번 여지로 여과한 여액에 헥산 1ℓ를 부가한 다음, 물층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중량 50g의 포도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건조된 포도씨 1㎏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에 50% 아세톤 10ℓ를 부가한 다음 4∼250℃온도로 5일간 침적한 후, 와트만 2번 여지로 여과한 여액에 헥산 1ℓ를 부가한 다음, 물층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중량 65g의 포도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건조된 포도씨 1㎏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에 메탄올 10ℓ를 부가한 다음 4∼250℃온도로 10일간 침적한 후, 와트만 2번 여지로 여과한 여액을 1/5까지 농축한 다음 물 8ℓ를 가하고 헥산 1ℓ를 부가한 후, 물층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중량 38g의 포도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건조된 포도껍질 1㎏을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105g의 포도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5]
건조된 포도껍질 1㎏을 제조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111g의 포도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6]
건조된 포도껍질 1㎏을 제조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89g의 포도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7]
건조된 포도과육 1㎏을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145g의 포도과육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8]
건조된 포도과육 1㎏을 제조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187g의 포도과육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9]
건조된 포도과육 1㎏을 제조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131g의 포도과육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시험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9에서 얻은 포도추출물과 아스코르빈산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0.3㎎/㎖의 용액(기질액)으로 만든 다음 그 용액을 1.0㎖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몰농도, pH 6.8) 1.0㎖와 제조예 1∼9에서 제조한 각 포도추출물 0.9㎖를 넣은 뒤 37℃ 항온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한 2500unit/㎖의 티로시나제용액(SIGMA사 제품) 0.1㎖씩을 가하여 즉시 교반한 다음,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포도추출물 대신에 아스코르빈산 0.9㎖를 사용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계산하였다.
실험물질 실험농도(%)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제조예 1 0.01 75.3
제조예 2 0.01 67.2
제조예 3 0.01 76.7
제조예 4 0.01 64.3
제조예 5 0.01 43.7
제조예 6 0.01 64.9
제조예 7 0.01 53.1
제조예 8 0.01 31.2
제조예 9 0.01 54.7
대조군 0.01 58.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도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갖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포도씨 및 포도껍질 추출물의 경우, 공지의 티로시나제 저해물질인 아스코르빈산보다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상기 제조예 1 내지 9에서 얻은 포도추출물을 각각 0.1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미백화장료 및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를 제조한 후, 피부자극 시험 및 미백효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 :영양크림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1
포도추출물 0.1 0.1 0.1 0.1 0.1 0.1 0.1 0.1 0.1 -
밀납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유동파라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카보폴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아스코르빈산 - - - - - - - - - 0.1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제조방법]
수상과 유상을 각각 가열·용해한 후, 이들을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품으로 성형하였다.
[시험예 2] :피부 자극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미백화장료의 피부자극정도를 실험하기 위하여, 20∼30세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준비된 시험물질(10% in Patch base) 20㎕를 적하시킨 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시험부위인 등 부위에 얹어 미소공 테이프(micropore tape)로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동안 도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 마킹팬(marking pen)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며 30분, 24시간 후에 각 시험 부위의 피부반응을 관찰하여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평균반응도를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평균반응도를 기초로 하여 피부자극 정도를 다음의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피부자극 판정 기준 :
Ⅰ등급 …… MS<1(무자극) Ⅱ등급 …… 1≤MS<3(경자극)
Ⅲ등급 …… 3≤MS<5(중자극) Ⅳ등급 …… MS≥5(강자극)
시험물질(농도: 2% 염수) 24시간 48시간 평균반응도(n=30) 판정등급
± + ++ +++ ± + ++ +++
실시예 1 1 ­ ­ ­ ­ ­ ­ ­ 0.42
실시예 2 2 ­ ­ ­ ­ ­ ­ ­ 0.83
실시예 3 1 ­ ­ ­ ­ ­ ­ ­ 0.42
실시예 4 1 ­ ­ ­ ­ ­ ­ ­ 0.42
실시예 5 3 ­ ­ ­ ­ ­ ­ ­ 1.25
실시예 6 2 ­ ­ ­ ­ ­ ­ ­ 0.83
실시예 7 3 ­ ­ ­ ­ ­ ­ ­ 1.25
실시예 8 1 ­ ­ ­ ­ ­ ­ ­ 0.42
실시예 9 2 ­ ­ ­ ­ ­ ­ ­ 0.8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미백효능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의 미백효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에 2×2㎠의 부위를 설정하였다. 시험대상 부위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알루미늄 호일을 팔에 씌우고, 조사전에 시험대상 부위를 70%의 이소프로필알콜 수용액으로 잘 세척하였다. 10㎝의 거리에서 일본 도시바(주) FL 20S BLB 램프와 FL 20S E-30램프를 동시에 0.8×10-7erg/㎤로 1일 1회씩 연속 3회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에 자외선 조사 부위에 포도추출물 시험제품(포도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9의 조성물 및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을 1일 3회씩 3주간 도포하였다. 3주 도포 후에 육안으로 색소침착도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제품 반 응 도
무효 유효 현저한 효과
실시예 1 2명 8명 30명
실시예 2 6 12 22
실시예 3 2 10 28
실시예 4 5 15 20
실시예 5 8 21 11
실시예 6 8 17 15
실시예 7 7 20 13
실시예 8 13 23 4
실시예 9 11 16 13
비교예 1 32 8 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미백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백화장료의 미백성분으로써 포도씨, 포도과육 또는 포도껍질로부터 추출한 포도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포도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에 의해 우수한 미백효능을 나타내며 제형내에서의 불안정성 및 피부안전성을 개선시킨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포도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8∼101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추출물은 포도껍질, 포도과육 또는 포도씨의 분쇄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100℃ 온도로 1∼24시간동안 가열한 후, 여과한 여액을 탈지, 감압농축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추출물은 포도껍질, 포도과육 또는 포도씨의 분쇄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부가한 다음 4∼25℃ 온도로 1∼20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한 여액을 탈지, 감압농축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19980018656A 1998-05-23 1998-05-23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56A KR19990085941A (ko) 1998-05-23 1998-05-23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56A KR19990085941A (ko) 1998-05-23 1998-05-23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41A true KR19990085941A (ko) 1999-12-15

Family

ID=6589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56A KR19990085941A (ko) 1998-05-23 1998-05-23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9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24B1 (ko) * 2001-03-30 2003-11-15 주식회사 태평양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는성분과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51249B1 (ko) * 2005-04-04 2007-05-10 중모포도영농조합법인 고품질의 포도씨유 및 포도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03924B1 (ko) * 2005-12-22 2008-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토마토, 포도, 홍화씨 혼합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7002B1 (ko) * 2019-05-27 2020-09-17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1415B1 (ko) * 2020-08-27 2021-01-11 주식회사 동진코스팜 포도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통해 추출된 포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02554B1 (ko) * 2019-07-23 2021-01-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18A (ja) * 1993-05-28 1994-12-06 Kose Corp 化粧料
US5773014A (en) * 1996-10-07 1998-06-30 Bioetic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unwanted skin pigmentation
KR0162643B1 (ko) * 1990-08-06 1998-12-01 가네다 히루오 피부 미백용 화장품
KR100200534B1 (ko) * 1996-07-20 1999-06-15 이상준 포도 및 인삼의 갈색화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643B1 (ko) * 1990-08-06 1998-12-01 가네다 히루오 피부 미백용 화장품
JPH06336418A (ja) * 1993-05-28 1994-12-06 Kose Corp 化粧料
KR100200534B1 (ko) * 1996-07-20 1999-06-15 이상준 포도 및 인삼의 갈색화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US5773014A (en) * 1996-10-07 1998-06-30 Bioetic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unwanted skin pigment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24B1 (ko) * 2001-03-30 2003-11-15 주식회사 태평양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는성분과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51249B1 (ko) * 2005-04-04 2007-05-10 중모포도영농조합법인 고품질의 포도씨유 및 포도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03924B1 (ko) * 2005-12-22 2008-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토마토, 포도, 홍화씨 혼합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7002B1 (ko) * 2019-05-27 2020-09-17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2554B1 (ko) * 2019-07-23 2021-01-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1415B1 (ko) * 2020-08-27 2021-01-11 주식회사 동진코스팜 포도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통해 추출된 포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08302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13262191A (zh) 一种母菊花润肤面霜及其制备方法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9980027092A (ko)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452006B1 (ko) 귤, 유채, 고사리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29184A (ko) 철현채 추출물, 유엽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7614B1 (ko) 제비꽃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0147412B1 (ko) 정제상백피, 사과추출물 및 코지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