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674A -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674A
KR20000032674A KR1019980049221A KR19980049221A KR20000032674A KR 20000032674 A KR20000032674 A KR 20000032674A KR 1019980049221 A KR1019980049221 A KR 1019980049221A KR 19980049221 A KR19980049221 A KR 19980049221A KR 20000032674 A KR20000032674 A KR 20000032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portulaca oleracea
composition contain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463B1 (ko
Inventor
양재찬
윤명석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4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46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가능성, 염증억제, 피부 1차자극시험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항염제에 비해서 피부 안전성 측면에서나 배합시 용해도 및 보존안정성이 탁월하여 적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본 발명은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행초 추출물(portulaca oleracea L. extract)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본래의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형성에 필수불가결한 존재이기 때문에 사용된다. 예를들면 가용화제 및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차단제 및 기타 효능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쓰여지는 여러 가지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요인 항체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화장품에 있어서, 피부 부작용 유발요인은 항상 잠재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acine)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리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으며(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v),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33), 인도메타신(indometacine)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 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선행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오행초추출물을 함유한 의약품이나 화장품 조성물이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배합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오행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행초는 포장에서 흔히 자라는 육질의 일년생 잡초로서 털이 없고 높이가 30 센티미터에 달하며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되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장난을 한다.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수생한 것 같으며 도란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병엽으로 되며 길이 15∼25밀리미터, 나비 5∼15밀리미터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2개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오므라든다. 수술은 7∼12개,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중립이며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서 긴 대가 달린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찌그러진 원형이며 검은 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약간 토돌토돌하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사라다를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연한 부분을 나물로하고 전초를 벌레와 뱀의 독을 해소시키거나 또는 질병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대한식물도감, 이창복, p324, 1993).
오행초추출물은 오행초 1킬로그램을 깨끗이 세척한후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등 통상의 용매로 추출하며, 정제수 2킬로그램과 용매 1킬로그램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오행초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30중량부 이상에서는 제품에 배합시 색상 및 냄새, 사용성을 고려할 때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오행초추출물은 0.001 내지 3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또는 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험 1. 세포독성시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오행초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V79-4 세포[Chinase Hamster, CCL(continuous cell line:연속세포주)의 폐조직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test] 법을 수행하고 MTT-포르마잔 생성물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추출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물질에 대한 IC50(억제농도 50)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질을 배지에 10.0%, 1.0%...로 희석하여 24시간 배양하여 IC50을 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오행초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
시 료 IC50(%,W/V)
SLS오행초 추출물 0.0025>5.0
오행초 추출물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에 비하여 200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한 추출물임을 확인하였다.
실험2. 알러지 평가
오행초 추출물에 대한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3일동안 하루 한 번씩 시료를 마우스 귀에 25㎕씩 도포하여 4일째 임파절을 떼어내어 임파구를 분리후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 - 48 시간 배양한 후 증폭정도를 방사선 동위원소 [3H]-메칠티미딘(methyl thymidine)의 삽입량으로 측정한다. 국부임파절평가 (LLNA:local lymph node assay)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정도로 나타내며 한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정도(S.I:stimulation index)가 3배 이상이고 농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였다.
오행초 추출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에탄올오행초 추출물오행초 추출물 6050100 2261 ± 1214548 ± 3313187 ± 208 -2.01.4
※ - cpm(counter per minute) : [3H]-메칠티미딘이 세포 내로 삽입되는 양
- S.I(stimulation index) : 시료의 평균 cpm을 대조군의 평균 cpm으로 나눈값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행초 추출물의 증폭정도(S.I)가 3 이하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3. 항염증 실험
오행초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후 귀의 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오행초 추출물오행초 추출물오행초 추출물Indomethacin아라키돈산 0.51.03.01.02 ㎎/ear 에탄올에탄올에탄올에탄올에탄올 279296293284299 492497478421551 15.520.226.645.6-
※ 억제율(%)=(A-B)/A x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 시료도포군 귀의 두께(시료처리귀의 두께-비처리귀의 두께)
표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오행초추출물 0.5%, 1.0%, 3.0%는 각각 15.5%, 20.2%, 26.6%의 염증억제율을 보였으며,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시 오행초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수준을 보였다.
실험 4. 피부 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오행초 추출물 1.0%, 3.0% 수용액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수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피부 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오행초 추출물 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오행초 추출물 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정제수 50505050 --1- --3- 96136 41443344 0.180.120.400.12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이와같이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오행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제조예를 실시하였다.
제조예 1.
유연화장수 중량부
오행초 추출물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히아루론산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3.05.02.00.70.10.18.00.1적량적량to 100
제조예 2.
영양화장수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오행초 추출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1.000.500.500.307.004.000.300.501.004.004.000.150.201.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 3.
에센스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스쿠알란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오행초 추출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1.000.502.501.000.300.501.006.005.000.200.301.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 4.
영양크림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산탄검트리에탄올아민오행초 추출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3.001.501.000.507.004.004.000.300.501.005.004.000.050.101.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 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산탄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에탄올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트리에탄올아민오행초 추출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5.000.030.050.100.106.004.003.000.101.00적량적량적량to 100
본 발명에 따른 오행초추출물-함유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가능성, 염증억제, 피부1차자극시험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항염제에 비해서 피부안전성 측면이나 배합시 용해도 및 보존안정성이 탁월하여 적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업적으로 대단히 유용하다.

Claims (3)

  1.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하는 항염성 또는 항자극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오행초 추출물을 0.001∼30.0 중량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또는 팩인 조성물.
KR1019980049221A 1998-11-17 1998-11-17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KR10054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221A KR100540463B1 (ko) 1998-11-17 1998-11-17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221A KR100540463B1 (ko) 1998-11-17 1998-11-17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674A true KR20000032674A (ko) 2000-06-15
KR100540463B1 KR100540463B1 (ko) 2006-04-20

Family

ID=1955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221A KR100540463B1 (ko) 1998-11-17 1998-11-17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4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60A (ko) * 2000-08-28 2002-03-07 유상옥,송운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5264B1 (ko) * 1998-12-30 2006-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CN108084060A (zh) * 2017-12-07 2018-05-29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生物碱oleraurea及其提取分离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64B1 (ko) * 1998-12-30 2006-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20016960A (ko) * 2000-08-28 2002-03-07 유상옥,송운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ES2416804A1 (es) * 2011-12-28 2013-08-02 Roberto TUDINI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CN108084060A (zh) * 2017-12-07 2018-05-29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生物碱oleraurea及其提取分离方法
CN108084060B (zh) * 2017-12-07 2020-04-21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生物碱oleraurea及其提取分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463B1 (ko)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78003A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H08119825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JP2001220313A (ja)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H09301821A (ja) リパーゼ活性促進剤
KR101732906B1 (ko)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16492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03955A (ja)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H09227353A (ja) 美白化粧料組成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3104865A (ja) 皮膚外用剤
KR20020001911A (ko)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40463B1 (ko)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JPH06271452A (ja) サボテン類植物抽出物含有皮膚化粧料
KR20080006837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3518124A (ja) 2,5-ジホルミルフランに富むモリンガ・ペレグリナ種子抽出物、それを得るための方法、及び美容用品組成物におけるその使用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JPH107582A (ja) 皮膚外用剤
JPH0656626A (ja) 界面活性剤含有組成物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