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264B1 -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264B1
KR100535264B1 KR1019980061486A KR19980061486A KR100535264B1 KR 100535264 B1 KR100535264 B1 KR 100535264B1 KR 1019980061486 A KR1019980061486 A KR 1019980061486A KR 19980061486 A KR19980061486 A KR 19980061486A KR 100535264 B1 KR100535264 B1 KR 10053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hitening
skin
composition
preparation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979A (ko
Inventor
원정미
양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6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2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서 오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우수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기미 또는 주근깨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제로서의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 분포에 따라서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 피로, 스트레스 등과 같은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이로신(Tyrosine)에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ihydroxy Phenyl Alanine:DOPA)또는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화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 반응을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졌으나, 타이로시나아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하여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과 같은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이나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을 개선하는 목적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의 경우 피부 미백 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 자극성이 심하여 사용량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용이하여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또는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날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가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이들 성분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반 추출물 등이 상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물질은 미백 효과가 우수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체에 안전하고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높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높은 오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 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천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행초 추출물에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조성물은 오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추출물은 오행초(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에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에탄올 등의 통상의 유기 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1-2주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행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오행초는 포장에서 자라는 육질의 일년생 초본으로 털이 없고 높이가 30 cm에 달하며 적갈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되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장난을 한다.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수생한 것 같으며, 도란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병엽으로 되며, 길이 15-25 mm, 나비 5-15 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 받침은 2개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오므라든다. 수술은 7-12개이고,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중립이며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서 긴대가 달린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찌그러진 원형이며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약간 토돌토돌하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사라다를 만들며 우리 나라에서는 연한 부분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대한 식물 도감, 이창복, P324, 1993). 오행초의 라틴명은 포르툴라카 올레라세아 엘(Portulaca Oleracea L.)이고,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씻은 후, 살짝 데쳐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생것으로 사용한다. 오행초는 쇠비름과에 속하며 청열 해독, 배농리 등의 작용이 있어 이질, 장염, 세균성 적리, 또는 벌레독과 뱀독의 해독 등을 위한 한방 약재(동의치료)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효과와는 명백하게 구별된다. 종래의 오행초 성분 동정 연구에 의하면 1-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토코페롤, 사포닌, 탄닌질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한 오행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행초를 구입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분쇄한 후, 오행초 건조 중량에 대하여 물 2부피 및 1,3-부틸렌 글리콜(또는 에탄올) 1부피를 첨가한 후, 1-2주 동안 교반하여 오행초 성분을 추출한다. 추출액에서 잔사를 여과포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 온도는 10 내지 ℃,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추출물의 성상은 연한 갈색의 투명한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오행초 추출물은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elanoma cell)에서 강력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치현 추출물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의 화장료를 할 수 있는데,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나 로션 등의 여러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 하였을 때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또한 어떤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오행초 추출물은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기미 또는 주근깨의 개선 및 피부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오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연고 또는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오행초 추출물의 함량은 추출물의 건조 중량으로 0.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중량%이다.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행초를 세척하고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 1 kg을 물 2 ℓ와 1,3-부틸렌 글리콜 1 ℓ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추출기에서 약 10일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0.3 ㎛ 기공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을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건조 중량으로 12.4 g 얻었다.
실시예 2
오행초를 세척하고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 1 kg을 물 2 ℓ와 에탄올 1 ℓ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추출기에서 약 10일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0.3 ㎛ 기공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을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140 ℃에서 약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건조 중량으로 11.8 g을 얻었다.
실험예 1
오행초 추출물의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오행초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다음과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각 추출물들의 최종 농도가 0.5 %가 되도록 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시 배양액에 첨가하고,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으로 처리하고,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 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멜라닌에 수산화 나트륨용액(1N 농도) 1 ml을 가하여 10분 동안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토계로 400 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 수당(106 cell)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3회 반복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여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해 하이드로퀴논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오행초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멜라닌 생성 억제 등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044 ± 0.004 -
실시예1(최종농도 0.5%) 0.030 ± 0.001 32%
실시예2(최종농도 0.5%) 0.029 ± 0.001 34%
하이드로퀴논(최종농도 0.0001%) 0.025 ± 0.002 43%
반복수 = 3
시료 적용농도(%)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 0.044 ±0.004 -
실시예 1 최종농도(0.01%) 0.041 ±0.002 7%
최종농도(0.05%) 0.035 ±0.001 20%
최종농도(0.5%) 0.030 ±0.001 32%
최종농도(5%) 0.022 ±0.002 50%
실시예 2 최종농도(0.01%) 0.041 ±0.002 7%
최종농도(0.05%) 0.033 ±0.001 25%
최종농도(0.5%) 0.029 ±0.001 34%
최종농도(5%) 0.020 ±0.001 55%
하이드로퀴논 (0.0001%) 0.025 ±0.002 43%
반복수 = 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행초 추출물은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은 저농도에서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능력을 가지나, 세포 독성이 심해 0.0001 % 농도 이상에서도 실험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출물은 0.5 % 농도 이상에서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오행초 추추물이 단일 물질이 아닌 혼합물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이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제조예 1 및 비교예 1
하기 표 3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3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1(중량%) 비교예 1(중량%)
-오행초추출물 10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트르 6 6
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제조예 2 및 비교예 2
하기 표 4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4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2(중량%) 비교예 2(중량%)
-오행도추출물 5.0 -
-스테아릴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향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제조예 3 및 비교예 3
하기 표 5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5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3(중량%) 비교예 3(중량%)
- 오행초추출물 3.0 -
- 에탄올 10.0 10.0
- 폴리라우린폴리옥시에틸렌 1.0 1.0
소르비탄 - -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0.2
- 글리세린 5.0 5.0
- 1,3-부틸렌글리콜 6.0 6.0
- 향 적량 적량
- 색소 적량 적량
- 정제수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제조예 4 및 비교예 4
하기 표 6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6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4(중량%) 비교예 4(중량%)
- 오행초추출물 3.0 -
- 와셀린 2.0 2.0
-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적량 적량
- 프로필렌글리콜 5.0 5.0
- 에탄올 3.2 3.2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8 18.0
- 수산화칼륨 0.1 0.1
- 향 적량 적량
- 색소 적량 적량
- 정제수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제조예 5 및 비교예 5
하기 표 7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7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5(중량%) 비교예 5(중량%)
- 오행초출물 2.0 -
- 글리세린 5.0 5.0
- 프로필렌그리콜 4.0 4.0
- 폴리비닐알코올 15.0 15.0
- 에탄올 8.0 8.0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0.2
- 향 적량 적량
- 색소 적량 적량
- 정제수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제조예 6 및 비교예 6
하기 표 8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을 하기 표 8에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오행초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1-2에서 수득된 것이다.
조성물 제조예 6(중량%) 비교예 6(중량%)
- 오행초추출물 5.0 -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 글리세린 10.0 10.0
- 하이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 에탄올 5.0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0.1
- 향 적량 적량
- 정제수 잔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실험예 3
피시험자로 건강한 남녀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 mm 크기의 구멍이 6 개씩 2 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덮은 후, 팔에서 50 cm 거리에서 일광 조사기(ORIEL Solar Simulator 1000W)로 120 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하기 3일 전부터 조사 후 4주 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에 따라 제조된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와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 하였다. 여기서 제조예 5 및 비교예 5의 팩 처방의 경우 도포한 다음 15분 후에 떼어내었다. 상기 각각에 대하여 제조예와 비교예의 색소 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
제조예 1 6* 8 6
제조예 2 5 9 6
제조예 3 10 6 4
제조예 4 7 7 6
제조예 5 3 8 9
제조예 6 4 8 8
*: 피시험자 수를 의미함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에 1-6에 따라 제조된 오행초 추출물 함유한 미백 연고 및 화장료는 피시험자 20 명중에서 최소 10명 이상에 대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아 오행초 추출물은 안전하고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조성물은 배합시 용해도 및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적용이 용이하므로 고농도로 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우수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기미 또는 주근깨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뛰어나다.

Claims (3)

  1.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서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행초 추출물은 물, 1,3-부틸렌 글리콜 및 에탄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행초 추출물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1 내지 20.0 중량%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80061486A 1998-12-30 1998-12-30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3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6A KR100535264B1 (ko) 1998-12-30 1998-12-30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6A KR100535264B1 (ko) 1998-12-30 1998-12-30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79A KR20000044979A (ko) 2000-07-15
KR100535264B1 true KR100535264B1 (ko) 2006-03-23

Family

ID=1956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86A KR100535264B1 (ko) 1998-12-30 1998-12-30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60A (ko) * 2000-08-28 2002-03-07 유상옥,송운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 2001-06-30 2004-07-2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52A (zh) * 1992-12-08 1993-09-01 尹斌 一种治疗皮肤疾患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8800A (zh) * 1993-01-02 1994-07-06 鞍山钢铁公司 一种治疗皮肤烫烧伤的外敷中药膏及其制备方法
CN1120952A (zh) * 1995-07-26 1996-04-24 陈希胜 一种具有治疗疤痕、痤疮功效的化妆品及制备方法
KR20000032674A (ko) * 1998-11-17 2000-06-15 성재갑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52A (zh) * 1992-12-08 1993-09-01 尹斌 一种治疗皮肤疾患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8800A (zh) * 1993-01-02 1994-07-06 鞍山钢铁公司 一种治疗皮肤烫烧伤的外敷中药膏及其制备方法
CN1120952A (zh) * 1995-07-26 1996-04-24 陈希胜 一种具有治疗疤痕、痤疮功效的化妆品及制备方法
KR20000032674A (ko) * 1998-11-17 2000-06-15 성재갑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79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11129428A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56114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35264B1 (ko)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10077652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63081B1 (ko) 녹두추출물을함유하는미백화장료조성물
JP2002249772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10103604A (ko) 피부보호 및 개선용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604085B1 (ko) 상지 추출물과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6893A (ko)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330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화, 미백 및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10103603A (ko) 피부보호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37952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0811A (ko)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료
KR101006341B1 (ko) 명당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50729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