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911A -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911A
KR20020001911A KR1020000025345A KR20000025345A KR20020001911A KR 20020001911 A KR20020001911 A KR 20020001911A KR 1020000025345 A KR1020000025345 A KR 1020000025345A KR 20000025345 A KR20000025345 A KR 20000025345A KR 20020001911 A KR20020001911 A KR 2002000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chi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contain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찬
윤명석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정찬복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정찬복,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1911A/ko
Publication of KR2002000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911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염증억제, 피부 1차 자극시험 등에서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시 피부 안전성과 효능성이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for anti-inflammation and anti-irritation}
본 발명은 항염, 항자극 효과가 탁월한 마치현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본래의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형성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기 때문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가용화제 및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차단제 및 기타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쓰여지는 여러가지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요인, 항체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효과라고 한다.
화장품에 있어서 피부 부작용 유발요인은 항상 잠재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 하고자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acine)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으며(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러나, 인도메타신(indometacine)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자는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배합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치현은 포장에서 흔히 자라는 육질의 일년생 잡초로서 털이 없고, 높이가 30센티미터에 달하며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되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장난을 한다.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수생한 것 같으며 도란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병엽으로 되며 길이 15∼25밀리미터, 나비5∼15밀리미터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2개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오므라든다. 수술은 7∼12개,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중립이며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서 긴 대가 달린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찌그러진 원형이며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약간 토돌토돌하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사라다를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하고, 전초를 벌레와 뱀의 독을 해소시키는데 또는 질병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대한식물도감, 이창복, p324, 1993).
일반적으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단순히 원재료를 추출할 용매에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교반한 후 용액을 여과하여 최종품을 제조하므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미미하여 단순한 추출물 상태로는 특정한 효능이나 효과를 나타내기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유효성분의 농도를 높이게 되면 냄새, 색깔등의 문제로 인하여 실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추출물 상태로 적용시에도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탁월하면서 고농도로 적용시에도 냄새, 색깔등의 문제가 없는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
마치현 1.0킬로그램을 깨끗이 세척한 후 에탄올 6.0킬로그램에 상온에서 6일간 침적시킨후 매쉬를 이용하여 걸러낸 다음, 이액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50도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이액을 규조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때, 규조토 필터의 크기는 0.5마이크로미터(㎛) 이다. 규조토 필터를 통과하여 나온 여액을 20이하로 될 때 까지 농축한 다음, 이 농축액을 1,3-부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30용액으로 만든후 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0.2마이크로미터(㎛)까지 차례로 매쉬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여과하여 최종액을 제조한다. 이와같이 제조한 마치현의 추출물의 최종액의 성상은 연한갈색의 투명한 액으로 특이한 미취가 있다.
확인시험 및 pH, 비중, 순도시험을 하였으며, 규격 및 시험방법에 대해서는 장원기 규격 및 시험기준에 의거하였다.
확인시험
확인시험은 첫째, 아미노산은 이약 2.0밀리리터(㎖)에 닌하이드린 시액 1 밀리리터(㎖)를 넣고 흔들어 섞은후 수욕상에서 끓는 물에 3∼10분간 방치할 때 자색을 나타낸다. 둘째, 플라보노이드는 이약 10 밀리리터(㎖)를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한 후 잔유물에 메탄올 5.0 밀리리터(㎖)를 가하여 수욕상에서 2∼3분간 가온한 후 여과한 다음 여액에 마그네슘 0.1그람 및 염산 1.0 밀리리터(㎖)를 가하여 방치하면 액은 적갈색이 된다. 셋째 사카라이드는 이약 0.5밀리리터(㎖)에 5알파-나프톨 알코올 시액 2∼3방울을 넣고 섞는다. 황산 2.0 밀리리터(㎖)에 이액을 조심스럽게 가하여 흔들지 말고 방치하면 접계면은 적자색을 나타낸다(5알파-나프톨 알코올시액: 알파-나프톨 5.0그람에 에탄올을 넣어 녹여 100 밀리리터(㎖)로 한다). 넷째, 트리테르페놀은 이약 5.0밀리리터(㎖)를 수욕상에서 증발건조(또는 감압농축)시킨후 무수초산 2.0밀리리터(㎖)를 가하고 2분간 가온시킨후 여과한다. 여액 1 밀리리터(㎖)를 황산 0.5밀리리터(㎖)에 천천히 가할 때(유리관 벽면에 소량씩) 접계면은 적갈색을 나타낸다. 다섯째, 흡광도 측정은 285나노미터(㎚) 부근에서 최대 흡수 피크의 특성을 나타낸다.
비중 및 pH 측정
비중측정은 장원기 제1법 3항에 의거하여 실시한 결과 25도에서 0.900∼1.030이며, pH는 4.0∼6.0이다.
순도시험
순도시험에서 중금속은 이약 1.0 밀리리터(㎖)를 달아 장원기 제2법에 따라 조작하여 시험하였을 때 10ppm이하이며, 비소는 이약 1.0 밀리리터(㎖)를 취하여
장원기 제3법에 따라 검액을 만들고 장치 쓰는 방법에 따라 시험했을 때 2ppm 이하이다.
앞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얻은 마치현 추출물 시료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L-도파(L-Dopa), 염산도파민(Dopamin HCl), 노르아드레날린(Norepinephrin) 표준품(시그마)을 각각 13.8밀리그람(㎎), 11.3밀리그람(㎎), 18.7밀리그람(㎎)을 달아 100밀리리터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정제수를 넣어 녹이고 정확하게 표선까지 맞춘다. 이액 5.0밀리리터(㎖)를 취하여 100밀리리터로 희석한 액을 표준액으로 하고 마치현 추출물 원액을 0.45마이크로미터(㎛) 필터로 여과하여 검액으로 한다. 칼럼은 Capcell Pak C18(Shiseido)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과 5밀리몰 Sodium 1-heptanesulfonare와 0.02몰 KH2PO4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흐름속도는 1.0밀리리터/분으로 하였으며 자외선 검출기(Photodiode detector:996 Waters)로 280나노미터에서 측정하였고 1회 주입양은 20마이크로리터(㎕)로 하였으며 성분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마치현 추출물의 성분확인 결과
성 분 명 함 량 비 고
L-도파(L-Dopa) 25.5㎍/㎖
염산도파민(Dopamin HCl) 0.93㎍/㎖
노르아드레날린(Norepinephrin) - 검출안됨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성분으로 L-도파(L-Dopa), 염산도파민(Dopamin HCl)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한 마치현 추출물의 안전성 및 효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실험 1. 세포독성시험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V79-4세포[Chinase Hamster, CCL(continuous cell line:연속세포주)의 폐조직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3-(4,5-dimethyl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test] 법을 수행하고 MTT-formazan product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추출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물질에 대한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을 알기 위하여 물질을 배지에 10.0, 1.0...로 희석하여 24시간 배양하여 IC50을 구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치현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
시 료 IC50(,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마치현 추출물 0.0025>5.0
마치현 추출물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2000배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한 추출물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2. 알러지 평가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에 대한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3일 동안 하루 한번씩 시료를 마우스 귀에 25㎕씩 도포하여4일째 임파절을 떼어내어 임파구를 분리후 5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 - 48시간 배양한후 증폭정도를 방사선 동위원소 [3H]-메칠티미딘(methyl thymidine)의 삽입량으로 측정한다. 국부임파절평가 (LLNA:local lymph node assay)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정도로 나타내며 한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정도(S.I:stimulation index)가 3배 이상이고 농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였다.
마치현 추출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에탄올마치현 추출물마치현 추출물` 6050100 2254 ± 1184389 ± 2293163 ± 203 ―1.91.4
※ ―cpm (counter per minute) : [3H]-메칠티미딘(methyl thymidine)이
세포 내로 삽입되는 양
― S.I (stimulation index) : 시료의 평균 cpm을 대조군의 평균
cpm으로 나눈 값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물의 증폭정도(S.I)가 3이하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3. 항염증 실험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후 귀의 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 억제율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마치현 추출물마치현 추출물마치현 추출물Indomethacin아라키돈산 1.03.05.01.02㎎/ear 에탄올에탄올에탄올에탄올에탄올 258268263259259 408412395357464 26.630.835.745.6-
※ 억제율() = (A―B) / A ×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비처리 귀의두께)
B : 시료도포군 귀의두께(시료처리귀의 두께-비처리귀의 두께)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치현 추출물 1.0, 3.0, 5.0는 각각 26.6, 30.8, 35.7의 염증 억제율을 보였으며,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시 마치현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수준을 보였다.
실험4. 피부 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 1.0, 3.0수용액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수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 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마치현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마치현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정제수 50505050 --1- --4- 84147 42463143 0.160.080.500.14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이와 같이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마치현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제조예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의 제조예만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제조예1.
유연화장수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30용액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히아루론산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3.05.02.00.70.10.18.00.1적량적량To 100
제조예2.
영양화장수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마치현 추출물 30용액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1.000.500.500.307.004.000.300.501.004.004.000.150.202.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3.
에센스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스쿠알란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마치현 추출물 30용액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1.000.502.501.000.300.501.006.005.000.200.303.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4.
영양크림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산탄검트리에탄올아민마치현 추출물 30용액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3.001.501.000.507.004.004.000.300.501.005.004.000.050.103.00적량적량적량To 100
제조예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산탄검카르복시메칠셀루로오즈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에탄올농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트리에탄올아민마치현 추출물 30용액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 5.000.030.050.100.106.004.003.000.102.00적량적량적량To 100
상기 제조예로 피부 1차 자극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제조예에서 자극지수가 0.05이하로 항자극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염증억제, 피부 1차 자극시험 등에서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시 피부 안전성과 효능성이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Claims (5)

  1.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마치현을 물, 알코올, 폴리올과 같은 친수성 용매에 침적시킨후 매쉬를 이용하여 걸러낸 다음 활성탄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규조토 필터로 여과하고 농축하여 마치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농축액에 1,3 부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마치현 추출물 30용액으로 제조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마치현을 2시간 이상 1개월 이하 침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마치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을 의미하며, 폴리올을 수산기가 2개 이상 가진 것 또는 그 유도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치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00025345A 2000-05-12 2000-05-12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20001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345A KR20020001911A (ko) 2000-05-12 2000-05-12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345A KR20020001911A (ko) 2000-05-12 2000-05-12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911A true KR20020001911A (ko) 2002-01-09

Family

ID=1966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345A KR20020001911A (ko) 2000-05-12 2000-05-12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191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60A (ko) * 2000-08-28 2002-03-07 유상옥,송운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060303B2 (en) * 2002-12-31 2006-06-13 Avon Products, Inc.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KR101457960B1 (ko) * 2007-04-20 2014-1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7407A (ko) 2014-09-28 2016-04-0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81719A (ko) * 2017-12-29 2019-07-09 산청기능성콩 영농조합법인 산채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이 있는 프리바이오틱스를 갖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102329247B1 (ko) *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쇠비름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60A (ko) * 2000-08-28 2002-03-07 유상옥,송운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060303B2 (en) * 2002-12-31 2006-06-13 Avon Products, Inc.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7960B1 (ko) * 2007-04-20 2014-1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3098449A1 (es) * 2011-12-28 2013-07-04 Tudini Roberto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ES2416804A1 (es) * 2011-12-28 2013-08-02 Roberto TUDINI Composición de productos naturales para aplicación tópica
KR20160037407A (ko) 2014-09-28 2016-04-0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81719A (ko) * 2017-12-29 2019-07-09 산청기능성콩 영농조합법인 산채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이 있는 프리바이오틱스를 갖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20210113490A (ko) * 2020-03-05 2021-09-16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9247B1 (ko) * 2021-07-02 2021-11-2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쇠비름 유래 엑소좀의 정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9616B2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への応用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AU733601B2 (en) Therapeu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using centipeda cunninghami extract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20150078948A (ko)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32906B1 (ko)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01911A (ko)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04865A (ja) 皮膚外用剤
JP2002316937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80006837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JPH03127714A (ja) 美白化粧料
JPH0672838A (ja) 化粧料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197194B2 (ja) 細胞間接着抑制用経口投与剤
KR100540463B1 (ko) 오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성 및 항자극성 조성물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