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468B1 -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468B1
KR100585468B1 KR1019990032359A KR19990032359A KR100585468B1 KR 100585468 B1 KR100585468 B1 KR 100585468B1 KR 1019990032359 A KR1019990032359 A KR 1019990032359A KR 19990032359 A KR19990032359 A KR 19990032359A KR 100585468 B1 KR100585468 B1 KR 10058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s
extract
carcass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053A (ko
Inventor
진무현
김호정
김청택
김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9003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4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및 랄료 추출물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은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는다.

Description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Calyx kaki, Lasiophaera Seu Calvatin or Fructus polygoni Hydropiper}
본 발명은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및 랄료 추출물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 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서 피부 톤을 밝게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유전에 기인한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이에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고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같은 티로시나제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 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에 사용하여 왔으나, 하이드로퀴논의 미백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사용량이 극히 제한된다. 또한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며 경피흡수에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반 추출물 등은 미백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천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하고자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랄료 추출물에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와 미백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시체추출물, 마발추출물 및 랄료 추출물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체(천근피)는 Ebenaceae과(감나무과)의 낙엽 교목인 Disopyros kaki L(감나무)의 열매꽃받침(감꼭지)으로써 라틴명은 Calyx kaki이다. 시체는 구토, 기침을 멎게하는 등의 한방약재로 사용되어 왔다(중약대사전). 시체의 구성성분으로는 숙신산, 퀘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네오디오스피린 (neodiospyrin), 베툴린 (Betulin), 다우코스테롤(Daucosterol)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발은 Lycopodiaceae(먼지버섯과)의 Lasioshpaera fenzlii Reich.(탈피마발)의 건조자실체로써 라틴명은 Lasiophaera Seu Calvatin이다. 마발은 외상 출혈 및 코피 등의 지혈, 항균 효능으로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다(중약대사전). 마발의 구성성분으로는 로이신(leucine), 티로신(tyrosine), 우레암(Uream),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겜마테인(Gemmatein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랄료(요실)는 Polygonaceae(마디풀과)의 식물인 Polygonum hydropiper L.(여뀌)의 열매로써 라틴명은 Fructus polygoni Hydropiper 이다. 랄료는 이뇨, 토사복톡, 부종 등을 치료하는 한방약제로 사용되어 왔다(중약대사전). 랄료의 구성 성분으로는 갈릭산, 알라닌, 세린, 아르기닌, 퀘르세틴, 루틴(Rutin), 하이퍼옥시드(Hyperoside), 푸에긴(Fuegin), 드리멘올(Drimenol)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재로 구입할 수 있는 시체, 마발, 랄료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로 1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서 매우 강력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건조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로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생약제로 시판되는 시체, 마발, 랄료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로 1-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이상씩 더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건조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처리하였을 때, 매우 강력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외용 연고나 로션,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같은 여러 화장료를 제조한다.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떤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피부외용연고나 화장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시체추출물, 마발추출물, 랄료 추출물등은 건조 중량으로 0.0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10.0중량%가 적당하다. 추출물의 농도가 0.0001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10중량%이상의 농도에서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더 이상의 효과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실시예 1-18
시판되는 시체, 마발, 랄료를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100g을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용매 3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 추출한 다음,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1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18에 따라 얻어진 각 추출물들을 쥐의 멜로나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참조: 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시예 1-18에 따라 얻어진 각 추출물들을 최종농도가 0.005%가 되도록하여 하이드로퀴논 수용액과 함께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이것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 (1N 농도) 1㎖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 나노미터(㎚)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 (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2
상기 표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18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들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미백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실시예 1, 7 및 13의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랄료 추출물은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은 저농도에서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지만 세포 독성이 심해 0.0001%이상에서는 실험을 할수 없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들은 0.05%농도 이상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사용가능한 최대량의 하이드로퀴논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랄료 추출물이 단일물질이 아니고 혼합물질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시체, 마발, 랄료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처방예를 제조예에 의해 나타내었다.
제조예 1-3 및 비교예 1. 피부외용연고
하기 표4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 17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4
제조예 4-6 및 비교예 2. 크림화장료
하기 표5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을 제오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5
제조예 7-9 및 비교예 3. 유연화장수
하기 표6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6
제조예 10-12 및 비교예 4. 영양화장수
하기 표7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7
제조예 13-15 및 비교예 5. 팩
하기 표8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8
제조예 16-18 및 비교예 6. 에센스
하기 표9에 나타낸 처방예에 따라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를 제오하였다. 여기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09
실험예 3
건강한 남녀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 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하기 3일전부터 조사 후 3주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18 및 비교예 1-6에 따라 제조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와 각각의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제조예 13, 14, 15 및 비교예 5의 팩 처방의 경우 도포한 다음 15분 후에 떼어내었다). 각각에 대하여 제조예와 비교예의 색소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있음, 차 이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
Figure 111999009176373-pat00010
위의 표 10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18에 따라 제조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 함유 미백연고 및 화장료는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최소 9명 이상에 대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많은 양의 지정, 와송 추출물 이 적용된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의 비교실험에서는 73%가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보이고,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시체추출물, 마발추출물 및 랄료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은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는다.

Claims (3)

  1. 시체추출물, 마발추출물 및 랄료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시체, 마발, 랄료 추출물을 건조 중량으로 0.0001-1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시체, 마발, 랄료를 물이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1회 이상 추출하고, 추출액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분사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32359A 1999-08-06 1999-08-06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58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59A KR100585468B1 (ko) 1999-08-06 1999-08-06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59A KR100585468B1 (ko) 1999-08-06 1999-08-06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53A KR20010017053A (ko) 2001-03-05
KR100585468B1 true KR100585468B1 (ko) 2007-04-12

Family

ID=1960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359A KR100585468B1 (ko) 1999-08-06 1999-08-06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287A (zh) * 2014-07-08 2014-09-10 广州千百度化妆品有限公司 清除自由基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55A (ko) * 2001-04-17 2002-10-26 주식회사 참 존 편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20020080656A (ko) * 2001-04-17 2002-10-26 주식회사 참 존 편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230024438A (ko) * 2009-08-26 2023-02-20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287A (zh) * 2014-07-08 2014-09-10 广州千百度化妆品有限公司 清除自由基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53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10027448A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석곡 추출물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648730B2 (ja) 皮膚化粧料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46735B1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100564227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7B1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63081B1 (ko) 녹두추출물을함유하는미백화장료조성물
KR20020029182A (ko)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2369B1 (ko) 목근피 추출물, 백교항 추출물 또는 금사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20029181A (ko) 로로통 추출물, 백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1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JP2000297010A (ja) 美白化粧料
KR100535264B1 (ko)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