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940B1 -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940B1
KR101473940B1 KR1020140113986A KR20140113986A KR101473940B1 KR 101473940 B1 KR101473940 B1 KR 101473940B1 KR 1020140113986 A KR1020140113986 A KR 1020140113986A KR 20140113986 A KR20140113986 A KR 20140113986A KR 101473940 B1 KR101473940 B1 KR 10147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ch
extract
peony
scalp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환
민진우
정주현
김순영
김진태
박근동
이대우
최성규
하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코스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코스, 주식회사 더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코스
Priority to KR102014011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천연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improving the scalp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s of Swertia japonica MAKINO, Paeonia lactiflora, quisetum arvense L. and peach}
본 발명은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매개물질을 억제하여 염증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려움증을 완화하여 탈모예방 및 두피의 개선효과가 있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웰빙 트랜드가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이는 식품, 화장품, 주거 환경 등의 모든 분야에서 천연 식물성 소재 및 전통적인 민간요법으로 전래되는 한약재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상대적으로 천연 식물소재의 제품화가 용이한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이를 원료로 사용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며, 기능성 식품 및 예방의학, 치료의학의 분야에서도 동양의 식물성 약재(Herbal medicine)가 미국 및 유럽에서까지 허가 및 제품화되기 시작하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인체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노화, 항암, 항염, 면역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인다. 민감성 두피 및 피부는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피부정상화 메커니즘이 파괴되어 홍반, 부종, 따끔거림, 가려움 등의 과민반응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민감성 피부는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과도한 자외선이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발용품, 스킨케어 용품에 함유된 특정한 물질 등에도 홍반, 부종, 따끔거림, 가려움 등의 반응을 쉽게 나타낸다. 최근에는 환경오염 및 생활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민감성 피부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인체의 모발은 인격과 인품을 표현하는 신체의 중요한 부분이다. 인체 모발은 다른 포유동물과는 달리 생물학적인 목적보다는 미적, 성적인 의미에서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상인의 모발은 하루에 약 50~100개 정도가 자연적으로 탈락하게 되는데,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탈락 모발수보다 과량의 모발이 탈락하는 상태를 탈모라 정의한다. 가장 흔한 탈모질환으로서 면역계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원형탈모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남성형 탈모를 들 수 있다. 발모 및 탈모의 정확한 기전은 현재까지 완전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탈모유발 원인으로 남성호르몬 관여에 의한 모포 기능의 저하, 모포 및 모구부의 신진대사 기능의 저하, 두피 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 장해, 영양 불량, 스트레스,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적 요인, 자가면역, 국소감염, 화학물질, 백혈병, 결핵 등의 질병과 모발 제품의 남용 등이 있다. 탈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남성형 탈모증(androgen alopecia)의 경우 유전적으로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의존적으로 발생하는데 포유류의 대표적인 안드로겐 호르몬에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있는데 탈모가 일어나는 환자들에게서 DHT가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된다. 여기서 테스토스테론은 5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해서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데, 특히 5알파-리덕타아제로 존재하는 두 형태 중 제 2형 5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에서 전환된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이 진피유두 및 모낭에 점진적인 축소화를 가져 온다.
최근,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은 탈모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변모시켰다. 그 중에서도 모낭 및 모낭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들의 배양법 개발은 탈모기전 연구를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동시에 유용한 평가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민감성 피부 또는 두피에서 나타나는 과민 반응에는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염증성 매개물질 등이 관여하며, 과민 반응이 접촉성 자극염의 염증성 반응경로를 따를 경우 인터루킨-1(interleukin-1:IL-1)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화학 전달 매개물질은 히스타민 또는 세로토닌과 같은 아민,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사이토카인 등이 있다.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특히 PGE 2) 등이 혈관 확장 및 부종 형성에 관여하여 염증과 동통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종래에는 과민반응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지 화장료 성분중에서 과민반응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 성분을 제거하는데 그쳤었다. 그러나, 민감성 피부 보유자들도 자극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을 사용할 필요성은 있기 때문에 단순히 과민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는 피부 과민반응의 근본 원인인 사이토카인이나 염증 매개 물질의 조절을 통해 과민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스피린, 인도메타신과 같은 종래의 염증 억제 성분들은 그 효과가 널리 인정되고 있으나 위장 장애, 항진성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고,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계 성분에 대한 길항제, 브라디키닌 등키닌류에 대한 길항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등의 항염 성분은 인체 안전성, 제품내 함유시 안정성 문제, 사용 함량 제한 등 법규상의 문제들로 인해 그 사용 범위 및 수준이 제한적이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5935호 "모발 컨디셔닝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에는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케어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6296호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는 '인삼, 흑두, 하수오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탈모예방이나 두피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추출물이 탈모예방 및 두피상태 개선에 유용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과 탄소수 1~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 중량비가 1~4:1~3:1~2:1~2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의 건조 중량비가 1:2:1:1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장료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토닉, 스케일링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유액,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헤어 에센스,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중량비로 1:2:1: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여과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천연 식물소재를 사용하고 용매공정을 통하여 그 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천연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작약(Paeonia lactiflora)은 쌍떡잎식물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은 잎이 3장씩 두 번 나오는 겹잎이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다우며 재배한 것은 지름 10cm 정도이다. 꽃색은 붉은색, 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으며 내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종자는 구형이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당약(Swertia japonica MAKINO)은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이다. 뿌리에는 쓴맛이 강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모가 져 있는 줄기는 위로 곧게 서서 위쪽 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높이는 15~30cm 가량이다. 잎은 피침 꼴이고 잎자루를 가지지 않으며 마디마다 2장이 마주 난다. 꽃은 줄기 끝에 원뿌리 꼴로 모여 피어나는데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로 피어 나가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길쭉한 타원 꼴인 5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은 피어남에 따라 완전히 펼쳐진다. 꽃의 지름은 1.5~2cm이며 흰 바탕에 자주색 줄이 나 있기 때문에 연보랏빛으로 보인다. 꽃의 한가운데에는 5개의 수술이 자리하고 있는데 꽃가루주머니는 짙은 보랏빛이다. 분포 제주도와 남부지방에만 분포하고 있으며 산과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 난다. 고초(苦草)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꽃을 포함한 잎과 줄기 모두를 약재로 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자주쓴풀도 같은 내용으로 쓰인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기 전에 잘게 썬다. 성분 온몸에 결정성고미배당체(結晶性苦味配糖體)인 스웨르티아마린(Swertiamarin)을 2~4% 가량 함유하고 있으며 쓴맛이 대단히 강하다. 약효 함유 성분인 스웨르티아마린은 위장이 허약한 사람에게 건위작용을 하여 소화를 돕는다. 적용질환은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을 다스리는 약으로 쓰인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0.3~1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또는 곱게 빻아 가루를 복용한다. 일본에서는 건위제, 지사제, 회충, 요충 등의 구충약으로도 쓰고 있으며 기타 복통이나 태독과 매독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쇠뜨기(quisetum arvense L.)는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살이 잘 들어오는 곳이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40㎝이고, 생식경은 이른 봄에 나와 줄기 끝에 마치 아파트와 같은 모양으로 포자낭수를 형성한다. 영양경은 속이 비어 있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지상에서 곧게 서며 세로로 모가 나 있다.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필두엽(筆頭葉)이라고도 한다. 풀밭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이른 봄에 자라는 것은 생식줄기[生殖莖]인데, 그 끝에 포자낭수(胞子囊穗)가 달린다. 가지가 없고 마디에 비늘 같은 연한 갈색잎이 돌려난다. 영양줄기는 생식줄기가 스러질 무렵에 자라는데, 곧게 서며 높이 30∼40cm로 녹색이고 마디와 능선이 있으며, 마디에 비늘 같은 잎이 돌려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포자낭수는 타원 모양인데 육각형의 포자엽이 밀착하여 거북의 등처럼 되며, 안쪽에는 각각 7개 내외의 포자낭이 달린다. 쇠뜨기란 소가 뜯는다는 뜻으로, 역시 소가 잘 먹는다. 생식줄기는 식용하며, 영양줄기는 이뇨제로 쓴다. 북반구의 난대 이북에서 한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복숭아(Prunus persica Batch var. vulgaris)는 도자(桃子)라고도 한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다. 과육이 흰 백도와 노란 황도로 나뉘는데, 생과일로는 수분이 많고 부드러운 백도를 쓰고, 통조림 등 가공용으로는 단단한 황도를 쓴다. 중국 원산으로 실크로드를 통하여 서양으로 전해졌으며, 17세기에는 아메리카 대륙까지 퍼져 나갔다. 한국에서도 예로부터 재배하였으나 상품용으로는 1906년 원예모범장을 설립한 뒤부터 개량종을 위주로 재배하였다. 전세계에 약 3,000종의 품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창방조생, 백도, 천홍, 대구보, 백봉 등을 재배한다.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타타르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1% 가량 들어 있고, 비타민 A와 폼산, 아세트산, 발레르산 등의 에스터와 알코올류, 알데하이드류, 펙틴 등도 풍부하다.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데, 특히 아스파라진산이 많다. 특유의 향은 에스터, 알코올류, 알데하이드가 어울려서 낸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면역력을 키워 주고 식욕을 돋운다. 발육 불량과 야맹증에 좋으며 장을 부드럽게 하여 변비를 없애고 어혈을 풀어 준다. 껍질은 해독작용을 하고 유기산은 니코틴을 제거하며 독성을 없애 주기도 한다.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소아민의 생성을 억제하는 성분도 들어 있다. 6~8월 사이에 수확한다. 날로 먹거나 통조림, 병조림, 주스, 잼 등으로 가공하여 먹는다. 종자는 한방에서 도인(桃仁)이라고 하여 약재로 쓴다.
본 발명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혼합하여 복합추출물로서 제조하는 경우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 효과가 상승하여 더욱 우수해 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추출용매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예를 들어,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함수에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고, 물, 탄소수 1~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tert-부탄올일 수 있으며,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수 알코올은 물을 0.3~90(wt/wt)%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함유된 물의 양은 30~90(wt/wt)%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wt/wt)%이다(본 발명에서, A% 함수 알코올은 알코올이 A%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 중량비가 1~4:1~3:1~2:1~2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 중량비가 1:2:1:1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다. 이때, 당약 및 쇠뜨기는 전초를, 작약은 뿌리를, 복숭아는 과육을 사용한다. 특히,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 중량비 1:2:1:1로 혼합 추출하는 경우에 그 수율이나 탈모예방 및 자극완화 활성면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먼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건조물을 세절하고, 혼합 건조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함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건조물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이들의 혼합 건조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30℃에서 1∼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추출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비율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예방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HaCaT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IL-1α 분비를 억제하여 두피 진정효과 및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외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졸제, 겔제, 왁스제 등의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두피 국소 도포형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염모제, 표백제,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양모제,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왁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퍼머넌트 웨이브용 조성물, 헤어 에센스, 마사지 크림 등 모발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 외에 민감성피부 및 두피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사용하였다. 정제수 2kg을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10 ~ 130℃에서 4 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종이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여액을 1.0㎛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0.45㎛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마지막 여과하여 추출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제품명: Coolace CCA-1100, 제조사: EYELA)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건조기(모델명: 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90g을 얻었다.
Inlet 온도 180℃, Aspirator 효율 100%(35㎤/hour), Pump 효율 25% (7.5㎖/min), Nozzle Cleaner 4, Rotameter 30㎜(357Liter/hour)
실시예 2~11:추출 비율에 따른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 제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분말의 중량비를 하기 표와 같이 조절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 분 혼합 비율 수득률(%)
실시예 2 1:1:1:1 90
실시예 3 1:2:1:1 98
실시예 4 1:1:2:1 89
실시예 5 1:1:1:2 80
실시예 6 2:1:1:1 70
실시예 7 2:2:1:1 60
실시예 8 2:3:2:1 50
실시예 9 3:1:1:2 48
실시예 10 3:2:1:1 42
실시예 11 4:1:1:1 40
비교예 1: 당약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당약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사용한 것 대신에,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당약만을 20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당약 추출물 분말 90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작약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작약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사용한 것 대신에,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작약만을 20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작약 추출물 분말 80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쇠뜨기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쇠뜨기를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사용한 것 대신에,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쇠뜨기만을 20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쇠뜨기 추출물 분말 92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복숭아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복숭아를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사용한 것 대신에,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복숭아 만을 20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복숭아 추출물 분말 95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녹차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녹차잎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분말 각각 34g, 98g, 34g, 34g을 사용한 것 대신에,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녹차잎만 2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 60g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 함유 헤어용 화장수 제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용 화장수를 하기의 표 2의 조성에 따라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3 부틸렌글리콜 1.0
4 글리세린 0.5
5 피이지-4000 0.5
6 폴리소르베이트-80 0.2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2
8 에탄올 18.0
9 트리에탄올아민 0.05
10 방부제 미량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상기 표 2에서 일정량의 12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10번 물질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용해한 후 잔량의 11번 물질을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형예 1~4: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추출물 함유 헤어용 화장수 제조
상기 표 2에서 복합추출물 대신에 상기 비교예 1~4의 각각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헤어용 화장수를 제형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함유 헤어용 영양유액 제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을 함유한 헤어용 영양유액을 하기의 표 3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베지터블왁스 0.5
3 세탄올 0.5
4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5 스테아린산 0.6
6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0.6
7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0.5
8 밀납 0.5
9 파라핀왁스 0.5
10 스쿠알란 3.0
11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8
13 피이지4000 0.5
14 농글리세린 4.0
15 부틸렌글리콜 6.0
16 카르복시폴리머 0.08
17 트리에탄올아민 0.08
18 방부제 미량
19 향료 미량
20 정제수 잔량
상기 표 3에서 14, 15, 18, 20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6, 17번 물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9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헤어용 영양유액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함유 헤어 트리트먼트 제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 트리트먼트를 하기의 표 4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베지터블왁스 0.9
3 세탄올 1.0
4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5 스테아린산 0.8
6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7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0
8 밀납 1.5
9 파라핀왁스 0.5
10 스쿠알란 6.0
11 카프릭카프리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12 디메치콘 0.5
13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4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5.0
15 피이지4000 0.5
16 농글리세린 6.0
17 부틸렌글리콜 6.0
18 카르복시폴리머 0.1
19 트리에탄올아민 0.1
20 방부제 미량
21 향료 미량
22 정제수 잔량
상기 표 4에서 2, 3, 4, 5, 6, 7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40 ~ 4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함유 에센스 제조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하기의 표 5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에칠렌 글리콜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르산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 ~ 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 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세포 무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최종 농도를 0.1, 0.5, 1.0, 2.0, 5.0%로 하여 혈청이 2.5% 함유되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인 위와 같은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률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722415-pat00001

농도(%) 세포 증식률(%)
대조군 0.1 0.5 1.0 2.0 5.0
실시예 1 100 102.9 102.0 101.5 99.9 100.2
실시예 2 100 103.7 102.9 101.3 100.3 100.0
실시예 3 100 105.8 103.9 102.1 103.7 101.0
실시예 4 100 101.6 101.8 100.9 100.4 99.6
실시예 5 100 101.7 100.4 99.7 101.0 99.6
실시예 6 100 100.9 101.5 100.8 99.9 98.9
실시예 7 100 101.7 100.4 99.7 101.0 99.6
실시예 8 100 100.9 101.5 100.8 99.9 98.9
실시예 9 100 101.6 101.0 100.8 99.4 98.6
실시예 10 100 101.2 100.7 100.5 100.8 97.8
실시예 11 100 102.9 101.4 100.1 99.5 99.8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측정 오차범위를 고려하면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추출물은 모두 세포 무독성이며,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제형 안정도 확인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온(25℃),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항온수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후 육안으로 변색, 및 분리를 관찰하고, 후각으로 변취를 확인하여 이들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온도
조건
안정성 확인 (변색, 변취 및 분리)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실온 0 0 0 0
4℃ 0 0 0 0
45℃ 0 0 0 0
<제형 안정 등급>
0 : 변화 없음, 1 : 미세한 변화, 2 : 변화, 3: 극심한 변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4 제형 모두 실온,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하였다.
시험예 3 : HaCaT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IL??1α 분비 억제 효과
24 웰 플레이트에 HaCaT 케라티노사이트(German Cancer Research Institute, Germany)를 2×105 cells/well의 밀도로 10% FBS가 첨가된 DMEM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으로 접종하여 가습화 된 37℃, 5% CO2 배양기에서 1일 배양하였다. 무혈청(Serum free) DMEM으로 교환 후 비교예 1 ~ 4와, 실시예 3의 시료를 모두 100ppm으로 처리하여 1일 배양하고 SDS(sodium dodecyl sulfate, Sigma)를 처리하여 4시간 더 배양하였다. 4시간 후 배양액 일부를 취해서 IL-1α 정량과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였다. IL-1α 정량은 엔도젠사의 human IL-1α kit를 사용하여 kit의 IL-1α 정량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시그마사의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kit로 정량한 IL-1α를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단위 단백질당 IL-1α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피부자극완화 물질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Ketopropen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인 IL-1α생성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IL-1α생성율(%) = (A/B) × 100
A : 시료의 IL-1α생성량
B : SDS만 처리한 시료의IL-1α생성량
시료명 IL-1α생성율(%)
대조군 33.41 ± 1.67
SDS만 처리 100.00
당약 추출물(비교예 1) 90.18 ± 4.80
작약 추출물(비교예 2) 80.12 ± 3.60
쇠뜨기 추출물(비교예 3) 79.12 ± 3.60
복숭아 추출물(비교예 4) 81.12 ± 3.60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68.33 ± 3.06
Ketopropen 63.15 ± 4.96
SDS 처리후의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IL-1α분비량이 타 시료들보다 상당량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SDS처리를 통하여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홍반을 일으킬 수 있는 IL-1α의 생합성을 본 것으로서 피부 세포에 SDS만 처리했을 때의 IL-1α의 양을 100으로 정하였을 때의 각 시료들의 IL-1α의 생성량을 구한 후 이것을 백분율화 한 것이다. 즉 이 결과를 통하여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 추출물 시료에서의 IL-1α의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홍반 등의 트러블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피부자극완화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며,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Aldrich Chem. Co., MW=394.32g/mol) 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하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에 0.01(wt/v)% 농도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플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9와 같다.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처리 농도(%) 항산화효과(%)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실시예 3)
0.01 93
당약 추출물(비교예 1) 0.01 80
작약 추출물(비교예 2) 0.01 79
쇠뜨기 추출물(비교예 3) 0.01 75
복숭아 추출물(비교예 4) 0.01 81
녹차 추출물(비교예 5) 0.01 45
비타민 E(SIGMA, USA) 0.01 43
상기 표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0.01% 농도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농도의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녹차추출물, 비타민 E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보습력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코네오메터 CM 825(Corneometer CM 825, Courage+Khazaka사)를 사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 당 35-6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 2 ㎠, 8 구획 나누어 구분하고,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하였다. 15 분경과 후, 시료를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10㎕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2 시간 경과 후, 코네오메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회 측정하였다. 실험은 실내온도는 21±2℃, 상대습도 50±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상자 5 명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동일농도에서 비교예 1, 2의 보습력보다, 상기 실시예 3의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 추출물의 보습력이 우수함을 나타냈다.
보습력(Corneometer Value) = S - ΔS
S : 시료 도포 전 Corneometer Value
ΔS : 시료 도포 2시간 경과 후 Corneometer Value
시료명 보습력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실시예 3) 70.12
당약 추출물(비교예 1) 60.21
작약 추출물(비교예 2) 50.65
쇠뜨기 추출물(비교예 3) 59.60
복숭아 추출물(비교예 4) 61.20
시험예 6: 두피 트러블 완화 효과 및 실사용 평가
18-40세 연령의 두피 트러블이 심한 피시험자 성인 남녀 30명에게 상기의 제형예 1(실시예 3 함유) 및 비교 제형예 1~4(비교예 1~4 함유)의 조성물을 지급하고, 2 주일간 매일 1회 이상 제품을 사용하게 한 다음, 평가전과 사용 2주일 후의 두피 트러블 완화 효과 및 실사용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 에 나타내었다.
항목 제형예 1
(실시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예 4)
두피가 건조하지 않다 4.3 3.2 3.2 3.1 3.3
가려움증이 없다 4.1 3.5 3.1 3.7 3.2
흡수가 잘 된다 4.0 3.7 3.6 3.2 3.4
당김이 적다 4.5 3.3 3.0 3.7 3.3
두피트러블이 감소되었다 4.0 3.0 3.2 3.9 3.8
모발에 끈적임이 없다 4.1 2.9 3.9 3.0 3.1
* 평가기준: 5-매우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좋지 않다 1-매우 좋지 않다.
상기 표 11 에 의하면,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에서의 과민 반응인 염증 반응 및 가려움증 등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으며, 두피에 보습력을 부여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시험예 7: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과 비교예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탈모를 유발하는 활성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촉진하는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Rat prostate 5알파-리덕타아제를 이용하여 첨가한 [3H]테스토스테론(T)이 [3H]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양을 가지고 평가하였다. 7-8주령 된 SD 수컷을 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경추도살 하여 전립선을 적출하고, 곧바로 액체질소에 넣어서 보관하였다. 실험마다 필요한 양의 전립선을 꺼내어 사용하였다. 전립선을 4℃의 homogenizer buffer(20 mM potassium phosphate (pH 6.6), 0.32 M sucrose, 1 mM dithiothreitol(DTT), 0.2 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를 넣은 glass homogenizer에 넣고 뿌옇게 될 때까지 분쇄하였다. 원심분리(1500 g, 20분, 4℃) 후 pellet을 얻은 후에 두 번 세척하고, pellet에 homogenizer buffer를 넣어서 suspension 하여 crude enzyme 으로 사용하였다. microtube에 crude enzyme과 시료 및 reaction buffer (40 mM potassium phosphate (pH 6.6), 200 μM NADPH, 1 mM DTT, 120 nCi[1,2,6,7-3H]T)를 넣어 최종 반응액을 500 μL로 맞춘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1 mL의 ethyl acetate를 넣고 vortex 후, 원심분리(1000g, 5분)하여 상층액을 취해서 새로운 microtube로 옮긴 후, heating plate(60℃)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하였다. microtube에 50μL의 ethyl acetate를 넣고, TLC plate에 spotting하고 전개용매(50% cyclohexane, 50% ethyl acetate) 하에서 3회 전개하였다. UV spectrometer로 254nm 에서 테스토스론(testosterone)을 확인하고 10% 황산을 뿌려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확인하였다.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부위를 가위로 오려내서 각각의 scintillation vial에 넣고 cocktail 10 mL을 넣어 β-counter로 측정하여 전환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대조군(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5알파-리덕타아제 저해율을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722415-pat00002

시료
저해율(%)
10ug/ml 100ug/ml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
(실시예 3)
50.60±5.23 102.86±10.66
당약 추출물(비교예 1) 34.30±1.23 59.01±2.46
작약 추출물(비교예 2) 33.25±1.03 60.21±3.65
쇠뜨기 추출물(비교예 3) 42.41±1.03 70.12±3.21
복숭아 추출물(비교예 4) 43.31±1.03 69.21±2.91
상기 표 1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단독 추출물 보다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발 생장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B16F1 멜라노사이트를 이용한 세포 내의 멜라닌생성시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비교예 추출물을 사용하여 흑모생성 촉진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으로써, B16F1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율을 측정하여 흑모생성 촉진 효과를 판단하였다. 본 시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사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증가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시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사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생성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B16F1 멜라노사이트를 10% 소혈청(fetal bovine serum)과 1% 항생제를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알파-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0.2 μM)가 처리된 DMEM 10%에 10 mg/mL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멜라닌 함량을 측정할 세트는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의 멜라닌 정량은 Lotan(Cancer Res., 40: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세포 펠렛에 1N NaOH (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490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멜라닌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멜라닌을 정량하였다. 정량된 멜라닌은 총단백질로 보정하여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722415-pat00003

시료 생성량
10ug/ml 50ug/ml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
(실시예 3 )
70.79±5.11 69.27±5.19
당약 추출물(비교예 1) 120.13±10.26 154.60±8.46
작약 추출물(비교예 2) 49.61±7.23 80.71±7.21
쇠뜨기추출물 (비교예 3) 60.21±9.14 79.71±7.38
복숭아 추출물(비교예 4) 59.13±7.21 80.71±6.91
상기 표 1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단순 추출물인 비교예 보다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의 실시예가 멜라닌 생성량이 증가하여 흑모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은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가 건조 중량비 1~4:1~3:1~2:1~2인 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이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를 건조중량비로 1:2:1: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여과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약, 작약, 쇠뜨기 복숭아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13986A 2014-08-29 2014-08-29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86A KR101473940B1 (ko) 2014-08-29 2014-08-29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86A KR101473940B1 (ko) 2014-08-29 2014-08-29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940B1 true KR101473940B1 (ko) 2014-12-22

Family

ID=5267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986A KR101473940B1 (ko) 2014-08-29 2014-08-29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9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135B1 (ko) * 2017-08-25 2018-02-0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쇠뜨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N109715137A (zh) * 2016-07-29 2019-05-0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抑制皮脂分泌的包含桃芽提取物的组合物
KR102130149B1 (ko) 2019-12-11 2020-07-03 (주)더마랩 복사나무 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2019-12-20 2021-07-06 황기철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929A (ko) * 2001-08-21 2004-04-17 교와 유까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용 유제 및 화장료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KR101292028B1 (ko) * 2005-06-21 2013-08-01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변형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929A (ko) * 2001-08-21 2004-04-17 교와 유까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용 유제 및 화장료
KR101292028B1 (ko) * 2005-06-21 2013-08-01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변형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32127A (ko) * 2005-08-12 2008-04-14 켄지 코노 육모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5137A (zh) * 2016-07-29 2019-05-0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抑制皮脂分泌的包含桃芽提取物的组合物
US11389393B2 (en) 2016-07-29 2022-07-19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sebum secretion comprising peach sprout extract
KR101825135B1 (ko) * 2017-08-25 2018-02-0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쇠뜨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30149B1 (ko) 2019-12-11 2020-07-03 (주)더마랩 복사나무 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2019-12-20 2021-07-06 황기철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168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21353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1963597B1 (ko)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101889492B1 (ko) 처진뽕나무, 자두나무, 및 큰달맞이꽃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6188B1 (ko)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