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364A -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364A
KR20040035364A KR1020020064485A KR20020064485A KR20040035364A KR 20040035364 A KR20040035364 A KR 20040035364A KR 1020020064485 A KR1020020064485 A KR 1020020064485A KR 20020064485 A KR20020064485 A KR 20020064485A KR 20040035364 A KR20040035364 A KR 2004003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za
extract
weight
whitening composition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찬
권선방
김동석
최혜령
김숙영
김순겸
이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스킨
Priority to KR102002006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364A/ko
Publication of KR2004003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3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고, 세포증식효과가 있는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TERMINALIAE FRUCTUS EXTRAC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항산화능이 있어 미백작용이 우수한 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피부의 과색소 침착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및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으로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을 들 수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로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멜라닌의 생성은 멜라닌 세포 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며, 이후 효소의 작용 및 자발적인 산화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부가 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멜라닌 생성의 억제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째, 자외선을 차단하여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을 제거한다.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이 광산란제 또는 광차단제를 함유하게 하여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같은 티로시나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킨다.
세째, 코직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방해한다.
넷째로, 하이드로퀴논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세포분열을 방해하는 방법이 있다.
그 밖에, 생성된 멜라닌을 환원시켜 탈색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에는 멜라닌의 생성과정을 억제하기 위하여, 아스코르빈산 (ascorbicacid), 코직산,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및 천연식물의 추출물 등이 미백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표적 미백원료인 코직산 또는 알부틴은 강한 미백효과에도 불구하고 제품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던 천연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원료가 인체에 안전함을 인정받음에 따라, 미백 도포제의 원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미백작용이 뛰어나며, 인체에 안전한 천연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기능이 있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멜라닌 합성 억제 기능이 있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자 추출물들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자 추출물의 Mel-Ab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자 추출물의 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자, 가자육 및 가자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페트롤륨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에칠에테르 및 프로파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증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색소침착과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가자나무의 가자가 미백작용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가자는 사군자과 식물인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또는 순모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var. tomentella Kurt.)의 과실로, 개화기는 6월 내지 8월이고, 결실기는 8월 내지 10월인데 가을철에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건조한 가자의 과실 성상은 긴 난형 또는 난형체로서 길이 2.5cm 내지 3.0㎝, 지름 1.5cm 내지 2.5㎝ 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 내지 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세로로 5개의 두드러진 주름과 그 사이에 불규칙한 주름이 있으며 기부에는 과병이 떨어진 자국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가로로 자른 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과육의 두께는 2 mm 내지 5 ㎜이다. 내과피는 두께 약 5 ㎜로 황갈색을 나타내고, 그 질은 매우 단단하며 갈색의 봉합선이 있고, 중앙부에 지름 약 5 ㎜의 씨 1개가 있다. 가자는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조금 시며 떫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은 가자, 가자육 또는 가자피를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파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이다. 추출방법은가자, 가자육 또는 가자피의 건조분말을 용매하에 15 내지 40 ℃에서 1 내지 15일간 침지시키거나 냉각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에서 1 내지 7 일간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다. 또한 추출공정 수행 후 4 내지 15 ℃에서 7 내지 10 일간 저온 숙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가자 과실 건조중량 100에 대하여 100 내지 15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미백 조성물은 건조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가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가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미백 조성물내 가자 추출물의 함유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미백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 대비 미백효과가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물, 생리식염수, 글리세롤 등이다.
미백 조성물의 제형은 로션제(lotiones), 액제(液劑), 유제, 에멀션제, 현탁제(懸濁劑), 정제(錠劑) 및 캡슐제(capsules)일 수 있으며,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유연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싱 폼, 클렌싱 워터, 팩 또는 보디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및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색조 화장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미백 조성물을 세정제로 사용할 경우, 세안제 및 목욕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증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증식용 조성물은 섬유모세포 및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용도로 사용하여 세포배양 배지의 첨가제, 세포손상 치료제 또는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가자 가루 1 kg을 물 5 ℓ에 넣고 20 ℃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10 ℃에서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가자 가루 1 kg을 50 % 에탄올 5 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10 ℃에서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3 - 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트로레움에테르(실시예 3), 클로로포름(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실시예 5), 부탄올(실시예 6), 디에칠에테르(실시예 7), 프로파놀(실시예 8) 및 메탄올 (실시예 9)을 각각 용매로 사용하여 가자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미백효과 검증
멜라닌 농도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은, 티로시나제가 티로신에 작용하여 멜라닌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색소를 띄는 중간물질들(도파크롬(dopachrome), 5,6-인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시산 (DHICA: 5,6-dihydroxyindole -2-carboxylic acid), 및 5,6-디히드록시인돌 (DHI: 5,6-dihydroxyindole))의 생성량으로 비교하였다. 멜라닌이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티로시나제가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가 형성되고 (Slominski A, Moellmann G, Kuklinska E.,Pigment Cell Res1989; 2:109-116), 상기 도파에 다시 티로시나제가 산화 작용을 촉진하는 효소로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이 생성되고, 도파퀴논이 싸이클로도파(cyclodopa)로 변한 다음, 싸이클로도파로 변하지 않고 남아있는 도파퀴논이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도파크롬(dopachrome)을 형성한 뒤 5,6-디히드록시인돌-2-카복시산(DHICA: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및 5,6-디히드록시인돌(DHI:dihydroxyindole)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만들어진다.(Acroca P, Garcia-Borron JC, Lozano JA, ,Eur J Biochem1992; 208:155-163)
1-1.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가자추출물들은 공지의 방법(Vanni A, GastaldiD, Giunata G et al.,Annali Di Chimica, 1990; 80: 35-60)으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L-티로신 용액(시그마사 제조) 40 ㎕를 96웰에 넣고, 여기에 각각 10 ㎍/㎖, 25 ㎍/㎖의 농도로 가자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에 50 ㎍/㎖ 티로시나제(시그마사 제조) 20 ㎕를 각각 첨가한 뒤,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L-티로신 용액에 가자 추출물들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고, 코직산(시그마사 제조)을 넣은 것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들의 흡광도를 490 ㎚에서 측정한 뒤, 각 용액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하기 계산식 2로 환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A: 대조군의 490 nm에서의 흡광도
B: 저해제가 첨가된 것의 490 nm에서의 흡광도
실험재료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
10 ㎍/㎖ 25 ㎍/㎖
코직산 95 % 99 %
실시예 1 88.7 % 92.4 %
실시예 2 90.5 % 91.4 %
실시예 3 95.4 % 92.2 %
실시예 4 96.1 % 88.6 %
실시예 5 93.5 % 82.2 %
실시예 6 96.6 % 87.6 %
실시예 7 95.7 % 89.5 %
실시예 8 93.4 % 88.2 %
실시예 9 91.1 % 90.3 %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9의 가자 추출물들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그러나 실시예 3 내지 9의 가자 추출물들은 25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가자 추출물의 갈색이 흡광도 측정시 간섭효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보다 낮은 농도에서 실시예 5, 6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였다(표 2 및 도 1).
실험재료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
0.001 ㎍/㎖ 0.01 ㎍/㎖ 0.1 ㎍/㎖ 1 ㎍/㎖
코직산 10.4 28.6 61.0 100
실시예 2 30.4 50.3 84.5 96.4
실시예 5 18.5 39.9 64.0 93.2
실시예 6 20.5 36.0 64.9 97.0
표 2에서 가자 추출물들을 1 ㎍/㎖ 이하의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높은 억제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자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타제 억제효과가 증가되었다.
2-2. 변형 흑색종 세포(Mel-Ab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 실험
실시예 5 및 6의 가자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멜라닌 합성 억제 실험을 위하여, Mel-Ab 세포를 6 웰 배양접시에 접종하고, 가자 추출물을 1 ㎍/㎖, 10 ㎍/㎖, 25 ㎍/㎖의 농도로 첨가하여 5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수집하여 각각의 단백질 양을 정량한 다음, 정량한 양과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1 N 수산화나트륨 용액 1 ㎖에 넣고 100 ℃에서 30 분 동안 끓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상기 부유물의 흡광도는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400 ㎚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가자 추출물들을 첨가하지 않은 Mel-Ab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멜라닌 합성 억제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코직산(시그마 사)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물질의 양을 100 ㎍/㎖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구분 멜라닌 흡광도(O.D)
대조군 코직산 실시예 5 실시예 6
1 ㎍/㎖ 0.44 - 0.18 0.243
10 ㎍/㎖ 0.357 0.06 0.076
25 ㎍/㎖ - 0.059 0.058
표 3에서,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가자추출물은 코직산에 비하여 멜라닌합성 억제 효과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가자 추출물의 멜라닌 농도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나타낸 것이다. 각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자 추출물은 25 ㎍/㎖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멜라닌의 농도를 최대 86.8 % 낮추고,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1 ㎍/㎖의 농도에서 최대 97 % 억제한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
실시예 2, 5 및 6의 가자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을 MTT 분석법으로 실험하였다.
대수증식기의 섬유모세포를 웰 당 8000 개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00 ㎕ DMEM 배지에서 24 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지에 용해되어 있는 가자 추출물의 최종 농도가 1, 10, 100 ㎍/㎖ 되게 처리하여 배양한 다음 MTT 용액 0.5 ㎎/㎖를 포함한 배지에서 4 시간 더욱 배양하였다. 이후 200 ㎕ 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을 웰에 넣어 용해시키고,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측정하였다. 흡광도는 계산식 2로 환산하여 세포 생존율을 환산하여 표 4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2)
시료 섬유모세포 각질형성세포
0 10 ㎍/㎖ 100 ㎍/㎖ 0 10 ㎍/㎖ 100 ㎍/㎖
대조군 100 100
실시예 2 90.7 87 112.3 102.5
실시예 5 101.1 101.1 106.7 115.0
실시예 6 89.8 94.6 116.2 91.7
표 4 및 도 2에서, 가자 추출물들은 처리된 농도범위 이내에서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고농도에서 세포증식효과가 보였다. 따라서, 가자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다.
실시예 10: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3의 가자 추출물 1 중량%, 글리세롤 3 중량%, 에탄올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 중량%, 향 미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4의 가자 추출물 1 중량%, 밀랍 4 중량%, 유동파라핀 4 중량%, 스쿠알렌 4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방부제 미량, 향 미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5의 가자 추출물 0.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유동파라핀 5 중량%, 스쿠알렌 3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 크림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6의 가자 추출물 0.2 중량%, 바셀린 7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밀랍 2 중량%, 폴리솔베이트 2.5 중량%, 스쿠알렌 3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방부제 미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7의 가자 추출물 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에탄올 7 중량%, 방부제 미량, 향 미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8의 가자 추출물 1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밀랍 2 중량%, 유동파라핀 30 중량%, 방부제 미량, 향 미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작용, 멜라닌 합성 억제작용및 항산화능이 우수하여 미백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은 가자, 가자육 및 가자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미백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페트롤륨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에칠에테르 및 프로파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미백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은 미백 조성물에 건조중량으로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미백 조성물.
  5. 가자, 가자육 및 가자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페트롤륨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에칠에테르 및 프로파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증식용 조성물.
KR1020020064485A 2002-10-22 2002-10-22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20040035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485A KR20040035364A (ko) 2002-10-22 2002-10-22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485A KR20040035364A (ko) 2002-10-22 2002-10-22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364A true KR20040035364A (ko) 2004-04-29

Family

ID=3733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485A KR20040035364A (ko) 2002-10-22 2002-10-22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3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92B1 (ko) * 2004-10-18 2006-05-26 주식회사 황토생활건강 황토수 및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항염증 및항비듬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9296A (ko) 2016-11-25 2018-06-04 (주)모아캠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US11058736B2 (en) 2018-08-24 2021-07-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treating dry eye syndrome u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or fraction thereof
KR20230115550A (ko) 2022-01-27 2023-08-03 (주)두드림 기능성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키토산 마스크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041A (ja) * 1992-05-29 1993-12-14 Tsuneo Nanba 美白化粧料
KR950008762A (ko) * 1993-09-27 1995-04-19 시바타 미노루 팽팽하고 뻣뻣하며, 탄발성이 우수한 복합사
JPH07126149A (ja) * 1993-10-28 1995-05-16 Suntory Ltd 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20010018663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01913A (ko) * 2000-05-19 2002-01-09 유상옥,송운한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30086776A (ko) * 2002-05-07 2003-11-12 주식회사한국신약 세포에 대한 노화 억제 작용을 하는 가자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041A (ja) * 1992-05-29 1993-12-14 Tsuneo Nanba 美白化粧料
KR950008762A (ko) * 1993-09-27 1995-04-19 시바타 미노루 팽팽하고 뻣뻣하며, 탄발성이 우수한 복합사
JPH07126149A (ja) * 1993-10-28 1995-05-16 Suntory Ltd 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20010018663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01913A (ko) * 2000-05-19 2002-01-09 유상옥,송운한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30086776A (ko) * 2002-05-07 2003-11-12 주식회사한국신약 세포에 대한 노화 억제 작용을 하는 가자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92B1 (ko) * 2004-10-18 2006-05-26 주식회사 황토생활건강 황토수 및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항염증 및항비듬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9296A (ko) 2016-11-25 2018-06-04 (주)모아캠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US11058736B2 (en) 2018-08-24 2021-07-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treating dry eye syndrome u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or fraction thereof
KR20230115550A (ko) 2022-01-27 2023-08-03 (주)두드림 기능성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키토산 마스크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60108864A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5364A (ko)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2379698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214347B1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1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786853B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38844A (ko)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200021180A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90003013A (ko) 지황 냉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