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631B1 -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631B1
KR100789631B1 KR1020010040000A KR20010040000A KR100789631B1 KR 100789631 B1 KR100789631 B1 KR 100789631B1 KR 1020010040000 A KR1020010040000 A KR 1020010040000A KR 20010040000 A KR20010040000 A KR 20010040000A KR 100789631 B1 KR100789631 B1 KR 10078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ek
silver
extrac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498A (ko
Inventor
김원찬
김호정
진무현
김청택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4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6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화장료는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및 은시호 추출물은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기미나 주근깨 및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이다.
여지*부추*은시호*추출물*미백*화장료

Description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Cosmetic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a herb extract with inhibitory activity of melanin formation}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 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하므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 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지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전하여 화장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한편, 태반 추출물 등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나, 미백 효과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가 뛰어난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건조 중량이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및 은시호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매로 가열추출 한 다음,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증류하고 동결건조 또는 분사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화장료는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천연 물질인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여지(Litchi chinensis Sonn)는 무환자나무과 식물의 열매이다. 여지는 포도당, 유기산 외에 다량의 유리 아르기닌과 트립토판 등을 함유하며, 번갈, 딸국질, 위통, 나력, 외상출혈 등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또한, 부추(Allium tuberosum)는 백합과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 부분을 구근, 씨를 구자, 입을 구채라 한다. 이러한 전초는 타박상, 벌레 등에 쏘인 상처, 가려움증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또한, 은시호(Stellaria dichotoma)는 석죽과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뿌리 부분을 이용한다. 은시호는 폐결핵, 조열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이와 같이, 여지, 부추, 은시호는 외상출혈, 타박상, 조열 등을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자들은 이들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들이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여지, 부추 및 은시호의 추출물을 피부외용 연고,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료에 첨가하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강력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지, 부추 및 은시호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데, 이들의 추출물은 예를 들어, 여지, 부추, 은시호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로 가열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시,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등을 잘게 분쇄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해 5 내지 20부피가 되게 하여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으려면, 추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추출물은 각각 또는 동시에 피부외용연고나 로션 같은 여러 화장료에 함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여지 추출물,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그 건조 중량이 화장료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0중량%이다.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뚜렷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0중량%를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유량만큼 뚜렷한 효과가 기대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여지, 부추 및 은시호 추출예
추출예 1
시판되는 여지를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100g을 80% 메탄올 3ℓ에 투입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이어서, 이 결과물을 1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 조하여 6.5g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예 2 ~ 6
80% 메탄올 대신 용매를 하기 표 1의 기재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추출예 7
여지 대신 부추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추출예 8 ~ 12
80% 메탄올 대신 용매를 하기 표 1의 기재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추출예 13
여지 대신 은시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추출예 14 ~ 18
80% 메탄올 대신 용매를 하기 표 1의 기재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료 용매 건조 추출물(g)
추출예 1 여지 80% 메탄올 6.5
추출예 2 여지 정제수 6.8
추출예 3 여지 85% 에탄올 7.3
추출예 4 여지 70% 아세톤 5.5
추출예 5 여지 에틸아세테이트 6.3
추출예 6 여지 포화노말부탄올 9.8
추출예 7 부추 80% 메탄올 9.6
추출예 8 부추 정제수 6.2
추출예 9 부추 85% 에탄올 7.3
추출예 10 부추 70% 아세톤 7.6
추출예 11 부추 에틸아세테이트 10.2
추출예 12 부추 포화노말부탄올 8.6
추출예 13 은시호 80% 메탄올 8.5
추출예 14 은시호 정제수 7.8
추출예 15 은시호 85% 에탄올 9.3
추출예 16 은시호 70% 아세톤 10.0
추출예 17 은시호 에틸아세테이트 6.8
추출예 18 은시호 포화노말부탄올 8.1

실시예 1~18
상기 추출예 1 내지 18에 따라 얻은 각각의 추출물과 하이드로퀴논 수용액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추출예 1 내지 12에 따라 얻어진 각 추출물들을 최종농도가 0.005%가 되도록 하고(실시예 1 내지 18), 하이드로퀴논 수용액의 농도를 0.0001%로 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N 농도) 1㎖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106 cell)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시료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052±0.003 -
실시예 1(최종농도 0.005%) 0.032±0.003 38%
실시예 2(최종농도 0.005%) 0.030±0.003 42%
실시예 3(최종농도 0.005%) 0.023±0.003 56%
실시예 4(최종농도 0.005%) 0.027±0.002 48%
실시예 5(최종농도 0.005%) 0.023±0.003 56%
실시예 6(최종농도 0.005%) 0.027±0.002 48%
실시예 7(최종농도 0.005%) 0.028±0.003 46%
실시예 8(최종농도 0.005%) 0.031±0.002 40%
실시예 9(최종농도 0.005%) 0.029±0.002 44%
실시예 10(최종농도 0.005%) 0.026±0.001 50%
실시예 11(최종농도 0.005%) 0.023±0.002 56%
실시예 12(최종농도 0.005%) 0.025±0.003 52%
실시예 13(최종농도 0.005%) 0.028±0.003 46%
실시예 14(최종농도 0.005%) 0.032±0.002 38%
실시예 15(최종농도 0.005%) 0.034±0.002 35%
실시예 16(최종농도 0.005%) 0.036±0.002 31%
실시예 17(최종농도 0.005%) 0.031±0.003 40%
실시예 18(최종농도 0.005%) 0.030±0.001 42%
하이드로퀴논(최종농도 0.0001%) 0.028±0.002 46%
*반복수 = 3
표 2를 참조하면, 추출예 1 내지 18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들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실시예 1~18), 전혀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미백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할 때도 그 효과가 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30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추출예 1, 7 및 13의 추출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료 적용농도(%)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 0.052±0.004 -
실시예 19 추출예 1의 추출물 최종농도(0.0005%) 0.034±0.002 35%
실시예 20 최종농도(0.005%) 0.032±0.003 38%
실시예 21 최종농도(0.05%) 0.027±0.002 48%
실시예 22 최종농도(0.5%) 0.024±0.001 54%
실시예 23 추출예 7의 추출물 최종농도(0.0005%) 0.045±0.002 13%
실시예 24 최종농도(0.005%) 0.028±0.003 46%
실시예 25 최종농도(0.05%) 0.026±0.002 50%
실시예 26 최종농도(0.5%) 0.021±0.001 59%
실시예 27 추출예 13의 추출물 최종농도(0.0005%) 0.048±0.002 8%
실시예 28 최종농도(0.005%) 0.028±0.003 46%
실시예 29 최종농도(0.05%) 0.026±0.002 50%
실시예 30 최종농도(0.5%) 0.020±0.001 62%
하이드로퀴논 최종농도(0.0001%) 0.025±0.002 46%
*반복수 = 3
표 3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지, 부추 및 은시호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능도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하이드로퀴논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지만 0.0001%의 저농도에서도 심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나, 본 발명에 따른 천연식물의 추출물들은 0.05%농도 이상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하이드로퀴논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추출물을 피부 외용연고제,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에 첨가하여 화장료를 제조하고,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처방하여 나타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살펴 본다.
제조예 1 내지 3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피부 외용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1 2 3 1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10 - - -
부추 추출물 - 10 - -
은시호 추출물 - - 10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8 8
경납 5 5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6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4 내지 6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4 5 6 2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1.0 - - -
부추 추출물 - 1.0 - -
은시호 추출물 - - 10 -
스테아린산 15.0 15.0 15.0 15.0
세탄올 1.0 1.0 1.0 1.0
수산화칼륨 0.7 0.7 0.7 0.7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7 내지 9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7 8 9 3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0.2 - - -
부추 추출물 - 0.2 - -
은시호 추출물 - - 0.2 -
에탄올 10.0 10.0 10.0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1,3-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10 내지 12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10 11 12 4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0.1 - - -
부추 추출물 - 0.1 - -
은시호 추출물 - - 0.1 -
와셀린 2.0 2.0 2.0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0.8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1.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에탄올 3.2 3.2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18.0 18.0 18.0
수산화칼륨 0.1 0.1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13 내지 15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13 14 15 5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0.5 - - -
부추 추출물 - 0.5 - -
은시호 추출물 - - 0.5 -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15.0 15.0 15.0
에탄올 8.0 8.0 8.0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0.2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16 내지 18
추출예 5로부터 얻은 여지 추출물, 추출예 11로부터 얻은 부추 추출물, 추출예 17로부터 얻은 은시호 추출물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9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제조예 비교예
16 17 18 6
식물 추출물 여지 추출물 5 - - -
부추 추출물 - 5 - -
은시호 추출물 - - 5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5.0 5.0
에탄올 5.0 5.0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0.1 0.1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피부 외용연고제,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에 의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강한 남녀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 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l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하기 3일전부터 조사후 3주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와,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 여기서, 제조예 13, 14, 15 및 비교예 5의 팩제는 도포한 다음 15분 후에 떼어냈다.
상기 방법에 따라 각각의 제조예와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를 처방한 후, 색소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각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와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의 색소침착 억제 정도를 비교하여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 가하고, 아울러 피부 부작용 발생여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냈다.
실험물질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없음(명) 부작용(명)
제조예 1 7 6 7 0
제조예 2 4 8 8 0
제조예 3 5 8 7 0
제조예 4 5 8 7 0
제조예 5 6 7 7 0
제조예 6 6 6 8 0
제조예 7 4 8 8 0
제조예 8 6 6 8 0
제조예 9 3 7 10 0
제조예 10 4 6 10 0
제조예 11 1 8 11 0
제조예 12 2 11 7 0
제조예 13 3 10 7 0
제조예 14 3 7 10 0
제조예 15 5 9 6 0
제조예 16 6 8 6 0
제조예 17 4 7 9 0
제조예 18 5 6 9 0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는 피시험자 20명중 최소 10명 이상에 대하여 상당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많은 양의 여지, 부추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1, 2 및 3의 화장료는 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보다 각각 65%, 60%, 65%의 뚜렷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피부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여지, 부추 또는 은시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므로 피부 미백 또는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여지 또는 부추는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화장료로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 추출물, 은시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건조 중량이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 추출물 또는 은시호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0010040000A 2001-07-05 2001-07-05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00A KR100789631B1 (ko) 2001-07-05 2001-07-05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00A KR100789631B1 (ko) 2001-07-05 2001-07-05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498A KR20030004498A (ko) 2003-01-15
KR100789631B1 true KR100789631B1 (ko) 2007-12-27

Family

ID=2771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000A KR100789631B1 (ko) 2001-07-05 2001-07-05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32B1 (ko) * 2006-01-04 2008-05-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1811B1 (ko) * 2007-02-27 2008-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은시호 가수분해 효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240028315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다파글리플로진, 시타글립틴, 및 메트포르민을 함유하는 복합 제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009A (ja) * 1991-02-04 1992-09-03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H04247008A (ja) * 1991-02-04 1992-09-03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2000053557A (ja) * 1998-08-11 2000-02-22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009A (ja) * 1991-02-04 1992-09-03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H04247008A (ja) * 1991-02-04 1992-09-03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2000053557A (ja) * 1998-08-11 2000-02-22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498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073B1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97367B1 (ko)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1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46735B1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09848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670530B1 (ko) 철현채 추출물, 유엽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29181A (ko) 로로통 추출물, 백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1271B1 (ko) 아레콜린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40059007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59005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89633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24168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59006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70124B1 (ko) 마칠린-에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5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35364A (ko)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