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347B1 -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347B1
KR101214347B1 KR1020090114650A KR20090114650A KR101214347B1 KR 101214347 B1 KR101214347 B1 KR 101214347B1 KR 1020090114650 A KR1020090114650 A KR 1020090114650A KR 20090114650 A KR20090114650 A KR 20090114650A KR 101214347 B1 KR101214347 B1 KR 101214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whitening
white rice
extraction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001A (ko
Inventor
김동현
김지성
장희경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347B1/ko
Priority to PCT/KR2010/008133 priority patent/WO2011065699A2/ko
Priority to CN201080053134XA priority patent/CN102686215A/zh
Priority to JP2012541010A priority patent/JP6030450B2/ja
Priority to US13/511,792 priority patent/US8986758B2/en
Publication of KR2011005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포함하는 한방성분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성분은, 한약재의 세포독성을 저감시키고,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인정되며,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낸다.
백미, 한약재, 추출방법, 세포 독성, 피부 미백

Description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Method for Extracting Herbal Ingredient}
본 발명은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의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그 중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는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의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되며, 표피를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로 전이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이다. 이러한 멜라닌 색소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저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멜라닌의 과잉 합성 및 축적은 피부에 기미, 주근깨 및 노인성 흑자 등의 심각한 미적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 로 알려져 있는데, 멜라닌 과생성 및 침착 저해를 통한 피부 미백 및 피부암 예방을 위한 대부분의 연구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는 여러 화합물들이 이미 미백 화장료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안정성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 효능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해 독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우수한 미백 작용을 갖는 생약을 탐색하고, 이를 이용한 기술 개발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993-0010548호(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5875호(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4959호(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들에 개시된 내용은, 생약재 사용으로 인해 피부 자극 및 독성의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피부에 고농도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도를 낮춰 사용할 경우에는 미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세포독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한방성분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동시에 미백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성분 추출방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한방성분은, 세포독성을 저감시키고,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며, 화장료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성분 추출방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 께 찌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통해, 한약재 내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한약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백지, 백하수오, 백과, 백복령 및 백작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한약재를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 성분은,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동시에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은, 고온의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공정 또는 물에 침지시켜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밥을 짓는 과정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한방성분 추출방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 이후에,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미와 함께 찐 한약재 성분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다른 한방성분 추출방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 이후에, 용매추출을 통해 한약제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추출시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 유기용매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구체적 으로는, 상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80% 에탄올일 수 있다.
용매추출시 추출조건은, 10~80℃ 온도에서, 6~24 시간 동안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 추출조건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한약재 성분에 대한 용매추출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추가적인 가공공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추출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을 상온에서 냉침 또는 가열한 후, 이를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추가적인 용매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한방성분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성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를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거쳐 추출된 한방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독성 감소 및 피부 자극 완화 효능이 인정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한방성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한방성분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한방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한방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을 기준으로, 0.001~90 중량%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1~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한방성분의 함량 범위는 미백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범위를 선정한 것으로, 상기 범위보다 낮은 함량인 경우에는 피부 미백 효과가 충분치 못하며, 상기 범위 초과시에는 유효성분 첨가로 인한 미백 효능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썬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한방 추출물의 제조
시판 백과, 백하수오, 백복령, 백지 및 백작약 각 300 g씩(총 1.5 kg)에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 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 일간 침적시켰다. 그런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한방 추출물 86 g을 얻었다.
[실시예 1]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의 제조
백미 2 kg에 물 4 ℓ를 넣고 센 불에서 가열하였다. 밥물이 올라오기 시작할 무렵 삼베보자기에 싼 시판 백과, 백하수오, 백복령, 백지 및 백작약 각 300 g(총 1.5 kg)을 백미 중앙에 넣고, 약 1 시간 정도 약한 불에서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되면, 한약재를 회수하여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 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 일간 침적시켰다. 그런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한방 추출물 95 g을 얻었다.
[실험예 1] 세포 생존력 측정(Cell viability test)
실시예 1에 의해 추출된 한방 추출물에 대한 세포 생존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미증법을 이용하여 한약재 성분들을 추출한 경우이고, 비교예 1은 백미증법을 이용하지 않은 한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이다. 또한,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서 한방 추출물을 추출한 후 남은 성분들을 처리한 경우이고, 비교예 3은 백미만을 찐 경우이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샘플들에 대한 세포 생존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력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한방 추출물을 추출한 후 남은 성분들을 처리한 경우인 비교예 2는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력이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만을 찐 경우인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처리 농도에 따라 세포 생존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 및 2의 결과들을 통해, 한약재 성분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백미증법을 거치면서 독성 성분들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세포 조직(Cell Morphology) 비교
실험예 1에서 세포 생존력을 측정한 샘플들에 대하여 세포 조직(cell morphology)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는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서, 빈 공간은 세포가 죽어서 없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빈 공간이 많을수록 세포가 많이 죽어서 없어진 것을 나타낸다. 또한, 뾰족한 모양을 나타내는 부분은 세포가 손상(damage)을 입어서 분화한 것이다.
본 실험예에서,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미증법을 이용하여 한약재 성분들을 추출한 경우이고, 비교예 1은 백미증법을 이용하지 않은 한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이다. 또한,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서 한방 추출물을 추출한 후 남은 성분들을 처리한 경우이고, 비교예 3은 백미만을 찐 경우이다. 대조군은 아무런 추출물 샘플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3]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 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시험물질로는 하이드로퀴논과 상기 비교예 1의 한방 추출물, 실시예 1의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을 각각 10 ppm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인산완충용액)로 세척한 후, 1 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09072549011-pat00001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비처리군(대조군) 100
비교예 1 87.9
실시예 1 44.8
하이드로 퀴논(양성 대조군) 41.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 추출물이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 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자극감 시험
공지된 미백 물질인 코직산과 실시예 1의 한방 추출물의 자극감을 비교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 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가려움 및 눈 시림 등의 자극감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코직산(kojic acid, YM chemical 사로부터 입수)과 실시예 1의 한방 추출물 0.5 ml씩을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 점 단위로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코직산 실시예 1의 한방 추출물
따가움 0.85 0.20
화끈거림 0.50 0.50
평균 0.68 0.3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코직산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으며, 약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은 화끈거림에 있어서는 약간 자극이 있으나, 따가움은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평균적으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은 코직산과는 다른 물질로서 자극감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 5.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 5.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팩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백미를 사용한 한방 추출물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성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력을 비교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성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세포 조직(Cell Morphology)을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1)

  1.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을 포함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하고,
    상기 한약재 성분은 백지, 백하수오, 백과, 백복령 및 백작약이며,
    상기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은,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공정 또는 물에 침지시켜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인,
    백미증법에 의하여 한약재 성분의 독성저감 및 피부미백 효능을 증진시키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방법은, 한약재 성분을 백미와 함께 찌는 공정 이후에,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용매 추출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의 추출온도는 1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의 추출시간은 6 내지 24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9.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백미증법을 이용한 백지, 백하수오, 백과, 백복령 및 백작약의 한방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성분 함유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성분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14650A 2009-11-25 2009-11-25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10121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50A KR101214347B1 (ko) 2009-11-25 2009-11-25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PCT/KR2010/008133 WO2011065699A2 (ko) 2009-11-25 2010-11-17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CN201080053134XA CN102686215A (zh) 2009-11-25 2010-11-17 利用精米蒸煮方法提取传统草药组分的方法
JP2012541010A JP6030450B2 (ja) 2009-11-25 2010-11-17 白米蒸法を利用した漢方成分抽出方法
US13/511,792 US8986758B2 (en) 2009-11-25 2010-11-17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50A KR101214347B1 (ko) 2009-11-25 2009-11-25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001A KR20110058001A (ko) 2011-06-01
KR101214347B1 true KR101214347B1 (ko) 2012-12-20

Family

ID=4406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50A KR101214347B1 (ko) 2009-11-25 2009-11-25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6758B2 (ko)
JP (1) JP6030450B2 (ko)
KR (1) KR101214347B1 (ko)
CN (1) CN102686215A (ko)
WO (1) WO2011065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470A (ko) * 2011-10-12 2013-04-22 (주)아모레퍼시픽 백미증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추출방법
CN102525869A (zh) * 2012-02-10 2012-07-04 魏玉玲 一种改善皮肤质量的产品及其制备方法
CN110075567B (zh) * 2019-05-28 2021-09-28 河北万邦复临药业有限公司 一种高压喷雾结合逆流沉淀的离心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909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植物生薬の水溶性抽出エキス含有美白化粧料
KR920005683B1 (ko) * 1987-10-12 1992-07-13 서영유 다수종의 약초분말로 구성되는 세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E4012512A1 (de) 1990-04-12 1991-10-17 Schering Ag Herbizide mittel mit synergistischer wirkung
KR950010394B1 (ko) 1991-11-16 1995-09-16 금성계전주식회사 도시가스용 가스센서 감지소자의 제조방법
JP2005112793A (ja) * 2003-10-08 2005-04-28 Norihide Yamaguchi 美白化粧品
KR100535875B1 (ko) * 2004-07-02 2005-12-09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40078610A (ko) * 2004-07-26 2004-09-10 문남기 진흙소금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654959B1 (ko) * 2005-03-29 2006-12-06 (주)케비젠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718B1 (ko) * 2005-08-03 2007-05-02 신흥묵 희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 항산화 및 혈압강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1062128B (zh) * 2007-06-18 2010-11-10 石任兵 芍药总苷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1496775A (zh) * 2009-02-26 2009-08-05 徐伟玲 一种面部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2236A (ja) 2013-04-11
WO2011065699A2 (ko) 2011-06-03
CN102686215A (zh) 2012-09-19
US8986758B2 (en) 2015-03-24
WO2011065699A3 (ko) 2011-09-29
KR20110058001A (ko) 2011-06-01
US20120251470A1 (en) 2012-10-04
JP6030450B2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JP2010090069A (ja) 美白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11037764A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酸化剤および抗老化剤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JP5550839B2 (ja) 美白剤
KR101214347B1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4698B1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896618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2155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KR100817476B1 (ko) 터피넨-4-올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